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립전주박물관 소장 도자기의 보존 : 백자장군과 분청사기조화어문큰항아리

        이해순,윤은영 국립중앙박물관 2007 박물관보존과학 Vol.8 No.-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팀에서는 국립지방박물관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국립전주박물관에서 의뢰한 소장품 도자기 12점을 보존처리하였다. 이 논문은 처리완료된 12점의 도자기 중에서 백자장군(전주97)과 분청사기조화어문큰항아리(전주5630)에 대한 것으로 백자장군의 처리과정에서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제작기법 및 용도를 조사하였으며, 파손범위가 넓은 분청사기조화어문큰항아리의 효과적인 처리과정에 대하여 소개한다. As part of supporting projects, the conservation science team of National Museum of Korea has treated 12 items of the porcelains entrusted by Jeonju National Museum for conservation. This paper is about the porcelains called the rice-bale-shaped battle white porcelain (No. Junju 97) and the big jar with incised fish design buncheon ware (No. Junju 5630) among the 12 items of porcelains finished with treatment, and by analyz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process of treating the rice-bale-shaped battle white porcelain,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use of the needle was presumed. As the big jar with incised fish design buncheon ware had been damaged extensively, it was unclear whether it could be repaired or not, but now I am going to introduce how it can be repaired more efficiently.

      • KCI등재후보

        도자기 보존을 위한 복원제의 특성 연구 : - 색도·기공률·침전률·황변도를 중심으로 -

        이해순 국립중앙박물관 2005 박물관보존과학 Vol.6 No.-

        도자기 복원재로서 사용되는 에폭시수지 3종(Epo-Tek 301, Araldite 103, Araldite 106 )과 안료 3종(분채, 파스텔, 콘테)을 실험재료로 선택하고, 이 재료들을 다양한 비율로 혼합한 시편들에서 색도변화율과 기공률, 그리고 침전률을 관찰하였다. 또한 저점도의 맑고 투명한 특징을 가진 Epo-tek 301에 4종의 백색안료와 6종의 충진제를 혼합한 시편들을 만들고 200시간동안 자외선을 조사하여 에폭시 수지의 산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파스텔은 Epo-tek 301과 혼합하면 화학적 변화가 심하였다. 분채와 콘테는 안료 발색력이 높았지만 다른 첨가물이 혼합되면 콘테의 발색력이 낮아졌다. Epo-tek 301은 소량의 첨가물에서는 몰림 현상이 나타났고 다량의 첨가물에는 포화상태가 되면서 끓어 넘쳤으며, AW 106은 점도가 높기 때문에 소량안료에는 발색이 잘 안되었지만 첨가물이 많을 때 오히려 발색이 잘되었다. AY 103은 첨가물의 양에 상관없이 규칙적이면서도 급격하지 않은 색도 변화를 나타내었다. 기공률은 [파스텔> 분채≒ 콘테], [Epo tek 301< AY 103< AW 106]순서로, 침전률은 [분채>콘테>파스텔], [Epo-tek 301>AY 103>AW 106]순서로 나타났다. 황변도 측정에서 티타늄, 파스텔, 실리콘디옥사이드와 카올린은 황변이 잘되었고 분채, 콘테, 규조토와 수산화칼슘은 황변에 강했다. Three types of epoxy resins (Epo-Tek 301, Araldite 103, and Araldite 106) and three types of pigments(bunche, pastel, and conté), which are materials for porcelain restoration, were selected as examination materials. The tone change, porosity, and sedimental resulting from the mixtures of varying ratios of these three materials were observed. Samples were also made from the mixture of Epo-teck 301, four kinds of white pigments, and six types of fillers and subjected to ultraviolet ray penetration for 200 hours to observe the oxidation of the epoxy resins. The result showed that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astel drastically changed when mixed with Epo-tek 301. Although bunche and conté displayed clear colors, those of conté were less clear when it was mixed with other substances. Adding a small amount of Epo-tek 301 tended to be driven into the corner, whereas mixing a large amount caused saturation and boiling. On the other hand, AW 106 did not display clear colors owing to its high viscosity; when mixed in large amounts, however, the clarity of colors improved. For AY 103, a similar standard of color clarity was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mixture ratio. The following was ranked according to the level of porosity: [Pastel>bunche≒conté]. In terms of sedimentary, however, [bunche>conté>Pastel], [Epo-tek 301>AY 103>AW 106]. The result of measuring the degree of yellowing revealed that titanium, pastel, silicon dioxide, and kaolin tended to turn yellow, whereas bunche, conté, diatomaceous earth, and calcium hydroxide tended to resist yellowing.

      • KCI등재후보

        3D 프린팅을 이용한 백자수주의 복원 연구

        이해순,위광철 국립중앙박물관 2015 박물관보존과학 Vol.16 No.-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백자수주(덕수5531)는 1915년에 구입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운룡문이 투각되어 있고 반파된 상태로 수구부분은 이미 복원된 상태이다. 본 논문은 수작업식 보존처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백자수주의 결손부분인 운룡문을 3D 스캐닝과 프린팅을 이용하여 복원하는 방법에 대하여 다루었다. 이에 대한 선행연구로서 이미 상용화된 6종의 출력 재료에 대하여 강도 실험을 실시하고, 수작업용 복원재료인 에폭시퍼티(Quick WoodⓇ)와 에폭시(Araldite AY103+HY956Ⓡ)의 강도와 비교하였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복원형 제작은 수작업보다 적은 시간과 노력으로 더 정확한 형태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무엇보다도 비접촉식 복원방식이기 때문에 보존처리 과정에서 있을 수 있는 위험요소를 줄일 수 있었다. 특히, 디지털 원형 파일을 기록물로 남기고 이를 부차적인 콘텐츠로 사용할 수 있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그러나 유물 보존처리 과정에 적용할 디지털 기술의 적용방법, 출력재질에 대한 평가와 적용, 출력물의 정형, 접합 및 표면채색 방법 등은 향후 좀 더 연구해야 할 과제이다. White porcelain pitcher with an openwork dragon and cloud design across its surface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Deoksu 5531) was acquired in 1915. The restoration has been so far completed only for the mouth of the pitcher. This study discusses a new method based on 3D scanning and printing for the restoration of missing parts in the openwork dragon and cloud design. A strength test was performed on six output materials that have been already commercialized for comparison with the strength of materials used for traditional restoration such as epoxy putty (Quick WoodⓇ) and epoxy (Araldite AY103+HY956Ⓡ). This process confirmed that the digital technology-aided making of a restoration model requires less time and efforts than handmade work, all the while producing a more precise model. More importantly, this method being a non-contact method, it reduces risks associated with hand-made work. Another advantage of this method is that digital pre-restoration images can be saved and used for future references. Not with standing, future research is needed on how to effectively apply digital technology for restoration of ancient objects and how to evaluate and use 3D output as well as on the method of shaping, joining and coloring the 3D output.

      • KCI등재후보

        천목다완의 복원과 유약분석 : 신복원재료의 적용

        황현성,이해순,강형태 국립중앙박물관 2006 박물관보존과학 Vol.7 No.-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실은 소장품의 유물상태에 따라 보존처리 우선순위 등급을 작성하였고, 2006년부터 연차적인 보존처리를 수행해오고 있다. 본 논문은 그 중 천목다완(신도1961)의 결손된 부분을 새로이 개발한 신복원재료를 사용하여 복원하는 과정을 소개하고 일부 박락된 유약층은 LIBS와 SEM-EDS분석기기를 사용하여 천목다완의 독특한 문양을 나타내는 유약성분을 분석하였다. The Conservation Science Laboratory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ad drawn up the list of conservation treatment priority according to the artifact status in the collection and performed conservation treatment based on the priority list since 2006. This paper introduces the restoration process of the lost part of a black teacup(Sindo 1961) with newly developed restoration material. Part of the peeled off glaze was analyzed with LIBS and SEM-EDS analyser to find out the glaze ingredients that make the unique pattern of black teacup.

      • KCI등재후보

        태토 성분조합을 통한 도자기용 흙의 물성조절 및 특성변화

        김두현,이해순,김지혜,한민수 국립중앙박물관 2021 박물관보존과학 Vol.25 No.-

        본 연구는 매곡토의 기본적인 특성과 점토물질 첨가에 따른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를 분석하여 도자기 제작에 활용할 수 있는 흙에 대한 과학적 특성 정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매곡토는 자갈과 굵은모래, 가는모래가 전체의 73%를 차지하여 수비과정을 거쳐야 태토로 사용이 가능하였으며, 수비 후에는 세사와 점토가 전체의 95%로 증가하였으나 가소성과 점력이 부족하여 분청토를 추가하여야 했다. 매곡토와 분청토를 7:3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는 점력이 증가하고, 소성 후에도 적당한 도자기 태토의 조직 특성을 보였으며, 흡수율이 0.40으로 감소하여 태토로써의 기능이 개선되었다. 따라서, 주변 흙으로 도자기를 제작하고자 할 때에는 수비와 같은 물리적 전처리를 거친 후 소성 시 기물로써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특정 성분이 포함되어있는 점토 물질을 추가한다면, 본래 흙의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유창종 기증 기와·전돌" 특별전 유물의 보존 : 채색전·귀면와·귀면와범

        황현성,이해순,이용희 국립중앙박물관 2003 박물관보존과학 Vol.4 No.-

        유창종 선생이 기증한 여러 유물 중 채색전돌(증3432), 귀면와(증1886), 그리고 귀면와범(증1882)에 대한 복제 및 보존처리를 실시하였다. 채색전돌은 물감층의 복원에 중점을 두었고, 귀면와는 기존의 어색하게 수리한 부분을 깨끗이 제거한 후 결실된 부위를 완전하게 보존처리를 하였다. 그리고 특별전을 위해 실제 귀면와범으로 귀면와를 복제하는 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Among many artifacts donated by Yoo Chang-jong, we duplicated and performed conservation treatment for a colored brick(J3432), a roof tile with monster-mask design(J1886) and a mould for roof tiles with monster-mask design(J1882). We focused on the restoration of the paint layer for the colored brick. As for the roof tile with monster-mask design, we cleared the existing poorly repaired part and then performed a complete conservation treatment. We would like to present the process to duplicate a roof tile with monster-mask design using a real mould, for the special exhibition entitled “Donated Tiles of Yoo Chang-jong”.

      • KCI등재후보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개관 전시 대상 도자기의 보존 : 청화백자운봉문대호·청자공작수주

        황현성,이해순 국립중앙박물관 2004 박물관보존과학 Vol.5 No.-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실은 미술관리부에서 용산 새 박물관에 개관 전시할 소장품 중 도자기실에 새로이 전시할 도자기 보존처리 목록을 보내온 바 있다. 이에 의거하여 보존과학실에서는 그 목록을 토대로 2002년부터 연차적으로 보존처리를 해오고 있는 상태이다. 이번 글은 그중 청화백자운봉문대호(접수631)와 청자공작수주(덕수5202)를 복원하는 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The Fine Art Department has sent a list of ceramic ware to the Conservation Science Laboratory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for conservation treatment. The listed ceramic ware will be newly displayed in the ceramic ware gallery of Yongsan Museum after it is opened. Based on the list, Conservation Science Laboratory has been taking special measures to conservation the ceramic ware since 2002. This paper attempts to introduce the process of restoring the Blue-and-white porcelain Jar with phoenix Design (Jubsoo 631) and Celadon peahen-shaped water dropper (Duksoo 5202).

      • KCI등재후보

        초경석고와 메타카올린 혼합재료의 물성실험 및 적용

        김현숙,이해순 국립중앙박물관 2016 박물관보존과학 Vol.17 No.-

        기존의 석고복원재로 복원한 문화재는 대기 중의 수분을 반복하여 흡·방출하면서 물성이 약화되어 형태가 변형되고 채색층 박락이 진행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일반석고보다 더 강한 초경석고를 실험대상으로 두었으며 메타카올린(Metakaolin)을 혼합하여 도자기 복원재료로 적합하도록 물성을 개선하였다. 초경석고와 메타카올린 혼합재료의 압축강도(119MPa)는 일반석고(26MPa)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마모율(0.88%)은 일반석고의 마모율 2.53% 보다 낮게, 흡수율(2.9%)은 일반석고(17.2%)보다 약 5배 낮게 측정되었다. 특히, 주사전자현미경 관찰결과 혼합재료의 경화치밀도가 단미의 초경석고보다 높았다. 즉, 메타카올린을 첨가함으로써 초경석고의 강도와 수분저항성을 높이고 표면을 치밀하게 하여 도자기 복원재료로서 적합하게 물성을 개선시켰다. 그리고 이 혼합재료를 실재 문화재인 토제수반(신안18892), 분청사기조화문병(접수2034), 분청사기국문내인화문대접(접수1730)의 결손부분 복원에 적용해봄으로써, 혼합재료가 주입 및 적층성형에 유리하고 경화표면이 균질하여 자연스러운 채색이 가능한 재료임을 확인하였다. Ceramic cultural artifacts restored with gypsum-based materials are prone to decay over time due to gypsum’s natural absorption and release of atmospheric moisture, often leading to distortion and peeling of painted layers. This study proposes a new restoration material which utilizes extra hard stone, significantly superior in strength to regular gypsum. In order to enhance its physical properties and make it suitable for restoration of ceramics, extra hard stone is mixed with metakaolin. This mixture far surpasses regular gypsum in compressive strength(119MPa vs. 26MPa) while also maintaining a much lower wear rate(0.88% vs. 2.53%). Furthermore, the water absorption rate(2.9%) of the mixed material is over five times lower than that of regular gypsum(172%). When examined using a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is mixture also proved superior to extra hard stone in terms of hardened density. The addition of metakaolin increases the mixture's strength and water resistance over that of extra hard stone and also improves its surface density, making it ideal for the restoration of ceramics. It has already been used to repair ceramic objects in the Museum’s collection: Clay basin(sinan 18892), Buncheong ware bottle with incised peony design(jubsu 2034), Buncheong ware bowl with chrysanthemum(jubsu 1730). Results thus far have shown the mixture to be easy to inject and layer as well as harden into an even surface, which allows for smooth application of paint for color match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