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웃는 선생님(laughing teacher)’: 유아교사의 실존과 웃음에 관한 연구

        이조은,김태경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laugh from anexistentialist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interviews with three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the interviews, data regarding those teachers' laughter experiences were obtained, and the meaning of the data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teachers surveyed here responded that they find the meaning of their existence in children they teach and the children make them laugh. The respondents also said that they share emotions and sympathy with the children through true exchanges and relationships. In addition, the teachers admitted that they can laugh bigger and louder as they get more comfortable with being a professional or when they feel truly pure innocence from younger children. In sum, this study examine from anexistentialist perspective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discover and develop themselves in a climate in which laughter mediates between them and their students. Since there are inseparable relations between the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students and interdependence between educational climates and practices, it is valuable that the study analyzed those teachers' perceived meaning of their being and their life as teachers who laugh together with their students.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웃음, 그리고 그에 담긴 교사의 실존적 의미를 탐색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세 명의 교사를 연구참여자로 하여 일대일 면담을 실시했으며, 유아교사들의 경험하는 웃음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교사들은 아이들의 존재 속에서 자신의 존재 의미를 찾으며 아이들 때문에 웃을 수 있다고 이야기하였으며, 아이들과의 진정한 만남과 관계 속에서 서로의 감정을 공유하고 공명을 이루어가고 있었다. 더불어, 이러한 교사로서의 웃음은 되어감의 과정 속에서 여유가 쌓이면서, 또는 더 어린 연령의 영아들과 함께했을 때 느끼는 순수함 가운데 감성에 귀 기울이게 되면서, 보다 크게 느끼게 된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웃음을 매개로 교사와 유아가 관계 맺는 가운데 형성된 교육적 분위기 속에서 교사들이 어떻게 자신의 존재를 발견해가고 주체적으로 자리매김해 가는지 존재론적 맥락에서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유아의 행복이 교사의 행복과 무관할 수 없다는 점, 교육적 분위기가 교육의 실제와 연결된다는 점에서 교사로서의 존재의 의미를 발견하고 아이들과 함께 ‘웃는 선생님’의 삶을 탐색해본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중 전래동화 그림책에 나타난 생태적 의미 탐색: 한국의 『견우직녀』와 중국의 『우랑직녀』를 중심으로

        이조은,조희숙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7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de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picturebooks of Korean and Chinese traditional fairy tales from the perspective of ecology.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d Korean and Chinese picturebooks, respectively 『Gyonu and Jingnyo』and『Urang and Jingnyo』, both of which are traditional narratives about Gyonu and Jingnyo, from which the customs of Chilseok originated. As results, we found that the two picturebooks are similar to each other since both of them imply three aspects of life. Of the three, the first is relationships where people get along with not only others, but also communities, the second is circulation where there are interactions and links between people, nature and animals and the third, diversity where all living things are recognized and respected as what they are. However, we also found that the two picturebook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erms of how their stories are developed and how their texts and images are depicted.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how picturebooks of traditional fairy tales are applicable to developing children’s ecological sensitivity, restoring not individual-, but community-oriented relationships and making realized the right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는 한국의 『견우직녀』와 중국의 『우랑직녀』를 중심으로, 한국과 중국의 전래동화 그림책을 생태적으로 읽고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칠석의 풍속에 관한 견우직녀 설화를 주제로 한 중국과 한국의 전래동화 그림책을 각각 한 권씩 연구도구로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두 그림책에서는 첫째, 사람과 사람, 사회가 어우러져 함께 살아가는 생명의 관계성, 둘째, 사람이 자연, 동물과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며 삶의 고리를 맺는 생명의 순환성, 셋째, 하나하나의 생명들이 살아있는 존재로 인정받고 존중받는 생명의 다양성의 측면을 공통적으로 찾아볼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구체적인 내용은 두 그림책의 이야기 전개와 텍스트 및 그림 묘사에서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아이들의 생태적 감수성을 계발하고 개인보다는 공동체 중심의 관계성 회복을 위해 나아가는 유아교육의 방향성을 깨닫게 할 수 있는 매체로서 전래동화 그림책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Kristeva의 시선으로 유아 내러티브 새롭게 바라보기

        이조은,조희숙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Julia Kristeva’s approach to texts, ultimately providing a new framework based on that approach for understanding young children’s narratives. For this purpose, above all, the study tries to get an understanding of Kristeva’s theory by identifying her thoughts and view of text itself, especially focusing on ideas found in that theory. Based on that understanding,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things that are possible to young children’s narratives provided they are in association with Kristeva’s text theory. First, young children should be as ‘speaking subjectivity’ themselves. Second, young children’s narratives can be viewed and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genotext’. Third, Young children’s narratives should be approached in a way as focusing how those narratives develop a harmony of phenotext and genotext into generating meanings. Through these moves, consequently, this study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helping to understand young children’s narratives in a different, comprehensive way based on Kristeva’s perspective and for viewing young children as those who are competent enough to freely create a poetic language beyond the conventional language system and develop the meaning-making process. 본 연구는 Julia Kristeva가 다루는 텍스트에 대한 관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유아 내러티브를 이해하는 새로운 틀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먼저, Kristeva의 이론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그녀의 이론에서 주요한 개념들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그녀가 텍스트에 대해 가지고 있는 생각과 관점들을 정리하였다. 이를 토대로, Kristeva의 텍스트론과 연관 지어 도출할 수 있는 유아 내러티브에 대한 새로운 적용 가능성을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첫째, 유아들을 말하는 주체로서 인정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유아 내러티브를 발생텍스트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이해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셋째, 현상텍스트와 발생텍스트라는 두 유형의 조화로운 발현을 통하여 유아의 내러티브가 의미를 생성해나가는 데 초점을 맞추는 관점의 전환이 필요함을 이야기하였다. 이를 통하여, Kristeva의 관점을 토대로 유아 내러티브에 대한 새롭고 폭넓은 이해는 물론, 기존의 언어 체계를 벗어나 자유롭게 시적언어를 창출해내고 의미 생성의 과정을 이루어나가는 역량 있는 존재로서 유아를 바라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