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혜순 시의 미학적 원리로서 ‘페티시즘(fetishism)’ - 1980년대 시를 중심으로

        이은란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2 한국문학과 예술 Vol.42 No.-

        본고는 김혜순의 초기시에 나타난 페티시즘이 1980년대의 시대적 모순을 드러내는 미학적 원리로 작용함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래 종교학‧문화인류학에서 원시인들의 주물숭배를 지칭하는 용어였던 페티시즘은 근대에 이르러 상품물신숭배와 절편음란증으로 개념화되었다. 근대적 기호로서의 페티시즘이 지닌 환유적 속성은 김혜순의 시에서 ‘속옷’과 ‘음식’으로 기호화된 몸을 통해 드러난다. ‘속옷’이 물신화된 세계의 비인간성을 형상화한다면, ‘음식화된 몸’과 성애의 카니발리즘적 양상은 페티시즘적 동일시의 불가능성을 드러낸다. 그런데 김혜순의 페티시즘적 상상력은 근대적 기호로 전락한 존재의 고립과 단절을 복원하려는 시도로 나아간다. 원시종교를 고찰한 에밀 뒤르켐에 의하면 본래 페티시즘적 세계관 안에서 인간은 주위의 친숙한 사물들을 통해 세계를 인식하고, 그것에 내재된 힘을 빌려 자신과 공동체를 보호한다. 그에 따르면 페티시즘은 인간, 환경, 공동체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감응의 산물이다. 이는 ‘어머니(과거)’, ‘나(현재)’, ‘딸(미래)’를 연결하는 ‘작두’, ‘거울’, ‘항아리’ 등의 페티시즘적 주물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시인의 초기시에 제시된 ‘작두’와 ‘거울’은 화자와 어머니를 매개하는 성스러운 주물이다. ‘나’의 육체는 어머니와의 결속을 통해 가부장제의 희생물이 아닌 생명(딸)을 잉태하는 신성한 몸으로 재탄생한다. 또한 ‘나’와 ‘딸’의 결속은 신성한 ‘항아리’나 생동감 넘치는 ‘유물들’에 대한 상상력을 통해 드러난다. 김혜순의 페티시즘에 내포된 양가성은 기호화된 존재성을 초월하려는 시도일 뿐만 아니라, 억압적인 현실을 전복하는 미학적 응전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that fetishism in Kim Hye-soon’s early poetry acts as an aesthetic principle that reveals the contradiction of ‘the regime of the 1980s.’ Fetishism, a term that originally referred to primitive men’s worship of a fetish in religious studies and cultural anthropology was conceptualized as commodity fetishism and partialism, respectively, by K. Marx and S. Freud in modern times. The metonymic property of fetishism as a modern sign is revealed through the body symbolized by ‘underwear’ and ‘food’ in Kim Hye-soon’s poetry. While ‘underwear’ embodies the inhumanity of the fetishized world, the ‘food-body’ and the cannibalistic aspect of sexual love reveal the impossibility of fetishist identification. However, Kim Hye-soon’s fetishist imagination advances to an attempt to recover the isola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being reduced to a modern sign. According to Emile Durkheim, who investigated primitive religions, humans recognize the world through surrounding objects in the fetishist view of the world and protect themselves and their communities, borrowing their powers. According to her, fetishism is a product of the reaction that organically connects between humans and humans, and between humans and the environment. This can be seen through fetishistic fetishes such as a ‘straw cutter’, the ‘mirror’, and a ‘pot,’ which mediate ‘mother (past)’, ‘I (present)’, and ‘daughter (future).’ ‘My’ body that encountered the mother through ‘the straw cutter’ and ‘the mirror’ is born again as a sacred body that gives birth to a life (daughter), rather than a victim of patriarchy. Furthermore, the solidarity of ‘I’ and ‘daughter’ is made with the medium of a sacred ‘pot’ or ‘relic’ in lively museums. The ambivalence shown by Kim Hye-soon’s fetishism has significance in that it is an attempt to transcend symbolized existence and an aesthetic fightback to overthrow oppressive reality.

      • KCI등재

        현대시 연구방법론으로서 페티시즘(Fetishism)의 시학적 탐색

        이은란 ( Lee Eunran ) 한민족문화학회 2022 한민족문화연구 Vol.77 No.-

        본고는 페티시즘(fetishism)의 이론적 토대를 검토함으로써 현대시 연구방법론으로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주지하듯이 페티시즘은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 상품물신주의를 의미하거나,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신체 일부 혹은 사물에 과도하게 집착하는 퇴폐적 성욕구를 가리킨다. 페티시즘은 인간의 근원적인 결핍을 충족하기 위한 환유적 기호로서 본질의 재현물, 대리물에 불과한 것으로 요약된다. 현재 문학 연구에서도 페티시즘은 주로 상품자본주의나 변태적 성욕을 설명하는 이론적 배경으로만 언급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논리의 기저에는 페티시즘을 미개와 야만의 산물로 취급하는 문명론적 인식이 작용한다. 원래 페티시즘은 유럽인들이 서아프리카 토착민들의 주물 숭배를 가리키던 용어였으며, 18세기 이후 서구 인류학자 및 종교학자들에 의해 원시인들의 조야하고 저급한 미신을 의미하는 멸칭으로 사용되었다. 반면 로고스중심주의를 비판한 포이어바흐의 유물론적 종교관에 따르면 원시인들의 물신숭배는 물질성과 유용성을 갖추고 있다. 현대인들과 달리 원시인들은 물질적 세계관 안에서 ‘감성적 질료’를 숭배함으로써 ‘세계존재’로서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에밀 뒤르켐은 원시 종교의 집단토템 뿐만 아니라 개인토템 역시 인간과 사물의 ‘감응’을 바탕으로 주변의 환경, 나아가 세계와의 결속에 기여한다고 보았다. 이처럼 ‘감응의 유물론’으로서 페티시즘은 근대성이 초래한 인간과 인간, 인간과 사물의 분리를 초극하는 미학적 상상력으로 재발견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는 김소월, 김기림, 이상의 작품에 나타난 페티시즘의 양상이 모더니티적 현실을 내파하는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This study would seek the possibility of applying fetishism as a modern poetry research methodology by examining its theoretical foundation. As is well known, fetishism means commodity fetishism from a Marxist perspective or has been considered a decadent sexual desire of being excessively obsessed with a part of the body or an object from a psychoanalytic perspective. Fetishism is a metonymic sign to meet the fundamental human deficiency, which is summarized as a mere reproduction or substitute of the essence. In literature studies, also, fetishism is mostly mentioned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hat describes commodity capitalism or a perverted sexual desire. And yet, on the basis of this logic, awareness based on civilizational theory is working, which treats fetishism as a product of savage and barbarism. Originally, fetishism was a term by which the Europeans referred to that of indigenous peoples of West Africa, and after the 18th century, it has been used as a derogatory term meaning the crude and vulgar superstition of primitive people by Western anthropologists and religious scholars.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materialistic religious view of Ludwig Feuerbach who criticized logocentrism, primitive people’s fetishistic religion has materiality and usefulness. Primitive people can live as ‘beings in the world’ by worshipping an ‘emotional substance’ in the materialist worldview. Emile Durkheim noted that personal totems, as well as collective totems from primitive religions, contribute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ased on the ‘affect’ between humans and also things and the bond with the world as well. Like this, fetishism as ‘materialism of affect’ can be rediscovered as an aesthetic imagination that transcends the separation between humans and between humans and things caused by modernity. Based on this,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and reveal that the aspects of fetishism in the works of Kim So-Wol, Kim Ki-Rim, and Yi-Sang are acting as a driving force that implodes the reality of moder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