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업의 과학성과 예술성 논의와 수업 비평

        이혁규(Lee Hyugkyu),엄훈(Um Hoon),정정인(Chung Jungin),신지혜(Shin Jihye)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수업 비평의 전제가 되고 있는 ‘수업은 예술’이라는 은유와 그 은유의 대립항을 이루고 있는 ‘수업은 과학’이라는 두 가지 은유에 대하여 그 함의를 수업의 본질과 교육학의 역사에 비추어 고찰하고, 이 두 가지 은유가 수업 비평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수업의 예술성에 대한 본격적인 언급은 듀이에게서 찾을 수 있으나 19세기 말 이후 교육학계를 휩쓴 과학주의의 조류에 휘말려 퇴조하다가 아이즈너 등의 교육학자들에 의해 새롭게 논의되었다. 교육계를 휩쓴 과학주의는 실증주의에 경도된 흐름으로 교육의 과학을 확립하려 노력한 일련의 심리학자들에 의해 주도되었으나 교육에 대한 질적 연구의 흐름 속에서 변화가 모색되게 되었다. 수업의 예술성과 수업의 과학성은 교육학의 역사에서 대립하는 패러다임으로 출발하였으나 최근의 교육 연구 및 현장 교사의 위상 변화에 따라 대립이 지양되고 상호보완하는 관계로 변화하고 있다. 수업 비평은 수업을 총체적으로 조망하고 그 의미를 드러내는 과정이므로 수업의 과학성과 수업의 예술성이 상호참조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수업 비평이 수업의 과학성과 예술성 모두를 감식의 대상으로 삼을 때 수업의 과학성이 지닌 맥락 타당성이 확인되기도 하고 예술적 실천의 과학적 의미가 조명되기도 하면서 수업을 보는 안목의 지평이 확장될 것이기 때문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two opposite pair metaphors ‘teaching as art’ and ‘teaching as science’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 and history of educational research. Additionally the study considered the two metaphors’ implication in class criticism. The academic consideration on the ‘art’ of teaching can be found in the work of John Dewey, but his concern for the ‘teaching as art’ has been ignored in the flood of positivist science of education. Following on from that, Elliot W. Eisner and other scholars began to discuss the artistic aspects of education. The trend of positivist science of education had been led by a company of psychologists who had intended to establish the ‘science of education’ by the methodology of physical science. However, recently some qualitative researchers are searching for new trends in educational science. The metaphors ‘teaching as art’ and ‘teaching as science’ have been used as an opposite pair in the opposite paradigms through the last century, but recently they began to consider the pair as complementary in the trends of the qualitative researches and the status change of school teachers. The class criticism, which is a process of seeing the class as a whole and finding meaning within it, should make cross-reference to the ‘art’ and the ‘science’ of a teaching. When the class criticism shows off its connoisseurship on the scientific and artistic aspects of a teaching altogether, it can reveal the contextual validity of the educational science and shine a light on the scientific meaning of the artistic practices in a class, and it will lead to the expansion of the horizons of educational connoisseurship.

      • KCI등재

        상이한 수업 관찰 도구를 통해 드러나는 교사들의 인식 이해

        이혁규(Lee, Hyugkyu),김향정(Kim, Hyangjoung),김남수(Kim, Namsoo)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관점이 상이한 두 가지 수업 관찰지를 활용하는 교사들의 인식과 경험을 성찰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P고 교사 49명을 대상으로 하여 동일한 수업을 참관하고 성격이 다른 두 가지 관찰지로 평가하게 한 후에 메타 질문지를 통해 상이한 수업 관찰지 활용 경험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관찰지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낮은 추론을 요구하는 문항에 대해서는 응답의 일치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높은 추론을 요구하는 문항이나 내용적 적절성이 부족한 문항의 경우에는 교사 응답의 일치도가 낮았다. 메타 질문지를 통해 확인한 결과, "관찰지가 달라지면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가 달라진다고 생각하는지"를 묻는 문항에 대해서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가 달라지지 않는다고 응답한 사람이 50%를 약간 상회하였다. 이런 반응을 바탕으로 적지 않은 교사들이 관찰지의 유형과는 별개로 자신의 고유한 관점을 지니고 수업을 평가하며, 그것을 표현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수업 관찰지를 활용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실험에 참여한 교사 중에는 자기의 주관을 신뢰하고 관찰지를 자신의 판단을 반영하는 도구로 인식하는 유형과 관찰지를 신뢰하고 그 판단에 의존하여 수업을 보는 유형이 존재하였다. 결국 수업 관찰 도구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관찰자와 관찰 도구의 역동적 관계를 이해하고 교사 공동체 스스로가 여러 수업 관찰지의 내적 논리를 분석적으로 이해하여 자신들의 목적에 맞는 관찰지를 스스로 제작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ticulate teachers' epistemological reflection of their perceptions and pedagogical experiences in utilizing two different observation tools such as a checklist and qualitative survey question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P high school to 49 teachers. These teachers were asked for evaluating the Mathematics class video clip by using two widely different observation tools. After finishing teachers' evaluation on this Mathematics class, this research was examining teachers' experiences of the use of these observation tools by meta-survey questions. According the result of analyzing meta-survey questions, there was relatively high in the intro-observer agreement to demanding the low inference of its items in the observation sheet while there was low in the intro-observer agreement to demanding the high inference of items or lack of content appropriation. To clarify the question about "Do different observation tools make changing the result of its evaluation on teachers' teaching practice?, more than 50% of these teachers responded that different observation tools didn't influence the results of its evaluation. It implied that a large number of teachers had idiosyncratic evaluation criteria which existed independent from these two different observation tools and that they commonly used a classroom observation sheet or a checklist as a means to address their distinctive view of teaching practice. It also implied that there were two different types of teachers. On this one hand, teachers who put more weight on their subjective views used a classroom observation sheet to reflect on their personal judgment. On the other, teachers was valuing more on a classroom observation sheet were relying on the result of its statistical analysis. In consequence,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teachers should understand the dynamic relationships between the observer and the observation tools to effectively use in observing classroom teaching practices, analyze internal logistics of the various types of classroom observation sheets within a learning community, and invent and utilize new observations sheets to meet the purpose of the particular learning community.

      • KCI등재

        수업 비평의 방법과 활용

        이혁규(Lee, Hyugkyu) 한국열린교육학회 2010 열린교육연구 Vol.18 No.4

        이 논문은 필자의 수업 비평 경험을 바탕으로 수업 비평의 구체적인 방법을 탐색하였다. 필자는 월간 '우리교육'에 수업 비평을 연재한 경험을 바탕으로 수업 비평 작업 속에 내재된 수업 비평의 방법을 반성적으로 성찰하여 그 방법을 구체화하고 그 활용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수업 비평방법에 대한 성찰에 앞서서 우선 필자는 수업 비평의 인식론적 배경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수업 비평의 방법을 '수업과의 만남을 위한 사전 준비'→'수업 관찰 및 촬영하기'→'관련 자료 수집.분석 및 수업 전사하기'→'수업의 중심 주제 부각시키기'→'수업 비평문 작성하기' 의 다섯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각 단계의 의미와 각 단계에서 필요한 방법적 성찰이나 태도에 대해서 다루었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수업 비평을 구체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considers personal experience of class critique to clarify the methods of class critique. Based on personal experience of writing an article for a monthly magazine, ‘Urigyoyuk’, this study reflected and refined the methods of class critique and discussed its utilization. In review of the class critique method, the study examined its epistemological background. Secondly, class critique methods were arranged into five stages; preparation of encounter with class, observation and video-taping of class, collecting and analyzing related data including transcription of class, finding the main topic of class, and writing of class critiques. In addition, the meaning of each stage was explored in detail. Finally, the study discussed how to apply class critique for the purpose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 KCI등재

        교육실습 프로그램은 왜 잘 개선되지 않을까?

        이혁규 ( Lee Hyugkyu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1

        한국 교사양성체제 개편 논의에서 교육실습 제도는 단골로 제기되는 개혁 이슈이다. 교육실습의 체계성 부족, 교육실습 기간 부족, 대학과 현장 간 연계 부족 등은 계속해서 지적되는 문제들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왜 한국의 교육실습 제도가 잘 개선되지 않는지를 살펴보고 구체적인 개선 방향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먼저 본 논문은 문헌 연구를 통해서 교육실습과 관련하여 유사하거나 동일한 문제가 오래전부터 계속 제기되어 왔다는 점을 확인하고자 한다. 둘째, 교육대학교 교수로서 실제 교육실습 제도 개선에 참여했던 필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무엇이 가능했고 무엇이 실현하기 어려웠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셋째, 필자가 주로 관찰한 미국의 교사교육 사례 그리고 일부 문헌연구를 인용하여 우리와 다른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 다른 나라(주로 미국)의 교육실습에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결론에서 한국 교육실습제도의 개선 방향에 대한 몇 가지 제안들을 하려고 한다. 대학과 현장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실습학교의 지도역량을 강화하는 교육실습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주요 대안이 될 것이다. The education practice system is a reform issue that is frequently raised in the debate on the reform of Korean teacher training system. Lack of fieldability in educational practice, lack of training practice period, and lack of interconnec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schools are issues that continue to be pointed out. In this regard, this study wants to look at why Korean education practice system does not improve well and propose a specific direction for improvement. First of all, this paper aims to confirm that similar or identical problems related to training practice have been raised for a long time through literature research. Second, I would like to reveal what was possible and what was difficult to realize based on my experience as a professor at the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ho participated in the improvement of the actual education practice system. Third, by citing some literature studies and the examples of teacher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that I observed, I would like to draw implications from American educational practices that operate in a different form from ours. Based on this, in conclusion, I will try to make some major suggestions on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Korea's educational practice system. The main alternative would be to build an educational practice ecosystem that strengthens the connec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the field and strengthens the teaching capabilities of training schools.

      • KCI등재

        수업비평의 발현과 전개 과정

        이혁규 ( Hyugkyu Lee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6 시민교육연구 Vol.48 No.4

        본 연구는 수업비평의 발현과 전개 과정을 살펴보고 수업비평의 발전에 필요한 논의를 하는데 목적이 있다. 수업비평의 발현과 전개과정은 크게 수업비평의 태동(2002년~2005년), 수업비평의 실천 및 독자적 개념 모색(2005년~2008년), 수업비평의 실천 및 이론화의 확산(2009년~)의 세 단계로 나뉜다. 수업비평의 태동 단계(2002년~2005년)는 기존의 수업 관찰 및 연구 방법에 대한 대안으로 새로운 방법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수업비평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한 단계이다. 수업비평의 실천 및 독자적 개념 모색 단계(2005년~2008년)은 월간 『우리 교육』에 수업비평문이 연재되고, 수업비평 연재에 참여한 학자들이 수업비평에 대한 독자적인 개념화를 시도하기 시작한 단계이다. 수업비평의 실천 및 이론화의 확산 단계(2009년~)는 수업비평의 개념, 방법, 활동 등에 대한 다양한 논문이 양적, 질적으로 확대되는 한편, 수업비평이 현장에 다양한 방식으로 전파되어 소비되고 활용되는 단계이다. 이 과정을 종합적으로 정리해보면 수업비평의 전개 과정은 먼저 수업비평의 맹아적 개념이 동시다발적으로 생겨나고, 이후에 수업비평문이 월간지에 연재되고, 뒤이어서 수업비평에 대한 다양한 실천과 이론화 작업이 확산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논의에서는 수업비평 장르 등장의 역사적 의미와 수업비평의 발전을 위한 제도적 생태계 형성 문제 등을 다루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lass critique has emerged and developed throughout the years and to discuss how it can be.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process of class critique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emergence of class critique (2002 to 2004), practice and unique conceptualization of class critique (2005 to 2008), and practice and theorization of class critique (2009 to present). The emergence of class critique stage (2002 to 2004) refers to the period when the term, class critique, has begun to be used and the need for new methods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classroom observations and research methods has begun to be recognized. The second stage, the practice and unique conceptualization of class critique stage (2005 to 2008), is a period in which class critique was serialized in the monthly magazine, "Uri-Kyoyuk", and scholars have begun to attempt their own conceptualization of the term. The last stage, the practice and theorization of class critique (2009 to present) is the period when the concepts, methods, and applications of class critique have been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expanded in research and the period in which class critique has been dispersed, applied, and utilized in practice. The evaluation of these processes comprehensively reveal that the process of developing class critique began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rudimentary concept of class critique, followed by monthly publications on class critique, and the dispersion and theorization of class critique. Base on this evaluation, the current study discusse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emergence of class critique and the formation of institutional ecosystem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lass critique.

      • KCI등재

        민주적 학교공동체 교사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박윤경 ( Park¸ Yun-kyoung ),이혁규 ( Lee¸ Hyugkyu ),박새롬 ( Park¸ Sae-rom ),심소현 ( Sim¸ So-hyun ),박경수 ( Park¸ Kyung-soo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1 시민교육연구 Vol.53 No.1

        이 연구는 민주적 학교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교사 역량 강화를 위해 개발된 연수 프로그램의 특징을 분석하여 향후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진이 연수의 전문가위원 및 운영진으로 연수의 개발, 실행 및 평가의 전 과정에 참여하여 그 과정을 기록하고 연수 과정에서 산출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연수프로그램의 개발 과정, 내용, 방법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먼저, 프로그램 개발의 측면에서, 대학 및 현장 학교의 전문가들이 개발 주체로 참여하여 협력적인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을 바탕으로 연수의 방향과 내용을 설정함으로써 연수의 민주성과 현장성의 원리를 구현하였다. 또한 실행 연구의 방식으로 프로그램의 개발-실행-평가-재실행의 나선형적인 순환 과정을 거쳐 연수의 지속적인 개선 및 질 관리를 담보하였다. 다음으로 연수 프로그램의 내용 및 방법의 측면에서, 연수 참여자들이 민주적 소통과 협력, 문제 해결 과정을 활동형 프로그램을 통해 체험하고 민주시민교육 실천 사례를 공유하는 실천 지향 체험형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의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teacher training program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raining programs that were developed to strengthen teacher competence as a member of the democratic school community. To this end, the research team participated in the entire process of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the training programs,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process, contents, and methods of the program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program development, professors and teachers participated as equal subjects to establish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the training programs based on collaborativ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addition, continuous improvement and quality management of the training programs were ensured by undergoing a spiral cyclic process consisting of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and re-implementation. Next, in terms of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training program, the programs were characterized by the practice-oriented experiential methods in which participants experienced democratic communication, cooperation, and problem-solving processes through activities and shared practice cases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Based on theses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were proposed.

      • KCI등재

        문화역사 활동이론을 통한 1년차 서울형 혁신학교의 수업 혁신 활동의 이해

        김남수(Kim, Namsoo),이혁규(Lee, Hyugkyu)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4

        문화역사활동이론(CHAT)은 장기간에 걸쳐서 일어난 일련의 목표 지향적이며 인공물이 매개하는 집단적 행위로 이루어진 활동을 기본적인 분석 단위로 삼는다. 하나의 활동 체계는 주체, 목표, 인공물, 규칙, 공동체 그리고 분업 등 여섯 가지의 기본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활동이 일어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딜레마들은 개별 요소 내부의, 요소 간의 혹은 각기 다른 활동 체계 간의 모순으로 설명하고 이 모순들은 변화와 개선의 실마리를 찾는 지점으로 본다. 본 논문은 문화역사활동이론이 제안하는 활동 체계를 틀로 삼아 서울형 혁신학교 사업에 참여한 지 1년차인 A 중학교의 수업 혁신 활동을 기술하고 분석하였다. 한 학기 동안 진행된 참여 관찰을 통하여 얻은 자료들을 수업 혁신 활동 체계를 시작하게 된 매개 개념과 목표, 수업 혁신 활동의 주체와 인공물, 공동체와 규칙 그리고 분업(과 협업) 등의 요소로 구분하였다. 수업에서 발견된 문제적 상황이자 개선을 위해 해법이 필요한 지점은 기존의 수업 활동과 수업 혁신 활동 체계 간의 목표와 분업의 충돌, 인공물간의 충돌 그리고 공동체와 분업의 충돌 등으로 야기된 것으로 분석하였다.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CHAT) takes a collective, artifact-mediated and object-oriented activity system as the prime unit of analysis. Subject, object, artifacts, rule, community, and division of labor are the six elements of an activity system. The modes of relations or contradictions between these elements, within an activity system or between interacting activity systems, are central to identifying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activity and seeking transformation. In this paper, we described and analyzed through the lens of activity system classroom innovations at a middle school, in its first year phase of Innovative Schools Project in Seoul. Based on participant observation, we identified various elements of the activity system; mediating concepts and object, subject, artifacts, community, rules and division of labor. We then analyzed dilemmatic situations encountered during classroom instructions in terms of the contradictions between the existing classroom activity system and the new innovative system in their objectives, artifacts, community and division of labor.

      • KCI등재

        Comparison of distinct features observed in Class Critique between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Kim, Hyangjoung(김향정),Lee, Hyugkyu(이혁규),Lee, Sunkyung(이선경),Cho, Yonghoon(조용훈),Bae, Juyon(배주연) 한국열린교육학회 2019 열린교육연구 Vol.27 No.1

        한국에서의 수업 비평은 근대적 교육관이나 객관주의적 수업 설계의 관행에 기반 한 수업 관찰, 실천 관행을 개선하고 새로운 수업 실천을 모색하기 위한 관찰법과 연구방법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수업 비평의 산출물 중 하나인 수업 비평문에 대해서 관심을 가진다. 수업 비평문에는 수업 비평자의 관점, 관찰한 수업에 대한 상세한 묘사, 수업에 대한 비평자의 해석과 평가, 그리고 현장 교사가 수업 비평문을 작성하는 경우 자신의 수업에 대한 반성과 성찰 등의 정보가 담기는 것이 보통이다. 또 연구의 관점에서 보면 수업 비평문에는 수업 관찰자의 수업에 대한 안목이 녹아 있기 때문에 예비 교사, 초임 교사, 경력 교사 등 교사의 경력이나 교과 영역에 따라서 수업 비평문에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교사 변인에 따라서 수업 비평적 안목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두 그룹(예비교사, 경력교사)의 서로 다른 두 집단이 쓴 수업 비평문을 분석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를 드러내고 이를 바탕으로 수업 비평 활동이 수업 전문성 신장에 지니는 함의를 끌어내고자 한다. 두 집단의 수업 비평문을 NVivo 10을 활용하여 개념화, 범주화 하였고, ‘글쓰기 형식’, ‘주목하는 수업 현상’, ‘분석 및 평가’, ‘관찰 관점의 주체’, ‘성찰’의 다섯 가지 범주가 추출되어 두 그룹의 특징 및 차이점을 도출하였다. 이후 수업 비평 활동이 <수업전문성 신장>에 지니는 함의를 끌어내고자 교사수업을 관찰하는 안목의 변화, 수업비평의 교육적 기능, 수업 비평 글쓰기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Class critique is recognized in South Korea as a method for class observation and research to improve conventional class observation and instructional practices based on modern views on education and objective instructional design as well as to seek new instructional practices. The study takes interest in class critique texts, one type of output of class critique. These texts usually represent the connoisseurship of those who write class critique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bserved classes, their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of the classes, and their reflection and contemplation on the classes in the case of writing of critiques by in-service teachers on their own classes. From the perspective of research, these texts reflect the connoisseurship of class observers on the classes, and thus enables the analysis of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pre-service teachers, newly appointed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as well as among those who deal with different subjects, showing the variations based on diversified factors. The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class critiques written by two groups (pre-service teachers, in-service teachers), figure out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draw the implications of class critique activities on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eaching. NVivo 10 is used to conceptualize and categorize class critiques of the two groups, leading to the creation of five categories such as‘writing format,’‘distinctive class phenomena,’‘analysis and assessment,’‘main subject in class observation’and‘reflection,’as well as major features of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Discussion was then made on the changes of connoisseurship on class observation, educational functions of class critique, and writing of class critiques, to elicit the implications of class critique activities on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each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