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우매(愚昧)의 미학 -어윈 부름의 작품을 중심으로

        이재걸 ( Jae Geol Lee ) 중앙대학교 예술문화연구원(구 생활문화산업연구소) 2014 예술문화융합연구 Vol.2 No.-

        The roles of those artists who have made comical absurdity their character have varied along with the changing deman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However, what they fundamentally have in common is that they complement the features of the ideal hero, and sometimes, nimble on their feet, they cross the borders of morality, which the ideal hero is not capable of crossing. Such art that probes into the values that the relevant society seeks by cultivating a unique channel, as well as the arts in other categories, may well be said to involve a sense of responsibility of being conscious of positive changes in society. Alongside the purpose of presenting comical absurdity as its dominant nature, it is also intended (by suggesting unexpected ideas about reality to the viewers who are the captives of the complex structures of society) to conquer the ennui that originates from the limitations of the external features of life. Erwin Wurm’s works are one contemporary artist’s aesthetic act of resistance against such boredom. The artist captures the hidden crack in the ennui that is sealed with incomplete common knowledge, and engages with it effectively by means of the strategy of exaggeration and randomness. Through his strategy, the series of anti-rational forms and anti civilizational acts disturbs the viewer’s perception, and the paradoxical outputs that stand against appropriateness gain unexpected vitality. In fact, for both the art itself and its viewers, it is always necessary to maintain caution when facing such a discourse of negation. In order to disarm such guarded views, Wurm brings in a comical factor that the idiocy in his work represents. The sense of idiocy in the artist’s context is not applied with the intention of plotting a conflict, but with the intention of relieving one. Clearly, verifying what the aesthetics of idiocy violates, what the smile of the absurd disturbs and, what his somewhat unmethodical manner criticizes is not bad news to the art itself or its viewers in modern society. Preferably, it must help recovering modern men’s sense, and it must provide one efficient case of the numerous attempts in art to listen to the voices of modern men suffering from alienation.

      • KCI등재

        두 가지 경향의 그로테스크 비교 연구 -빈 행동주의와 폴 맥카시의 작품을 중심으로-

        이재걸 ( Lee Jae Geol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2

        20세기 중반 이후의 현대미술에서 과격한 행위와 불쾌한 신체성을 자신 예술의 원동력으로 삼은 작가 중 빈 행동주의자들과 폴 맥카시는 단연 돋보인다. 특히, 현대인의 소외의식과 직접 연결된 이들 퍼포먼스의 심리적 원천과 조형적 특수성은 모두 탄력적이고 관용적인 현대 그로테스크 미학에 기댄다. 그래서 이들의 예술은 그로테스크 이론을 작품 비평의 주요 도구로 삼을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기에 더할 나위 없다. 무엇보다도, 각각 차별되는 그로테스크 전개 양상을 보여주는 이들 작품을 비교하면서 현대 그로테스크 이론의 두 축인 카이저와 바흐친의 입장을 환기할수 있다는 점은 의미가 있다. 약간의 시간적, 지리적 차이를 두고 활동한 이 두 작가군은 작품의 내용과 형식에서 차이점과 유사점을 동시에 지닌다. 제의적 가치와 리비도의 파괴적 에너지를 창작의 전면에 내세우는 빈 행동주의자들과 현대 소비사회가 탄생시킨 신화들을 해체하며 개인에게 향하는 사회의 권력을 변질시키는 폴 맥카시는 다른 방식이지만 모두 개인의 억눌린 욕망이 무질서하게 표출되는 장면을 재현한다. 바로 이러한 재현을 통해 이들은 사회와 역사의 권위를 해체하고 개인의 주체적 발현을 시도하는데, 이때 그로테스크는 재현의 도구이자 탐미의 대상으로서 작품의 사회적 언어를 구성하는 데에 참여한다. 나아가, 사진과 비디오로 기록된 이들의 잔혹한 퍼포먼스는 하나의 `신체 정치학`으로서 현대 그로테스크의 다양한 변이와 창조적 잠재력을 확인시켜준다. 이들이 보여주는 그로테스크는 장식적 기괴함과 선악의 이항 대립을 넘어서 존재의 복잡한 위기의식과 연결되는 현상으로서 현대미술, 특히 아브젝시옹을 전면에 내세운 신체미술의 전위적인 저항의식과 반미학적 쾌감에 직접 관여한다. Of all the artists who have considered violent actions and the unpleasant physical body within contemporary arts since the mid-20thcenturyasthedrivingforcefortheirart, the Viennese actionists and Paul McCarthy stand out. In particular, the psychological resources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ir performance art are directly connected to contemporary people`s sense of alienation and are dependent on the flexibility and tolerance for the grotesque aesthetics of today. That is why their art is perfect at a time when verifying those grotesque theories can serve as an essential means of criticizing art. More than anything else, it carries significance in that it is possible to draw the attention of people to positions taken by Kayser and Bakhtin, who are the axis of the modern grotesque theory, by comparing their works that display differentiated aspects of the grotesque. The two artist groups who conducted artistic activities in different areas and at times exhibited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terms of contents and the formality of their works of art at the same time. The Viennese actionists who pushed for ritual value and the destructive energy of the libido and Paul McCarthy who changed the social influence directed toward individuals while dismantling myths created by the modern consumer society re-enacted scenes where individuals` pent-up desire is expressed in a disorderly manner. Through this re-enactment, they attempted to dismantle the authority of society and history and realize the individuals` independent expression. At that time, the grotesque was involved when their art was founded as a social language by means of re-enactment and the subject to aestheticism. Furthermore, their cruel artistic performances recorded through photos and videos verify the diversified variations and creative potential of modern grotesque as `body politics`. Their grotesque art goes far beyond the decorative strangeness and binary opposition between right and wrong to be linked to a complicated sense of crisis, that is directly related to the avant-garde resistance and anti-aesthetic pleasure of body arts, particularly abjection.

      • KCI등재

        ‘탈-인간중심적’ 사유로서의 카오스 이론 -니체, 들뢰즈, 그리고 예술-

        이재걸(Lee, Jae-Geol) 동서미술문화학회 2020 미술문화연구 Vol.18 No.18

        카오스 이론의 상징과도 같은 ‘나비 효과(Butterfly Effect)’는 복잡계의 무작위성 안에 펼쳐지는 정교한 기하학적 구조를 보여준다. 프랙탈(Fractal) 구조에 가까운 ‘기이한 끌개’(Strange Attractor)로 표현되는 나비 효과는 초기조건의 사소한 차이가 엄청난 결과를 초래한다는 비선형 결정론적인 동역학계, 즉 카오스계의 핵심을 관통한다. 일찍이 니체(Friedrich Nietzsche)는 카오스를 철학적 테제로 삼아 “전체로서의 세계를 원칙적으로 무엇이라고 언급할 수 없는 것,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것”으로 이해하고, 인간중심적인 모든 상대적 규정들을 거부하였다. 니체의 카오스론은 인간의 모든 규정이란 세계 그 자체의 것이 아니라, 단지 상황의 변화에 종속된 인간의 투사일 뿐임을 간파한다. 니체에 이어 카오스에 관한 가장 광활하고 역동적인 설명을 제공한 들뢰즈(Gilles Deleuze)도 그의 오랜 지적 동반자였던 가타리(Felix Guattari)와 함께 ‘카오스-무한’을 차이생성의 본질로 고찰하면서 ‘탈-인간중심적’ 차원의 우주론과 인식론을 전개한다. 특히 이들은 카오스를 사유의 원천으로 삼으면서, 사유를 정의하는 것, 사유의 세 가지 큰 형식들로서 철학, 과학, 예술을 설명하고, ‘무한’을 대하는 태도로부터 이 세 가지 사유 영역을 각각 구분하였다. 이때 예술은 감각들의 집적이자 지각들과 정서들의 복합체로서 유한을 거쳐 무한을 되찾는 고된 여정을 통해 무한을 복원하려는 사유 활동으로 파악된다. 들뢰즈와 가타리는 니체의 입장에서 카오스를 ‘생산적인 질서를 지닌 창조적인 것’으로 간주하고, 예술의 지상목표는 카오스를 감각하여 그 감각적 심상에 질료를 입혀서 감각을 현실화하는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여기서 진리의 비고정성과 불확정성은 ‘카오스 미학’을 통해 새로운 창의적 역량을 부여받는다. “The Butterfly Effect,” which has been considered to be the symbol of the chaos theory, displays a sophisticated geometric structure that spreads within the randomness of the complex system. As it is expressed as a “Strange Attractor,” which is similar to the fractal structure, the butterfly effect penetrates the pith of the nonlinear deterministic dynamical system in which a minor difference in the initial condition would in turn lead to a spectacular result, that is, the chaos system. Friedrich Nietzsche who once selected chaos as his philosophical thesis, understood that "the world as a whole is in principle something that can neither be described nor orally expressed” and refused every relative anthropocentric regulation. The chaos theory presented by Nietzsche surpasses the point for which every human regulation with respect to the world is not concerned about the world itself but considers it to be a human projection subject to changes in the circumstances. Following Nietzsche, Gilles Deleuze, who provided the broadest and most dynamic explanations on chaos, ruminated on the “chaos-indefiniteness” by considering it to be the essence of the creation of differences,” along with Felix Guattari, his long-term intellectual companion, and explored cosmology and epistemology in terms of “post-anthropocentrism.” Especially, they regarded chaos as the origin of thought and elucidated philosophy, science and art as the three large frames of thought, and divided these three sections of reason, respectively, from the attitude responding to “infiniteness.” Here, as a point of the contact of senses and at the same time a complex of reasonable activities, art is understood as an activity that restores infiniteness through a strenuous journey f or infiniteness that is attainable by passing through finiteness. Deleuze and Guattari regarded chaos as “what is creative within productive order” from the perspective of Nietzsche, and stated that the supreme goal of art is to sense chaos and subsequently materialize this sense by putting substances on the sensible image thereof. In this context, the characteristic of truth that can never be fixable and uncertain is granted a new creative capability through “the aesthetics of chaos.”

      • KCI등재

        프랜시스 베이컨의 작품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연구

        이재걸 ( Jae Geol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1

        그로테스크는 현대에 들어서 전통적 재현의 체계를 극복하려는 많은 미술가에 의해 재발견되었고, 이론적 설득력도 한층강화되어 우리에게 다가왔다. 그리고 그로테스크는 그 특유의 자유분방함과 변덕스러움을 비로소 존재에 대한 문제로 연결하는 데에 성공한 것처럼 보인다.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1909-1992)의 예술은 그 증거 중 하나이다. 파격적인 괴물 인격체가 등장하고,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를 과감히 해체해버리는 베이컨의 예술은 그의 파란만장한 삶처럼 불규칙하며 이질적인 요소로 가득하다. 독특한 분위기의 폭력성, 끝없는 분노와 공포의 상태 그리고 그것들의 주체로서의 고통받는 인간이 등장하는 그의 회화는 ‘신경계에 직접 호소’한다는 평가를 받을 만큼 강렬하다. 주로 사진 이미지에서 시작되는 그의 작품은 사실이나 공상에 의한 감각들이 서로 뒤얽힌 채 푸줏간 고깃덩어리로 등장하는 인간의 비정한 현실을 묘사한다. 이는 인간과 동물의 구별이 불가능한 지점에서 존재의 더욱 근원적인 고통에 대해 각성하는 베이컨만의 독특한 리얼리즘이다. 짓눌리고 파인 형태로 뼈로부터 흘러내리는 살과 벌린 입으로 강렬한 비명을 쏟아내는 그의 인물들은 그들을 둘러싼 초현실적인 배경에 흡수되면서 존재의 긴박한 운동감마저 보여준다. 의식을 지탱하는 질서는 그렇게 사라지고 무의식은 결국 감각의 주체가 된다. 이러한 베이컨의 미학은 왜곡과 변형을 창작의 원동력으로 삼는 그로테스크의 오래된 재현 공식을 통해 가능해진 것이며, 현실의 감정을 고스란히 유지하면서도 현실 세계가 구축한 한계 밖에 머무는 방식을 취하는 그로테스크의 특징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베이컨의 그로테스크는 그래서 낯선 괴물의 출현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우리 안의 괴물을 드러내고 두려움과 절망이 압도적인 무게를 가진 삶을 정면으로 바라보게 해준다. Grotesque has been re-discovered by many artists who were trying to overcoming the system of the traditional realization in the modern time, and has approached us in the form, a further strengthened in its theoretical power of persuasion. Also, grotesque seems as it finally succeeded in linking its unique freewheelingness and capriciousness to the issue of existence. The art of Francis Bacon is one of the evidence. The art of Bacon in which preposterous monster human being appears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normal and the abnormal is broken resolutely is irregular as his eventful life and full of disparate elements. His paintings in the violence in a unique mood, the endless wrath, and the state of horror, and with the suffering mortality as the subject of all these emotions is as strong as to be reviewed that they ‘appeal directly to the nervous system’. His works that initiate mainly in the photo images depict the cold-hearted reality of humans, which appear as chunks of meat at a butcher shop tangled up with the senses aroused by facts or imaginations. This is Bacon’s unique realism that awakens more primitive pain of existences at the point where the distinction between humans and animals are impossible. The skin in the oppressed and hollow form melting down from the bone and his characters screaming loudly with the opened mouth are absorbed into the surrealistic background that surrounds them and show the urgent motion of existences. The order that sustains the consciousness disappears so and the unconsciousness becomes the main agent of sensation at last. Such aesthetics of Bacon has been possible through the old realization formula of grotesque that uses distortion and deformation as the driving force of creation, and has come from the characteristic of grotesque that maintains the emotion in the reality and takes the way to stay outside the limitation, which the real world has established. Bacon’s grotesque thus does not show the appearance of strange monsters, but expose the monster in us and let us look straight at our lives in which fear and frustration has the overwhelming weight.

      • 북유럽 르네상스 회화와 그로테스크-W. 카이저와 B. 바흐친의 이론을 중심으로

        이재걸 ( Jae-geol Lee ) 중앙대학교 예술문화연구원 2015 예술문화융합연구 Vol.3 No.-

        르네상스 시대에 모티프 형태로 발견된 이후 오랫동안 ``자연의 왜곡``이라는 일반적인 평가를 받아온 그로테스크는 시대적 이념에 어울리는 예술이 가진 ``적절함``과는 확연히 구별되는 속성을 가졌다. 그로테스크는 의도가 불분명한 혼종성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적 양식의 하나로서 혹은 추(醜)의 활성화 된 일원으로서 언제나 감상자의 상궤(常軌)를 벗어나며 이러한 적절함을 비웃고 특유의 환상성으로 합리적인 미술의 반대편에 섰다. 그로 인해 그것에 대한 미술사적 평가도 주로 ``터무니없는 과장``이나 ``불쾌한 농담``이라는 표현과 같이 부정적인 태도를 견지했던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20세기에 들어서 그로테스크는 18, 19세기의 산발적이고 흥미로운 작품들과 논의들에 뒤이은 카이저(Wolfgang Kayser)와 바흐친(Mikhail Bakhtin)의 현대적 감각의 이론들로 인해 새롭게 주목받았는데, 그 용법의 다의성과 가능성은 이제 예술의 진지하고 공식적인 미학적 대상으로 편입되었다. 본 논문은 현대 그로테스크 이론의 양대 산맥인 이 두 이론을 형태와 정서적인 측면으로 구분된 조건 아래서 비교함으로써 두 이론이 시도하는 그로테스크 개념 정립에서 상이한 점과 공통으로 인지되는 점을 밝혀내는 것에 주목적이 있다. 또한, 이론 비교를 위해 주요하게 언급되는 보스(Hieronymus Bosch)와 브뤼헐(Pieter Bruegel de Oude)의 작품들은 그 안에서 명백히 드러나는 그로테스크의 풍부한 도상학적 특징을 품고 있는 이유에서 선택되었다. 북유럽 르네상스의 도전적인 상상력의 정수인 이들의 작품은 현대 그로테스크 담론이 갖는 미학적 당위성을 증명하는 결정적 내용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이론들이 과거의 작품 해석에서도 유연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힐 수 있는 구체적인 사례가 될 수 있다. 아울러 이들이 보여주는 악마적 도상은 현대 그로테스크 담론을 통해서 과거와는 다른 해석과 더욱 확장된 의미를 내포하며 우리에게 새롭게 다가온다. 공포와 엽기 그리고 괴상한 유머로 가득한 보스와 브뤼헐의 회화는, 각각 당혹스러운 불안 심리와 카니발적 세계 감각을 전면에 내세우는 카이저와 바흐친의 이론을 통해서, 결국 그로테스크 예술이 시도하는 전복(顚覆)의 대상은 고착된 질서의 무료함과 인간 창의력의 빈곤임을 암시한다. After being found as a motif from the Renaissance period, Grotesque had long been assessed as Distortion of the Nature and ha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from Convenance that were matched with general notions in the era. Grotesque are ornamental arrangements with hybrid natures of obscure intention or part of facilitators of ugliness in arts works which always seemed far away from a viewer` track and stood on an opposite side of reasonable arts along with a mockery for the rational arts and its unique fantastic nature. These characteristics brought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 works, describing them as Absurd Exaggeration or Disgusted Jokes . However, Grotesque was rediscovered with modern sensational arts methods and theories by Wolfgang Kayser and Mikhail Bakhtin that were followed by a variety of interesting arts works and related discussions in the 18th and 19th century, and now, this variety and potential of methods are included into genuine and official aesthetic object. From these perspectiv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find out different as well as common factors between the two prominent arts theories by comparing and dividing them based on forms and emotional aspects of the Grotesque Discourse. In addition, the reason for the study to select works from Hieronymus Bosch and Pieter Bruegel de Oude are because their works have abundant iconic characteristics of the Grotesque. The works, sources to bring up imagination for challenging the works from the Renaissance period in Northern Europe, can prove aesthetic aspects of the modern Grotesque and serve as a specific case to be used for analyzing the past works. Also, devil icons by the two artists are now having rather different interpretations from the past, delivering a new meaning of the works with extended interpretation to us. Paintings by Bosch and Bruegel display fear, bizarre and various weird humors along with the theory with embarrassed fear and universal sensation of carnival by Kayser and Bakhtin indicate a world with tedious and lack of imagination that the Grotesque method wants to overturn.

      • KCI등재후보

        잠재가격에 의한 모선별 고조파전압제약을 고려한 고조파 저감기법에 관한 연구

        이범,김용하,최상규,이재걸,연준희,Lee, Bum,Kim, Yong-Ha,Choi, Sang-Kyu,Lee, Jae-Geol,Yeon, Jun-Hee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3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17 No.4

        본 연구는 잠재가격을 사용하여 고조파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우선, 고조파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하여 각 모선에 잠재가격을 적용하였으며, 전력수전점과 각 모선에서의 고조파한계치 이내로 고조파를 저감시킬 수 있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배전계통에서 경제적으로 필터의 크기와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한 방법을 실제계통에 적용하고, 그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 new harmonics reduction methodology using shadow price. First, we employed shadow price of each bus to reduce harmonics effectively. Second, we developed a new algorithm which can reduce harmonics under limits at PCC and each bus. As a result economical design of filters and its location of the distribution system is possible. This method is applied to the real system, and the usefulness of the method is verified.

      • SCOPUSKCI등재

        가스유해성 평가방법에 따른 유기단열재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심지훈 ( Ji-hun Shim ),이재걸 ( Jae-geol Lee ),한경호 ( Kyoung-ho Han ),김주완 ( Ju-wan Kim ),송석훈 ( Seok-hun Song ),조형원 ( Hyung-won Jo ),윤도영 ( Do-young Yoon ) 한국화학공학회 2022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60 No.4

        국내 건축물 마감재는 국토교통부 고시에 따라 KS F 2271 기준에 의해 평가되어지고 있으며, 이 실험은 실험동물을 사용하여 평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연성이 높은 유기물 단열재 EPS, 우레탄, 페놀폼에 대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 3종의 단열재가 연소 시 발생되는 유해성 가스에 의한 실험용 쥐의 평균행동정지시간을 측정하여, 실험용 쥐의 행동정지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험용 쥐의 행동정지에 대한 원인분석방법으로는 FTIR 분석과 연기밀도실험을 진행하였고, 마우스의 행동정지 원인을 입자상물질에 의한 질식과 가스상물질에 의한 독성흡입으로 구분하여 실험결과를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우레탄이 가장 유해한 단열재로 평가되었으며, 가스유해성 실험결과에 대한 원인분석으로 FTIR분석과 연기밀도 실험을 진행한 결과, 독성흡입에 의한 영향보다 질식에 의한 실험용 쥐의 행동정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해성가스의 원인분석에 대한 기초연구로서, 독성의 근거를 마련하고 나아가 다양한 재료와 가스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인 독성평가의 기준이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omestic building finishing materials are being evaluated according to KS F 2271 standards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this test is evaluated using laboratory animals. In this study,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highly combustible organic insulation materials such as EPS, urethane, and phenolic foa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ause of the behavioral suspension of the experimental mice by measuring the average behavioral suspension time of the mice caused by the harmful gas generated when these three types of insulation materials were burned. FTIR analysis and smoke density experiment were performed as a cause analysis method for the behavioral suspension of mice,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 causes of behavioral suspension into suffocation by particulate matter and toxic inhalation by gaseous substances. As a result of the test, urethane was evaluated as the most harmful insulation material, and as a result of FTIR analysis and smoke density test as a cause analysis for the gas toxicity test results, it is judged that the behavioral stop of the rats by suffocation is higher than the effect of toxic inhalation. This study is a basic study on the cause analysis of harmful gases, and it will be necessary to prepare the toxicity basis and analyze various materials and g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