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영어 사이버 가정학습의 상호작용성 증진 방안 연구

        이혜경(Lee Hye-kyong),최수영(Choi Soo-Young)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2008 영어교과교육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public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by examining a strategy to improve interactivity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cyber home study. For the purpose, we analyzed the interactivity of the contents of cyber home study through 3 English teachers, and formulated an operation model for improving interactivity and applied the model to 40 sixth graders at an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province. To test the effects of the interactivity operation strategy, we analyzed quantitative changes using a questionnaire on affective areas and one on cognitive areas, and also mad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students’ attitude toward cyber home study and their writings on the impression of cyber home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 that the present cyber home study program is quite effective in helping students in learning elementary school English. However, more structured planning and implementing strategy are necessary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cyber home study English program. Furthermore, guide on blended learning approach in development of on/offline material in conjunction with what to use, how to use, when to use.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차별경험과 학교생활부적응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이혜경(Hye-Kyong Lee),조은정(Eun-Jung Jo)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이 경험하는 차별경험과 학교생활부적응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 조사 데이터 중 3기 제1차 패널 초등학교 4학년 6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 21.0으로 상관관계 분석과 3단계 매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차별경험 중 차별 가해정도와 차별 피해정도는 학교생활부적응과 정적인 관계, 자아존중감과는 부적인 관계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부적응은 부적인 관계를 보였다. 둘째,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먼저 차별 가해정도의 경우 부분매개요인으로 작용하고, 차별 피해정도에서는 완전매개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차별 예방의 일환으로 자아존중감 향상 증진의 실천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esteem on relationships between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nd school life maladjustment. This study utilized 648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ommunity Child Center Children’s Panel Survey.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21.0 statistical program. First, the experience of being discriminated and discriminating against others were positively related school life maladjustment but were negatively related self-esteem. Second, self-esteem had partially mediated school life maladjustment during discriminating against others. And self-esteem had totally mediated school life maladjustment during being discriminate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eventing discrimination of children attending community child center.

      • KCI등재

        경제, 건강, 관계자원과 다차원적 삶의 만족: 중고령인구 패널자료를 중심으로

        노유지 ( Yoo-ji No ),이혜경 ( Hye-kyong Lee ),이원형 ( Won-hyung Lee ),조정래 ( Chung-lae Cho )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8 行政論叢 Vol.56 No.3

        본 연구는 1차(2006년)~6차(2016년) 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자료를 이용하여 지난 10년 간 한국 중고령인구의 삶의 만족 변화를 살피고 중고령인구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중고령인구의 삶의 만족을 다차원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삶의 만족을 경제상태 만족, 건강상태 만족, 자녀관계 만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세 가지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크게 경제자원, 건강자원, 관계자원으로 나누고 각 자원이 세 가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패널분석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지난 10년 간 한국 사회의 중고령자 삶의 만족은 차별적으로 변화하여 왔다. 경제상태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증가추세에 있고 건강상태 만족도는 큰 변화가 없으며 자녀관계 만족도는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다. 만족의 수준은 자녀관계 만족이 제일 높았고 그 다음이 건강상태 만족이었으며 경제상태 만족이 가장 낮았다. 이러한 순서는 지난 10년 간 변함없이 유지되어 왔다. 둘째, 패널회귀분석 결과 중고령자 삶의 만족에 있어 경제자원, 건강자원, 관계자원이 중요하며 이러한 자원이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이 차별적이며 복잡함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주관적 인식이 삶의 만족에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 중고령자 자신들이 객관적으로 얼마만큼의 자원을 소유하고 있는가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주관적으로 자신이 얼마만큼의 자원을 소유하는지 인식하는 것도 삶의 만족에 있어 중요하게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d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people in South Korea. Panel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from 2006 to 2016 were employ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Changes and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over the last 10 years were investigated. Life satisfaction was divided into three dimensions: economy, health, and relationships. Three regression models were developed to understand the determinants of the three dimensions of life satisfaction with economy, health, and family relationship resources employ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First, it was found that economy satisfaction continued to increase over the last 10 years, health satisfaction changed little,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continued to decrease. Seco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always the highest in terms of life satisfaction and economy satisfaction was always the lowest. Third, the three resource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three dimensions of life satisfaction. Finally,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people is equally dependent on the objective and the subjective amount of resources.

      • KCI등재

        청소년의 가족건강성 척도 개발

        김현주(Kim Hyun-Ju),이혜경(Lee Hye-Kyo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한국청소년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가족구조에 관계없이 모든 청소년들에게 적용시킬 수 있는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척도를 개발한 연구이다. 1,954명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가족건강성에 대한 개념을 경험적 방법으로 살펴보았고, 보다 과학적인 통계분석을 통해 기존 측정도구에서 문제시 되고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의 문제점을 보완하였다. 이를 위하여 조사대상자의 응답내용과 가족건강성을 설명하는 이론적 접근인 일반체계이론, 생태학적 관점, 여권론적 관점, 갈등이론, 교환이론, 상징적 상호작용이론과의 일치도에 따라 문항을 정리하였다. 가족건강성에 대한 하위항목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하위항목 문항간의 관계성을 높이고 항목 분류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 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발된 가족건강성은 3가지 하위항목 즉 “화목한 가정분위기”, “갈등 조절”, “활동 공유”이고, 13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The adjusted measurement of adolescence family strength was developed for better understanding, because the existing scales in use appeared to suffer from a variety of problems. To achieve this purpose, we itemized the measurement of family strength based on theoretical concepts, by interviewing 300 students(Primary, Junior high, High school students). The main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measurement were analyzed using 1,954 students who ranged from the 2nd grade to the 11th grade. We developed the measurement scale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In addition to this, we collected data from 357 students for a validity test. Ou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easurement of adolescence family strength consisted of 3 sub-factors, those are “harmonious family atmosphere”, “conflict management”, “shared activity”. It is confirmed that these factors are effective in solving the drawbacks of the existing family strength measurement scale, especially in terms of the lack of a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some characteristic differences which only applied to adolescents compared to the existing family strength measurement of adults. Second, this study examined the measurement validity and reliability compared to the existing measures. The measurement we developed has great convergent validity and also discriminant validity. We also suggest that this study has several implications for promoting the utility of the adolescent family strength measurement.

      • KCI등재
      • KCI등재

        한부모가족 대학생 자녀의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조은정(Eun Jung Jo),이혜경(Hye Kyong Lee)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6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48

        본 연구의 목적은 한부모가족 대학생 자녀의 대학생활적응 수준을 살펴보고, 특히 한부모가족 기독대학생 자녀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개입방안과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기독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수준을 살펴보았고, 둘째, 기독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가족구조(한부모가족과 양부모가족)에 따른 대학생활적응 수준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대학생활적응 수준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조사대상자는 1,500명이고, 대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성별, 종교, 가족구조, 대학생활적응 하위요인의 수준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 및 평균값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기독대학생과 일반대학생, 양부모가족과 한부모가족에 따른 대학생활적응 수준을 살펴보기 위하여 t-test와 집단별평균값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 첫째, 기독대학생과 일반대학생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수준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부모가족과 양부모가족의 대학생활적응수준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으나, 한부모가족의 경우 대학생활적응 수준이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독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가족구조(한부모가족과 양부모가족)에 따른 대학생활적응 수준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대학생과 기독대학생 중 양부모가족보다는 한부모가족의 자녀들이 대학생활에 보다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between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and non Christian ones. In order to prove it, 2000 male and female students in 2-year colleges in Busan and Kyunggido Christian University were collecte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percentage analysis and t-test using SPSS Win 19.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r of college life adjustment of Christian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non Christian student. Second, the lever of college life adjustment of single parent family was higher than that of intact family. Third, the highest level group of college life adjustment was revealed separated family and Christian students. Based on the result,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intervention and review is necessary in order to improve college life adjustment of single parent family and Christian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부적응과의 관계

        김현주(Kim Hyun-Ju),이혜경(Lee Hye-Kyong) 한국가족학회 2011 가족과 문화 Vol.23 No.1

        본 연구는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부적응간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학교환경(친구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과의 관계를 통해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부적응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가족구조(부모의 결혼 유형)에 따른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부적응과의 관계를 비교해 봄으로써 가족건강성의 중요한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2,29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10.0과 Amos 5.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 첫째, 가족구조에 따라 가족건강성은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부모동거가족이 부모해체가족보다 가족건강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가족구조에 관계없이 학교환경 보다는 가족환경인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발견하였다. 즉 가족건강성은 다른 환경체계보다도 학교생활부적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증명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족건강성이 부모동거가족과 부모해체가족 모두에게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강조하면서 학교생활적응에서 가족건강성이 갖는 의미를 통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This study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viewpoints of Family Strength on the school maladjustment perceived by adolescents. The sample was consisted of 2,298 student who were drawn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Gyeonggi-do and Seoul. We tested th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 to teachers and also to friends between intact families and separated familie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Family Strength of intact family was higher than that of separated family. Second, the level of family strength was more effective on the school maladjustment than teachers or friends. In both intact family and separated family, the family strength played the vital role to reduce the school maladjustment. We suggested that the effect of family strength has to be analyzed in a more comprehensive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