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비체’라는 개인성의 표현으로서 홍석중의 『황진이』(2002) 연구

        이인표 한국문학연구학회 2020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70

        This study examines Hong Seok Joong’s Hwang Jin-i (2002) embodying Jin-i’s individualism as “the abject.” North Korean literature generally represents a collectivism for the history of revolution. Thus the embodiment of individualism in North Korean literature has been explored to a special point. The value of Hwang Jin-i can also be explored in this context. Nom-i is a representation of collectivism, but Jin-i is a representation of individualism. Jin-i's representation can never be buried in Nom-i’s representation. Jin-i's representation shows the existence of individualism in the collectivism of North Korean literature. Jin-i embodies the sexuality that is the “abject” of the ruling class. The aesthetic representation of this sexuality is constantly being fore-grounded and fragmented. Because “abject” is originally “fragments” that the subject of the ruling class discards to establish self-identity. Representations which are constantly being fore- grounded and fragmented cannot be representations of collectivism. This is because it presupposes individual creativity that constantly foregrounds and fragments the world. Jin-i’s representation, therefore, is the existence of individualism in the collectivism of North Korean literature. Hwang Jin-i is a narrative allegorizing “the abject” of Jin-i. In North Korea, Jin-i’s “abject” does not appear to be as spot- lighted as in South Korea. So, rather, Jin-i’s “abject” can be considered to have special value in North Korean literature. The issue is how long this special value should exist in North Korea. However, the birth of individual “abject” will broaden this issue in the future. 이 글은 홍석중의 『황진이』(2002)가 ‘비체’인 진이의 개인성을 표현하는 것을 고찰한다. 북한문학은 혁명역사를 위해 드팀없이 뭉치는 집단성을 대변할 수도 있다. 그래서 북한문학에서 개인성의 표현은 특별한 지점으로 탐색되어 왔다. 『황진이』의 가치 역시 이런 맥락에서 탐색될 수 있다. 놈이는 집단성의 표상지만, 진이는 개인성의 표상이다. 진이의 표상은 놈이의 표상에 매몰되지 않는다. 진이의 표상은 북한문학의 집단주의에서 개인주의가 실존하는 것을 보게 한다. 진이는 당대 지배계급의 ‘비체’인 섹슈얼리티를 형상화한다. 이 섹슈얼리티의 미적 표상은 끊임없이 전경화되고 파편화되는 것이다. ‘비체’는 본래 주체가 자기동일성을 확립하기 위해 버린 파편들이기 때문이다. 전경화되고 파편화되는 표상은 집단성의 표상일 수 없다. 세계를 끊임없이 전경화하고 파편화하는 창조적 개인성을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진이의 표상은 북한문학의 집단주의에서 개인주의가 실존하는 것이다. 『황진이』는 이러한 진이의 ‘비체’를 알레고리화 한 서사이다. 북한에서 진이의 ‘비체’는 남한에서만큼 각광을 받지는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오히려 진이의 ‘비체’는 북한문학에서 특별한 가치를 가진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런 특별한 가치가 언제까지 특별한 가치여야 할지는 숙제로 남는다. 그러나 ‘비체’라는 개인성의 표현이 등장할 수 있었다는 점은 앞으로 이 숙제를 폭넓게 숙고하게 할 것이다.

      • KCI등재

        금융 자본의 세계화와 사회과 교육 : 한국의 구조 조정을 중심으로 Focusing on the Economic Restructuring in Korea

        이인표,이홍균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0 교과교육학연구 Vol.4 No.1

        이 논문에서는 금융자본의 세계화의 내용과 그에 상융하는 국민국가의 역할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그에 따라 세계시민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을 목표로 하고 있는 사회과 교육의 방향 모색을 하려는 것이다. 이 글에서 주장하려고 하는 바는 세계화에 의해서 국민국가의 역할이 축소되기는 하였지만,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오히려 그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의 경험에 비추어보면 구조조정의 중심에는 여전히 정부가 존재하고 있으며, 구제금융의 대상자도 기업이나 금융기관이 아니라 국가라는 사실이 그것이다. This study purposes to analyze the globalization of financial capital and to evaluate changes in the role of nation states corresponding to the trend. It also proposes the directions for social studies education whose primary goal is to bring up democratic citizens in the globalization era. In this study, we show that although the role of nation states is viewed to be diminishing with glo13alization, it is becoming even more important in other dimensions. In Korea's economic restructuring, for instance, at the center of the restructuring process, there lies the government rather than the firms or financial institutions, both as the subject and as the object.

      • KCI등재

        『땅』(이기영)의 멜로드라마적인 특성 연구

        이인표 한국문학연구학회 2021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75

        This thesis attempts to examine the melodramatic archetype of North Korean novels by re-reading Lee Ki-young’s Land, the first novel of North Korean literature. As you know, the vitality of the democratic reform, such as land reform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led to the development of the North Korean economy so as to accomplish “socialist transformation” through the nationalization of major industries and agricultural cooperation project. And it also gave the cause of a new revolutionary stage called “building socialism” in the era of Chollima. This thesis intends to look in-depth that this vitality of enlightenment could be a synchronic form before the Juche era, which has pursued the harmony between private interests and public interests through Land. There are three main points that this thesis gives special insight into by re-reading Land, which has been well read throughout North and South Korea. First, it explores that the vitality of the time for the people who received the land to voluntarily promote private ownership to public value was the cause of enlightenment in itself. Second, it explores that the virtue of the political revolution, in which private interests and public interests are harmonized is the manifestation of melodramatic imagination. Third, it explores why the melodramatic virtue of such North Korean novels was able to establish the melodrama of the Suryoung’s image. In particular, it is through the definite trajectory of self-transformation of Minchon’s “memory” of land reform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lies above all in its insight into the melodramatic virtues of land reform that harmonized private and public interests. Even if you understand others as much as possible, your pursuit of private interests is inevitably self-centered, but the pursuit of the public interest requires treating oneself and others completely impartially. Therefore, the two cannot be reconciled in principle. Recall the dilemma of ethics in which utilitarian ethics and deontological ethics can only antagonize, and the dilemma of democracy in which liberal democracy and social democracy can only antagonize. This thesis has insight into the melodramatic virtues of the special “event” of land reform that temporarily resolved this dilemma. Exploring the broad aspects of the appropriation of these virtues into only Suryong’s image will give a diachronic view of the unique durability of the North Korean dictatorship. This will be a future challenge. 이 논문은 북한문학 최초의 장편소설인 이기영의 『땅』을 재독함으로써 북한소설의 멜로드라마적 원형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두루 알다시피 해방기 토지개혁 등 민주개혁의 활력이 주요산업 국유화와 농업협동화 시기 “사회주의적 개조”를 완수하련다는 북한경제의 발전을 견인했다. 그리고 이는 또한 천리마시대 “사회주의 건설”이라는 새로운 혁명단계의 명분도 주었다. 이 논문은 토지개혁의 문학적 현존인 핍진한 『땅』의 ‘기억’을 통해 이렇게 활력 있는 당대적 계몽성이 사익과 공익의 조화를 추구했던 ‘주체 이전’의 공시적 형상일 수 있음을 심층적으로 들여다보려는 것이다. 이 논문이 남북한에서 두루 읽힌 『땅』을 재독하면서 특별히 통찰하는 점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는 『땅』에서 토지를 받은 인민이 자발적으로 사적소유를 공적 가치로 고양하려했던 당대적인 활력이 그 자체로 계몽의 합당한 명분이었음을 탐색하는 점이다. 둘째는 이렇게 사익과 공익이 조화된 ‘지고한’ 체제혁명의 미덕이 멜로드라마적 상상력의 발현임을 통찰하는 점이다. 셋째는 이러한 북한소설의 멜로드라마적인 미덕이 수령형상의 멜로드라마를 정초할 수 있었던 이유를 통찰하는 점이다. 특별히 해방기의 토지개혁에 대한 민촌의 ‘기억’이 스스로 변모하는 확연한 궤적을 통해서다. 이 논문의 의의는 무엇보다 사익과 공익을 조화시킨 토지개혁의 멜로드라마적인 미덕을 통찰한 데 있다. 타자를 최대한 양해해도 사익추구는 자기본위적일 수밖에 없지만, 공익추구란 자기와 타자를 온전히 불편부당하게 대해야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둘은 원리적으로 조화될 수 없다. 공리주의와 의무주의가 길항할 수밖에 없는 윤리학의 딜레마, 자유민주주의와 사회민주주의가 길항할 수밖에 없는 민주주의의 딜레마를 상기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은 이런 딜레마를 일시적으로 해소했던 토지개혁이라는 ‘특별한 사건’의 멜로드라마적인 미덕을 통찰했다. 하지만 이 미덕을 수령형상이 홀로 전유해가는 광범한 양상을 탐색하는 것은 북한 독재체제의 특유한 내구력을 통시적으로 보게 할 것이다. 이는 향후의 과제가 될 것이다.

      • KCI등재

        포스트구조주의 언어학의 알레고리적 서사, 『에세이스트의 책상』(배수아, 2003) 연구

        이인표 한국문학연구학회 2022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77

        이 논문은 『에세이스트의 책상』(배수아)론이다. 이 논문은 우선 이 소설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분, 즉 언어에 대한 서술자의 에세이를 중점적으로 다룰 것이다. 그리고 이것이 포스트구조주의적인 언어학을 추구하고 있음을 밝힐 것이다. 그리고 이 소설이 이런 언어학을 알레고리화 하는 서사임을 드러내 보일 것이다. 이를 통해 결국 이 알레고리적 서사가 내포하고 있는 염세주의적인 세계관까지 통찰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은 소설에서 내부의 타자성이 아니라 ‘외부에서 주체를 관통하는 무수한 타자성’이, 모던하다기보다 포스트모던한 서술적인 주체성을 형상화했다는 선행연구의 결론을 계승한다. 하지만 이 논문은 소설이 모던한 주체의 현전을 해체하는 포스트모던한 국면보다 이 현전의 기반이 되는 구조주의의 보편구조까지도 벗어나는 포스트구조주의적인 국면을 읽어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포스트’한 언어 기표들의 구조적인 ‘소묘’가 내포하는, 이 소설의 염세주의적인 세계관까지 들여다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 논문은 소설 언어에 관한 작가의 자의식을 가장 판명하게 노정한 『에세이스트의 책상』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배수아의 “소설 쓰기” 스타일 자체를 상호텍스트적으로 탐색하게 할 주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이다. 이 논문이 『에세이스트의 책상』을 재독하면서 특별히 통찰하는 점은 기본적으로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는 M이라는 인물이 체현하는 음악적인 보편구조를 탐색하는 점이다. 둘째는 M이 체현하는 음악적인 보편구조와, 에리히가 체현하는 민족언어의 공모관계를 탐색하는 점이다. 셋째는 ‘나’가 체현하는 언어적인 보편구조를 통찰하는 점이다. 이 구조들을 대비함으로써 이 논문은 결국 포스트구조주의적인 (소설)언어의 보편구조를 만드는 기표들의 ‘소묘’가 세계의 무상성이라는 기의를 배태한다는 점을 드러낼 것이다. 이는 배수아의 소설언어와 염세주의적 세계관을 이론적으로 정초함으로써 향후 작가론을 심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염세주의를 초월하는 북한 형상- 홍석중의 "폭풍이 큰 돛을 펼친다"론

        이인표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2 아시아문화연구 Vol.59 No.-

        This thesis attempts to examine Hong Seok-jung's Juche novel, The Storm Spreads its Big Sails(2005), and examines the point that this novel embodies the North Korea that transcends the pessimistic world image. To reproduce the pessimistic world image is to deviate from the socialist world image, which is the original spirit of North Korean literature. However, from the point of view of Kim Il-sungism and Kim Jong-ilism, which emphasizes Juche realism rather than socialist realism, it can be tolerated even if this novel has such a special “conspicuous color”. It is to emphasize the justification that Kim Il-sungism and Kim Jong-ilism has the power to save the lives of the people even in the midst of a pessimistic “storm” that fragments lives more extensively than the “storm” of capitalism and imperialism. This thesis can be considered to specifically explore the following three.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a pessimistic world view, we explore the protagonist of the Juche novel, which is thoroughly “individuated”. The individualized protagonist crosses the boundary between life and death, but is a Nietzscheian superman who breaks this boundary and plays in this boundary. Second, the process of the main characters realizing the Nietzscheian existence that affirms the “individuation” of themselves is analyzed in detail. In other words, they transcend the Schopenhauerist compassion that denies and avoids this boundary, and promotes a pessimistic world view. Third, we explore the meaning of the “special” revolutionary Suryong that this novel embodies, that is, the hope for North Korea where no one is ‘individuated’ thanks to the empathy of Kim Il-sung and Kim Jong-il. This will allow us to look into the “special” Juche era portrayed by Hong Seok-jung, which is not as a narrative of socialist realism but as a narrative of pessimistic existentialism, which takes on a new color of Kim Il-sungism, Kim Jong-ilism. 이 논문은 홍석중의 주체소설, 폭풍이 큰 돛을 펼친다 (2005)를 탐색함으로써 이 소설이 염세주의적인 세계 형상을 초월하는 북한이라는 세계를 재현하는 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 소설이 염세주의적인 세계 형상을 재현하고 있다면 이는 북한문학의 원형적인 본령인 사회주의적 세계 형상을 벗어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하지만 사회주의 리얼리즘보다는 주체사실주의를 중시하는 김일성・김정일주의의 문화적인 풍토에서 이 소설이 이러한 특별한 ‘이채’를 띠더라도 용인될 수 있다. 김일성・김정일주의가 자본주의와 제국주의라는 ‘폭풍’보다도 한층 광폭하게 삶을 파편화하는 염세주의적인 ‘폭풍’ 속에서도 인민의 삶을 구원할만한 힘을 가진다는 명분을 치장하기 위해서다. 이 논문은 다음의 세 가지를 특별히 탐색한다고 볼 수 있다. 첫째, 염세주의적인 세계관의 관점에서 철저히 ‘개체화’되지만, 즉 삶과 죽음의 경계를 넘나들게 되지만, 이 경계를 허물고 이 경계에서 유희하는 니체주의적인 초인으로 형상화된 주체소설의 주인공을 탐색한다. 둘째, 주인공들이 ‘개체화’를 긍정하는 니체주의적인 실존을 깨달아가는 과정을 정세하게 분석한다. 즉, 이 경계를 부정하고 회피하는 쇼펜하우어주의적인 연민을 초극하게 되는 과정을, 이로써 염세주의적인 세계관을 고양하게 되는 과정을 탐색한다. 셋째, 김일성・김정일의 공감능력 덕에 아무도 ‘개체화’되지 않는 북한이라는 세계를 향한 희구를, 즉 이 소설이 정당화하는 ‘특별한’ 혁명적 수령관의 의미를 탐색한다. 이로써 사회주의 리얼리즘 서사로서가 아니라 염세주의적 실존주의의 서사로서 김일성・김정일주의를 새로이 채색하는 ‘이채’를 띠는, 홍석중이 치장하는 ‘특별한’ 주체시대를 들여다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사회과에서 신매체의 활용 : 함의와 과제

        이인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회 1998 사회과교육 Vol.- No.31

        최근 사회 전반적인 정보화 추세에 대응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교육정보화, 교단선진화가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사회과에서도 첨단 정보매체를 교수-학습에 활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과에서 교육매체로서 신매체를 활용하는 경우에 이것이 갖는 여러 가지 의미, 사회과에서의 신매체 활용 추세, 그리고 신매체의 교육적 활용이 가질 수 있는 한계 및 문제점을 고찰한 후,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앞으로 사회과가 지향하여야 할 바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Every human being acquires knowledge, skills and values and learns the rules of the society through education. Although various disciplines have their shares in educating a desirable citizen, social studies play the most important and distinctive role, for the purpose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s to cultivate cognitive ability about social phenomena with complicated structure and function and to bring up the democratic citizen capable to participate actively in various social affairs. Hence, social studies have critical responsibility for educating students to grasp new scientific technology and adapt to the cultural changes. Recent developments in information technology pose great challenges for social studies, while offer opportunities to take advantage of possibly powerful technology for educational use. This study purports to analyze the significance in applying new techonolgy to instructional learning, to describe the current status of technology use in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to investigate possible pitfalls that the technology in education can bear. Based on the analyses, future directions for social studies are suggested.

      • KCI등재

        ‘자기 성찰적 서사’의 정신분석을 위한 고찰

        이인표 한국문학교육학회 2023 문학교육학 Vol.- No.81

        이 논문은 대학 글쓰기 수업에서 ‘자기 성찰적 서사’라고 불리는 학생의 서사 과제를 심리적 텍스트로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사례적 고찰을 수행한다. 이론적 고찰에서 서사의 정신분석을 위한 이론을 정초한다. 이에서 프로이트의 심층 심리학과, 이것이 서사의 언어구조로 현상되는 바를 밝힌 라캉의 철학적 언어학이 석명하게 연동될 것이다. 또한, 서사적 언표의 구성원리를 밝힌 구조시학, 이의 기반인 구조주의 언어학, 결국 이를 고양하는 포스트구조주의의 언어학을 연동시킴으로써 학생 서사의 정신분석을 위한 이론을 예비적으로 고찰한다. 이 이론에 기초해 600여 개의 학생 서사들 중 전범을 들어 사례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이 논문이 특별히 통찰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심리묘사의 은유로 점철되는 강박의 서사, 장면의 환유로 이를 완화하는 불안의 서사를 상상계적 구조로 통찰한다. 둘째, 장면과 요약의 환유로 자아의 욕구를 넘어 타자의 욕망을 내면화한 상징계적 구조를 구현하는 서사의 구체적 양상을 탐색한다. 셋째, 상징계로 감각할 수 없는 실재계의 초자아적 우울과 환상을 구현하는 서사의 구조와 양상을 탐색한다. 이를 통해 이 논문이 학생의 서사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학생과 소통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conducts theoretical and case studies to analyze students’ narrative assignment, called “self-reflective narrative” in college writing class, as a psychological text. Theoretical studies establish a theory on the psychoanalysis of narratives. In this, Freud’s psychology, and Lacan’s philosophical linguistics which reveal that Freudian psychology is embodied through the linguistic structure of narrative, will be clearly linked. In addition, we provide a preliminary review of theories for the psychoanalysis of student narratives by linking structural narratology which reveals the compositional principles of narrative, structuralist linguistics which is its foundation, and post-structuralist linguistics, which ultimately promotes it. Based on this theory, we take examples from over 600 student narratives and analyze them on a case-by-case basis. Through this, the special insigh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narrative of obsession, filled with psychological metaphors, and the narrative of anxiety alleviated by metonymy of scenes are confirmed with an imaginary structure. Second, through metonymy of scenes and summaries, we explore specific aspects of narratives that embody a symbolic structure that goes beyond the desire of the ego and internalizes the desire of the other. Third, we explore specific aspects of the narrative that embody the superegoic melancholy and fantasy of the real world that can not be sensed in the symbolic world. As a result, this paper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students’ narrative in depth and communicating with th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