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캐나다 교육에서의 인종문제

        이제봉(jebong lee) 한국비교교육학회 1998 比較敎育硏究 Vol.8 No.1

        This paper analyzes some complex consequences of racism in Canadian education, and introduces multicultural model and anti-racism education as the institutional responses to racism. The manifestations of racism are illustrated by examining the components of the educational system. This study shows how racism is woven into the formal curriculum and influences the ways in which knowledge is structured, valued,' and transmitted. Examples of bias in curriculum content are provided to show how teaching materials and subject matter can minimize the contributions of racial minorities. The importance of the hidden curriculum is also noted in creating a negative and hostile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 for students of colour. Racism in the schools is reflected in the ethnocentric attitudes, assumptions, and practices of White teachers and other educators who fail to acknowledge their own racial biases. The evidence of racism in educational institutions is demonstrated by the failure of boards and schools to develop an inclusive and equitable relationship with racial-minority parents and communities. As institutional responses to racism, muticultural education and anti-racism model have been developed. Multiculturalism, as government policy and later as legislation, provided the moral and empirical foundation on which to move away from the monocultural orientation. Many school boards graduaIIy developed policies, programs, and practices intended to create a learning environment that respected the cultures of all students. Initiatives were introduced that focussed on the histories, traditions, and lifestyles of diverse cultures. Cultural pluralism, or muticultural education in its most effective expression, acknowledged the reality of diversity in Canadian society and aimed to produce students who were more tolerant, respectful, and understanding of cultural differences. The central thrust of anti-racism education, is to change institutional and organizational policies and practices that have a discriminatory impact and to change individual attitudes and behaviors that reinforce racial bias and inequality. It has motivated some boards of education to develop new policies and has acted as a catalyst for the gradual introduction of various initiatives, including the training of educators in anti-racism reviews of personnel practices an analysis of assessment and placement procedures the introduction of employment equity strategies a review of curriculum materials to identify for racial bias, and the development of anti-racism curriculum resources and strategies.

      • KCI등재

        대학생 기초학력 증진방안에 관한 연구 - 미국 대학교육의 준비성 모형 중심으로

        이제봉(Jebong Lee) 한국비교교육학회 2007 比較敎育硏究 Vol.17 No.1

          이 글의 목적은 미국대학에서 활용되고 있는 대학교육의 준비성모형을 분석하고, 대학생학력증진방안 및 신입생적응프로그램을 조사하는 것이다. 준비성모형은 대학에 입학하는 학생들의 기초학력을 증진시키고 적응을 돕기 위하여 고안된 교육 수준 결정모형이다. 대학교육의 준비성은 학습능력 요인과 환경요인으로 구분된다. 세부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다양한 평가도구가 이용되며, 평가과정이 끝나면 대학생의 준비성에 적합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예비교육프로그램, 학습센터 운영, 개별교습 및 동료협력 프로그램, 보충강좌 및 조기경보제도, 학습공동체 운영 등은 학생들의 기초학력을 향상시키고, 대학에서의 적응을 돕게 하기위해 대학이 고안해낸 학습능력증진 프로그램들이다. 이러한 미국대학들의 노력은 학생들의 기초학력저하 문제를 안고 있는 우리 대학교육에 여러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adiness model for higher education, and examine the programs to promote the academic performance of college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This essays also find some suggestions and possibilities to help the college students in Korea by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the American colleges. The readiness model consists of "academic abilities" and "complexities of learning environment." By formulating the models, the different cares and services can be provided to college students. Many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Korea have had some problems to help unprepared students for college-level education. The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also sought a variety of academic programs to enhance the academic abilities of their students. The readiness models and the related academic programs of the Americanigher education might be helpful to find and develop the programs to promote the academic readiness of college students.

      • KCI등재

        Globalization and State's Role in Education: Meaning of Globalization in Korea

        이제봉(Jebong Lee) 한국비교교육학회 2010 比較敎育硏究 Vol.20 No.3

        이 글의 목적은 한국적 맥락에서 교육부문에 나타나는 세계화과정과 국가역할의 관계를 탐색해 보는 것이다. 특히 한국사회에서 나타나는 세계화의 의미를 파악하고, 그것이 한국의 교육적 상황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전개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1990년대 중반이후부터 한국사회는 국내 정치적으로 형식적 민주화 과정이 진행되고, 대외 경제적으로 신자유주의 세계화 동형화 과정에 편입되면서 발전주의 국가에서 한국형 신자유주의 국가로의 전환과정을 거친다. 과거 발전주의 국가에서의 교육정책의 주요 역할 중 하나가 산업화와 경제성장을 위한 것이었다면, 세계화 시대의 정부의 교육정책의 목표는 생존전략, 국제 경쟁력의 확보였다. 비록 정부의 교육발전 전략이 서구의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의 용어와 아이디어를 차용하고 있다하더라도, 그것은 한국식 민족주의의 변형 및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략적 성격이 강하다. 또한 시민사회에서 나타나는 경제적 양극화와 교육불평등에 대한 반감, 반세계화 정서의 저변에는 강한 민족주의 정서가 자리 잡고 있다. 신자유주의 제도적 동형화 과정에서 한국 발전주의 국가가 신자유주의 국가로 전환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한국의 국가역할 전환과 세계화 과정에는 한국사회의 특수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한국식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을 이해하는 데에는 한국 발전주의 국가의 전환과정과 민족주의 이데올로기의 시대적 변형에 대한 세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This paper analyzes the meanings of globalization in Korea and state’s role in education for globalization. The Korea’s globalization is a state-initiated and nationalist response to outside pressure, rather than a fundamental paradigm shift, the civil participation, or a pluralist approach. Although the recent decade changes indicate that Korea is being globalized, the Korean response to globaization has been shaped by the ideology of ethnic nationalism. That is another version of age-old adage, “eastern spirit, western technology.” Although the government has proclaimed the globalized education, the underlying ideology of Korea’s globalization is nationalism, which means “the national identity should be consolidated.” The state’s strategies of educational reform have been a tactical use of western-neoliberal reform and a strategic transform of nationalism for survival. Despites strong ethnic nationalism, as a long-term view, the globalization will transform the Korean education into more global, multicultural, international, and plural one by internal politics and institutional ismorphism of global system.

      • KCI등재

        평등주의 교육의 한계 및 대안

        이제봉(Jebong Lee) 한국교육행정학회 2007 敎育行政學硏究 Vol.25 No.2

        평등주의 교육은 공교육의 기본이념을 사회적 평등의 실천으로 보며, 사회적 가치를 분배의 실현으로 파악하는 개념이다. 또한 사회적 유대감 형성, 위험으로부터 개인의 보호, 사회 안정 유지, 공공도덕의 실현으로 이해하기도 한다. 이런 점에서 근대교육 성립이후 평등주의 교육은 공교육의 주요 이념 중 하나가 되어왔다. 그러나 시대변화에 따라 평등주의 교육은 실효성 및 적합성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과다한 국가 개입, 불분명한 교육결과, 효율성 문제, 자율성 침해는 공교육 효용성 논쟁과 함께 평등주의 교육의 한계로 지적되는 내용이다. 이 글은 이러한 평등주의 교육의 한계점을 살펴보고, 시대변화에 따른 평등주의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여 보았다. This paper analyzes the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of egalitarian education. The notions of egalitarianism are linked with the role of the public education. It is also related with the notion of democracy, the role of welfare state, education as a basic human right, and contribution of social security and social solidarity. However, the notion of egalitarian education has been losing its efficacy as society has been rapidly changed. As the limitations of egalitarian education, this study points the strong intervention of state, excessive expense, restriction of school choice, and the infringement of school autonomy and diversity. These problems are also related with the historic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 stat"e and "strong state" of South Korea as well as egalitarian education. To recover the efficacy of egalitarian education, it should be changed into the limited role of state in education, enlargement of school choice, harmony with efficiency, and expansion of school autonomy and diversity.

      • KCI등재

        신자유주의 교육개혁과 학교선택제

        이제봉(Jebong Lee) 한국교육행정학회 2007 敎育行政學硏究 Vol.25 No.1

        이글의 목적은 미국의 학교선택제 실시과정에서 나타난 이데올로기 갈등과 문제점을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에 대한 서로 다른 입장차이가 학교선택제 실시과정에서 어떠한 논쟁과 갈등을 유발하였는가에 초점을 두었다.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을 찬성하는 측에서는 학교선택제가 공교육의 기존 문제점을 극복하고 학생들에게 교육기회를 확대하게 해줄 수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반대자들은 학교선택제의 확대는 공교육을 시장논리로 재편하고 기존 불평등은 더욱 심화시킬 것으로 본다. 아울러 시행과정에서 공립학교 역할, 교육불평등, 선택과 효율의 문제, 기술적 문제 등 여러 가지 중요한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갈등과 문제점 및 이를 해결하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학교선택제 확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우리나라 교육현실에 여러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nflicts and social issues in the process of newliberal educational reform in the united states. The analysis is in particular focused to the different views on school choice. The neoliberal educational reforms demand for privatization and the free-market paradigm. Within the neoliberal market metaphor, the state role is driven to the responsibilities of parents, students, and schools. While the supporters contend that the reforms could improve educational qualities of public schools by privatizing education, the critics argue that the creation of quasi-markets is likely to exacerbate existing inequalities. The supporters also believe that school choice can provide parents and students with more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could contribute to lessen the educational inequalities. Whereas, the critics note that school choice would lead to the move of children from the urban public schools to the schools of suburb area or private schools, and the public schools might be more deteriorated. These conflicts and experience provide Korean educators with some suggestions and reform idea.

      • KCI등재
      • KCI등재

        교육정책연구를 위한 시차적 접근 : 적용가능성 중심으로

        이제봉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2 교육과학연구 Vol.4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time-lag approach to educational policy studies. Main concepts of this theory, developed by Korean scholars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public policy, include the sequence of cause variances, maturation, internal and external congruence of reform, cognitive time-lag, and timing and speed of reform. The time-lag approach explains how the different sequence of policy variances causes varied results of reform. The time-lag approach could be used as a theoretical or practical approach to educational policy studies. The main concepts of the theory provide educational researchers and policymakers with an analytical framework for policy analysis. This approach is also helpful for considering educational values in educational policy-making processes. 이 글의 목적은 교육정책연구를 위한 시차적 접근의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국내 정책⋅행정학자들에 의하여 고안된 시차적 접근은 정책이 추진될 때 정책요소의 선후관계가 정책의 효과를 좌우한다고 보고, 정책요소의 시간적 순서차이가 정책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여러 개념을 통하여 설명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개혁의 방향과 속도, 선후관계, 작동순서, 작동시점의 변화, 변화지속의 시간적 차이, 숙성 기간, 인지상의 시차, 제도의 내외적 정합성 등에 관심을 둔다. 시차적 접근에서 개발된 주요 개념들은 교육정책연구를 위한 분석도구로 활용될 수있다. 개혁선행조건들의 시간적 배열, 작동순서에 따른 인과관계, 제도의 숙성기간, 정책참여자의 속성변화, 인지상의 시차와 같은 개념들은 교육정책의 실용적 방안을 발전시키는데 중요한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시차적 접근은 사회구성원의 다양한 교육적 가치를 동시에 충족시켜야 하거나 상반된 가치의 조화를 요구하는 교육정책의 가치실현방식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 한국의 국가적 특성과 교육

        이제봉 울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1 사회과학논집 Vol.11 No.2

        이 글은 한국 국가의 역할 변화와 교육적 변화의 관계를 분석한 글이다. 한국의 국가는 산업화 당시, 강한 국가 (strong state)와 개발국가 (developmental state)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사회로부터 국가의 상대적 자율성 (state autonomy)은 예외적으로 강하고, 경제에 대하여 강한 통제를 행사하는 형태였다. 특히 산업화과정에서 국가는 경제 성장에 주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는 시민 사회와 자본주의의 미발달과 깊은 관계가 있다. 교육도 이러한 국가의 역할모형에 따라 변화되어 왔다. 경제성장 정책에 적합한 인력양산과, 정치적 안정을 위한 이데올로기 정당화가 교육의 주요한 역할이 된다. 교육행정의 특징 역시, 사회에 대한 강력한 통제를 행사하는 강한 국가의 특성이 그대로 나타난다. 산업화가 어느 정도 완성단계에 이르자, 기존의 국가적 역할은 심한 도전을 받기 시작한다. 경제발전을 통하여 성장한 다양한 개인과 집단은 강한 국가와 개발국가의 특성과 역할에 대하여 도전하며 재정립을 요구한다. 경제부문에 대한 국가의 강한 통제는 더 이상 보호가 아닌 발전의 저해 요소로 인식되었고, 성장한 시민 사회의 다양한 개인과 집단은 정치적 민주화, 지방화, 경제적 자유 등을 요구하였다. 교육부문에서도 기존의 단일품종-대량생산 모형에 적합한 규격화되고 획일적인 교육내용과 통제 방식은 비판과 역할 수정을 직면하게 된다. 또한 자본주의 발달, 정보화, 국제화된 사회 환경은 기존의 교육내용과 학교 제도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게 된다. 그러나 1980년대 말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이러한 대내외적 변화와 도전에 잘 대처하지 못하는 국가의 역할혼란의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고 있는 듯하다. 그러한 원인은 제도화된 권위주의, 강한 국가의 전통인 중앙집권적 교육행정 체제의 잔존, 입시위주의 교육 풍토, 그리고 정치논리로의 교육정책의 접근 등으로 설명될 수 있다. This study is focused to the relations between the transition of the South Korean state and educational change. South Korea is widely known for having a exceptionally "strong state." For a capitalist society, the South Korean state possesses an unusual degree of autonomous power and maintains tight control over both the economy and society. The state clearly overpowers civil society with an impressive capacity to penetrate into society and mold the behavior of social groups and individuals. Another character of the South Korean state is its role in economic development as "a developmental state." During the late-industrialization period (1961-1980), the South Korean state played a major role in economic growth. Although it is true that all modern states intervene in economics in one way or another, the South Korean state stands out in terms of the depth of its intervention and its ability to discipline the business. However, the developmental state could no longer maintain its legitimacy for economic development. The private sector began to challenge the state's role. The growth of civil society also demanded to reevaluate the state's role and function. With economic development, the business sector, middle class, and labor group became important agents of social change. As the South Korean state's role was challenged by newly-grown civil society, the role of education had to be changed from as "education for economic development and political legitimation" to as education to keep up with a variety of the demands in its knowledge and information sector. The highly-centralized educational administration was a target for student protest, teacher union and parents' criticism. The movement for educational decentralization challenged the authoritari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demands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be changed into "an information society" also began to ask educational change in curriculum and school system.

      • 정부의 사교육비 경감대책 기본계획에 대한 분석

        이제봉 울산대학교 2003 사회과학논집 Vol.13 No.2

        최근 정부에는 사교육비 경감대책이 교육정책의 핵심으로 보고 사교육비경감대책의 기본계획을 발표하였다. 현재 교육인적자원부는 한국교육개발원에 의뢰하여 사교육비 실태조사 및 여론조사를 하고 있다. 기본계획은 학벌주의 타파와 같은 추상적 과제부터, 교육과정, 학교제도의 개편, 입시제도, 특기적성교육, 학원의 학교내 유치 등 광범한 과제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글은 정부가 제시한 사교육비 경감대책의 기본계획을 몇 가지 기준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주로 적합성, 실현가능성, 실효성, 명료성 등으로 관련된 해석과 그에 따른 대안제시가 모색되었다.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MOE) has recently submitted a policy report decreasing the parents' economic expense for private tutoring. The Private tutoring has been one of the crucial issues in Sout Korea in that the private tutoring has led the society to the ruining of schooling, the excessive economic-expense of the parents, negative effects of school curriculum, and the barrier of social mobility through education. The report includes lots of educational issues in different directions. This paper critically analyzes the report by the evaluation of effectiveness, appropriateness, and adequacy.

      • 미국과 유럽의 비교교육학 발달과정

        이제봉 울산대학교 1998 사회과학논집 Vol.8 No.1

        이 글은 2 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비교교육학 발달과정을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방법론적인 변화와 패러다임 변화 그 자체에 대한 분석보다는 i) 타 학문 영역이 비교교육학의 패러다임 변화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와 ii) 사회적 변화, 국제정세 변화, 그리고 시대적 상황등의 외적인 요인들이 비교교육학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를 설명하였다. 전반부는 미국과 유럽 비교교육학의 변천과정을 개관하였고 후반부에는 방법론의 변화에 초점을 두었다. 전체적으로 사회적 변화에 따른 연구관심 영역, 연구방법, 그리고 연구비 지원형태의 변화에 관심을 두었다. This study reviews the development process of comparative education in the postwar period. It particularly attempts to describe and analyze societal factors that influenced comparative education. Main concerns are focused on (i) how other social and behavior sciences affect to the development of theoretical paradigm and methodology of comparative education, and (ii) how social change, international and national variations influence research topics and funding. The first part reviews the trends of comparative education in United States and Western Europe by taking analytical focuses on relationship between societal factors and comparative education. The second part ?? with methodologies and theoretical frameworks. Comparative education have provided guidelines, models, or advice concerning educational policy or programs, particularly in 1950s and 1960s. Many scholars have had the proposition that education represents a major agent for the control of social change and economic development. This assumptions were criticized for theoretical uncertainty and lack of evidence later. The downturn of world economy of 1970s and neo-marxists' ideological alternative approaches influenced the theoretical framework and research concerns of comparative education. The 1970s was a decline period of comparative education due to the budgetary losses of government program and private foundations. By the middle of 1980s there was a modest increase of interest among educators in the international aspects of education as part of the excellence movement in education. Aid agencies showed signs of a renewal of interest in education. In more recent times, comparative education has become a much more international field. More third world scholars began to work in the field of comparative education, and research topics became more vario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