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6세기 중 · 후반 요서말갈(遼西靺鞨)과 돌궐 · 고구려

        이정빈(Lee Jeongbin) 동북아역사재단 2018 東北亞歷史論叢 Vol.- No.61

        본고는 6세기 중 · 후반 요서말갈 형성기 제부의 동향을 돌궐 · 고구려와 관련하여 생각해 본 것이다. 우선 6세기 중 · 후반 요서말갈의 존재를 확인했다. 말갈은 6세기 중반부터 문헌사료에 등장하였는데, 그 본격적인 활동은 요서 지역에서 나타났다. 고보령(高寶寜)의 말갈병, 돌지계 세력의 속말말갈이 대표적이다. 6세기 중반까지 요서 지역의 주인공은 거란이었다. 이와 비교해 말갈은 물길의 일파로 본래 요하 동쪽 송화강 유역에 거주했다. 이에 요서말갈은 6세기 중반 이후 물길이 이주함으로써 형성되었다고 생각했다. 6세기 중반 요서 지역의 거란 제부는 북제 · 돌궐의 공격과 압박으로 연이어 동요했다. 그 결과 공백이 발생하였는데, 이러한 국제정세의 변화가 요서말갈 형성의 배경이었다. 6세기 중반 요서 지역의 거란은 돌궐이 통제하고 있었다. 따라서 요서말갈의 형성 역시 돌궐과 밀접했다고 판단했다. 친돌궐 성향의 속말말갈이 요서말갈 형성의 한 축을 구성했다고 본 것이다. 돌궐은 요서말갈을 통해 거란을 통제 · 견제하고, 나아가 고구려를 견제하고자 했을 것이다. 6세기 후반~7세기 중반 속말부의 거주지는 상당히 광역이었고, 제소부(諸小部)로 나누어져 있었으며, 제소부는 친돌궐 · 친고구려 등으로 정치적 입장을 달리하였다. 『수서(隋書)』 말갈전의 7부는 그 중의 대표적인 소부 연맹을 가리킨다고 해석된다. 속말부의 경우 돌지계 세력의 소부 연맹 지칭한다고 했다. 『수서』 말갈전에서 백산부는 속말부의 동남쪽에 위치하였다고 했다. 그러므로 백산부는 요서 동남부에 위치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수서』 말갈전의 속말부와 백산부를 요서말갈의 일종으로 본 것이다. 그리고 요서말갈은 고구려와 요서동부에 설치된 군사기지를 매개로 정치적 주종관계를 맺었을 것으로 이해하였다. This article considers the trend of entire Bu(部) in relation to Dolgwo and Goguryeo in the formation period of Yoseo malgal in the middle and late 6th century. In this period, first of all, the existence of Yoseo malgal is confirmed in this article. Malgal(靺鞨) has appeared in the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 since the middle 6th century, and its fullscale activity has appeared in the area of Yoseo(遼西). Malgal army of Gaobaoning(高寶寜) and Songmal malgal(粟末靺鞨) of Doljigye(突地稽) force are the representatives. Until the middle 6th century, the protagonist of the Yoseo area was Georan(契丹). On the contrary, Malgal was originally one part of Mulgil(勿吉) and located in the Songhuajiang(松花江) basin, east of Yoha(遼河). Thus, Yoseo malgal was thought to have formed by migrating of Mulgil around the middle 6th century. In the middle 6th century, Georan of Yoseo area was shaken continuously by the attack and pressure of Beiqi(北齊) and Dolgwo. As a result, a vacuum was created. This change of international situation was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Yoseo Malgal. In the middle 6th century, Georan of Yoseo area was controlled by Dolgwo. Therefore, it was determined that the formation of Yoseo Malgal was also closely related to Dolgwo. It is assumed that the pro -Dolgwo Songmal malgal constitutes one axis of the formation of Yoseo Malgal. Dolgwo tried to control and check Georan through Yoseo Malgal, and furthermore they tried to keep Koguryeo in check. In the late 6th and early 7th centuries, the residence of Songmal - bu(粟末部) was large area and divided into small bu(小部), and their political stance differed between pro-Dolgwo and pro -Goguryeo. The 7th part of “Biography of Malgal(靺鞨傳)” of the Shi -shu(隋書) is interpreted as referring to the representative 小部 alliance. In the case of the Songmal -bu, it was called the 小部 alliance of Doljigye forces. In the “Biography of Malgal(靺鞨傳)” of the Shi -shu(隋書), it was said that Baeksan -bu(白山部) was located in the southeast of Songmal -bu. Therefore, it was assumed that Baeksan -bu was located in the southeast of Yoseo. It regarded that Songmal-bu and Baeksan -bu of “Biography of Malgal(靺鞨傳)” as a part of Yoseo malgal. Also, it was understood that Yoseo malgal had established a political master - servant relationship with Goguryeo through military bases installed in the east of Yoseo.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광개토왕릉비 탁본 연구방법의 성과와 과제

        이정빈(Lee Jeongbin) 동북아역사재단 2015 東北亞歷史論叢 Vol.- No.49

        이 글은 광개토왕릉비 탁본의 주요 연구방법을 소개하고 그 과제를 생각해 보기 위해 마련되었다. 탁본에 대한 연구는 196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때부터 석회탁본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원석탁본을 찾고자 하였던 것이다. 현존 탁본의 제작시점은 크게 보아 두 가지 방식으로 파악할 수 있다. 절대연대와 상대연대 측정의 방식이다. 절대연대는 발문과 같은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는데, 이러한 탁본이 상대연대 측정에 표식이 된다. 상대연대는 형식분류를 통한 편년으로 파악한다. 현재까지 제시된 주요 연구방법은 拓出의 수법(탁출법)과 착묵의 정도(착묵법), 그리고 小拓紙의 취급방법(용지법)이다. 이 중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연구방법은 다케다 유키오[武田幸男]가 제시한 착묵패턴법이다. 착묵패턴법은 6개의 불착묵 포인트를 주목하는 것으로, 석회탁본의 편년에 용이하다. 용지법은 사와토메 마사히로[早乙女雅博]가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그는 소탁지의 크기, 소탁지의 배열, 貼合의 순서를 기준으로 각종의 탁본을 유형화하였다. 쉬젠신[徐建新]은 碑字字形比較法을 제시하였다. 그동안의 자형비교가 완전성을 중시하였다면, 비자자형비교법은 그보다 시기별 변화를 중시해 유형화를 시도한 점이 특징적이다. 이와 같은 탁본의 연구방법은 상호보완적이다. 대체로 착묵패턴법을 중심으로 유형을 분류하고, 용지법과 비자자형비교법을 통해 그를 검증함과 아울러 유형을 세분화하고 있다. 탁본 연구방법은 결국 원석탁본을 탐색해 비문을 판독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었다. 그런데 아직까지 비문의 판독을 위한 각종 연구방법의 집약과 기준의 제시는 미흡한 형편이다. 그러므로 향후의 과제는 이러한 연구방법의 종합을 통해 비문을 보다 정밀히 비교 연구하는 데 있다. This paper introduces methods for researching rubbings made from the Gwanggaeto Stele, and proposes avenues for further research. Methods for undertaking a rubbing became a subject of scholarly inquiry in the 1960s. Scholars then came to realize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making lime rubbings, and instead sought to employ earlier rubbings. This led scholars to collect various rubbings, categorize them under different types, and accordingly construct a chronology. The extant rubbings are based on two rubbing methods?absolute age and relative age measurement methods. Absolute age is taken from written records, but these rubbings are rare. However, they provide a useful base for relative age measurement. Relative age is identified through chronological form classification. The principal research methods for relative age measurement are the smear inking and rubbing methods. Of these, the smear inking pattern proposed by Takeda Yukio(武田幸男) usually forms the focus of major research. The smear inking pattern method focuses on six non-inked points, which provide clues for the chronological record of a lime rubbing. Saotome Masahiro analyzed paper methods systematically, who constructed a typology of lime rubbings based on the size and arrangement of paper, as well as the sequence of paper attachment. On the other hand, Xu Jianxin proposed a character elative method. While most comparisons of character prints have preferred completeness, the character elative method attempts to make a typology based on how character prints vary across time. These research methods are not mutually exclusive, but complementary. While one could base the overall research on the smear inking method forms, the research could be further examined through paper methods and the character elative method, and categorize them according to typology. The ultimate objective of rubbing research methods is to decipher the stele’s contents. Further research should aim to propose deciphering methods based on the study of various rubbing research methods.

      • KCI등재

        한사군, 과연 난하 유역에 있었을까?

        이정빈(Lee, Jeongbin) 역사비평사 2016 역사비평 Vol.- No.115

        Some members of South Korean society have recently criticized the colonial historical studies of historians. A leading criticism was directed against history books maintaining that the Four Commanderies by Han, including the NakrangCommandery,were located in the valley of the Luan River in present-day Hebei Province, China. Incorrect historical data was used to support this claim and there was a misunderstanding of the NakrangCommanderyGyochi. Since it is mistakenly believed that Korean territory has remained intact since ancient times, there is a denial that some parts of Korea were ruledby other countries. At the same time, it is maintained that the ancient kingdoms of the Korean Peninsula, especially Gojoseon, were military powers with vast territories. is is the same mode of thinking as in colonial historical studies.is paper will hopefully help correct these misconceptions.

      • KCI등재

        한국 고대 교육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 역사학계의 성과를 중심으로 -

        이정빈 ( Lee Jeongbin ) 한국교육사학회 2017 한국교육사학 Vol.39 No.1

        본고는 해방 이후 한국 역사학계의 교육사 연구 현황을 점검하고, 과제를 생각해 본 것이다. 해방 이후 한국 역사학계는 식민주의 사학 극복을 목표로 했다. 이에 따라 고대 교육사 연구는 정치사 내지 제도사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太學과 같은 고대국가의 학교를 중앙집권적 국가체제 정비의 지표로서 주목하였던 것이다. 그러다 학생으로 관심이 넓어지면서 사회사 연구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학생의 사회적 지위를 이해함으로써 좁게는 관인사회의 구성을 파악하고, 나아가 신분제의 운영상을 가늠해 보고자 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최근 출토문자자료가 발견되면서 한자문화의 면면이 연구되었고, 사상사ㆍ문화사 방면으로 연구의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교육사에 천착해 이를 종합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는 드문 형편이었다. 물론 자료의 부족이 큰 난관이지만, 출토문자자료가 증가하고 있고 동아시아로 연구의 시야가 넓어지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면, 전문적인 연구가 불가능하다고만 생각하지는 않는다. 미시적인 과제의 천착과 아울러 거시적이고 종합적인 연구 성과가 축적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set out to check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es on educational history by the Korean academic circles of history since Liberation and contemplate over their tasks. Since Liberation, the Korean academic circles of history set a goal of overcoming colonialist historical studies, thus conducting researches on ancient educational history as part of political or institutional history. They focused on the school systems of ancient states such as Taehak as indicators of centralized state system. As their scope of interest expanded to the students, the possibility of social history research emerged. They tried to figure out the organization of government officials society in a narrow sense and further estimate the operational aspects of caste system by understanding the social status of students. The recent excavation and discovery of character materials promoted an investigation into every aspect of Chinese character culture, and the research scope has broadened to include ideological and cultural history. There have been only rare attempts to investigate the history of education and achieve a total understanding of it. Even though the shortage of materials poses a huge obstacle, it will not be impossible to do professional researches on educational history, given the increasing amounts of excavated character materials and the expanding view to the research of East Asia. Total macroscopic research findings will be expected along with the research of microscopic tasks.

      • KCI등재

        모용선비 전연(前燕)의 부여 · 고구려 질자(質子)

        이정빈(Lee Jeongbin) 동북아역사재단 2017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7

        본고는 전연(前燕)의 부여·고구려 질자(質子)에 관한 것이다. 그들의 질자 생활과 귀환의 역사적 의미를 탐구하였다. 370년 전연의 업성(鄴城)이 함락될 때 부여 · 고구려 · 상당의 질자 5백여 명이 북문을 열었다고 한다. 이 중에서 부여와 고구려의 질자는 340년대 이후 국제관계 속에서 인질로 기능하였고, 전연의 피로인(被擄人) 지배에 활용되었다. 부여·고구려의 질자는 다양한 사회적 지위를 지닌 종자집단(從者集團)과 함께 생활했다. 질자의 일부는 도성과 왕궁의 숙위(宿衛)를 담당했고, 전연의 관직을 얻기도 했으며, 동상(東庠)과 같은 학교에서 수학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그들은 유교를 비롯한 각종 학문을 익히고 전연의 한화정책(漢和政策)을 이해할 수 있었다. 호한융합(胡漢融合)의 문물을 경험하였던 것이다. 전연의 멸망 이후 일부의 질자 출신은 전진(前秦)~남연(南燕)에서 활동했고, 다른 일부는 부여 · 고구려로 귀환했다. 귀환한 질자 출신은 부여와 고구려에서 국가체제 정비에 일익을 담당했다. 예컨대 고구려의 태학(太學)은 전연 · 전진에서 수용했는데, 그 설립에는 동상에서 수학한 질자 출신이 관여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ives of hostages of Buyeo and Goguryeo in Former Yan and the historical meanings of their return to their respective countries. When the Eopseong of Former Yan fell to the enemy in 370, approximately 500 hostages of Buyeo, Goguryeo, and Sangdang opened the north gate. Among them, the hostages of Buyeo and Goguryeo had functioned as hostages in international relations since the 340s and were used to rule the kidnapped people by Former Yan. They lived with valet groups of various social positions. Some of the hostages were responsible for the Sukwi function for the capital city and royal palace. Others held public office in Former Yan, and still others studied at the same school as Dongsang. They were thus able to study various kinds of science with a focus on Confucianism and understand the Chinese assimilation policy of Former Yan, experiencing the culture of Nomad-Han infusion. After Former Yan fell, some of the hostages were active in Jeonjin and Namyeon, while others returned to Buyeo and Goguryeo. The latter contributed to the arrangement of national systems in Buyeo and Goguryeo. The Taehak of Goguryeo, for example, was introduced from Former Yan and Former Qin, and it is thought that the hostages that studied at Dongsang were involved in its establishment. Goguryeo, of course, made its own choices in the arrangement of its national systems in the second part of the fourth century, in which sense the lives of hostages in Former Yan hold their historical meanings as learning and experiences for those choices.

      • KCI등재

        『조선사 개요』(1957)의 早期봉건사회설과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사강좌

        이정빈(Lee, Jeongbin) 한국사학회 2020 史學硏究 Vol.0 No.137

        1957년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사강좌에서 간행한 『조선사개요』를 검토했다. 특히 『개요』에서 早期봉건사회설을 채택한 데 주목해 그 배경과 의미를 생각해 보고자 했다. 1950년대 중․후반 북한 역사학계에서는 삼국시기를 전형적인 노예제사회로 본 백남운의 한국 고대사 연구와 체계가 도전받고 있었다. 『개요』의 조기 봉건사회설은 그 일면을 보여준다. 『개요』의 필진은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사강좌 교수진으로, 경성제국대학-서울대학교 사학과 출신이 다수였는데, 이들은 1930년대~해방 전후 조선의 주류 마르크스주의자와 연줄이 이어져 있었다. 『개요』의 조기 봉건사회설은 그로부터 배태된 것으로, 조선사강좌의 학문적 배경과 특징을 반영했다. 해방 이후 북한의 역사학계는 민족주의 성향의 역사학자 그룹과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 그룹으로 양분해 볼 수 있는데, 이 중에서 학계의 주축은 후자였다. 후자는 다시 세계사적 보편성을 추구한 그룹과 아시아적 특수성을 강조한 그룹으로 구분되는데, 조기 봉건사회설은 후자의 지지를 받았다. 이들은 사료비판과 이를 통한 실증을 중시했다. 그리고 아시아적 특수성을 강조했다. 반봉건의 현실 속에서 소련의 소비에트 제도 수용이란 비약을 추구한 것이다. 그 역사적 사례의 하나가 삼국시기였다. 삼국시기 漢의 문화를 수용함으로써 원시사회에서 도약해서 조기 봉건사회를 형성하였다는 이해였다. 한국의 역사와 현실 속에서 단기간의 비약 내지 도약을 전망한 것이다. 해방 이후~1950년대 중․후반 김일성종합대학의 전반적인 분위기이자 조선사강좌가 공유한 학문적 지향이었다. This article aims at explaining the research and education of Korean history at Joseon History courses of Kim Il Sung University. Particularly, An Overview of Joseon History(hereinafter called Overview) published in 1957 is noticeable. It was written by the faculty members of Joseon History Course at Kim Il Sung University. In the Overview, the Three Kingdoms period of Korea was described as an early feudal society. The faculty members were from history department of Keijo Imperial University-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they were related to mainstream of Marxists from the 1930s to the liberation period. Early feudal social theory was raised through their interactions. It emphasized criticism of historical records and demonstrations, and Asian specificity. This aims at rapid growth through accepting the system of the Soviet Union in anti-feudal circumstance. This perception and prospect of Korean history was the overall atmosphere of Kim Il Sung University and the academic aim shared by the Joseon History courses, which was another ground for adopting early feudal social theory in the Overview.

      • 하이브리드 태양광 · 열 집열기(PVT)에 대한 경제성 평가 연구

        이정빈(Jeongbin Lee),신정우(Jungwoo Shin) 한국환경정책학회 2022 한국환경정책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2020.12.7.)에는 경제구조의 저탄소화, 신유망 저탄소산업 생태계 조성, 탄소중립 사회로의 공정 전환 등의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비대면 기술의 확산과 4차 산업혁명 등에 따른 글로벌 환경 변화로 산업간 융합을 통한 신사업 창출의 중요성이 증가했다. 하이브리드 태양광 태양열 집열기 시스템(PVT)은 태양에너지로 전력(전기)과 열에너지(온수)를 함께 생산하는 기술이다. PVT는 PV 모듈의 폐열을 수집하여 이용하기 때문에 효율을 높일 수 있고, 기존의 태양전지는 온도가 올라갈수록 효율이 낮아지는데 반해 PV 모듈의 열을 빼앗아 온도를 낮추기 때문에 그 효율이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두 개의 기술을 하나의 모듈로 통합하여 이용하기 때문에 재료나 공간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김영철, 2016). 시장에 처음 진입하는 신제품이나 융합 신제품은 시장에서 형성된 가격이 없기 때문에 가격을 산정하기 어렵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가치산정 방법론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적절한 방법으로 구성된 설문지에 재화에 대한 가상 시장을 포함하고 응답자에게 재화 거래를 유도해 재화 가치를 측정하는 분석기법인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하였다. 목표 모집단은 전체 소비자를 대표할 수 있도록 태양광 또는 태양열 집열기를 사용하고 있는 개인과 그렇지 않은 자를 모두 포함하며, 지불수단 및 기간을 한시적인 소득세 인상으로 질의하기 위해 세대주 또는 그의 배우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모형으로는 양분형 질문을 1회 시행하는 단일 경계 모형과 2회 시행하는 이중 경계 모형의 장점을 결합한 1.5경계 모형을 사용하고, 지불거부자와 저항응답자를 구분할 수 있도록 스파이크 모형을 결합하였다. 제시금액은 파일럿 조사를 통해 추정된 값을 사용하였다. 본 조사를 통하여, 제품을 사용하기 위해 향후 10년간 매년 1회 추가적인 소득세 지불에 대한 최대 지불 의사 금액의 평균과 국내 총가구에 대한 사회적 편익을 도출할 수 있었다. 공변량 분석 결과에 대해서는 샘플 수 조정을 위해 두 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었다. 두 카테고리는 인지적 측면에서 구분하였고, 가구소득 변수는 모델의 방향성을 확인하기 위한 고정변수로 두 모델 모두에 포함되었다. 첫 번째 카테고리(model 1)는 사용 전반에 대한 만족도의 측면으로, 두 번째 카테고리(model 2)는 훼손에 대한 인지와 불편의 경험 측면으로 분류했다. 또한 model 1에서는 추가적으로 적합성 인증 제도에 대한 변수를 분석에 포함해 제도의 운영에 대한 정책적 타당성도 확인 가능하였다. 본 연구는 탄소중립을 위한 산업융합 신제품에 대한 경제성 분석 프레임워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