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효과적 기업비서 인력양성을 위한 NCS기반 비서직무 능력의 중요도 분석

        이채연 한양사이버대학교 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In order to develop the working-level human resources that are recently required in most industries, the departments of secretarial studies in junior colleges have aggressively developed and operated education programs that applied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NCS). Such education programs duly reflect the understanding of professors and the positions of the NCS in schools that provide education. Therefore in-depth review is needed from the point of view whether such programs appropriately satisfy the requirements of businesses or executives that hire secretari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NCS-based secretarial job performance by competency unit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d suggest directions for optimal educational effect. The existing study examined the importance of NCS-based secretarial job performance by competency unit with a focus on secretaries and professors, but it had limitations in reflecting expectations of industries. To solve such limitations, this study classified the subjects into four groups: entry-level secretaries, experienced secretaries, managers and executives, and human resources officers. In addition, this study covers all of the 41 competency units, while the existing study analyzed 37 of the units at the junior college levels (Levels 3 to 5). This study also evaluated the importance of by level /system defined during a secretarial education with the aim of presenting directions for the levels to which prospective secretaries should sharpen their skills in an intensive manner. By making it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tudy, this study pointed out a clear difference between the competency level required by businesses and the NCS-based secretarial education programs understood by universi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 the following: First, the relative importance on 11 competency units in secretarial duties is shown to the in the following sequence of executive document preparation, executive schedule management, and executive support works. Second, the most importantly acknowledged for each competency element of respective competency unit would be in the followings of working on congratulatory and condolence events, finding out internal organizational environment, schedule adjustment of executive, preparation of business trip for executive, selective response for visitors, having the work instruction from executive, document preparation, protocol working, maintenance of information security, international event support, and facilitating accounting management system. The relative importance for each competency element shows difference in a few competency units with the existing research result, and in particular, for the level 6 and 7 for competency elements excluded in existing study, protocol works and support of international event have been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work competencies in applicable competency level. Third, with respect to 41 competency elements for secretarial duties, having the work instruction from executive, maintaining information security, and preparing business trips for executive are recognized as comprehensively most important. For each group, the entry-level secretaries consider 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as the most important, while experienced secretaries as having the work instruction from executive, having the work instruction from executive for executive and officers, and document planning for person in charge of personnel. Importance of secretarial duties as evaluated by executive, officers and person in charge that had not been included as the subject of studies previously are shown to have differences with the evaluation made by secretary. Fourth, on importance for each level/system of secretarial duty, it is acknowledged as the most important comprehensively for level 4, new entry and experienced secretary for level 4, executive and officer for level 3, and persons in charge of personnel for level 7. In addition, the competency elements with the highest importance for each level are shown as having work instruction of executive, preparation for business trip of executive, document preparation, protocol work, and support of international event. And fifth, from the various qualifications of secretary that are considered in hiring a secretary, it is considered as important in the sequence of neat and clean cut image, manners and etiquettes, and succinct and firm communication skill. The foregoing result of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upgrade of the competency and qualification of secretaries as well as the enhancement of the work efficiency of secretaries when used as practic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on NCS-based secretarial competency in junior colleges. 최근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실무형 인력의 양성을 위해, 전문대학의 비서학과에서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적용한 교육과정을 활발히 개발 및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은 교육을 제공하는 학교나 교수의 NCS에 대한 이해와 입장이 반영된 것이다. 그러므로 비서를 채용하는 기업이나 경영진의 요구사항을 제대로 만족하고 있는가 하는 점에서 심층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분석적 계층과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방법을 이용하여 NCS 기반 비서직무 능력별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하고, 교육 효과를 최적화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비서 및 교수를 대상으로 NCS 기반 비서직무 능력의 중요도를 파악하였으나, 산업 현장의 기대 수준을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신입, 경력비서 뿐 아니라 경영진 및 임원, 인사 담당자를 포함한 네 그룹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기존의 연구는 전문대학의 수준(3 ~ 5 수준)에 해당되는 37개 능력단위요소만 분석하였으나, 본 연구는 41개 모두를 포함하였다. 한편, 비서직무 교육과정 운영 시 정의되는 수준별/체계별 중요도에 대한 분석도 함께 실시하여, 예비 비서들이 어느 수준에 집중적으로 역량을 키워야 하는지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기존 연구와의 차별화를 통하여 기업에서 원하는 역량수준과 대학이 이해하고 있는 NCS 기반 비서 교육과정의 차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확인된 사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서직무 11개 능력단위에 관한 상대적 중요도는 경영진 문서작성관리, 경영진 일정관리, 경영진 지원업무 순으로 높았다. 둘째, 각 능력 단위의 능력단위요소 별로 가장 중요하게 인식되는 것은 경조사 관련 업무하기, 조직 내부환경 파악하기, 경영진 일정 조율하기, 경영진 출장 전 준비하기, 내방객 선별 응대하기, 경영진의 업무 지시받기, 문서 작성하기, 의전업무하기, 정보 보안 유지하기, 국제 행사 지원하기, 회계 관리시스템 활용하기였다. 각 능력단위요소 별 상대적 중요도는 기존 연구결과와 몇몇 능력단위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6, 7수준의 능력단위요소로 기존 연구에서는 제외되었던 의전업무하기, 국제 행사 지원하기가 해당 능력단위에서 가장 중요한 업무 능력으로 인식되었다. 셋째, 비서직무 41개 능력단위요소 전체에 대해서는 경영진의 업무 지시받기, 정보 보안 유지하기, 경영진 출장 전 준비하기가 종합적으로 가장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었다. 각 집단별로는, 신입비서는 전자문서 관리하기, 경력비서는 경영진의 업무 지시받기, 경영진 및 임원은 경영진의 업무 지시받기, 인사 담당자는 문서 기획하기를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연구대상으로 포함되지 않았던 경영진 및 임원, 인사담당자가 평가하는 비서직무 중요도가 비서가 평가하는 것과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넷째, 비서직무 수준별/체계별 중요도는 종합적으로 4수준, 신입비서와 경력비서는 4수준, 경영진 및 임원은 3수준, 인사담당자는 7수준을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수준별로 가장 중요도가 높은 능력단위요소는 경영진의 업무 지시받기, 경영진의 출장 전 준비하기, 문서 작성하기, 의전업무하기, 국제 행사 지원하기로 파악되었다. 다섯째, 비서 채용 시 고려하는 다양한 비서의 자격 요건 가운데 깔끔하고 단정한 이미지를 가진 자, 예의범절을 갖춘 자, 간결하고 확실한 의사표현이 가능한 자 순으로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전문대학에서의 NCS 기반 비서직무 교육과정 개발에 실질적인 자료로 활용되어, 향후 비서 업무에 대한 능률을 높이고, 비서 자질과 역량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Lean 시스템을 활용한 환경경영 추진방안 연구

        정창현 한양사이버대학교 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research,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low-carbon green growth, asessed the efficacy of applying lean systems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demonstrated the practical integration of lean methodologies and environmental systems. Recently, as global environmental issues and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corporations are getting more attention, a company's environmental management has become an issue of increasing importance. So, the failure to promote and improve environmental management can make long term negative impacts to business success. The most fundamental principle of lean system is that ‘If any behavior or activity does not add value, it should be removed.’and the purpose of lean system is to achieve more performance by taking full advantage of the given resources and capabilities. Environmental management can be one of the purposes of introduction of lean system. With application of the lean system, more effective policy deployment, improvement creation and performance management can be expected. The implementation of lean systems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should start with commitment from top management. Top management need to establish the mission, vision along with long and short-term environmental management goals. It is also critical to establish KPIs(Key Performance Indicators) for the entire company including business unit and department level so that progress and performance can be measured. In order to analyse current state and establish future state, EVSM and EFPC can be effectively used and these tools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the executives of company. To generate ideas for eliminating wastes and improving performance, Kaizen events and Kaizen suggestion system should be effectively implemented. In the events or activities of improvement, environmental experts should participate and cooperate with lean practitioners. Top and mid-level managers should communicate with employees and provide coaching by visiting the workplaces where improvement is required. The outcomes and learnings from application of lean system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both positive and negative, should be shared and recognized throughout the organiziation to promote best practices and reenforce the positve energy of lean and enviromental management. 본 연구에서는 저탄소녹색성장 추세에 맞추어 환경경영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lean 시스템을 적용한 환경경영 추진방안에 대해 기술하였으며, 기업들이 lean 시스템과 환경경영시스템을 별개의 시스템이 아닌 보다 통합적이고 조화롭게 운영을 함으로써, 저탄소녹색성장 분야에서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고찰하였다. 최근 기업들의 사회적인 책임이 강조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환경적인 문제들이 더 많이 주목을 받고 있어, 기업의 환경경영은 점점 더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Lean 시스템의 가장 근본적인 원칙은 ‘어떠한 활동이 가치(Value)를 더하지 못하면, 그 동작 또는 활동은 제거되거나, 감소되어야 한다.’는 것이며, 목적은 주어진 자원과 능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보다 많은 성과를 얻는 것이다. 환경경영 추진은 lean 시스템 도입 및 적용을 함에 있어서 하나의 목적이 될 수 있으며, lean 시스템을 이용하여 환경경영을 위한 효과적인 방침관리, 개선방안 도출 및 성과 관리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의 lean 시스템의 추진 시 환경경영의 중요성과 환경친화적 측면의 이익이 함께 인식 되어야 하고, lean 시스템의 추진으로 인한 친환경적인 성과 및 이익, 잠재적인 기대 이익을 재무적으로 분석하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Lean 시스템을 활용한 환경경영 추진은 최고 경영층에서 환경경영에 대한 미션과 비전, 중장기 목표를 설정하는 것에서 부터 출발해야 한다. 그리고, 중장기 목표를 이루기 위한 회사 전체, 사업부, 부서의 핵심성과지표(KPI)가 설정되어야 한다. Current State 분석과 Future State 수립을 위해서는 EVSM, EFPC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이는 환경경영을 추진하는 기업의 경영층과 생산 및 엔지니어링 담당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개선 아이디어 도출과 실행은 개선 이벤트와 개선제안 시스템을 이용하고, 최고 경영층과 중간 관리자들은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종업원들과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코칭을 해야 한다. 개선아이디어 도출과 개선실행을 위한 활동에는 기업 내 환경전문가를 참여시키고 사내 lean 전문가와의 협력과 협조를 독려해야 한다. 또한, Lean 시스템을 활용한 환경경영의 성공사례를 만들고 그 결과와 사례를 공유하여, 기업 전체적으로 lean 시스템을 활용한 환경경영 시스템을 확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기업의 혁신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포스코 그룹사를 대상으로

        임호성 한양사이버대학교 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오늘날 급변하는 경영환경과 치열한 글로벌 경쟁에서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많은 기업들이 혁신을 도입하여 실행하고 있다. 그러나 혁신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기업을 성장시켜 나가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 혁신활동의 성공요인으로 작용하는 투입요소가 무엇인지 밝히고, 이러한 혁신 투입요소가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혁신성과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포스코 그룹사를 대상으로 연구함으로써 포스코 그룹사에 적합한 포스코형 혁신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혁신 투입요소를 혁신 리더십, 혁신적 조직문화, 혁신 운영시스템으로 분류하고, 혁신성과를 공정혁신, 제품혁신으로 정의하여 혁신 투입요소 간의 상호 작용과 혁신 투입요소가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혁신성과가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로 구성된 경영성과로 연결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본 연구수행을 위한 자료 수집은 포스코 그룹사에서 근무하는 혁신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실증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 리더십은 혁신적 조직문화 조성과 혁신 운영시스템 구축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혁신적 조직문화는 혁신 운영시스템 구축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혁신적 조직문화는 혁신성과인 공정혁신과 제품혁신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넷째, 혁신 운영시스템은 혁신성과인 공정혁신과 제품혁신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혁신성과는 경영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혁신 투입요소들 간의 관계를 보면 혁신 리더십이 혁신적 조직문화와 혁신 운영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기업의 성공적인 혁신활동을 위해서는 혁신 리더십이 기초가 되는 변수임을 알 수 있다. 즉, 최고경영자가 혁신 이해도를 바탕으로 혁신 리더십을 발휘할 때 혁신적 조직문화가 구축되고, 효율적인 혁신 운영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다. 둘째, 혁신 운영시스템이 혁신 투입요소들 중에서 유일하게 혁신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기업이 혁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혁신 운영시스템을 갖출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체계적인 혁신 교육, 혁신 전문가 양성, 동기부여를 위한 평가 및 보상 등의 인프라를 구축하고, 전략과 연계하여 과제를 발굴하고, 과제 수행 품질을 향상하기 위하여 노력할 때 혁신성과를 창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품혁신 뿐만 아니라 공정혁신에 의한 혁신성과가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결국 혁신활동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중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다. 즉, 철강, 소재, 화학 등 제조업이 경영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제품의 품질 향상과 공정능력 향상, 낭비 제거를 통한 원가 절감 활동 등의 혁신활동이 요구된다.

      • 사이버대학교 관광영어 수업의 학습동기에 관한 주관성 연구 : Q 방법론을 적용하여

        이경여 한양사이버대학교 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47

        As globalization has been proceeding, the number of tourists over the world has been increasing and South Korea is no exception. However, despite progress in English education, it is indicated that the number one inconvenience cited among tourists visiting South Korea is still communication. English is spoken as an international language among foreign languages, and colleges which send tourism workers out to the society have responsibility for improving English proficiency of the students. Tourism English approaches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ESP) and it should consider many factors related to learning for successful accomplishment. Learning motivation impacts the success of learning English and many researchers have studied this. However, studies on the tourism English class at cyber universities were not only short but most researches have been restricted to quantitative studies. In this study Q methodology was used in order to identify the subjectivity of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in the tourism English class at a cyber university. Q methodology is a useful way of investigating people’s views of any issues. Using Q methodology and open-ended response prompts, this study was investigated, analyzed, and categorized into different factors. Preceding researches and open questions about learning motivation of the tourism English class provided the development of 150 Q statements and with help of two Q methodology professionals the structural framework for 33 domain specific Q sort statements was confirmed and those statements were made by Q cards so as to be easy to read and facilitate sorting. Twenty two P samples were extracted out of 99 students who were studying the tourism English class at H cyber university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year 2015, considering the ratio of male and female, age, major, and job. The data was coded into grades from 1 to 9, and analyzed using Quanl program and Q factor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method. The result of this study on the tourism English class at H cyber university was categorized into 4 factors. The factor 1 was named as ‘Travelling abroad’ and half of the all students belonged to it. Eleven students of factor 1 wanted to study tourism English for speaking while travelling abroad. The factor 2 was named as ‘Intrinsic motivation’ and six students belonged to factor 2. They liked learning foreign languages a lot and had wanted to speak English well for a long time. The factor 3 was named as ‘Utilization at work’ and two students belonged to it. They all had been working for tourism industry and needed to speak tourism English in their present jobs. The factor 4 was named as ‘Improvement for English ability’ and three students belonged to it. All the students of factor 4 had not worked for tourism related job currently but they all needed to speak English in their present jobs and wanted to improve their basic level of general English.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into factors of learning motivation of the tourism English class at a cyber university. Th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s well as compared with one another, and the effective curriculum suggestion of tourism English class was discussed at the end of the study.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Q methodology is tried to apply to the study on tourism English as ESP at a cyber university mixed with English learning motivation. To make better cyber universities which offer the opportunity of life-long education,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to be able to meet the potential students’ demand of the tourism English class. 글로벌화가 진행됨에 따라 세계의 관광객 숫자는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한국 또한 예외는 아닌 이 시점에서 한국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에게 가장 불편한 사항이 아직도 의사소통의 문제라는 것은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과제라고 사료된다. 그 중에서도 영어는 세계 국제어로 통용되고 있으며 이에 관광종사원을 사회로 배출하는 관련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영어 실력을 증진시켜야 할 의무가 있다. 관광관련학과에서 진행하는 관광영어 수업은 특수목적 영어로 접근되며 영어학습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학습관련 많은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그 중에서도 학습동기는 영어학습의 성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사이버대학교에서 관광영어 수업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할 뿐만 아니라 대다수가 양적 연구에 치우쳐 있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대학교의 관광영어 수업 학습동기에 관한 주관성 연구를 Q 방법론을 이용해 조사하고 분석하여 주관성에 따른 유형화를 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각 유형에 맞는 학습방법으로 사이버대학교에서 진행되는 관광영어 학습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국내외 문헌을 고찰하였고 관광영어, 학습동기, 사이버대학교 및 Q 방법론에 관한 개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선행연구와 학습동기에 관한 개방형 질문을 통해 자유로운 의견이나 생각을 바탕으로 총 150개 진술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진술문은 Q 연구 전문가 2인의 자문을 거쳐 33문항의 진술문을 Q 표본으로 확정하였으며 조사 대상자가 읽기 쉽고 분류가 용이하도록 카드로 제작하였다. P 표본은 서울시 성동구 왕십리로222에 소재한 H 사이버대학교에서 2015년 2학기 호텔관광외식영어 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학생들이다. 총 99명 중에서 성별, 연령, 전공, 직장유무의 비율을 고려하여 총 22명을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사이버대학교 관광영어 수업의 학습동기는 4가지로 유형화되었다. 제1유형은 ‘해외여행형’으로 영어실력을 길러 해외여행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동기를 가진 유형이고, 제2유형은 ‘내재적 동기형’으로 외국어 학습을 좋아하며 이전부터 영어를 잘하고 싶었기 때문에 관광영어 학습동기를 가진 유형이다. 제3유형은 ‘업무활용형’으로 관광관련 업종에 종사하여 현재 업무에 필요하기 때문에 관광영어를 학습하는 동기를 가지고 있고, 제4유형은 ‘영어실력 향상형’으로 관광관련 업종에 종사하지 않으나 모두 현재 업무에 필요하고 영어 기초실력의 향상을 위한 관광영어 학습동기를 가지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교 관광영어 수업의 학습동기에 대한 주관성을 유형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분석 결과 학습동기는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이에 따라 각 유형의 특성을 분석 비교하고 효과적인 영어 학습방법에 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교에서 관광분야와 특수목적으로서의 관광영어 수업에 대한 학습동기에 Q 방법이라는 주관성 연구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학생들에게 평생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사이버대학교가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 학생들의 요구에 맞는 관광영어 수업을 제공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데 시사점을 둔다.

      • 외식프랜차이즈 기업의 경영이념에 관한 연구 : 한국, 미국, 일본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인정 한양사이버대학교 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47

        한국의 외식산업은 급격한 경제적·사회적 혼란기를 겪으면서도 성장해 왔지만, 이에 따라 나타난 부작용은 사회문제로 대두되기 시작했다. 일부 기업들은 국내 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해외 진출을 서두르고 있으며, 세계화 물결 속에 해외 외식기업들의 국내 진출도 가속화 되고 있다. 한국 외식기업들은 변화무쌍한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외적 성장에만 집중했던 역량을 내적 성숙을 통한 경쟁력 강화에도 심혈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그 동안 국내 외식기업들과 관련 연구들이 전략적 경영의 단초가 되는 경영이념을 개발하고 활용하는 데 큰 관심을 갖지 않았다는 데 문제의식을 가지고, 한국 외식기업의 내적 성숙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경영이념의 개발과 활용에 대해 제안하고자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 일본의 주요 외식프랜차이즈 150개 기업들의 경영이념을 수집하고, 그 내용과 형태를 비교하여 내용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국가를 막론하고 경영이념의 요소와 기능을 혼동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 목표를 제시하는 것에 않고 있어, 전략적 경영의 관점에서 경영이념의 활용도가 낮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 중에서도 한국 기업들의 경영이념은 3개국 중 그 충실성이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외식산업의 경영이념 인식과 활용에 대한 기초적 연구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향후 연구에서는 경영이념이 최고경영자에서부터 가맹점의 파트타이머에게까지 어떻게 적용되고, 전달되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 경영 효율성과 고객의 브랜드 인지, 직무 만족도 등에 어떤 효과가 나타나는지 등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For the past decades, the food service industry in South Korea has been growing through the economic and social confused stage. But some dark side of the bright external growth has been found which caused of social issues. Some of the companies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are expanding their territory to oversea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domestic market, and the penetration of international restaurant brands toward Korea has accelerated in the wave of the globalization. In these challenging situations, Korean food service companies should shift their attention from the external growth to the internal maturation to strengthen their competitiveness. This study set out with a critical mind that most of domestic food service companies and related studies did not have a great interest in developing and applying of the management philosophy that is a starting point of strategic business.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management philosophy as a solution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mpanies.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150 food service companies’ management philosophies which collected from Korea, U.S.A. and Japan. The findings of this analysis show that most of companies are confused with the definition and exact usage of mission, vision and similar components of management philosophy. And the fidelity of Korean company's philosophy was rated lower than two other countries.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basic research on the management philosophy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food service industry,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how this management philosophy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from the CEO to the part-timers, and how an effect on the management efficiency, brand recognition of customer and job satisfaction of the employees.

      • 공공부문 경영평가시스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행정안전부 소속 일반기관 및 공공기관(공기업/준정부기관) 경영평가제도를 중심으로

        이경행 한양사이버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47

        이 연구는 2011년에 도입된 행정안전부 소속 일반기관에 대한 경영평가시스템 으로써 성공적으로 정착을 위한 바람직한 제도적 발전방향을 도출하고자 최대유사체계분석모형을 통해 공공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의 적용을 받는 기획재정부의 공공기관 경영평가제도와의 비교분석을 수행하여 제도 간의 체계적 유사성과 상이성을 분석하여 제도운영상 쟁점 및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법률체계의 도입목적(x11), 경영평가 추진절차(x21), 기구․조직 변수(x22) 중 총괄행정기관 및 경영평가단, 경영평가유형(x32), 평가부문(x33) 및 지표체계(x34)가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최대유사측면에서 유사성을 도출하였다. 반면 법률체계의 주요규정(x12) 및 평가단 근거(x13), 관리체계의 기구․조직에 있어서의 의결기구, 평가대상기관(x31) 및 후속조치적용(x35)에 있어서는 상이성을 보이는 변수로 판명 되었는 바, 이는 결론적으로 행정안전부 소속기관에 대한 경영평가 제도가 충분한 제도도입에 대한 논의없이 비법규적 성격을 가지고 도입 시행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결과라 해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행정안전부 소속 일반기관에 대한 경영평가가 제도로서 성공적으로 정착을 하기 위해서 의무적 실효성이 있는 법규조항 제정과 동시에 해당기관의 심의․의결기관에 처리할 수 있도록 기관의 자율과 책임의 권한위임 고려, 내․외부 전문가들로 구성된 독립적 심의․의결기관 구축, 평가체계의 합리성 제고를 위한 기관특성에 맞는 평가체계를 설계 및 성과관리체제 기반의 준비기간을 고려한 전년도 평가 주요사항 사전공지 등 전반적인 제도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정책 제언하였다.

      • 외식프랜차이즈 기업의 조직문화 유형이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박진표 한양사이버대학교 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내 외식프랜차이즈 산업에서의 시장경쟁 심화, 경영환경의 불확실성 등의 요인으로 외식프랜차이즈 기업이 경영성과를 지속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외식프랜차이즈 기업의 생존 및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해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과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문화의 중요성을 인식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외식프랜차이즈 기업에 확대 적용하여, 외식프랜차이즈 기업 조직구성원이 인식하는 조직문화 유형이 조직몰입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몰입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직문화의 유형을 Cameron & Quinn(2014)의 경쟁가치모형을 토대로 관계지향문화, 혁신지향문화, 위계지향문화, 과업지향문화로 선정하였고, 조직문화와 조직몰입, 조직문화와 고객지향성, 조직몰입과 고객지향성 간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수집은 국내의 다양한 외식프랜차이즈 기업에 재직 중인 조직구성원 3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25.0 for Window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프랜차이즈 기업의 조직문화가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의 검증결과, 조직문화 중에서 관계지향문화, 과업지향문화, 혁신지향문화는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위계지향문화는 부(-)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외식프랜차이즈 기업의 조직문화가 조직구성원의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의 검증결과, 조직문화 중에서 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가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외식프랜차이즈 기업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의 검증결과, 외식프랜차이즈 기업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은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프랜차이즈 기업의 조직문화는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과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외식프랜차이즈 기업의 경영자는 조직문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과 고객지향성을 극대화하는 조직문화를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외식프랜차이즈 기업의 조직문화가 관계지향문화일수록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에 가장 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외식프랜차이즈 기업의 경영자는 조직구성원 간의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협력적인 분위기를 만들어 가족적이고 인간미가 넘치는 조직문화를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외식프랜차이즈 기업의 조직문화가 위계지향문화일수록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외식프랜차이즈 기업의 경영자는 기업 내의 조직문화가 위계지향문화로 조성되었다면,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해 가족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고, 조직구성원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과업을 성취할 수 있도록 하며, 혁신적 변화를 추구하는 조직문화로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조직문화의 하위 요인 중에서 혁신지향문화가 외식프랜차이즈 기업 조직구성원의 고객지향성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혁신지향문화는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혁신지향문화는 외식프랜차이즈 기업이 구축해야 할 조직문화라고 볼 수 있으며, 외식프랜차이즈 기업의 경영자는 변화와 혁신을 중시하는 혁신지향문화를 구축하여 조직구성원이 조직에 몰입하고 고객지향성을 높일 수 있는 환경조성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다섯째, 외식프랜차이즈 기업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이 높아질수록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외식프랜차이즈 기업의 경영자는 끊임없이 직원의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는 조직문화 구축이 필요하다.

      • 병원복합문화공간의 유형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형익 한양사이버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의료경영과 관광 분야의 전통적인 마케팅 전략은 대형시설과 첨단 의료장비 등 물리적인 자산과 함께 다양한 의료상품, 우수인력 등을 활용하는 기능적 차별화가 중심이 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격심한 경쟁 상황 속에서 병원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병원은 새로운 형태의 가치를 통해 고객을 지속적으로 감동시켜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최근 병원은 복합문화공간을 시설의 일부로 만들어 새로운 가치를 제공해 주고 있다. 복합문화공간의 유용성과 효과는 이미 유통매장을 통해 나타나고 있다. 유통매장에 설치되어 있는 복합문화공간은 고객들에게 문화 체험을 제공함으로써 브랜드와 고객 간에 좋은 관계를 형성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병원 시설의 일부 장소에 설치된 병원의 복합문화공간 역시 기존의 방문객들에게 다양한 형태의 문화 및 예술적 체험을 제공해 줌으로써 병원의 이미지를 높이는 역할을 하고 있다. 국내외 사례를 분석해 보면, 병원의 복합문화공간은 전시공간 공연공간, 체험공간 등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전시공간은 예술작품의 정적인 전시를 위주로 하는 공간이며, 공연공간은 콘서트나 연극을 제공할 수 있다. 체험공간은 고객이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형태의 병원복합문화공간이 소비자 태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총 2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복합문화공간 유형이 독립변수로 선정되었고, 엔터테인먼트체험, 교육적 체험, 장소애착, 쾌적성, 공감성 및 만족도는 종속변수로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병원복합문화공간의 3가지 유형 간에 엔터테인먼트체험, 교육적 체험, 장소애착, 쾌적성, 공감성 수준이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공감성과 교육적 체험이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수로 나타났다. 교육적 체험에 있어서는 체험공간형이 전시공간형이나, 공연공간형보다 교육적 체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감성에서는 3가지 유형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가 시사하는 점은 전통적인 병원마케팅이 의료시설과 우수한 장비 등 기능적 측면에 중점을 두었다면, 앞으로의 마케팅은 복합문화공간과 같은 심리적, 문화적 측면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복합문화공간은 유형에 관계없이 고객들에게 공감성을 주어 만족도를 높여주게 된다. 또한 교육적 체험을 높여서도 만족도를 높이게 되는 데, 교육적 체험은 체험공간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 공감성은 환자나 방문객 등이 병원에 대해 자신들을 위해 배려하고 있다는 느낌을 갖게 되는 것을 말 하는 데 병원이 제공하는 문화의 수준에 따라 이러한 감정이 높아지게 된다. 본 연구는 병원의 복합문화공간이 병원마케터들에게 효과적인 의료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실무적인 지침을 제공해 주고, 이론적으로는 병원마케팅과 관련한 소비자 이론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

      • 방송환경 변화에 따른 글로벌 방송장비 시장 진출 전략

        이선우 한양사이버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ABSTRACT Through the appearance of various new broadcasting services including 3D broadcasting in 2010 South African World Cup and UHDTV relay broadcasting in 2012 London Olympics along with the global digital switchover issue, global world market of broadcasting equipments is expected to grow average 6.7% annually and related sales will reach up to 55.8 billion dollars in 2018. But current market share of our country in global market is just 1%. Broadcasting equipments industry is a high value-added industry which requires high degree of stability and credibility with integrated original technology and knowhow, and therefore the industry has been dominated by the few global companies for a long time and the market is already monopolized by the few. In local market, most local big enterprises already withdrew from this industry and only a few small and medium venture companies have been barely surviving in peripheral equipments not in core broadcasting equipments. But, current changes of broadcasting paradigm like appearance of new broadcasting services which are resulting from digital switchover and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provide new opportunities to our country which is IT power country in the world. Some companies are actively advancing not only in local market but also to global market based on their excellent IT technology and product competitiveness. Recently, some local made broadcasting equipments which are developed by local small and medium companies are replacing foreign made equipments in local broadcasting equipments market. Additionally in global market, technologies of various domestic equipments including broadcasting monitors, character generator and broadcasting delivery equipments are acknowledged by foreign buyers and local companies are actively penetrating into the global market. For the vitalization of local broadcasting equipments market and advance to global market, this shows a good possibility that our local companies can enter into a niche market and succeed in global market if they hav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to overcome the entry barrier in the early stage. And therefore, in order to preoccupy in global broadcasting equipments market which is growing very fast in rapid changing broadcasting environments, mutual cooperation relationships between manufacturers, government and broadcasting companies should be maintained,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should be secured and various strategies are required including strengthening of brand recognition, global marketing supports and joint A/S system etc. Key words : broadcasting environment, digital broadcasting switchover, broadcasting equipment, global market 국문 요약 전 세계적인 디지털 전환 이슈와 더불어 2010년 남아공 월드컵에서는 3D방송, 2012 런던 올림픽에서는 UHDTV 중계방송을 시범적으로 실시하는 등 신규방송 서비스의 등장으로 세계 방송장비 시장은 연평균 6.7%씩 성장해 2018년에는 558억 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세계 방송장비 시장 점유율은 겨우 1% 남짓에 불과하다. 방송장비 산업은 고도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요구하는 원천기술 및 노하우가 집중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소수 글로벌 기업에 의한 방송장비 시장의 독과점 구조가 고착화 된지 오래이며, 국내에서는 대기업들이 방송장비 산업에서 대부분 철수하였고 몇몇 중소 벤처기업 위주로 핵심 방송장비가 아닌 주변 장비시장에서 어렵게 명맥을 유지해 오고 있다. 하지만 디지털 전환과 방통융합에 따른 신규 방송서비스의 출현 등 방송 패러다임의 변화는 IT강국인 우리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일부 기업들은 뛰어난 IT기술을 기반으로 제품 경쟁력을 확보하고 국내시장은 물론 글로벌 시장 진출에 적극 나서고 있다. 최근 국내 중소기업들이 개발한 몇몇 방송장비들이 국내 방송장비 시장에서 속속 외산장비를 대체하기 시작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방송용 모니터와 문자 발생기, 그리고 송출장비 등이 기술력을 인정받아 해외시장 진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국내 방송장비 산업 활성화와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초기의 시장진입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기술 경쟁력을 갖춘 제품으로 틈새시장에 진출한다면 가능성은 충분함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따라서 급격하게 변화하는 방송환경 속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글로벌 방송장비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제조업체와 정부, 방송사 등 관련단체가 상호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기술 경쟁력 높이고, 브랜드 인지도 강화와 글로벌 마케팅 지원, 공동 A/S 체계 마련 등의 전략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단기적으로는 국내 방송장비 산업 발전은 물론 장기적으로는 글로벌 시장 확대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