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차인(茶人) 최치원 연구

        이행철(Lee Haeng-cheol),김일림(Kim Il-rim) 동아인문학회 2021 동아인문학 Vol.57 No.-

        본 연구는 고운 ≪계원필경집≫, ≪사산비명≫에 수록된 차와 관련된 8건의 기록을 중심으로 그의 차인으로서의 면모와 수준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 8건의 차와 관련된 기록은 현존하는 고려시대 이전의 차 관련 기록 중 가장 많은 수량이며, 내용상으로도 가장 풍부하다. 8건의 기록을 살펴보면, 최치원은 9세기 중・후반 당나라의 차생산과 물류상황, 차정과 차세에 대해 숙지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당나라와 신라의 차와 음다법, 다구 등을 섭렵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양주 촉강차에 대한 언급은 중국쪽 기록보다 더 앞선 것이다. <진감화상비명>에서 언급한 ‘수진오속(守眞忤俗)’은 우리 차문화역 사상 최초로 나타난 다도정신로서 차후 확대 연구와 재조명이 필요한 부분이다. 결과적으로 고운 최치원은 당나라와 신라 양국을 무대로 활동한 국제적 차인으로서 차에 대한 이론과 실천을 겸비하고 아울러 높은 다도경지를 성취한 우리 차문화역사상 최초의 전인(全人)적 차인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This study tried to illuminate the aspect and level of his tea master through the tea-related contents contained in Gyewonpilgyeongjip(桂苑筆耕集) and Sasanbimyung(四山碑銘) by Chiwon Choi of Goun. The eight tea-related records appearing in his writings are the largest number of existing tea-related records before the Goryeo Dynasty, and they are also the most abundant in content. Chi-won Choi was well aware of tea production and logistics, tea administration and tea tax in the Tang Dynasty in the middle and late 9th century, as well as knowing the tea, drinking methods, and tea tools of the Tang and Silla dynasties. Among his records, the mention of ChuGang tea in Yangzhou predates Chinese records and has a great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tea culture in China. ‘Keep the truth and resist the profane(守眞忤俗)’ from Jingaghwasangbi myung(眞監和尙碑銘) is the spirit of tea ceremony that first appeared in the history of Korean tea culture, and it is a part that needs further study and re-examination. As a result, Goun Choi Chi-won can be defined as the first international tea master to achieve a high level of tea ceremony with both theory and practice on tea in the history of tea culture.

      • KCI등재

        명대(明代)후기 산차(散茶)문화 성립과정에 대한 고찰

        이행철(Haeng-cheol Lee),맹주방(Shu-fang Meng) 한국차학회 2020 한국차학회지 Vol.26 No.2

        본 논문은 산차와 초청제법의 맹아기인 송·원대를 지나, 명초기 태조의 “단차폐지령” 이후 150년 이상의과도기를 거쳐, 명대 후기에 이르러 초청법과 호포법으로 대표되는 산차문화로 정립되는 과정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송·원대부터 단병차와 함께 존재했던 초차(산차), 산차 자다법 등을 여러 관련문헌기록들을 통해 명대 산차문화로의 전환에 대한 시대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명대 산차문화가 정착된16세기말 이전의 다서들를 중심자료로 삼아, 산차와 말차의 공존, 증청법과 초청법의 공존, 산차 점다법, 촬포법, 산차 자다법, 산차 포다법 등의 상호 관계와 전개과정을 파악하고 정리하였다. 결국, 명대 포다법은 절강지역에서 유행한 찻그릇을 이용한 산차 점다법(촬포법)과 강소지역에서 성행한 다호를 이용한 산차 자다법이라는 두가지 흐름에서 기원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명대 후기 자사호가 호포법의 핵심 다호로 대두되는 데에 문인다인들의 심미관이 큰 영향을 주었음을 밝히고 있다. This paper reports the Method of San tea brewing in the Ming dynasty after an approximately 150-year transition period after emperor Taizu issued the Repeal order of Tuan tea. To this end, through various relevant documents, this study first investigated the background of the transition from the Cao tea (San tea) and the method of loose tea brewing, which existed at the same time in the Song-Yuan dynasty, to the loose tea culture in the Ming dynasty. Taking the tea books before the establishment of loose tea culture in the Ming dynasty in 1600 as the central data, the author respectively understood and sorted out the mutual relations and development process between loose tea and dust tea, steamed green tea and stir-fried green tea, the point tea method of loose tea, blister method, the boiling tea method, and brewing tea method of loose tea. Through this process, the origin of tea making in the Ming dynasty can be attributed to two trends: the popular tea bowl method in Hangzhou and the popular teapot method in Suzhou. In addition, under the influence of literati in the late Ming Dynasty, the paper examines the process in which zisha teapots became the core tea prop of the pot brewing method of loose tea.

      • KCI등재

        中國 宮廷의 飮茶文化

        李幸哲(Lee Haeng Cheol),崔漢善(Choi Han Sun) 동아인문학회 2014 동아인문학 Vol.27 No.-

        조선사행록에는 중국 궁정의 음다(飮茶)문화와 관련된 내용들이 많이 기록되어 있다. 본고는 20종의 조선사행록에서 추출한 음다기록들을 분석하여 중국 궁정의 음다문화를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선 사행일행에게 중국조정에서 하사하는 하정물품에 찻잎도 포함되었으며 하정(下程)되는 찻잎의 양은 시대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략 정?부사 1∼4냥, 서장관 1∼2냥 그리고 대통관(大通官)과 압물관(押物官)은 5전∼1냥이었다. 조선사행록에는 청나라 궁정의 차에 대한 사무를 담당하던 기구인 어차방(御茶房), 광록시(光祿寺) 진수서(珍羞署) 등과 담당 관직인 전원외(錢員外), 차의대(茶衣大) 등이 나온다. 그리고 어차선방(御茶膳房)의 차선고(茶膳庫)와 광저사(廣儲司)의 여섯 창고 중 하나인 차고(茶庫)가 나온다. 그 밖에 청나라 고종이 말년에 퇴위한 후 제다(製茶)를 지도하던 배차오(焙茶塢)도 나온다. 청궁에서는 사행 일행에 대해 거행하는 하마연(下馬宴), 상마연(上馬宴) 그리고 황제를 알현하는 의식인 조참례(朝參禮) 등에 모두 ‘진다(進茶)’ 절차가 있었으며 주로 낙차(酪茶 곧 乳茶)가 사용되었다. 1780년 청 고종 70세 만수절(萬壽節) 연회에서 하사된 기념품에는 자기차호(瓷器茶壺), 찻잔, 찻잔받침, 자양차(紫陽茶) 그리고 주석차호등이 들어있다. 1790년 청 고종 80세 만수절 연회에서 매번 찬을 물린 후 낙차나 청차가 제공되고 기념품으로 보이차, 보이차고 등이 사용되었다. 보이차는 산차(散茶)형태이며 차고(茶膏)는 작은 갑에 들어 있었다. 청궁에서는 야외활동에서도 청차가 상시적으로 제공되었다. 청 고종(高宗)은 매일 조반 후고 향차(香茶)를 한 잔씩 마시는 습관 있었는데, 백옥찻잔과 금 뚜껑으로 된 개완(蓋碗)을 사용했다. 청대에는 매년 12월 23일이면 서원(西苑)의 영대(瀛臺)에서 빙희연(氷戱宴)이 거행되었는데 이 연회에서 건륭황제가 창제한 솔씨, 매화, 불수(佛手)를 눈 녹인 물에 끓인 진귀한 삼청차(三淸茶)가 베풀어졌다. 삼청차는 귀한 신하나 외척이 아니면 거의 맛볼 수 없는 진귀한 차였다. There are a lot of references on the culture of drinking tea in the Diplomatic Corps Record of the Joseon Dynasty. This article aims to figure out the culture of drinking tea in the Chinese palace. Leaves of tea were included in the royal gift goods. But the amount of tea offered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period, but they gave 1-4 nyang of tea to the senior envoy, 1-2 nyang to the record official and 5 jeon-1 nyang to the Daetong(大通官) and Amul(押物官) officials. In the Diplomatic Corps Record, we can find the office Echabang(御茶房 and Guangroksi(光?寺) which took care of tea things of palace. And the officials such as Jewonoe(錢員外) and Cayuide(茶衣大) took charge of tea affairs. The tea warehouse such as Echasunbang, Chasunko(茶膳庫) and Guangjesa(廣儲司) can be found. Additionally, Baechao(焙茶塢) was the place where Emperor Go in Ch"ing Dynasty taught how to make teas. In the palace of Ch"ing dynasty. “offering tea ceremony” was performed in the event of dismount banquet and mount banquet which meant to celebrate the diplomatic envoys, and a ceremony of royal audience. In these events, milk tea was usually served. In the 70th banquet for the longevity of emperor in 1789, souvenirs for the envoy included ceramics tea kettle, teacup, saucer, Jayangcha(紫陽茶) and tin tea kettle. In his 80th party, after the meals milk tea and Chungcha were served. And Boyicha(普?茶) and ointment of Boyicha were used for the presents. Boyicha is a type of grain tea, and tea ointment was packed in the small case. Chungcha was always served even in the open area. Emperor Go used to drink a cup of Hyangcha(香茶) using white gym teacup and teacup with golden cap. In the period of Ch"ing dynasty, banquet on the ice was held in Youngdae(瀛臺) of South Hill on 23th December every year. In this event, Emperor Qianlong himself made rare and precious Samchungcha(三淸茶) which is made of snow melted water, seeds of pine tree, Maehaw (梅花) and Bulsu(佛手) tree. Samchungcha is the valuable cha which is enjoyed only by noble vassal and maternal relatives.

      • KCI등재

        『한국차학회지』 연구논문(2010-2020)에 기초한 차과학 연구 동향의 분석

        이행철(Haeng-Cheol Lee),송관정(Kwan Jeong Song) 한국차학회 2021 한국차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20년까지 11년간 『한국차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차과학 분야의 연구 동향과 선도 연구기관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지난 11년간 한국차학회지에 게재된 차과학 분야의 논문 편수는 270편이며, 6개 연구 분야에 대한 분류에서 차화학 분야가 가장 많은 논문 편수를 차지하였고, 차식물학, 차종합이용, 대용차, 제다가공, 관능평가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연구 영역에서의 주요 주제는 녹차와 홍차에 관한 것이었다. 지역별로는 차주산지인 전라남도, 경상남도 및 제주도와 소비지인 서울, 부산 및 대구 순으로 나타났으며, 차주산지의 연구는 차식물학 및 재배 중심으로, 소비지의 연구는 차화학 및 효능 중심으로 수행되어, 전문화와 차별화가 나타났다. 이들 연구동향은 차의 소비 패턴 및 제품개발과 긴밀하게 연계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향후 차산업 활성화를 위한 국가 및 지자체의 정책 개발과 연구 지원 방안 수립에 소중한 참고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s and leading research organizations in tea science based on the Journal of the Korean Tea Society (JKTS) publications for 11 years from 2010 to 2020.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JKTS for the last 11 years was 270. They were further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and the highest number was recorded in tea chemistry, followed by tea botany, tea utilization, herbal teas, manufacture and processing, and sensory evaluation in order. The major subjects in these categories were green tea and black tea. One of the two main centers of tea science research was tea botany and cultivation in the major regions of tea growing and production, including South Jeolla, South Gyeongsang, and Jeju Provinces. The other center of tea science research was tea chemistry and efficacy in the major regions of tea consumption, including Seoul, Busan, and Daegu city. These individual observations indicated research specialization and differentiation. The above trends of tea science researche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tea consumption pattern and product developm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se analytic data could importantly refer to establishing policy development and research support strategy by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the future.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