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뉴먼의 신 존재 증명과 신앙의 합리성

        이태하(Lee, Tai-ha) 대한철학회 2011 哲學硏究 Vol.119 No.-

        뉴먼의 관점에서 볼 때, 신앙은 인식의 문제라기보다는 실천의 문제이며 이것은 객관적인 증거나 확실성의 문제가 아닌 주체의 확신의 문제이다. 따라서 종교적 확신의 문제인 신앙은 입증의 대상이 아닌 단지 기술과 설명을 통한 옹호의 대상일 뿐이다. 그래서 뉴먼은 ‘왜 우리가 신을 믿는가’ 보다 ‘어떻게 우리가 신을 믿는가’에 관심을 갖는다. 바로 이점에서 뉴먼은 신앙을 비합리적인 방식으로 옹호하는 선앙주의자(fideism)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그러나 뉴먼은 삶이란 행동하는 것이며, 매사에 객관적인 증거나 확실성이 요구된다면 우리는 아무 것도 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한다. 실상 우리는 확실성 대신에 경험과 실천에서 오는 개연성에 의존해 알아갈 수밖에 없으며 우리를 종교적 확신으로 이끄는 추론감각 역시 이같은 개연성에 의존하고 있다. 요컨대, 뉴먼은 “개연성을 삶의 안내자”라 보는 영국경험론의 전통을 쫓아 개연성에 기초한 추론감각에 실천적 합리성을 부여하고 이를 통해 신앙의 실천적 합리성을 확보하고자 한다.양심의 현상학을 통해 신의 존재에 대한 종교적 확신이 어떻게 생겨나는가를 기술하는 뉴먼의 접근방식은 평범한 신앙인들이 갖고 있는 종교적 확신이 실천적으로 합리적임을 보여주려는 새로운 유형의 신 존재 증명으로서 이것은 계시를 수용할 수도 거부할 수도 없다는 종교철학의 오랜 딜레마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For Newman, faith is not the problem of knowledge but that of practice, not the problem of evidence or certainty but that of certitude. Thus, it appears to him that faith as religious certitude is an object not of demonstration but only of vindication through description and explanation. In the Grammar of Assent, Newman’s concern lies in showing not why we believe in God, but how we believe in Him. For this reason, Newman has been criticized for taking an fideism as the irrational defense of faith. But according to Newman, life is for action, but if we insist on proof or evidence for every thing, we will be placed in an extreme skepticism in which we can do nothing. And we cannot but depend on probability derived from experience and practice for ordinary life, and the illative sense leading us to the religious certitude also depends on probability. In short, Newman, following the tradition of English empiricism that regards probability as the great guide of life, tries to secure the rationality of faith by providing a practical rationality to the illative sense based on probability.Newman’s approach to elucidate the religious certitude of God’s existence by the phenomenology of conscience is the new kind of apologetics by which we can make sure that the religious certitude of common Christians is practically reasonable. It also provides a solution to the old dilemma of the philosophy of religion in which we can neither accept nor reject revelation as the essence of religion.

      • KCI등재

        근대철학과 종교 -과학에 의한, 과학을 위한, 과학의 종교-

        이태하 ( Lee Tai-ha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2 가톨릭철학 Vol.0 No.18

        본 논문은 17∼8세기 유럽 근대 철학의 전개과정을 과학과 종교의 연관성 속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17세기 종교적 분쟁이 야기한 참상을 목도한 근대 철학자들의 철학적 관심사는 계시적 종교로 인한 종교적 분쟁을 종식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이었고, 그들이 마침내 발견한 방안은 자연뿐 아니라 신과 영혼의 영역에서도 과학의 방법을 적용하여 보편적이고 합리적인 신의 개념을 찾는 것이었다. 바로 이것은 로고스에 의해 뮈토스의 월권을 바로 잡겠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근대철학자들은 처음에는 종교를 과학적 시각에서 조명하는 ‘과학에 의한 종교’를 추구하였다. 그러나 이리한 시도는 시간이 흐르면서 종교를 과학적 세계관을 뒷받침하는 이데올로기로 전락시킨 ‘과학을 위한 종교’로 발전되었고, 마침내는 종교의 자리에 과학을 앉힘으로써 과학의 종교를 만드는 로고스의 월권으로 나타났다. 이는 근대철학자들이 로고스와 뮈토스의 균형을 추구했던 고대 그리스 철학과 르네상스의 참된 정신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is to explain the unfolding process of modern philosophy in the light of the interrelation between science and religion. Modern philosophers who watched a terrible sight of the seventeenth century caused by the revealed religion were concerned in the way to resolve the religious dissension. The way which they finally found out was nothing but to search for the universal and rational god by applying the scientific method to the field of god and soul, as well as that of nature. It is to correct an arrogation of mythos by means of logos. Thus, at the outset modern philosophers searched after ‘religion by science’ which illuminates religion in the light of science. Later, however, it was transfigured to ‘religion for science’ in which religion is no other than an ideology to support the scientific world-view, and it finally became ‘religion of science’ in which science cuts out religion. This meant the arrogation of logos which was caused by the ignorance of modern philosophers who did not comprehend the purpose of Ancient Greek Philosophy and Renaissance to keep the balance between logos and mythos.

      • KCI등재

        종교개혁과 근대철학의 형성

        이태하(Lee, Tai-ha) 대한철학회 2013 哲學硏究 Vol.126 No.-

        종교개혁은 근대철학과는 무관한 듯 보이지만 실상은 근대철학과 밀접한 연관을 갖고 있다. 철학적으로 볼 때, 종교개혁은 두 가지 면에서 근대철학의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종교개혁의 기본원리인 신적 이성에 대한 신적 의지의 우위를 강조하는 주의주의는 교회의 전승을 무시한 채 ‘오직 믿음으로’를 강조함으로써 성서와 교리에 대한 자의적 해석을 허용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극심한 종교적 분쟁이 야기되었고 근대지성인들은 이를 종식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이른바 보편종교라 할 수 있는 이신론과 자연종교를 추구하게 되었다. 또한 주의주의는 자연에 대한 탐구에 있어 종래의 사변적 탐구를 탈피해 관찰과 실험에 근거한 실험적 탐구에 나서게 함으로써 인간 본성에 대한 실험적 탐구인 실험철학(경험론)의 단초를 제공하였다. 요컨대 종교개혁은 한편에서는 보편종교의 추구를 그리고 다른 한편에서는 실험철학의 출현을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보편종교란 행동과 실천의 근거가 되는 신비적 종교가 아니라 단순히 과학적 탐구를 위한 근거가 되는 세계관에 불과한 것이기에 보편종교를 추구한 철학은 ‘과학을 위한 철학’이었다. 또한 실험철학은 실험과 관찰을 통해 인간본능을 탐구한 이른바 인간학이란 점에서 ‘과학에 의한 철학’이었다. 결국 종교개혁은 과거 철학의 안방을 차지하고 있던 종교를 쫓아내고 그 자리에 과학을 앉힌 것이다. The Reformation seems to have nothing to do with modern philosophy, but in reality closely related to it. From a philosophical point of view, the Reformation had a profound effect on the formation of modern philosophy in two respects. Voluntarism, asserting the predominance of divine will over divine reason, which is the basic principle of the Reformation, allowed an arbitrary interpretation of the Bible by ignoring the tradition of the Church and emphasizing ‘Sola Fide’. As a result, the severe religious disputes arose and the modern intellectuals sought a deism and natural religion as an universal religion which is expected to put an end to religious conflicts. Moreover, voluntarism changed the way of inquiring nature from the speculative to the experimental based on observation and experiment, and provided the clues of the birth of experimental philosophy (empiricism) which is the experimental inquiry of human nature. In short, the Reformation brings about the search for universal religion on the one hand, but on the other the advent of experimental philosophy. Universal religion is not a mystic religion on which the religious behaviors and practices are based but just a world view that is the basis for scientific inquiry, and it was nothing but a philosophy for science. And also the experimental philosophy was a philosophy by science in that it is a science of human nature through experiment and observation, After all, the Reformation expelled religion from the main living room of philosophy and placed science on the spot instea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흄과 종교

        이태하(Tai Ha Lee) 철학연구회 1996 哲學硏究 Vol.39 No.-

        금세기 초에 발표된 노만 캠프 스미쓰의 흄의 자연주의란 논문은 흄의 철학을 단순히 파괴적인 것이 아니라 구성주의적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새로운 해석의 지평을 열어 놓았다. 그러나 흄이 전 생애를 통해 관심을 기울였던 종교의 문제는 이러한 구성주의적 해석이 적용되지 못하는 예외적인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흄의 종교에 대한 견해를 예외적인 것으로 보는 이같은 견해는 주로 흄의 종교에 관한 두개의 주저인 『종교의 자연사』와『자연종교에 관한 대화』에서 찾아볼 수 있는 흄의 종교에 관한 신랄한 비판에서 기인된다. 전자에서 중점적으로 언급되는 대중종교의 유해성은 흄을 반종교론자로 그리고 후자에서 보여주는 종교적 신념의 철학적인 무근거성에 관한 지적은 흄을 무신론자로 판단하는 근거가 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판단은 흄의 거의 모든 저술 가운데 산재해 있는 종교에 관한 구성주의적인 접근을 간과한데서 비롯된 것이다. 흄은 철학적으로 회의론과 독단론의 양극단을 거부하고 상식적인 삶을 수용하고 그것의 원리를 자연과학에서와 같이 관찰과 실험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던 방법론적인 자연주의자였다. 종교에 관한 논의에 있어서도 우리는 흄의 이와같은 자연주의자로서의 면모를 그의 종교철학적 저술이 나오게 된 역사적 문맥 가운데서 분명하게 찾아볼 수 있다. 흄은 신의 존재를 인정하나 일체의 신화적인 요소를 부인하고 도덕적인 실천만을 유일한 종교적 실천으로 삼았던 영국 이신론자들의 자연종교와 신화적인 토대 위에서 인간본성에 반하는 온갖 광신적인 종교적 실천을 강요하는 기성종교(기독교)와의 두 극단 가운데서 종교를 인간의 자연적인 나약성에서 기인되는 삶의 방식으로 수용하고 그 중용을 찾고자 했던 종교개혁론자였다.

      • KCI등재

        종교 다원주의를 향한 철학적 접근

        이태하(Tai Ha Lee) 철학연구회 2001 哲學硏究 Vol.54 No.-

        한국의 기독교는 예수를 구원에 이르는 유일한 길로 보는 보수주의의 배타주의적 신학관으로 인해 종교간 대화에 미온적이며 심지어 부정적인 태도를 견지해 왔다. 이에 맞서 일부 자유주의 신학자들은 예수를 삼위일체의 이격에 해당하는 신으로서가 아닌 참 기독교인의 예증으로 보고 구원에 이르는 길에는 기독교 외에도 다른 길이 있음을 주장하는 신중심적 다원주의를 주장해왔다. 그러나 신중심적 다원주의는 종교적 헌신의 역동성을 가져오는 기독교의 신비적 측면인 계시적 진리를 약화시킴으로써 보주주의 신학자들과 교단으로부터 철저히 외면되어 왔다. 종교간 대화는 우리가 실현해야 할 가치있는 일이지만 종교의 내적인 본질을 훼손시키는 대화여서는 안 된다. 따라서 종교다원주의 시대를 맞이하여 종교간의 평화적 공존을 모색해야 하는 한국의 기독교는 종교의 정체성을 보존하면서 종교간 대화를 이끌어갈 수 있는 새로운 종교신학의 정립이 절실히 요청된다. 영국의 물리학자이면서 신학자이기도 한 폴킹혼이 주장하는 비판적 실재론에 따르면, 모든 종교적 신조란 궁극적 실재에 대한 가설적 진리언명이다. 따라서 형이상학적인 독단론이란 비판을 받는 존재론적 기독론과 상대주의라는 비판을 받는 자유주의 신학의 역할론적 기독론은 현실과의 적합성을 놓고 상호경쟁을 벌이는 경쟁적인 이론으로 간주되어 가난하고 존재 없는 자들을 위한 공동의 헌신이라는 참된 종교간 대화에 경쟁적으로 나서게 만든다. 이처럼 폴킹혼의 비판적 실재론은 기독교의 절대적이며, 일회적이며, 배타적인 구원의 계시성을 부인하지 않으면서도 그것의 역동성을 현실과의 적합성을 통해 실천적으로 변증해 보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함으로써 종교간 대화에 미온적이며 부정적이었던 한국의 보수주의적인 기독교 진영을 실질적인 종교간 대화의 장으로 이끌어 낼 수 있는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기독교 과학은 가능한가? : 플란팅가의 아우구스티누스 과학

        이태하(Lee Tai-Ha) 대한철학회 2007 哲學硏究 Vol.104 No.-

        본 논문은 방법론적 자연주의에 의해 규제되는 것만을 과학으로 볼 것이 아니라 자연의 법칙을 포함하여 신의 직접적 개입(위반기적)을 허용하는 것까지도 과학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하며 유신론적 과학으로서 아우구스티누스 과학을 제안하는 플란팅가의 주장을 검토하려 한다. 틈새의 신학과 과학의 훼방꾼이라는 두 가지 비판의 딜레마에 봉착한 아우구스티누스 과학에 대해 플란팅가는 “기독교 공동체는 하느님에 대한 믿음을 갖고 과학적 탐구를 시작하기에 변증적인 목적을 갖고 과학을 하지 않으며, 하느님은 과학적 탐구를 격려하기 위해 또는 우리 과학자들의 편리를 위해 이차적 원인(자연의 법칙)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생명을 창조했다고 생각할 하등의 이유도 없다”고 말한다. 그러나 위반기적에 대한 믿음이 기독교인이 되는 필요조건임을 보여주지 못하는 한 플란팅가는 기독교인들에게 방법론적 자연주의를 포기하고 아우구스티누스 과학이라고 불리는 기독교 과학을 수용해야 할 이유를 제시했다고 볼 수 없다. 따라서 플란팅가는 그의 종교에 기여한 바가 없다는 루스의 비판이 설득력을 갖는다. This paper is to consider Plantinga’s claim that one should not restrict "science" simply to that which is governed by methodological naturalism, and one should allow a more extended "science" that tries to understand not only in terms of law, but also in terms of God’s intervention-what Plantinga at that point called "theistic science" or "Augustinian science". Of the criticism that Augustinian science is either God-of-the gaps theology or science stopper, Plantinga answers, "the Christian community begins the scientific enterprise already believing in God and doesn"t engage in it for apologetic reasons; we have no guarantee that God has created everything by way of employing secondary causes to encourage further scientific inquiry, or for our convenience as scientists." However, without showing that believing the law-breaking miracle is the necessary condition for being a Christian, Plantinga does not offer us reason to give up on methodological naturalism and accept "Augustinian science." Thus, there is a persuasion in Ruse’s criticism that Plantinga does his religion no great servi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