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교사의 자기연구(Self-Study) 필요성 탐색

        이혁규 ( Hyug Kyu Lee ),심영택 ( Young Taek Shim ),김남수 ( Nam Soo Kim ),이현명 ( Hyun Myoung L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교육문화연구 Vol.18 No.2

        오늘날 교육자의 교육 실천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 자기 연구(self-study)가 부각되고 있다. 이 연구는 K교대 교육연구원의 연구팀들이 자기연구에 대한 연구물들을 독해하는 과정에서 어떤 질문을 제기하고 무엇을 배웠으며 어떤 이해를 생성해 가고 있는지를 드러내는 글이다. 글의 전체 구조는 <만남> - <탐색> -<전망>으로 되어 있다. 첫 번째 <만남>에서는 상이한 교수및 연구 경험을 지니고 있는 우리들이 어떻게 자기연구라는 공부와 인연을 맺게 되었는지를 주로 개인적 내러티브 형태로 기술하였다. <탐색>에서는 K교대 교육연구원에서 매주 열리는 공부 모임에서 자기연구(self-study)에 대한 연구물을 읽으면서 함께 경험한 일종의 개인적이고 공동체적인 독해의 과정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망>에서는 자기연구에 대한 우리의 이해와 실천이 심화될 경우 교사 교육자로서의 우리의 실천 및 K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의 현장 개선을 위한 연구 프로젝트에 어떤 새로운 모색이나 변화가 일어날지를 전망해보았다. 교사의 교육 실천의 변화를 위해서 시작한 자기연구는 대학에서 학생을 가르치는 또 다른 교사로서의 우리의 실천에 대해서 돌아보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자기연구에 대한 글을 읽는 과정은 다른 사람의 교육 실천의 변화를 촉진하기 이전에 우리 자신의 교육 실천을 돌아보도록 요구받는 과정이기도 하였다. 즉, 자기연구에 대한 글들을 통해서 우리는 교사로서, 예비 교사 교육자로서, 교사 교육자로서, 대학 연구자로 우리 자신과 우리가 변화를 촉진코자 하는 학교 현장과의 관계에 대해서 다각도로 성찰하게 되었다. One of the most interesting emerging research methods in teacher education is self-study as a means of improving the practice of teaching. This study was about the process of interpreting professional literatures related to self-study by research team members in K university of education. The focus of this study was on what questions were raised, what was learned, and what was understood. This study consists of ``meeting-inquiring-prospecting``. First, ``meeting`` was about a description with a narrative form of how we who had the widely different experiences of teaching and research were able to engage in self-study. Second, ``inquiring`` was addressing interpreting processes of individual and collective experiences in a study group of K university of Education in a every week. Last, ``prospecting`` was searching for new ways or changes in our research project, improving the practice of teaching if our understanding and practice were deepened in self-study. Self-study initiated in the change of teachers` educational practices offered us whom we taught in colleges of education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our own practice of teaching. During reading professional literatures of self-study, we realized that we were required reflecting on our educational practices, prior to facilitating changing others` educational practices. In other words, we as teacher, pre-service teacher educator, teacher educator, and educational researcher were necessary to reconsider relationships with schools that we were trying to facilitate their changes and to reeducate ourselves through reading professional literatures related to self-study.

      • KCI등재

        수업 비평의 개념과 위상

        이혁규 ( Hyug Kyu Lee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0 교육인류학연구 Vol.13 No.1

        본 논문은 한국의 교육계에서 최근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수업 비평의 개념과 위상 문제를 다룬다. 현재 한국에서 수업 비평 현상이 등장하게 된 데는 수업 현상을 바라보는 대안적 관점과 연구 방법론의 등장, 수업 현상을 촬영하고 유통할 수 있는 기술적 환경의 조성, 교사 평가를 둘러싼 대안적 접근 등이 관련이 있다. 이런 수업 비평 현상의 등장 배경을 고찰한 후에 여러 학자들에 의해서 논의된 수업 비평의 개념을 비교 검토하였다. 수업 비평 개념은 점차 정교화 되고 있는 데 수업 현상을 하나의 텍스트로 본다는 점, 수업 현상을 종합적으로 파악한다는 점, 수업 현상을 기술, 분석, 해석, 평가한다는 점, 수업 현상에 대한 비판적이고 창조적인 글쓰기를 한다는 점 등이 주목할 점이다. 또 수업 비평의 상대적 위상을 확인하기 위해서 주된 관찰 목적, 실천가와 관찰자 간의 관계, 주된 관찰 방법, 산출물 형태, 관찰 정보의 공유자, 관찰 결과의 활용, 참여의 강제성 여부 등의 차원에서 수업 장학, 수업 평가, 수업 컨설팅 등과 수업 비평을 비교하여 그 특질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 장에서는 새로운 수업 관찰과 실천으로서 수업 비평을 활성화하는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concept and status of class criticism in Korea. Class criticism began to appear in Korea during the early years of the new millennium. Several factors are reciprocally related to the appearance of class criticism. First, alternative perspectives or concepts to view the phenomenon of class was either restored or has newly appeared. Second, alternative methodologies for research on classrooms have appeared. Third, filming technology and web-based environment formed the physical foundation that made class criticism possible. The dispute surrounding teacher evaluation is also related to the appearance of class criticism in Korea. By reviewing the definitions of class criticism, this research finds the common feature of class criticism; it regards classroom phenomenon as text, analyzes classroom practices synthetically, describes, analyzes, interprets and evaluates classroom practices, and critically and creatively writes on the phenomenon of classroom. This research also compares class criticism with other institutional practices such as supervision, evaluation, and consulting, and finds its unique strength. Lastly, this study seeks to discuss how to use the activity of class criticism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by examining both its level of theory and the level of a feasible field practice. First, there is a need to carefully establish the theory of class criticism if such an activity is to be invigorated even further. Second, we need to find ways for field practices that will enable us to utilize class criticism.

      • KCI등재

        2015 개정 통합사회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특징 및 적용 가능성 분석: 교원연수 프로그램 개발의 패러다임 전환

        이혁규(Lee Hyug Kyu),박윤경(Park Yun Kyoung),길현주(Gil Hyun Joo),이효인(Yi Hyo I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9 열린교육연구 Vol.2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통합사회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특징 및 적용 가능성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통합사회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통합사회 과목 도입기의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 과정을 분석하고, 연수 참여 교사와 연수 강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초점 집단 면접을 수행하였다. 먼저, 연수 프로그램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 연수 개발 및 운영 과정이 실행 연구의 성격을 갖고, 연수 강사 중심의 협력적 시스템을 구축하여 표준화된 프로그램 개발을 지향한다는 점이 드러났다. 또한, 연수 내용의 차원에서는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유기적인 흐름을 강조하고, 방법 차원에서는 실습을 강조하며, 교사 전문성 제고와 관련하여 협력적 관계를 통한 집단전문성의 향상을 모색한다는 특징이 드러났다. 이와 관련하여, 연수 참여 교사들은 연수 프로그램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연수 참여 교사 및 연수 강사들은 흐름이 있는 내용 구성, 실습형 연수, 다른 전공 교사들과의 협력적 분임 활동, 우수한 현장 교사로 구성된 연수 강사 활용, 개별 강사가 아닌 시스템에 기반 한 연수 개발 및 운영 체제 등을 연수 프로그램의 강점으로 파악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통합사회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applicability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of the 2015 Revised Integrated Social Studies Subject. Also, it is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teacher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procedures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as well as conducted a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instructors and teachers who participated the progra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ining program, its development and operation procedures were characterized as an action research, which builds a collaborative system based on a instructor learning community and protocol-based standardized program development. In terms of the training program content, it emphasized an organic flow between national curriculum, class and evaluation. Furthermore, in terms of the training methods, it emphasized a practice while showing characteristics of finding ways to improve a collective expertise through cooperative relationships that are related to enhancing teacher professionalism. The participating teachers showed a high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details of the program. Both the participating teachers and the instructors appointed streamlined content composition, practical training, cooperative activities with teachers of different sub-major, utilization of training instructors who are excellent on-site teachers, development and operating system of the program based on a system not an individual instructor as the strengths of the practice-based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d implications to improve the training system development for the future integrated social studies training program.

      • KCI등재

        사회과교육의 기원 및 시기 구분 문제에 대한 고찰

        이혁규 ( Hyug Kyu Lee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9 시민교육연구 Vol.41 No.4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d current ideas of the origin of social studies and the division of social studies periods. First, the dominant view on the origin of social studies should be reconsidered. Kongmin(Citizen) subject in 1945 is very important to interpret the origin of social studies. We also need to investigate Kongmin subject in Japan and its influence on Korean education. By document review, this research finds that common civic education and education for royalty on nation coexisted both in Korean and Japan Kongmin subjects. Second, as for how to divide social studies periods, this research categorized current researches on that topic into three types; description type, nomination type, and categorization type and reviewed them critically. Many researches had problems, due to lack of positivistic accuracy and interpretive legitimacy. To enhance the accuracy of period divisions of social studies, many positivistic researches are needed.

      • KCI등재

        도입기 사회과에 관한 연구의 성과와 한계

        이혁규 ( Hyug Kyu Lee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8 시민교육연구 Vol.4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studies on introductory social studies. For this purpose, research on introductory social studies, which had been published from the year 1965 to the present, were collected and analysed. First, the collected research documentaries were categorized and analysed by different scholastic disciplines to compare the research trends between each scholastic discipline. Second, they were also categorized and analysed by important research topics and questions to find what were revealed and what were still untouched by research on introductory social studies. As a whole, the quantities of research on introductory social studies have increased steadily and many new facts and new interpretations has been known by those research, but the qualities of research on introductory social studies has not improved very much. Several suggestions based o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re systematic efforts to find raw historic data on that time are needed to boost research on introductory social studies. Second, more close and frequent comparisons of the research findings between different scholastic disciplines are needed to elaborate research on introductory social studies. Third, more proper research questions and methods are needed to achieve accurate facts and appropriate interpretations on introductory social studies.

      • KCI등재

        교육과정 설계와 개발에서 기반 학문의 개념과 역할에 대한 성찰 -비교교과교육학적 관점에서-

        이혁규 ( Hyug Kyu Lee ) 한국어교육학회 2010 국어교육 Vol.0 No.133

        This research studies the concept and role of background disciplines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and design of subject curricula. It has long been a common belief that a subject is originated from one or more background disciplines. However when we look into the histories of many subjects, we can easily find that the background of each subject is not only limited to disciplines. Many subjects have grown from specific traditions of practices. I have critically reviewed this idea in the areas of both curriculum development and curriculum design. Reviewed from the comparative subject perspective, the relationships between subjects and disciplines are complex and dynamic. For the development of subject pedagogy, the links between them need to be studied more throughly than they have been in the past.

      • KCI등재

        세 가지 시선으로 수업 읽기 -초등 사회 문화재 수업에 대한 수업 비평

        이혁규 ( Hyug Kyu Lee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1 시민교육연구 Vol.43 No.1

        This study has sought to read a 4th grade elementary school`s social studies class on cultural assets from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has first theoretically explored the textuality of class critique and categories of class critique. Also, this study has engaged in a critical reading of a class on cultural assets from the three perspectives of efficiency of a class, the teacher as class conductor, and the subject, after completing a process of exploration of what method of reading is advisable in order to richly read the meaning of a class on cultural assets. From the perspective which emphasizes class efficiency, this study has sought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 class as discovered by using a checklist. For a reading of a teacher as class conductor, this study has sought to understand the meaning which the practice of class instruction has amidst the life history of the teacher. Also, in terms of reading the subject based meaning of a class, this study has endeavor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 class at the level of transformation of the subject content. Such a varied reading is useful for revealing the multidimensional meaning of a class. Moreover, this kind of an activity of carefully reading the meaning of the practice of class instruction will help increase the reflective introspection of the practitioner of a class.

      • KCI등재

        수업 비평의 필요성과 방법에 대한 탐색적 논의

        이혁규 ( Hyug Kyu Lee ) 한국교육인류학회 2007 교육인류학연구 Vol.10 No.1

        본 논문은 한국의 수업 문화를 바꾸기 위한 한 방법으로 수업 비평을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우리의 수업 문화는 고립적이고 개인주의적이다. 이로 인해 수업에 대한 소통적이고 생산적인 대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기존의 수업 관찰법은 이런 문제를 개선하는데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한다. 수업 비평은 구체적인 수업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수업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수업 문화를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필자는 수업 비평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수업 비평의 개념, 의의, 방법, 사례 등을 예시하였다. 이 논문은 수업 비평론 정립을 위한 시론적인 논의로 앞으로 수업 비평의 구체적 사례 축적과 함께 비평론을 이론적으로 정립해야 하는 과제를 남겨두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boost criticism of classroom instruction in order to renovate Korean school culture in which a teacher is too individualistic and isolated from his colleagues. Existing classroom research method and its related theory isn`t effective to create productive and communicative dialogue among teachers. In these situations, the criticism of classroom instruction might be a new approach to renovate the school culture, giving a deep understanding on classroom instruction and a concrete advice for classroom practices. This article illustrates a definition, methods, and a real example of classroom criticism.

      • KCI등재

        학교 문화진단을 위한 진단도구 개발 및 활용

        이현명(Lee, Hyun-Myoung),이혁규(Lee, Hyug-k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단위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수업혁신 컨설팅을 위한 학교문화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진단도구 개발과 활용에 대해서 알아보는 연구였다. 학교 문화의 양적인 변화의 추이를 알아보는 진단도구는 교사와 학생이 진단하는 학교문화의 특성을 알아보고 이를 수업혁신 컨설팅에 반영하였을 때 학교문화가 긍정적으로 변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더하여 학교 혁신을 지향하는 다른 학교 교사들과 비교해서 어떤 점이 유사하고 어떤 점이 다른지를 확인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1차 설문 분석결과에 따르면 A 중학교 교사와 학생 모두 배움의 공동체 방식의 수업구조와 방식에 익숙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사의 경우 일반학교 교사들에 비해 수업공개와 협의회에 상대적으로 유연한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학생들 역시 배움의 공동체로 인해 수업구조와 방식이 많이 달라지고 있음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차 설문 후 수업혁신 컨설팅 프로그램이 운영된 후 2차 설문 결과에서는 교사와 학생 모두 배움의 공동체와 수업혁신에 부정적인 인식을 비율이 다소 높아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학교와 비교해보았을 때 A 중학교 교사들은 여전히 자신의 학교문화에 긍정적인 응답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 연구 결과를 통해서 제안하고 하는 점은 학교문화를 진단함에 있어서 양적인 진단도구의 한계는 있으나 변화의 추이를 확인하는데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학교와 연구기관들은 학교 상황이 충분히 반영될 수 있는 진단도구를 개발해야 할 뿐 아니라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 심층적 관찰과 면담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utilize assessment tools for identifying a change of school culture and improving classroom teaching which leads teachers and researchers to innovative teaching, based on its external consultation. Assesment tools to address the degree of quantitative change of school culture was used as an cultural indicator to illustrate its positive change made by consultation for innovative teaching. In addition, it was also focused on examining whether it had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its chang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first assessment, A middle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were mostly shared the structure and methods of learning community created by Manabu Sato. Teachers in this learning community were more flexible toward open class and dialogue about their teaching. Students were also recognized the structure and methods of their classes changed by the influence of such learning community. After the first assessment of the school culture, researchers were trying to compare what kind of changes were observed between the first assessment and the second one. In the result of the second assessment, researchers discovered that there were some negative impact on learning communities and teaching innovation. Such an negative effect of the change of school culture was still a lot better to compare with other schools which were not taken this new school reform effort.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although there was limitation of the quantitative assessment tools to address the degree of the change of school cultures, it was still a very useful tool to identify its changes. Therefore, schools and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ions need to develop a new assessment tool which reflect well on the situation and context of schools that they would research and utilize other qualitative assessment tools which are in-depth observation and focus-group interviews.

      • KCI등재

        일반논문 : 연수 프로그램을 통한 공동 수업 설계와 실행 사례 분석

        김남수 ( Nam Soo Kim ),이혁규 ( Hyug Kyu L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문화연구 Vol.19 No.1

        이 글은 교사학습공동체 구성과 활동을 권유하고 촉진하려는 목적으로 개발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서 교사들의 활동 결과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이 연수에서 교사들은 모둠을 구성하여 공동으로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하였으며 다른 모둠 교사들과 그 경험을 공유했다. 교사들이 공동 작업을 하는 유형은 크게 네가지로 나타났으며 이 과정에서 교사들은 학습의 기회를 얻고 학습의 책임을 함께 나누는 경험을 하였다. 교사들은 이 과정에서 시간 부족, 경험과 관점의 차이 등 여러 가지 어려움도 경험했는데, 이런 어려움은 이후 지속적이고 생산적인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위한 기회로 바꿀 수 있는 장치와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In this paper, we describe our teacher education program which aimed to cultivat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for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chool reform. We focus on the analysis of the third round of this program which in total consisted of four rounds. During the program, teachers in pairs of 3-4 collectively designed and implemented instructions, and shared their experiences. It was observed that teachers` orientation toward instruction expanded into more social learning. Teacher collaboration could b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In this process, teachers gained learning opportunities and shared responsibility whilst realizing the difficulties of collaboration. Most teachers thought those difficulties are originated from the differences(or diversity) in teachers` perspectives, teaching career, and subject. This leaves a question for us about what we need: to make seamless whole for the efficient problem solving or to reveal the difference, communicate and understand each other for the common meaning ma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