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콘텐츠의 글쓰기 교육 활용 방안 연구

        임곤택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4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2 No.-

        이 논문은 글쓰기 교육을 통한 창의력 증진과 수업 참여도 제고를 목표로 문화콘텐츠를 수업에 활용하는 방안 마련을 위해 시도 되었다. 최근 글쓰기 교육의 목표는 단순히 표현 능력의 함양에만 있지 않다. 비판적 사고력이나 문제 해결력 등,창의력의 범주에 해당하는 자질 제고 역시 글쓰기 교육이 담당해야 할 중요한 지향이 되고 있다. 그러나 교양으로서의 글쓰기는 학생들의 관심과 참여가 높지 않다. 더불어 융합, 혹은 학제적 교양 교육의 필요성 역시 높아지고 있다. 창의력 증진과 참여도 제고를 위한 다양한 교육 도구의 채택이 요구되는 것이다. 이 논문은이상의 목표들을 달성하려는 노력의 일부로, 문화콘텐츠를 글쓰기 수업에 활용하는 방안의 가능성과 의의를 밝히고 구체적 수업방안을 제시한다. 문화콘텐츠에 주목하는 이유는 먼저 창의력과의 연관 때문이다. 문화콘텐츠는문화, 예술, 학술적 내용의 창작물과 이것을 가공하여 상품화된 결과물들을 의미하는데, 창작과 가공 단계에서 창의력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또한 학생들의 관심이나요구가 많은 대상이라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문화콘텐츠에 대한 관심은 수업 집중도 향상으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문화콘텐츠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여 글쓰기 수업에서 다룰 수 있는 대상이 한정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광고(카피)가 적당하다고 판단한다. 광고가 지닌 창의적 요소와 수신자 중심의 소통 방식은 교양 글쓰기의 목표와 부합할 뿐 아니라‘읽기, 쓰기, 첨삭과 피드백’ 등으로 이루어지는 글쓰기 수업 방식과도 적절히 융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구체적인 수업안을 제시하는데, ‘정보 탐색 및 자료 분석– 카피 쓰기 – 프레젠테이션 및 수정’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 수업안은 일종의試案으로 학생들의 구성이나 교수자의 전공 등에 따라 다양하게 수정 및 보완된다면 흥미 있고 유익한 교양 글쓰기 수업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student’s class participation and creativitythrough writing education. Creativity is related to interest and concern. When studentsfind classes interesting, they tend to assert their potential creativity. In terms of subject,it is cultural contents that students are interested in. If we prepare for an educationalmodel to utilize culture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we could draw students’ theirpotential creativity. The concept of culture contents is broad, which makes us define appropriate culturecontents as the method of writing education. this study adopts copywriting for culturecontents in class. Copywriting class consists of the process of ‘information searchand material analysis, copy writing, presentation and revision’. This model is onlysuggestion. Teachers may moderate this model in consideration of concrete situationsuch as class size, student’s major, and so on.

      • KCI등재

        한용운 시의 축제와 희생제의적 의미

        임곤택 현대문학이론학회 2019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8

        이 논문은 이 글은 한용운의 작품에 나타나는 ‘님(당신)’과 ‘나’의 관계가 특수한 양태를 가졌다는 점에 착안하여, 양자의 ‘관계와 만남’의 의미를 새롭게 규명해보려는 데 일차적인 목표를 두었다. 「나룻배와 행인」의 분석을 통해 ‘당신’과 ‘나’의 만남이 축제의 의미로 읽힐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당신’을 안은 ‘나’는 망아의 상태에 빠지고, 반복해서 발생하는 그 만남은 흘러지나가는 일상의 시간을 성스러운 것으로 만드는 계기가 된다는 점 등을 근거로 삼았다. 「님의 침묵」에서는 ‘노래’와 ‘침묵’의 의미를 재고하였다. ‘침묵’은 단순히 말이나 소리가 없는 상태가 아니라 ‘노래’를 있게 하는 모태이다. ‘나’는 노래를 통해 ‘님의 침묵’을 인식하며, ‘님의 침묵’에 대한 나의 인식은 슬픔을 ‘희망’으로 돌려놓는 계기로 작동한다. 「알 수 없어요」의 경우, 『님이 침묵』이 발표된 1920년대 상황에 주목하여, 농경사회에서 식민지 근대로의 이행에 대한 거부, 조화로운 세계의 회복에 대한 지향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타고 남은 재가 기름’이 되는 모티프를 통해 소신과 정화, 희생제의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님’은 그것에 사랑/숭배의 감정을 투사하는 사람에게만 의미를 가지는, 어떤 것으로도 특정되지 않은 기표라고 판단하였다. 한용운의 작품들은 전통 사회에서 (식민지) 근대로 이행하는 시기, 그 이행의 모습을 노래하는 한편, ‘님(당신)’과 합일하는 축제의 경험을 통해, 민족의 생명력을 확인하고 재생과 부활을 지향하는 축제의 기록이라고 평가하였다.

      • KCI등재

        현(근)대 시조와 근대 하이쿠 비교 연구 - 이병기와 마사오카 시키(正岡子規)를 중심으로 -

        임곤택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6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2 No.-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raditional poetry of Korea and Japan, Sijo and Haiku renovate themselves in the flow of modernization, through works of Lee Byeong-gi and Masaoka Shiki. The first characteristics of their works were that they pick out new objects that had not been used earlier. The objects were mean and trivial things. But these kind of objects were not the symbol of a certain concept or ideology which premodern poetry mostly denotated. The second characteristics were that they developed new poetic language. They focused on the movement of objects and described them with the words near oral language. these words made the works not to fall into ideation and furnish them the modern reality. Lee Byeong-gi and Masaoka Shiki, with these characteristics found out new and modern lanscape, and achieved modernization of Sijo and Haiku. 이 논문은 이병기의 시조와 마사오카 시키의 하이쿠를 분석하여, 한일 양국의 전통 시가 형식이 근대화의 자장 안에서 어떻게 스스로를 갱신해갔는지 살피고자 한다. 이병기와 마사오카 시키는 각각 시조혁신론과 사생론 등 새로운 창작 방법을 제시하며 시조와 하이쿠의 근대화를 이끈 인물들이다. 이들의 작품이 지닌 형식적 특성과 효과를 추적함으로써, 양국 전통 시가의 근대화 과정을 구명하고, 나아가 전통 형식이 미적 근대화를 성취해가는 양상을 도출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이 논문은 이병기와 마사오카 시키를 서로 비교하여 차이점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지 않으므로 두 사람이 근대화 과정에서 보여준 유사한 양상들에 주목하게 된다. 두 시인의 작품에서 먼저 드러나는 특징은 새로운 소재의 발굴이다. 이전에는 시가 될 수 없었던 작고 하찮은 것들을 소재로 선택하는데, ‘젖꼭지, 손톱 끝, 파리, 모기, 비루먹은 말, 말의 꼬리’ 등이 그것이다. 이들의 채용은 소재의 범위를 확장했다는 의미를 넘어선다. 주지하는 대로 근대 이전 시가들의 소재는 특정한 의미를 지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기표와 기의의 연결이 고정되어 있었고, 이 연결을 규율하는 상위의 규범이나 이데올로기가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새로운 소재들은 고정된 의미 체계 안에 있지 않다. 매우 구체적으로 생활 세계를 드러내 줄 뿐이다. 이러한 소재들은 궁극적으로 기존의 규범적 질서에서 벗어나려는 문학의 한 실천이라는 의미를 지닌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두 사람에게 보이는 특징은 새로운 언어의 발견과 리얼리티의 구현이라 할 수 있다. 그들은 대상의 움직임을 구어체에 가까운 시어로 표현한다. “날어 드다, 부드치고. 몰아 오다, 떨어치고”, “요란스레 꾸[飾り立てたる]”미거나 “잽싸게 몸을 피하는[ひらりとかはす]” 등 대상의 움직이는 모습을 구어체에 가깝게 표현해낸다. 이러한 표현은 작품에 활달한 느낌을 불어넣어주는 한편 대상에 대한 지나친 감정 투사나 관념화를 막아준다. 무엇보다 작품 안의 세계와 실제 세계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짐으로써, 그들의 작품은 근대적 리얼리티에 다가서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이병기와 마사오카 시키는 새로운 대상과 새로운 시어를 통해, 궁극적으로 세계를 새롭게 보았다고 판단된다. 이른바 풍경의 발견이라 이름붙일 수 있을 듯하다. 이를 통해 문학을 둘러싼 규범과 이데올로기에 균열을 일으키고, 문학의 근대화 혹은 미적 근대화를 향한 여정을 한 발 더 밀고나간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