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문화적응유형과 다문화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국가정체성 간 종단관계 검증: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형하,윤진미,한지윤,Lee, Hyoung-Ha,Yun, Jin-Mi,Han, Ji-Yun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10

        In this study,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was applied to verify the longitudinal correlation between the three factors and the pattern of changes over time in the mother's cultural adaptation type,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national identity. For the study, longitudinal data from the 2nd, 4th, 6th, and 8th years of the MAPS tracked from the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the 2nd grade of high school were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ll four types of mother's acculturation were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longitudinal effect over time. The four types of mothers' cultural adaptation were analyzed to have a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al identity of multicultural youth.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continuous acculturation support program. In order to have a sense of belonging and solidarity with the country, it was suggested that education to increase multicultural receptivity should be carried out in parallel.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문화적응 유형, 다문화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국가정체성이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 양상과 세 요인 간의 종단적 상호관련성을 검증하고자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를 위해 MAPS의 자료 중 초등학교 5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 추적한 2차-4차-6차-8차년도 시점의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어머니의 문화적응 4가지 유형 모두는 시간의 지남에 따라 유의한 종단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어머니의 문화적응 4가지 유형은 다문화청소년의 국가정체성 간의 관계에서 다문화수용성은 종단적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청소년이 다문화적 가치를 수용하고 이를 확장해 이중문화스트레스를 극복하고 국가에 대한 소속감과 연대감을 갖는데 다문화수용성을 높이는 교육도 병행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부모의 스트레스와 다문화청소년의 심리적 부적응, 학업중단위험 간 종단적 인과관계: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적용

        이형하,Lee, Hyoung-Ha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6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 추적한 다섯 시점의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부모의 스트레스, 다문화청소년의 심리적 부적응, 학업중단위험이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 양상과 세 요인 간의 종단적 상호관련성을 검증하고자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5개 조사시점에 걸쳐 이전 시점의 부모의 스트레스는 이후 시점의 다문화 청소년의 심리적 부적응, 학업중단위험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5개 조사시점에 걸쳐 이전 시점의 다문화청소년의 심리적 부적응은 이후 시점의 학업중단위험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청소년 부모의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방안을 제시하고, 다문화 청소년의 심리적 부적응을 감소시켜 학업중단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In this stud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applied a self-registering model to verify the patterns of parental stress, multicultural youth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interdependence between three factors by using five-point-time data tracked from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According to the analysis, First, Parent' stress at the time of the five survey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the risk of academic interrup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t that point. Second, the psychological maladapt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t the time of the previous five survey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risk of academic interruption at that point.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various support measures were proposed to cope with the stress of multicultural youth parents, and policy alternatives were proposed to prevent the risk of academic interruption by reducing the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multicultural youth.

      • KCI등재
      • KCI등재

        임금근로 지체장애인의 직무능력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적응능력과 직무만족도의 다중매개효과

        이형하(Hyoung-Ha Lee),박인아(In-A Park),방희명(Hee-Myung Bang),김진희(Jin-Hee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임근근로 지체장애인의 직무능력과 삶의 만족 관계에서 조직적응능력과 직무만족도의 다중매개효과와 이중매개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웨이브 6차년도(2021년) 패널 중 만 20세 이상 임금근로 지체 장애인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임금근로 지체 장애인의 직무능력과 삶의 만족 사이에 조직적응능력과 직무만족도는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에 조직적응능력과 직무만족도의 다중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둘째, 임금근로 지체 장애인의 직무능력이 높아지면, 조직적응능력도 높아지고, 높아진 조직적응능력은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높아진 직무만족도는 삶의 만족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조직적응능력과 직무만족도의 이중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지체 장애인의 특성을 반영한 직무능력 개발 매뉴얼 마련과 훈련과정 운영, 지속적인 직무교육과 대인관계 능력 향상 등 직무적합성을 높이는 정책적·실천적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re are multiple and doubl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adap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ompetence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wage working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data on wage-working disabled people aged 20 or older were used among the 6th (2021) panel of the second wave of the employment panel survey for the disabled by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organizational adap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showed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job competence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wage working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us, the multi-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adap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was verified.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job competence of the wage working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creased, organizational adaptability also increased, the increased organizational adaptability increased job satisfaction, and the increased job satisfaction increased life satisfaction. Thus,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adap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was ver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policy and practical support measures were presented to enhance job suitability, such as preparing a job competency development manual, operating training courses, continuous job training, and improving interpersonal skill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ge working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 베이비부머세대의 삶의 만족 영향 요인

        이형하(Hyoung-Ha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복지패널 10차년(2015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베이비부머세대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통합적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성별, 교육수준, 건강상태 등의 인구학적 요인, 경제적 요인으로 가구소득, 심리적 요인으로 우울과 자아존중감, 사회적 요인으로 신뢰와 상호호혜성, 가구수준과 종사상 지위 등을 독립 변수로 설정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베이비부머의 삶의 만족에 대해 건강상태(B=.236, t=9.914, p<.001), 가구소득(B=.131, t=4.535, p<.001), 우울(B=-.186, t=-7.568, p<.001), 자아존중감(B=.286, t=11.080, p<.001), 신뢰(B=.049, t=2.128, p<.05), 종사상 지위(B=.081, t=3.284, p<.01)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지역사회서비스 이용자의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형하(Hyoung-Ha Lee),최한수(Han-Su Choi)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사회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사회서비스의 재구매의도 수준을 분석하고, 사회서비스의 만족요인과 효과성이 재구매의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사회서비스 재구매의도 수준은 평균 3.62(5점만점)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사회서비스 재구매의도에 서비스만족도 요인중 본인부담액(B=.2111, p<.001), 서비스접근성(B=.144, p<.005)과 서비스효과요인중 일상생활 적응성(B=.164, p<.005)은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A Longitudinal Study on the Parenting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Verification of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Hyoung-Ha Lee(이형하)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4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부모의 부모효능감과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성취동기 간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자료는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MAPS)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2011년 1차(초등학교 4학년)에서 2016년 6차(중학교 3학년)까지 총 6차년에 걸친 데이터 중, 본 연구에서는 2012년(2차, 초등학교 5학년), 2014년(4차, 중학교 1학년), 2016년(6차, 중학교 3학년)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다문화가정 부모의 부모효능감과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성취동기 간의 종단적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부모의 부모효능감,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성취동기의 자기회귀효과는 각각 시간의 흐름에도 지속적인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전 시점의 다문화가정 부모의 부모효능감은 이후 시점의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교차지연효과는 정(+)적인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이전 시점의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이후 시점의 다문화청소년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교차지연효과는 정(+)적인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다문화가정 부모의 부모효능감은 다문화청소년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교차지연효과의 영향력이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교차지연효과의 영향력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부모의 부모효능감과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성취동기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종단적 자료를 사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세 변인 간의 인과적 방향성을 검증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ngitudin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effectiveness of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study used the data of Multi-cultural Adolescent Panel Survey (MAPS). Of the six years of data from the 1st survey (elementary grade 4 students) in 2011 to the 6th survey (3<SUP>rd</SUP> 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2016, this study employed and analyzed the data from year 2012 (2<SUP>nd</SUP> survey, fifth graders), year 2014 (4<SUP>th</SUP> survey, 1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year 2016 (6<SUP>th</SUP> survey, 3<SUP>rd</SUP> year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apply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re as follows. First, parenting effectiveness of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self-esteem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autoregressive effects of achievement motivation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with the passage of time. Second, the parenting effectiveness of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t the previous tim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cross‐lagged effect on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t a later time. Third, the self-esteem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t the previous time at the previous tim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the positive (+) direction on the cross‐lagged effect affecting achievement motiv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t a later time.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cross-lagged effect of the parenting effectiveness of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on achievement motiv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as greater than the cross-lagged effect of self-esteem on achievement motiv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longitudinal data are used to verify the causal orientation between three variables over tim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effectiveness of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 KCI등재

        청소년 활동 참여 경험이 다문화청소년의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 성취동기와 사회관계의 다중매개효과 및 성별 다집단분석 적용

        이형하(Hyoung-Ha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청소년의 활동 참여가 학업성적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성취동기와 사회관계가 다중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고, 남녀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8차년도(2018년) 고등학교 2학년 총 1,635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다문화청소년의 청소년 활동 참여가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은 성취동기와 사회관계에 의해 부분매개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둘째, 다문화청소년 모두 ‘성취동기’는 학업성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경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크게 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다문화청소년을 대상으로 청소년 활동 참여기회를 확대하고 창의적인 활동 공간과 콘텐츠 지원정책도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multicultural youths participation in activities affects academic performance, verify whether achievement motivation and social relations have multiple mediating effects, and analyz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 To this end, a total of 1,635 high school sophomores were analyzed in the 8th year (2018) of the Multicultural Youth Panel Surve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multicultural youths participation in youth activities on academic performance was partially mediated by achievement motivation and social relations. Second, for all multicultural adolescents, achievement motiv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performance, and this route was found to be male students is a female student. It was found to be more positive than 001), and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youth activities for multicultural youth and to prepare creative activity spaces and content support policies.

      • KCI등재

        한국인의 사회자본과 다문화 수용성 관계

        이형하(Hyoung-Ha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9 No.11

        본 연구는 한국인의 사회자본의 수준과 다문화 수용성의 수준을 파악하고, 사회자본의 하위요소(신뢰, 호혜성, 참여)와 다문화 수용성 요인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이와 더불어 사회자본의 하위요소들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 어떤 사회자본을 더 강화해 나가야 하는지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사회적 자본’과 ‘다문화 수용성’ 자료는 2010년 제8차 「한국종합사회조사」(Korean General Social Survey; 이하 KGSS)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대(F=28.18, p<.001)가 낮아질수록, 학력(F=15.49, p<.001)이 높아질수록, 가구 총소득(F=8.85, p<.001)이 높아질수록 사회자본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성(t=9.98, p<01)일수록, 연령대(F=27.29, p<.001)가 낮아질수록, 학력(F=28.99, p<.001)이 높아질수록, 가구 총소득(F=11.92, p<.001)이 높아질수록 다문화 수용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사회적 자본 요인 중 ‘신뢰’가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attempted in order to measure the level of Korean people’s social capital and their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tors of social capital(trust, reciprocity, and participation) and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Furthermo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sub?factors of social capital on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to suggest which social capitals should be reinforced. Data on ‘social capital’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used in this study were obtained from the data of the 8th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in 2010. The results of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capital was lower with increase in age (F=28.18, p<.001), and higher with increase in academic qualification (F=15.49, p<.001), and total household income (F=8.85, p<.001). Second,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was higher in men (t=9.98, p<01) and lower with increase in age (F=27.29, p<.001), and higher with increase in academic qualification (F=28.99, p<.001), and total household income (F=11.92, p<.001). Third, among the three social capital factors influencing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trus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were suggested various strategies for enhancing Korean people’s multicultural accept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