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웹 기반 협력적 쓰기를 통한 한국어 어휘력 향상 연구

        이희욱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vocabulary of Korean learner through the collaborative writing. For this purpose, the collaborative writing is performed through the interaction of members on the online bulletin board called ‘web’, and on the basis of this writing, the degree of development is checked through the quantitative measure of vocabulary like lexical density. And in order to discover the defining aspect which the collaborative writing based on this web affects the development of Korean vocabulary, the post-survey was conducted. The reason that I chose this way of research is to find the answer of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Does the collaborative writing based on web have an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vocabulary (i.e. lexical density)? Research question 2. In case of th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which part of the collaborative writing based on web do they think as helpful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vocabulary? For this research, I conducted the experiment targeting 20 persons among the foreig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t language institutes of th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or Gyeonggi-do and the foreign students attending Korean universities dividing into the control group and the treatment group of 10 persons respectively. And for the treatment group, the collaborative writing based on web was treated. In case of the writing in advance and the rewriting of all subjects, using a corpus program, total quantity of vocabulary and the number of content word were extracted in order to get the lexical density. And the equivalence check was conducted with the lexical density of writing in advance a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examined with the lexical density of writing afterward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rough this process is as follows. First, the collaborative writing based on web had no rel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vocabulary in terms of a quantitative measurement of a vocabulary.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lexical density of writing afterwards between groups, it couldn’t get the significant figures. It means that the subjects corrected and ordered their thinking instead of adding new vocabulary through the collaborative writing based on web. Second, the effect of the reference to their colleague’s writing and the feedback from their colleague through the collaborative writing based on web was quite positive. Through the reference of their colleague’s writing, the thinking after class was improved more than the thinking before class. And also through the effect of feedback, the thinking after class became more positive than the thinking before class. Third, the subjects said that the advantage of the collaborative writing based on web was to understand the thinking of their colleagues and the disadvantage was the difficulty of using computer. Knowing the thinking of their colleagues means the emotional communication with their colleagues as well as the acquirement of new vocabulary. And through this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the writing using computer program was difficult for them. It is because they usually write Korean on the paper instead of using computer.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collaborative writing could be a positive effect on the acquirement of vocabulary. And also in the use of corpus in the area of Korean learner’s corpus research, it has the significance that it tried to measure the development of vocabulary using corpus beyond the simple measurement of lexical density. 본 연구의 목적은 협력적 쓰기를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력 향상을 알아보는 것에 있다. 이 연구는 ‘웹’이라는 온라인 게시판에서 같은 그룹 구성원들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협력적인 쓰기가 이루어지게 되며 쓰기 결과를 바탕으로 어휘 밀도와 같은 어휘의 양적인 측정을 통하여 그 향상도를 알아보게 된다. 또한 이러한 웹을 기반으로 하는 협력적 쓰기가 한국어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정의적인 측면을 알아보고자 사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을 택하게 된 것은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 문제 1. 웹 기반 협력적 쓰기가 한국어 어휘력(어휘 밀도)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문제 2. 한국어 학습자들은 웹 기반 협력적 쓰기의 어떠한 부분이 정의적인 측면에서 한국어 어휘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가? 본 연구를 위해 서울 및 경기에 소재한 두 곳의 대학 기관 부속 언어교육원의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과 경기 소재의 대학교 한 곳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대학생)들 총 20명을 대상으로 통제 집단과 처치 집단으로 각각 10명씩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1차시에서는 아무런 처치 없이 먼저 쓰기를, 2차시에서는 마인드맵과 초고 쓰기를 통한 나중 쓰기를 실시하였고 1, 2차시의 쓰기 주제는 같은 주제로 실시하였다. 2차시에서 통제 집단은 자신이 그린 마인드맵과 초고만을 바탕으로 다시 쓰기를 실시하였고 처치 집단에게만 웹 기반 협력적 쓰기가 처치되었다. 피험자들의 먼저 쓰기와 다시 쓰기는 말뭉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체 어휘량과 내용어 수 등을 추출하여 어휘 밀도를 구하였고 먼저 쓰기의 어휘 밀도로 동질성 검사를, 나중 쓰기의 어휘 밀도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동질성 검사는 SPSS 21을 사용하여 Mann-Whitney U 검정법으로 집단 간의 동질함을 확인하였고, 어휘 밀도를 통한 어휘력 향상을 알아보기 위한 집단 간의 어휘 밀도 비교 역시 SPSS 21을 사용하여 Mann-Whitney U 검정법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또한 실험 후, 처치 집단을 대상으로 피험자들이 느끼는 어휘력 향상에 관하여 수업 전 생각과 수업 후 생각을 묻는 대응되는 문항의 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는 Wilcoxon 부호-순위 검정법을 통하여 그 향상도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웹 기반 협력적 쓰기는 양적인 측면에서의 어휘력 측정으로는 어휘력 향상과의 연관성을 볼 수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집단 간의 나중 쓰기 어휘 밀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비교해본 결과 유의미한 수치를 얻을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가 나온 것은 피험자들이 웹 기반 협력적 쓰기를 통해 새 어휘의 첨가보다는 수정과 생각의 정리가 더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웹 기반 협력적 쓰기를 통한 동료의 글 참고와 동료에게 받는 피드백의 효과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왔다. 동료의 글의 참고를 통하여 수업 전의 생각보다 수업 후의 생각이 더욱 긍정적으로 향상되었고 동료에게 받는 피드백의 효과를 통해서 수업 전의 생각보다 수업 후의 생각이 더욱 긍정적으로 향상되었다. 셋째, 피험자들은 웹 기반 협력적 쓰기의 장점으로는 동료의 생각을 알 수 있었다는 점을 들었고 단점으로는 컴퓨터 사용의 어려움을 토로하였다. 동료의 생각을 알게 된 것은 새로운 어휘의 습득뿐만이 아니라 동료와의 정서적 교감도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또한 본 실험에서 워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글을 써야만 했던 것이 피험자들에게 부담감을 주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 이는 피험자들의 평소 한국어 쓰기가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고 종이에 직접 글을 쓰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협력적 쓰기가 어휘의 습득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한국어 말뭉치 연구 분야에서의 말뭉치 활용에 있어서도 말뭉치를 이용하여 단순히 어휘 밀도를 측정한 것을 넘어서 어휘력의 향상을 측정하려 하였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한 전통 회화 지도방안

        이희욱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성취기준은 교수·학습의 실질적인 기준으로서 각 교과목에서 가르치고 배워야 할 내용과 그러한 내용 학습을 통해 학생들이 성취해야 할(또는 보여 주어야 할) 능력 및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준거이다. 임재일, 「초등교육과정 성취기준에 준거한 가르쳐야 할 주요 개념 추출 연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2014, p.3. 미술 교과의 성취기준은 미술과 교육과정의 목표를 실현할 수 있도록 설정한 구체적인 현장 교육활동의 근거라고 이해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전통 미술과 문화와 관련한 미술과의 목표나 성취기준은 존재하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성격’과 ‘교과 역량’과 같은 상위체계에서 전통문화에 관한 내용을 직접적으로 언급하고 있지만, 이를 명시적으로 뒷받침하는 성취기준은 없다. 물론 전통문화와 관련된 교과서의 내용과 대응시킬 수 있는 성취기준은 존재하나, 미술과 교육과정의 상위체계에서 전통문화를 언급한 점을 고려한다면, 전통문화와 관련된 직접적인 성취기준이 없다는 것은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의문을 바탕으로 아래와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전통 회화와 성취기준의 개념을 탐색하여, 연구의 목적을 뚜렷이 하였다. 초등학교에서 다루어지는 전통문화 관련 내용 중 특히, 전통 회화의 기법과 양식 및 주제와 해당 성취기준에 이해와 탐색을 통해 연구의 기반을 마련한다. 둘째, 전통 회화와 관련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분석하여, 전통 회화교육의 당위성을 마련한다. 또한 전통 회화의 주제에 대한 접근보다, 표현재료와 표현 방법과 같이 제작과 관련한 부분에만 집중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및 내용 요소의 문제점을 짚어본다. 셋째, 교과서의 전통 회화 관련 단원의 내용을 분석한다.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바탕으로 마련된 내용을 기준 삼아 교과서를 분석하고, 전통 회화 관련 내용을 제대로 담아내고 있는지 확인한다. 넷째, 미술 교과서와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내용을 골라 뽑은 후 이에 전통 회화와 관련한 수업의 요소를 더하여 기존의 수업모형을 통해 적용하거나, 전통 회화 수업의 흐름을 제안한다. 전통 회화와 관련한 기법이나 그 내용을 단편적으로 암기하는 수업보다는 다양한 성취기준과의 결합을 통해 전통 회화의 중요성을 알 수 있도록 한다. 구영란, 「전통 미술의 통합적 감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2004, p.15. 다섯째,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마련된 교수, 학습 지도안과 수업자료를 활용하여 수업을 실연하고, 결과물을 바탕으로 효과에 대해 고찰한다. 성취기준과 전통 회화, 두 가지 핵심적인 키워드를 바탕으로 수업을 조직하여 실행하였고, 이를 통해 얻어지는 학생작품과 피드백을 바탕으로 효과성에 대해 검증하였으며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많은 수의 학생들은 전통 회화 수업에 대해 어려운 수업이라는 편견이 있었다. 그 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물으면 재료에 대한 어려움 이상으로, 무엇을 어떻게 그려야 할지 막막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전통 회화 수업의 목적을 명확히 하고, 다양한 수업 요소와의 결합을 통해 양질의 미술 수업으로 나아가는 데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다. 둘째, 전통 회화에 대한 우수성과 독창성을 강조하여 자긍심을 강조하는 수업의 형태 이은미, 「초등학생을 위한 전통 회화 이해 방안 연구」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박물관 및 미술관교육전공, 2016, p.70. 와, 표현재료와 기법에 대한 지나친 강조는 학생의 흥미를 잃게 하였다. 오히려, 학생들은 전통 회화의 표현재료와 기법을 활용하여, 미술 교과 내의 흥미로운 소재를 활용하여 수업하는 행위에 흥미를 느꼈다. 즉, 전통 회화와 관련한 내용이 목적이 된다기보다 목적을 달성하는 데 전통 회화의 내용이 도구화되어, 흥미롭게 접근하였다. 쉽게 그 내용을 익혔다. 셋째, 전통 회화에 대한 심리적인 거리감이 크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전통 회화 관련 수업은 다양한 이유로 학교 현장에서 원활하게 운영되지 않는다. 이러한 관계 안에서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전통 회화와 멀어지게 되고, 전통문화에 대해 학습할 기회를 상실하며 이는 전통에 대해 거리감을 느끼는 하나의 이유로 작용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은 전통 회화의 주제나 표현기법에 대한 학습이 난도가 그리 높지 않고, 이를 통해 전통 미술, 전통문화와 관련된 내용을 학습하는 행위가 가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의 행위는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이루어지지만, 수업의 전체적인 방향과 흐름은 교사의 주도로 이루어진다. 전통 회화 수업과 관련하여 교사는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전통 회화 관련 근거를 바탕으로 표현기법과 주제에 관심을 가지고 그 내용을 익히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또한 교과서를 수업의 절대적인 자료로 여기지 않고,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전통 회화 수업을 구안해보는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인다면, 전통 회화 수업을 통해 성취할 수 있는 목적을 넘어, 전통문화의 가치에 대해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 상해항 개발에 대비한 부산항의 경쟁전략

        이희욱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Shanghai port is on development with the growth of Chinese Economy. Besides, Chinese government is planning to handle the cargos by themselves as well as the strategy that develops Shanghai port into the centre of the port for logistics in North-East Asia is going on. This plan is going to be a big menac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recognition of the ideal and the present for the development of Busan port and environment of port Therefore, The thesis shows the ports of comparative superiority and comparative inferiority and what the strategy Busan port has to consider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f Busan port which targets on the centre of the port for logistics and Shanghai port which is developing rapidly in intense competitions of ports. The result of this thesi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usan port should expand the international network of transportation by sea and railroad with the geographical advantage and increment of the cargos in North-East Asia. It needs to build the network of transshipment up between China and Japan as well. in a long-term, for a bigger market of the cargo transportation, The railroads should be united. Second, Busan port should entice liner corporations to be in the port with discriminations of port's services. In oder to entice liner corporations, the port should consider the improvement of the incentive system, the integration of the port's information system, the improvement of towing system and pilotage system, the allowance that alliance-liner-corporations take the right to manage the container terminals. Third, Busan New Port that is going on construction and the hinterland with early build of port's infrastructure should get involved enough port's facilities and the value add service with port's cluster. Fourth, the port's sales needs to be forged. It is necessary to make a environment, lifting unnecessary regulations, the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 do business in Busan port so that the port's sales is fulfilled.

      • 마르크스주의의 논리학을 통한 회화의 방법론 연구 : 본인의 작업을 중심으로

        이희욱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마르크스주의 논리학이 어떻게 회화의 내적 원리로 구성될 수 있는 지에 관한 연구이다. 마르크스주의 논리학의 두 가지 원리, 즉 사적 유물론과 변증법이 정치경제학 분야 뿐 만 아니라 회화의 원리에도 수용할 수 있는지에 관한 탐구인 것이다. 예술은 현재를 반영하면서도 다른 이데올로기에 비해 자율성을 갖는다. 토대와 상부구조의 관계는 보다 민감하다. 토대를 강조하다 보면 모든 것이 경제적인 것의 압도적인 영향 아래 구성되어 경직되는 예술 장르, 예컨대 스탈린주의의 사회주의 리얼리즘(Sozialistischer Realismus)으로 변질될 수 있으며, 자율적인 부분에 방점을 두면 알튀세르의 문화주의나 마오주의 혹은 주의주의(主意主義, Voluntarism)에 빠질 수 있다. 이러한 위험성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양 극단 사이의 균형 감각이 중요하다. 본인의 <우리시대>연작과 <Dialectical Scope>연작은 이러한 균형감각을 찾아가는 과정이었다. 이를 위해 마르크스주의 방법론을 미학적 사유로서 이용하였다. 이를 위한 논의 방향에서 본인은 본문(Ⅱ장) 전체를 4장으로 나누고 1장은 유물론의 개념에 대해 개관한다. 이는 마르크스주의 논리학의 핵심이 되는 사유 방법으로서 2장의 작품분석에서 핵심적인 부분이다. 2장은 1장에서 분석한 유물론의 개념을 통해서 본인의 작품분석으로 나아갔다. 평면 회화의 기본 원리는 유물론적 특징―사적 유물론―에 기반을 둔 것이 아니라, 원(原)―유물론인 원자론의 물질성을 기본 원리를 삼고 있다. 작업을 분석하면서 본인의 작업에 영향을 준 미술가들, 예컨대 쿠르베와 레온 골럽 그리고 민중미술가의 작품을 본인의 작업과 비교 분석하여 이들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힌다. 두 번째 장에서는 레닌이 마르크스주의, 특히 「자본」을 이해하기 위해서 핵심적으로 필요하다고 주장한 변증법에 대한 개념 설명과 변증법 통해 작품을 분석한다. 2장과 마찬가지로 죠지 그로츠나 오토 딕스와 같은 신 즉물주의 좌파들의 작품과 비교 분석하였다. <우리시대>와 <Dialectical Scope> 연작을 통해 보여주고자 하는 것은, 마르크스주의가 제기한 근본적인 질문인 󰡐자본주의 하에서의 노동자의 자기해방󰡑과 󰡐평등󰡑을 위한 회화적 실천으로 가는 일보(一步)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예술의 혁명적 각성을 위하여 필요한 것은 비판적 역사의 관점을 도입하는 것이다. 즉 예술 영역에 사회학적이고 정치경제학적 관점을 도입하는 것이다. 현대 예술은 근대사회 이후 예술계의 이데올로기가󰡐예술을 위한 예술(Art for art’s sake)󰡑과 󰡐상품 혹은 투기 자본으로서의 예술󰡑이 되면서 종교가 정치를 위해 했던 역할, 즉 자본의 시녀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자본주의적 꿈에서 깨어나기 위해 유물론과 변증법의 도입은 유용할 것이다. 본 연구자는 예술이 우리시대와 무관하지 않다는 것을 본인의 작업을 통해 증명해 보고자 하였다. 예술은 직 ․ 간접적으로 인민에 의해 준비되고, 만들어지고, 들어가 있는 사건에 의해 영향을 받고, 영향을 미친다. 사랑과 같은 가장 친근하고 애틋한 것으로부터 혁명적 사건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은 예술에 영향을 미친다. 우리 시대의 사건들, 즉 비 정규직 문제와 󰡐몫 없는 자들󰡑의 사건은 회화의 근본 문제에 새로운 인식을 하도록 강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그람시가 말한 실천적 철학을 수용하고 그것을 회화가 스스로 말하게 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본인의 작업에서의 마르크스주의 논리학의 수용이 자본주의의 각성을 이루는 지 알아볼 것이다.

      • 압전 바이몰프 진동자의 형태에 따른 전기 음향특성 해석

        이희욱 부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piezoelectric bimorph and multi-morph has been used in industrial fields widely. The shape of piezoelectric bimorph has been changed to improve its characteristics. However, it is hard to find the theoretical analyses for the non-rectangular type bimorph such as triangular and trapezoidal because the equation of motion with nonlinear differential equation is not easy to solv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 changes by the shape change of bimorph and multi-morph is analyzed theoretically. For the tapered piezoelectric bimorph and multi-morph actuators, we introduced an exponential function of length to the width of the actuators. The vibrating displacement and input admittance were analyzed for the exponentially tapered piezoelectric actuators theoretically. To confirm the theory suggested in this paper, several exponentially tapered piezoelectric bimorph and multi-morph actuators are fabricated. The experimental results agree well with the theoretical ones. As the results, when the wide end of the actuator is b, and the short end is a, the resonant frequency is proportional to the value of b/a in case of fixed b whereas the resonant frequency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b/a value in case of fixed a. In the b fixed case, the vibrating displacement at the free end is increased by the b/a value. We also confirmed that the more the number of layer on multi-morph is, the higher the resonant frequency is. From the results, the validity of the suggested analysis method could be confirmed. Using this method, the piezoelectric actuators with tapered shape could be designed appropriately.

      • 초등학교 교감의 교무분장 경험에 대한 연구

        이희욱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proper division of labor in elementary school by examining the vice-principals’ perceptions and understanding the difficulties and predicaments from their perspectives. Ultimately, through the subjective understanding of their experiences, this study tried to narrow the recognition gap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vice principals’ and widen the understanding of both parti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t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main principles and processes which vice-principals’ applied in the process of the division of labor in elementary school? Second, what difficulties do the vice-principals’ experience during the process of the division of labor in elementary school? Third, how do vice-principals’ cope with the difficulties that arise in the process of the division of labor in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investigator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using semi-structured interview techniques for 6 elementary school vice principals who had joined as a major participant in the division of labor in each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ajor principles by research participants were as followings. Firstly, they should consider differences among teachers, secondly, they should improve the stability of administration affairs in school and thirdly they should maintain the balance of academic labors with the grade teachers in charge. In addition, the process of division of labor in elementary school was started by accepting the opinions of teachers about ground rules and following the meeting by the advisory committee regarding teachers’ personnel. After passing through the approval of principals, vice-principals gather documents about what teachers want to take charge for the subsequent year. While vice-principals were conducting these processes, they coordinated the problems and examined the situations through private conversations with the teachers. Second, the difficulties vice-principals faced in the process of the division include situations in which teachers lack motivation for school-work, situations in which they must adhere to impartiality, and situations that require predicting an uncertain future. Most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had difficulty even before they started to distribute the school work, mainly caused by the teachers’ lack of motivation for school work. Furthermore, vice-principals had tried hard to maximize fairness by reflecting teachers' requirements but struggled because the boundaries of schoolwork can not be divided accurately compared to other ordinary works. Lastly, this research has shown that vice-principals not only should anticipate the school work for a whole academic year, but also have a great burden from the complexities and uncertainty behind the school labor. Third, vice-principals were applying each solution to troubles in the process of division of labor in elementary school. The most commonly used strategy was to distribute school work after they gained sympathy with teachers. Vice-principals tend to utilized a monetary incentive system to entrust specific school work and adopted a strategy which accepts teachers’ requirements within legal boundaries. After these processes, vice-principals entrust school works to the teachers. If a vice-principal utilized all of these strategies but it failed, they consider dumping the remaining school works onto new teachers who will be assigned next semester. In the discussion, new implications were derived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existing studies about the division of labor in elementary school. First of all, unlike previous studies vice-principals considered mutu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administrators as a key element in the process of division of labor in school. They emphasized not a coercive distribution but democratic procedures. Additionally,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leadership of the vice-principal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whole process of division of labor in elementary school. Finally, it was reveale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school work normalization policy b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and discussion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incentives are needed to induce teachers' motivation in school works. In addition to high grades in performance bonuses and additional points in promotion, an organized administrative system is needed to boost teacher morale. Second, the roles and limitations of school work should be clearly presen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ough schools’ autonomy and creativity should be emphasized, clear guidelines for school work must be laid out to create a successful 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교무분장의 주요 참여자인 교감의 인식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그들의 관점에서 어려움 및 고충을 이해함으로써 합리적 교무분장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궁극적으로 교감의 생각과 행동에 대한 주관적 이해를 통해 교사와 교감 간의 인식 격차를 좁히고 서로에 대한 이해의 범위를 넓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감은 어떤 원칙과 과정을 통해 교무를 분장하고 있는가? 둘째, 교감은 교무를 분장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어려움을 경험하는가? 셋째, 교감은 교무를 분장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가? 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무분장 과정의 주요 참여자로서 참여해본 경험이 있는 서울시 내의 현직 초등학교 교감 6명을 대상으로 하여 반구조화된 면담기법을 활용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감이 교무를 분장하는 과정에서 적용하는 원칙은 교사 간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 행정업무의 안정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그리고 담당학년과의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이렇게 세 가지로 나타났다. 또, 교감이 교무를 분장하는 과정은 구성원의 의견을 수합하고 인사자문위원회를 거쳐 만들어진 원칙 및 규정을 학교장이 승인하는 단계를 지나 교사들의 업무희망서를 바탕으로 교무분장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교감들은 교무분장 전 과정에서 교사들과 비공식적인 대화를 통해 문제를 조율하고 완성도를 높이고 있었다. 둘째, 교감이 교무를 분장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에는 교사들이 업무에 대한 동기가 결여되어 있는 상황에 대한 어려움, 공정성을 준수해야 한다는 상황에 대한 어려움, 불확실한 미래를 예측해야 하는 상황에 대한 어려움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연구에 참여한 다수의 교감들은 학교 업무에 대한 동기가 결여되어 있는 교사들에게 업무를 배분해주어야 하는 시작하기도 전부터 힘든 상황에 대해 큰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교감들은 교사들이 공정하고 투명한 교무분장을 원한다는 점을 반영하여 공정성을 최대치고 끌어올리려고 노력하지만 학교 업무의 특성상 자로 잰 듯이 정확하게 업무의 경계가 나누어질 수 없는 경우가 많아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일 년 동안의 학교 업무를 예상해야할 뿐 아니라 무수히 많은 돌발요소들을 고려해서 교무분장을 실시해야 한다는 것에 큰 부담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감들은 교무분장 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들에 대해 각기 다른 해결방법을 활용하고 있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전략은 공감대를 형성하는 전략으로 특정 교사와 서로에 대한 입장을 확인하고 공감대를 형성하여 교무분장을 실시하는 전략이었다. 또한 교사들에게 성과상여금을 유인책으로 제시하여 특정 업무를 맡기는 전략을 활용하기도 하였으며 합법적인 범위 안에서의 요구사항을 수용하며 자신의 생각을 관철시키는 전략을 활용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지원팀이나 복직자, 전보대상자와 같은 제3의 위치에 있는 교사들에게 업무를 넘기는 전략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교무분장과 관련된 기존 연구들과의 비교 분석을 바탕으로 새로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먼저 교감들은 기존 연구와는 다르게 상호 이해와 소통을 교무분장 과정의 핵심 요소로 여기고 있었으며 강압적이고 일방향적인 교무분장이 아닌 민주적인 절차를 중요하게 여기고 있음을 밝혔다. 또, 교무분장의 전 과정에서 학교장의 리더십 뿐 아니라 교감의 리더십이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서울시교육청의 학교업무정상화 정책의 효과성이 본 연구를 통해 드러났다는 점을 밝혔다. 이상의 연구 결과 및 이를 토대로 한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교업무에 대한 교사들의 동기를 유발하고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는 제도적, 행정적 유인책이 필요하다. 성과상여금에서의 높은 등급과 승진 외에 교사의 사기를 진작시킬 수 있는 행정적 제도가 필요하다. 둘째, 학교 업무에 대한 역할과 한계가 명확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단위학교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지원하되 학교 업무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 국제표준 기반 대용량, 실시간 처리 RFID 미들웨어 구현

        이희욱 대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FID is automatic identification technology whereby digital data(ID) that is encoded in an RFID transponders(tag) is captured by a reader using radio waves. Generally, a basic RFID system consists of three components as follows : a RFID tag which is attached to the object to be identified and serves as data carrier, a RFID reader which is used to read and/or data to RFID tags and software system including RFID middleware. RFID middleware receives tags's value from the variable RFID readers which identify and read RFID tag and process like collection, filtering, grouping to transmit that result to other application. It managers many readers and request data to reader as a client. A standardization plan of EPCglobal Application Level Event specification and performance about RFID middleware has provoked a great deal of controversy. What I wish to show in this paper is implementation of RFID middleware based EPCglobal's ALE Specification that enabled to realtime process about mass tag data. A implemented RFID middleware consists of five parts as follows : a standard adapter to control of physical reader , a reader interface to gather tag data, a distribution process to distribute tag data to eventcycle processor, a eventcycle processor to process(filtering, grouping, reporting) tag data about and a administration interface. RFID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핵심 키워드로 사물에 부착된 태그의 ID 정보 를 리더와 안테나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인식하는 기술로써,태그,리더 등의 하드웨어와 미들웨어, EPCIS,ONS 등의 소프트웨어로 구성이 된다. RFID 분야가 정부에 의해 IT839, u-IT839등의 다양한 정부 정책 및 군사, 수입쇠고기,항공물류 등의 시범사업으로 추진되어 왔으며, EPCglobal등의 민간단체, 연구소 등에 표준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보급화,활성화 단계에 접어들면서 벤더들의 참여로 다양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제품도 출 시되었다. 이와 더불어, RFID 미들웨어 분야도 중요성이 부각되어 왔으며, 특히 EPCglobal의 ALE 표준과 미들웨어 적합성 테스트인 인증 프로그램의 제안으 로 미들웨어 개발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였다. 하지만, 미들웨어 분야는 표준문서상에서는 독립적으로 최소한의 인터페이스 와 확장점만을 제시하고 실제 구현은 미들웨어를 구현하는 벤더들에게 맡기고 있어 표준화 방안이 요구되고 있으며,인증프로그램으로 인한 적합성 테스트 만 이루어지는 경향으로 성능에 대한 지표가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EPCglobal의 ALE 표준을 기반으로 성능향상을 위한 구현기 법을 제안하여 표준 Adapter,미들웨어,관리자 시스템을 구현하고,구현한 시 스템에 대한 적합성 테스트와 성능에 대하여 테스트 결과를 제시하고 분석한 다.

      • Fabrication of Polydiacetylene Nanosome-Silica Hybrid Complex Structures

        이희욱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폴리디아세틸렌 초분자체는 외부자극을 주었을 때 색 전이와 함께 자가발현형광을 띄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주쇄가 형성 되지 않은 베시클을 고분자화 시켰을 때 형광을 띄지 않는 파란색으로 변하게 되고 외부 자극을 주게 되면 적색으로 색 전이가 되면서 형광을 띄게 된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한 폴리디아세틸렌 베시클은 influenza virus, antibodies, proteins, bacteria 등을 검출하는 다양한 연구 결과들이 보고 되고 있으며 다양한 베시클 용액실험 결과들과 소수의 칩 형태들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폴리디아세틸렌 초분자체를 응용하여 단일로 존재하게 되는 베시클을 colloidal particle lithograph를 이용하여 나노 패턴(약 50~100nm)을 형성한 후 자기조립단층막을 형성 하였다. 자기 조립단층막과 화학결합을 할 수 있는 폴리디아세틸렌 베시클을 반응시켜 single vesicle array가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array 기술과 SNOM(scanning near-field optical microscopy)을 결합하면 화학물질, DNA, 단백질 등의 검출한계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organic인 폴리디아세틸렌 초분자체와 inorganic인 silica nanoparticle을 이용한 hybrid nanoparticle을 제조해 보았다. 그 실험 결과 폴리디아세틸렌 베시클과 동일한 색 전이를 띄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hybrid nanoparticle는 색 전이의 특징뿐만 아니라 원심분리를 통하여 정량적인 농도를 얻는데 적용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