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외상으로 인한 엽성 기관지파열: 수술1 예

        이진명,신제균,김삼현,Lee, Jin-Myeong,Sin, Je-Gyun,Kim, Sam-Hyeon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1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24 No.3

        The tracheobronchial rupture from blunt trauma is an uncommon injury with a variety of clinical presentations. Most of traumatic tracheobronchial tears occur within 2.5cm of the tracheal carina; lobar or segmental bronchi are rarely affected. Recently we experienced one case of traumatic rupture of right middle lobar bronchus in a patient who had fallen from a bicycle. Bronchoscopy showed linear disruption of the right middle lobe bronchus at its bifurcation site. Emergency right middle lobectomy was performed. The patient was recovered without any sequelae.

      • SCOPUSKCI등재

        절제된$N_2$ 폐암환자의 생존율 분석

        이진명,박승일,손광현,Lee, Jin-Myeong,Park, Seung-Il,Son, Gwang-Hyeon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3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26 No.12

        Mediastinal lymph node involvement [N2 disease] is generally accepted a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outcome of patients with lung cancer.The long-term survival rates of completely resected patients with N2 disease are frequently reported from 15% to 30%.To improve the management and the outcome of patients with resectable N2 disease, we analyzed the survival rates and the prognostic factors for resected N2 lung cancer. Between August 1989 and September 1993, we experienced 27 patients with N2 disease of 115 surgically treated lung cancer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Asan Medical Center, Ulsan University Medical School. Of these 27 N2 disease 4 had only an exploratory thoracotomy, and 23 underwent pulmonary resection by pneumonectomy[15], bilobectomy[3], lobectomy[4] and sleeve lobectomy[1].All of resected 23 patients received postoperative adjuvant chemotherapy[3], radiotherapy[2] or combined chemo-radiotherapy[18].Complete follow-up was obtained in 23 patients and median survival was 22 months and overall 1-year and 2-year survival rates by Kaplan-Meir method were 65 % and 45 %, respectively. Survival differences according to histology, tumor location, number of positive nodal station and operative method we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Conclusively, we think that in resectable N2 lung cancer, complete tumor resection and mediastinal lymph node dissection, and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should be done to improve the survival.

      • KCI등재

        지각된 위험과 소비자 특성이 외식소비자의 기술기반 셀프서비스(TBSS)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진명 ( Lee Jin-myong ),심민용 ( Sim Minyong ),강명수 ( Kang Myeongsu ),강효경 ( Kang Hyogyeong ),장진아 ( Jang Jina ),김다영 ( Kim Dayoung ) 한국소비자학회 2019 소비자학연구 Vol.30 No.1

        기술기반 셀프서비스(Technology-based Self Service; TBSS)의 활용범위가 넓어지며 소매유통을 비롯한 서비스업계 전반에 무인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TBSS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을 탐색하고, 지각된 위험과 기술에 대한 소비자 특성으로서의 혁신성과 자기효능감이 TBSS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외식업체에서 무인주문기기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일반 소비자 1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지각된 위험의 양상과 하위요인을 탐색하고, 정성조사 결과와 문헌고찰을 토대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개발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총 343명의 응답 자료를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TBSS 이용에 있어서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위험은 시간 위험, 프라이버시 위험, 기능 위험, 서비스 위험, 인간가치상실 위험의 다섯 가지 하위차원으로 분류되었고, 이중 시간 위험과 기능 위험을 상대적으로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중회귀분석 결과, 기능 위험, 서비스 위험, 인간가치상실 위험은 외식소비자의 TBSS 지속이용의도에 유의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소비자의 혁신성과 자기효능감은 TBSS 지속이용의도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시간 위험과 프라이버시 위험의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외식업체를 비롯하여 TBSS 적용을 검토하는 산업계에 유용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며, 기술과 소비자 간 상호보완적 관계의 형성과 발전의 필요성을 논의한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The growth in self service options based on technology has been remarkable. Service providers, including restaurants, are rapidly employing various kinds of technologies to encourage consumers to perform services for themselv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ether today's consumers are ready to embrace technology-based self-service (TBSS) wholeheartedly.This study aims to explore consumers’ perceived risk of TBS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ceived risk, consumer innovativeness and self-efficacy on the intention to use TBSS continuously. For this purpose, we designed a study combin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Firstly, we explored sub-factors of consumers' perceived risk to TBSS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17 general consumers who have used self service ordering system in restaurants. Second, online survey was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s developed on the basis of qualitative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A total of 343 samples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software.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risks of consumers in TBSS use were classified into five sub-factors: time risk, privacy risk, functional risk, interaction risk, and loss of humanity risk. Among them, time risk and functional risk were perceived relatively high.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functional risk(β=-.101), interaction risk(β=-.164), and loss of humanity(β=-.186) ha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intention to use TBSS continuously. While, consumers' innovativeness(β=.104) and self-efficacy (β=.376)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TBSS continuously. The influence of time risk and privacy risk was not significant.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service practitioners considering or planning the application of TBSS including restaurants. In addition, this study has an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discusses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and mutual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consumer.

      • KCI등재

        노인소비자의 디지털 서비스 활용 유형 연구: 인터넷 이용자를 중심으로

        이진명 ( Lee¸ Jin-myong ),김수연 ( Kim¸ Suyeon ),백지연 ( Baek¸ Jiyeon ),양재민 ( Yang¸ Jaemin ),임정 ( Lim¸ Jeong ),장혜원 ( Jang¸ Hye-won ) 한국소비자학회 2021 소비자학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디지털 사회를 살아가는 주요 소비자집단으로서 노인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사용확산모형을 기반으로 디지털 서비스 활용에 따라 노인소비자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노인소비자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유형별 맞춤화된 교육적, 실무적 제언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인터넷 접근성이 확보된 60대 이상의 노인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311명의 유효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K-평균 군집분석,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분산분석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디지털 서비스에 대한 사용량과 사용다양성을 기준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열성적 활용형(29.9%)’, ‘관계중심 활용형(27.3%)’, ‘기능중심 활용형(25.1%)’, ‘제한적 활용형(17.7%)’의 네 가지 노인소비자 유형이 도출되었다. 사용확산의 선행변수인 정보 자기효능감, 정보 활용의지,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노인소비자의 디지털 서비스 활용 유형에 미치는 영향력 및 유형별 사용확산의 결과변수인 삶의 만족도, 디지털소비환경 성숙도, 기술스트레스, 정보기술 소외감의 유의한 차이가 규명되었다. ‘열성적 활용형’은 디지털 서비스를 통해 정보를 능동적으로 탐색하고 이용하는 얼리어답터의 성향이 강하므로 이들의 의견을 반영한 노인특화 서비스의 개발이 요구되며, ‘관계중심 활용형’은 인간관계를 유지하고 확장하기 위해 디지털 서비스를 이용하는 ‘인사이더’ 집단으로서 실질적인 업무를 처리하고 생활편의서비스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능중심 활용형’은 정보 효능감이 높은 비교적 젊은 노인들로서 정서적, 관계지향적 속성의 디지털 서비스 활용을 촉진하여 삶의 만족이 높아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제한적 활용형’은 소비자정책과 교육의 측면에서 표적 집단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들이 소외감을 느끼지 않도록 정보화 역량과 의지를 높이는 교육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노인소비자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확산모형을 적용함으로써 인터넷에의 접근격차가 해소된 노인소비자들의 다양한 디지털 서비스 활용패턴을 파악하고 그 특징과 맞춤화된 전략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실무적,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the elderly as a major consumer group in the digital society, and classified the types of elderly consumers according to the digital service use pattern based on the use-diffusion model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by type. Through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consumers and to derive customized educational and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each type of elderly consumers. Elderly consumers over 60 who can access the Internet were selected as a sample, and data of 311 elderly consumers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analysis, K-means cluster analysis,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ANOVA using the SPSS 26.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amount and diversity of digital service use, four types of elderly consumers were derived: enthusiastic use group (29.9%), relationship-oriented use group (27.3%), function-oriented use group (25.1%), limited use group (17.7%). The influence of the preceding variables such as self-efficacy of information, willingness to use information,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the types of elderly consumers was identified. In addition,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digital consumption environment maturity, technology stress, and information technology alienation, which are the outcome variables for each elderly consumer type, were analyzed. Enthusiastic use group tends to be an early adopter who actively searches and uses information through digital services, so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services for the elderly that reflects their opinions is required. Function-oriented use group is a relatively young senior with high information efficacy, and should promote the use of emotional and relationship-oriented digital services to increase their satisfaction in life. For the relationship-oriented use group,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information capabilities so that they can actively use digital services to process practical tasks and increase the convenience of life. Limited use group is a group with low income and education level and high age, and is the group that should focus most in terms of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The limited use group is the group with low income and education level, high age, and the lowest information efficacy and willingness to use. 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by low life satisfaction and feeling alienated from information technolog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cus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on this group to raise positive awareness of technology and provide education to enhance practical digital service utilization abil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tegorizes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use of digital services and presents their characteristics and customized strategies, rather than simply viewing the elderly as information vulnerable groups.

      • KCI등재
      • KCI등재

        스마트워치에 대한 소비자의 혁신저항과 수용의도: 효용·비용 인식에 따른 소비자유형을 중심으로

        이진명 ( Jin-myong Lee ),박서니 ( Sunny Park ),나종연 ( Jong-youn Rha ) 한국소비자학회 2017 소비자학연구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워치의 효용·비용 요인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소비자집단을 유형화하고, 소비자유형별 선행변수 및 결과변수의 차이를 분석하고, 스마트워치에 대한 소비자의 혁신저항과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20대에서 40대 소비자 총 528명의 응답 자료를 군집분석, 분산분석, 중회귀분석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워치 인식에 따라 소비자집단을 유형화한 결과 무관심형(12.7%), 효용중심형(40.7%), 비용중심형(23.1%), 양가형(23.5%)의 네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소비자유형 간 스마트워치효용과 비용에 대한 인식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유형별로 소득수준, 기술준비도, 성과모호성, 신제품 출현기대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결과변수인 혁신저항과 수용의도 또한 소비자유형별로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워치에 대한 소비자의 혁신저항과 수용의도에의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기술 혁신성과 신제품 출현기대는 혁신저항을 낮추고 수용의도는 높이며, 반대로 기술 불안감은 혁신저항을 유의하게 높이고 수용의도는 낮추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기술에 대한 불편감과 성과모호성은 수용의도를 높이지는 않으나 혁신저항을 유의하게 높이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효용중심형에 비해 무관심형과 비용중심형의 혁신저항이 유의하게 높고 수용의도는 유의하게 낮았다. 양가형의 수용의도가 효용중심형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스마트워치의 잠재 수용자로서 양가형 소비자 집단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스마트워치에 대한 소비자의 긍정적 반응뿐만 아니라 비용 인식, 혁신저항과 같은 부정적 반응을 파악하고 관련 변인들을 이해하는 것을 통해 기술과 소비자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확장하는 것은 물론, 산업적 측면에서 혁신제품의 잠재적 소비자와 세분시장을 이해하는데 기여한다. Smartwatch has received much attention as an innovative new product that connects the next generation of smart phones. This optimistic prospect is still valid, but consumers’ responses to smartwatch are quite different from market expectations. This study amis 1) to derive consumer types based on the perception of benefits and costs of smartwatch, 2) to analyze the differences among consumer types, and 3)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consumers’ resistance and intention to adopt smartwatches. For this purpose, data was collected using a self-administrated online survey of 528 consumers and analyzed the data through k-means cluster analysis,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identified four distinctive consumer types according to the levels of perceived benefits and costs of smartwatch: ‘Indifferent type’(12.7%), ‘cost-centered type’(23.1%), ‘benefit-centered type’(40.7%), and ‘Ambivalent type’(23.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martwatch benefits and costs perception among the consumer types. Second, antecedent variables including income level, technology readiness (TR), performance ambiguity, and expectation of new product emergence among consumer types were all significantly different. The perception of four sub-dimensions of TR was lowest in the indifferent type and the highest in the ambivalent type. Comparing the cost-centered type with the benefit-centered type, the innovativeness was high in the benefit-centered type, and the discomfort and anxiety were high in the cost-centered type. The performance ambiguity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benefit-centered type than in the other three types, and the expectation of new product emergence was the lowest in the indifferent type and the highest in the ambivalent type.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innovation resistance and intention to adopt smartwatch by consumer type. The ambivalent type, which perceives both the benefits and the costs of smartwatch as high, showed low innovation resistance and the highest intention to adopt smartwatch. Fourth, us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identified variables that impact the consumers’ innovation resistance and intention to adopt smartwatch. Consumers’ innovativeness and expectation of new product emergence influenced innovation resistance negatively but influenced intention to adopt smartwatch positively. On other hand, technology anxiety influenced innovation resistance positively but influenced intention to adopt smartwatch negatively. Technology discomfort and performance ambiguity only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ffected consumer resistance to smartwatch. The intention to adopt smartwatch of the ambivalent typ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benefit-centered type,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ambivalent consumer group as potential user of smartwatch.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tudies in that it analyzes not only consumers’ positive responses to smartwatch such as perceived benefits and adoption but also negative responses such as perceived costs and innovation resistance, and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ntecedent and outcome variables. This study ha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erms of expanding the discussion on technology and consumers, and h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contributing to the understanding of potential consumers and subdivision markets of innovative products including smartwatch.

      • KCI등재후보

        한국국제정치학의 연구질문과 방법론의 발전

        이진명 ( Jin Myoung Lee ) 비교민주주의연구센터(비교민주주의학회) 2015 비교민주주의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한국국제정치학에서 방법론적 발전은 연구질문의 정체성을 확보함으로서만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가정 하에 본 연구는 먼저, 2004-13년 동안 국제정치논총에 게재된 논문들의 방법론 적용실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절대다수의 연구들이 국제정치현상이라기 보다는 각국 정치론에 대한 단일사례분석에 치중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한국이 당면한 국제정치현상 가운데 본질적 문제라고할 세력균형논리와 경제적 상호의존에 대한 선행문헌을 분석한 결과, 한국과 동북아를 직접적 연구대상으로 한 실증분석은 거의 드물고, 서구연구결과가 여과 없이 적용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방법론의 발전 또는 변화는 연구 질문의 변화 없이 불가능하고 또한 요구되지도 않는다. 현실이 요구하는 연구 질문을 이론적으로 실질적으로 면밀히 분석하고자 할 때 방법론 적용의 변화가 가능하다고 할것이다. This paper argues that the methodological development in Korean internatioal relations studies is likely by ensuring identity of research question. Based on this hypothesis, this paper first investigates the empirical pattern on the methodology applied in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during the period, 2004-2013 under analysis. I have found that the absolute majority of studies heavily rely on the single case study on domestic affairs of other countries rather international affairs. In addition, as most imminent research puzzles that are asked to be addressed by Korean scholars, I selected the balance of power and liberal peace hypotheses and analyzed them. The findings show that it is very rare to empirically examine those hypotheses on Northeast Asia. In stea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o Western countries are explicitly or implicitly applied to explain Korean international phenomena. In conclusion, to witness the methodological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attempt to address research questions unique for Korea, no matter how difficult those are.

      • KCI등재

        인공지능 스피커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수용의도: 비수용자를 중심으로

        이진명 ( Lee Jin-myong ),정민지 ( Jung Minji ),이주래 ( Lee Jurae ),김예은 ( Kim Ye-eun ),안치연 ( An Chiyeon ) 한국소비자학회 2019 소비자학연구 Vol.3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 스피커의 기능과 속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일반적 인식을 탐색하고, 인공지능 스피커의 특성 변인과 직간접적 네트워크 외부성 변인이 소비자의 인공지능 스피커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는 것이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인공지능 스피커를 알고 있으나 현재 사용하지 않고 있는 비수용자 35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지능 스피커에 대한 소비자의 일반적 인식을 조사한 결과, 소비자들은 인공지능 스피커의 다양한 속성 중 음성인식을 가장 중요하게 지각하였고, 음악 듣기와 같은 단순한 기능을 유용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공지능 스피커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스마트폰, 인간 비서, 스마트홈 기기 등을 떠올렸다. 둘째, 제품 특성과 네트워크 외부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소비자들은 인공지능 스피커의 특성 중 편리성을 가장 높게 지각하며 그다음은 오락성, 지능성, 공감성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인공지능 스피커의 사용자 수가 많다고 여기지는 않으나 다른 기기와의 호환성은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제품 특성과 네트워크 외부성 요인이 인공지능 스피커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회귀분석 결과, 인공지능 스피커의 특성인 편리성, 지능성, 오락성, 공감성과 직간접적 네트워크 외부성 요인인 사용자 수, 호환성 지각이 소비자의 수용의도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스피커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반응에 대한 이해를 증진함으로써 관련 연구를 확장하는데 기여하며, 인공지능과 같이 혁신적 기술을 활용하는 산업계에 유용한 마케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Many global IT companies such as Google, Apple, and Samsung are fiercely competing for the advancemen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t (AI) speaker mark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onsumers' general perception of AI speaker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duct characteristics and network external factors on consumers' intention to adopt AI speaker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354 non-users of the AI speak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4.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sumers perceived voice recognition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attributes of AI speakers. Smart phones, human secretaries, and smart home devices are perceived as the most similar to AI speakers. Second, consumers perceived convenience of AI speaker as the highest, followed by entertainment, intelligence and empathy. Consumers do not currently think that the number of users of AI speakers is high, but they are aware of high compatibility between AI speakers and other devices.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ll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in the study model, convenience, intelligence, entertainment, empathy, number of users, and compati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s' adoption intention of AI speaker. This study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related research by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consumers' perceptions and responses to AI speakers, and provides useful marketing implications for industries using innovative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