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주화운동보상법의 공법적 문제점

        이윤환(Lee Youn-Hwan) 한국법학회 2007 법학연구 Vol.27 No.-

        민주화운동보상법은 1999년 12월 28일 국회를 통과하였다. 동법의 제정은 불완전하나마 어두웠던 시절 탄압과 매도의 대상이었던 민주화운동에 대하여 정당한 역사적 평가를 부여하는 법적 토대를 마련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과거 좌경ㆍ용공으로 매도되었던 민주화운동에 대한 역사적 평가를 바로잡고 억울하게 희생당했던 민주인사들의 명예회복과 보상의 길을 마련함으로써 우리의 민주주의가 진일보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민주화운동보상법은 입법과정에서 민주화운동으로 인하여 발생한 피해에 대한 인식부족과 충분한 토론과 논의과정이 없이 정치적 타협에 의해 졸속입법이 이루어짐으로써 민주화운동 관련자에 대한 피해구제에 있어서 현실과 법률간의 괴리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진상규명은 소홀히 한 채 피해자의 명예회복과 보상을 위주로 규정함으로써 일정한 입법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민주화운동보상법의 헌법적 지향점을 살펴보고 민주화운동보상의 주요내용을 개관한 다음, 법운용상에서 제기된 여러 공법적 문제점을 검토한 후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The Act for the Restoration of Honor and Compensation to Activists of Democratization Movement was passed by the national Assembly at Dec. 28. 1999. Even though the law is not perfect to protect the democratic activist. the law has the value that it make the basic of law for incarnating to the democratic movement which had suppressed and denunciated. This law has contributed to advance the our democracy through making the way of compensation and the regaining the impaired reputation of the Activists of Democratization Movement who had been denounced as a pro-communist or an inclination to the left. There are some problems in the law. First, it has a gap in reality of compensation to Activists of Democratization Movement because in the processing the law, it was legislated base on political compromise without enough discussion. Second, it has limit of legislation which is neglecting of the discovery of truth, only it focuses on the restoration of honor and compensation of the victims. Therefore, this essay tries generally to examine the constitutional point of the Act for the Restoration of Honor and Compensation to Activists of Democratization Movement. Finally, after investigating the problems of the law I suggest the alternative plans.

      • KCI등재

        헌법개정의 필요성과 권력구조 개편방향

        이윤환(Lee, Youn Hwan) 한국법학회 2021 법학연구 Vol.81 No.-

        현행 헌법에 대한 개헌 필요성이 제기된 것은 이미 오래전부터이다. 우리나라는 1948년 정부수립 이후 9차례의 헌법개정을 하였고, 그것도 대부분 전면적 헌법개정을 하였다. 1987년 현행 헌법이 개정되어 시행된 지 30여년이 지났으니 비교적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헌법이 유지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역대 정부를 통하여 오랜기간 동안 추진해오던 개헌논의가 문재인정부가 들어서면서 국회에 개헌특위를 구성하여 다시 추진되었으나, 직전 대통령에 대한 사법처리와 소위 적폐청산작업으로 인한 국민간 갈등, 북핵 문제 등에 가려서 개헌추진 열기가 동력을 받지 못하였고, 국회 개헌특위 또한 가시적인 진전을 보이지 못하였다. 권력구조면에서는 대통령에 대한 권력집중이 가져오는 운영상의 폐해와 5년 단임 대통령제가 대통령이 절대적 권력을 행사하면서 국민여론을 무시하는 독단적 국정운영을 하도록 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어서 대통령의 권한을 제한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선진국에서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정부형태 중 하나를 선택한다고 해서 우리의 정치문화가 하루아침에 달라지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정부형태 선택에만 몰두할 게 아니라 입법부와 행정부간의 협치와 책임성 강화, 국정전반에 대한 의회의 통제기능 강화, 정부 내 국정담당자들 간의 수평적 분권 및 견제와 균형, 의회 내에서의 분권 및 견제와 균형, 그리고 사법부를 포함한 각 헌법기관간의 상호 견제와 균형관계를 체계적으로 구조화할 필요가 있다. 권력구조 변경문제는 여러 정치세력들 간의 합의가 중요할 뿐만 아니라 국민적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는 것은 말할 나위가 없다. 국민들이 현재의 제왕적 대통령제에 염증을 느끼고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의원내각제나 이원정부제로의 이행을 원하고 있는가에 대하여 충분한 사회적 합의나 국민적 공감대가 존재하고 있다고 볼 수 없다. 국민들이 원하는 바람직한 권력구조는 ‘분권과 협치’이다. 격변하는 국내외 환경 속에서 국력낭비와 국정혼란의 주요원인으로 작용하는 권력구조를 개혁함으로써 국정의 효율성과 안정성, 연속성, 책임성을 확보해야 하는 것이 시대가 요구하는 흐름에 부응하는 것이다. 따라서 개정 헌법은 미래 대한민국의 국가적 안정과 번영,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설계를 담아내야 한다. 현재 정치권에서는 4년 중임제, 이원집정부제, 의원내각제 등을 놓고 많은 주장이 쏟아지고 있으나 어떠한 제도라도 장점과 한계를 지니고 있다. 역대 국회에서 연구한 결과보고서와 각계 전문가들과 시민사회가 주장해온 현행헌법의 문제점들을 정확히 진단한 후 헌법개정 사항을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를 고려하여 국민의 공감대가 이루어진 후 개헌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The need for amendment to the current constitution has been raised for a long time.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in 1948, Korea has revised its constitution nine times, and most of these have also been completely revised. Since the current constitution was revised in 1987 and it has been in force for more than 30 years, it can be said that the constitution has been stably maintained for a relatively long time. Discussions on constitutional amendment, which had been promoted for a long time through the previous governments, were promoted again by forming a special committee on constitutional amendment to the National Assembly as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entered the constituency. The enthusiasm for promotion was not motivated, and the National Assembly Special Committee on Constitutional Amendment also showed no visible progress. In terms of the power structure, the management of the president’s power concentration on the president brings about operational harm and the 5-year single-term presidential system leads the president to exercise absolute power and conduct arbitrary state administration that ignores public opinion. Necessity is being demanded. Choosing one of the forms of government that is successfully operating in developed countries will not change our political culture overnight. Therefore, we do not focus solely on choosing the form of government, but also strengthen cooperation and accountability between the legislature and the executive, strengthen the control function of the parliament over the entire state administration, horizontal decentralization and checks and balances between government officials, decentralization and checks within the parliament, and There is a need to systematically structure the balance and mutual checks and balances between constitutional institutions including the judiciar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consensus between various political forces is important for the change of power structure, and it is necessary to form a consensus among the people. It is clear that the people are feeling irritated by the current imperial presidential system, but that does not mean that there is sufficient social consensus or public consensus on whether they want the transition to a parliamentary cabinet system or a dual government system. The desirable power structure that the people want is’decentralization and cooperation’. In a rapidly changing domestic and foreign environment, the need to secure efficiency, stability, continuity, and accountability of state administration by reforming the power structure, which is the main cause of wasting national power and confusion in state affairs, is to meet the demands of the times. Therefore, the revised constitution should contain designs for the future national stability, prosperi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Currently, many arguments are being poured out in the political world over the four-year middle term system, the dual office system, and the parliamentary cabinet system, but any system has its strengths and limitations. After accurately diagnosing the current Constitutional issues that have been researched by previous National Assembly studies and experts from various fields and civil society,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amendment after the consensus of the people is achiev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interests surrounding constitutional amendments.

      • KCI등재

        신행정수도의건설을위한특별조치법에 대한 헌법적 고찰

        이윤환(Lee Youn-Hwan) 한국법학회 2004 법학연구 Vol.17 No.-

        The Roh Moo-hyun government, established after 2002 presidential election, legislated 'special law for admistrative capital construction' on the 29th of December in 2003 to solve congestion problem of metropolitan area of Seoul and achieve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The Roh government believed that population, industries, and political power has been severely concentratedon Metropolitan area of Seoul, national competitiveness has declined very seriously.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Roh government determined to construct administrative Capital in Chungchong Area. 'special law for admistrative capital constructionwas designed and passed in National Assembly. But, 'A Procurator of constitutional petition for unconstitutionality of capital transfer' filed a suit on this 'special law'with constitutional petition for halting the activity of 'admistrative capital construction comittee'to constitutional court. So, constitutionality of construction of new administrative capital is supposed to be determined by constitutional court. 'A Procurator' are trying to halt the construction of new administrative capital and transfer of public organization with a logic that this process has been carried without people's consent and it could be unconstitutional, while they raise a question on the legal and administrative lawfulness, although construction of new administrative city is being done according to planned schedule. This paper examines the necessity and major contents of 'special law', and studies the constitutional petition judging system on legislation of national assembly. Analysis on whether special law violates the constitution from the viewpoint of legal formalities and contents will be followed.

      • KCI등재

        개발제한구역법상 토지이용 활성화에 관한 연구

        이윤환(Lee, Youn-Hwan),정우택(Jeong, Woo-Taik) 한국법학회 2019 법학연구 Vol.74 No.-

        개발제한구역은 도시의 불합리적인 산발적 확장 방지와 도시민에게 유익하고 건전한 자연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처음 1971년 도시계획법이 개정되면서 처음 도입되었다. 개발제한구역이 도입된 이후 40년이 넘게 다양한 변화를 거처 현재에 이르고 있다. 개발제한구역 도입 초기에는 살기 좋은 생활환경에 상당부분 기여하였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비닐하우스 등의 난립과 하수시설 없는 음식점 등이 환경을 훼손하고 있으며 도시의 난잡한 확산으로 도시민의 건전한 생활환경이 점점 더 악화되고 있다. 개발제한구역 지정 주체인 정부가 개발제한구역을 일방적으로 해제하여 정부 정책의 일관성과 형평성 및 토지이용을 과도하게 규제하여 재산권 침해가 심각하게 문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71년부터 2019년 2월까지 개발제한구역과 관련된 법령, 국내외 문헌을 분석하여 개발제한구역의 문제점과 토지이용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개발제한구역이 현재는 지정 토지의 89.9%, 지정당시 건축물의 16.1%가 남아 있으며 개발제한구역 전체 약 100만 필지 중 전·답이 56%, 임야가 17%, 주거용 필지는 4%에 불과하다. 노무현 정부는 국민임대주택과 집단취락을 해제하여 총654㎢를 해제하였으며 이명박 정부는 보금자리주택 보급과 해제총량확대를 통하여 88㎢를 해제하였다.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는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하여 주택문제를 해결하려 했지만 두 정부 모두 부동산 가격과 주택 부족문제를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개발제한구역법의 제정 목적에 맞게 유지하면서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건전한 주택환경을 조성해 나가야 한다. 둘째, 개발제한 구역 지정으로 재산상의 불이익을 받는 토지소유자를 위하여 국가가 개발제한구역 전체를 매입하기 어렵지만 보전・자연녹지인 사유지에 대해서는 우선적으로 매입하여야 한다. 매입을 위한 재원은 토지채권 발행과 비 녹지지역(주거·공업·상업지역)으로 편입한 지역의 지가상승 액의 일정부분을 토지보유 기간에 비례하여 환수하고 취락 정비사업에 부과한 개발부담금을 활용한다. 보전・자연녹지 편입 토지소유자와 비 편입 토지소유자 사이의 토지소유권의 형평성과 효율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권 양도제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개발제한구역 지정 이후 공장이나 창고 등을 건축하거나 토지의 형질을 변경하는 불법행위 적발 건수가 총 4만 8,206건이 넘을 정도로 개발제한구역의 효율성에 장애가 되고 있다. 그리고 국가가 개발제한구역 내 주민지원사업을 추진하면서 화훼마을, 주말농장, 자연생태마을 등 마을공동소득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이러한 마을공동사업을 진행하는 지역도 적고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지도 않고 있다. 2015년 마을공동 소득사업에 전국 4%인 207가구가 참여하고 있고 60개 읍면동에서 진행하고 있다. 마을 공동사업이 적극적으로 활성화되지 않는 이유는 주민의 참여저조, 체험시설의 사적활용, 시설의 관리 부실, 주민 갈등 등이 제시되고 있고 전체 개발제한구역 34.5%가 상수원보호구역, 자연생태계보전지역, 농업 진흥지역, 군사시설보호구역, 문화재보호구역 등 강력한 규제가 마을 공동사업을 방해하고 있다. 따라서 마을 공동사업이 성공적이고 적극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주민참여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개발제한구역의 규제를 완화하여 개발제한구역 주민들이 만족할 수 있는 맞춤형 개발제한구역을 운영하여야 한다. 넷째, 국가가 개발제한구역 해제 후 주택을 공급하는 것은 토지가격이 타 지역에 비해 저렴하기 때문에 저가의 주택을 공급할 수 있다고 보지만 저렴한 토지로 주택을 공급하려면 기반 시설이 뒤따라야 하고 그 비용이 신도시 건설비용에 고스란히 부가되므로 저렴한 보상비에 비해 대지조성비는 상당히 높게 책정된다. 또한 여러 기반시설의 부족으로 전철이나 버스 등 대중교통 수단이 열악한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삶의 질은 상당히 불만족스럽고 불편한 삶을 살게 된다. 그러므로 직주균형(Job-Housing Balance)을 최대한 활용하여 토지의 효율성을 극대화하여야 할 것이며, 도시는 여러 복합체가 상호작용하여 발전하므로 장기적이고 계획적이며 거시적인 개발제한구역 정책을 운영해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수도권규제법제에 대한 헌법적 고찰

        이윤환(Lee Youn-Hwan) 한국법학회 2009 법학연구 Vol.34 No.-

        정부는 국정운영 과제인「수도권규제 합리화」대책을 발표하면서 국가 경쟁력 향상 및 국내ㆍ외 기업의 투자촉진을 위한 환경 개선을 이유로 성장 억제위주에서 규제완화 정책으로 변경을 시도하고 있다. 수도권규제완화와 지방분권정책을 둘러싸고 추진의 방법론, 추진시기, 적용대상지역 등에 대한 논쟁과 갈등으로 수도권과 비수도권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것이다. 경기북부 지역 같은 경우 지역균형발전이라는 미명하에 개발이 억제됨으로써 오히려 역차별을 받고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즉 수도권규제입법으로 인하여 수도권에 거주하는 국민 상당수가 헌법에 규정된 기본권이 침해되고 있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주장은, 지난 30년 동안 경제개발과 성장위주의 논리에 밀려 소외되어왔던 비수도권 국민들의 불만과 소외감을 인식하지 못한 주장이다. 그동안 과도한 수도권 인구집중과 경제력 집중으로 환경파괴와 교통문제, 주택문제 등 엄청난 후유증에 시달릴 뿐 아니라 지방의 공동화 현상을 초래해 왔다. 수도권 규제는 수도권집중을 해소하고 지역균형발전을 통하여 국가경쟁력을 강화하며 나아가 국민모두의‘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국가핵심사업으로서 수도권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압도적 지지를 받고 있다. 지방분권과 지역불균형의 문제가 이미 국가적 차원의 문제로 부상되어 있고, 심각한 국론분열의 위기에까지 와 있는 오늘의 우리 현실을 감안한다면, 이러한 중앙집권과 지역불균형의 문제는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문제라고 생각한다. 수도권 규제가 헌법상 보장된 기본권을 침해하고 있다는 주장은 현재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모든 여건을 고려해 볼 때 받아들이기 어렵다. 정부는 지역균형발전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를 열망하고 있는 수도권 이외의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국민들의 소리 없는 외침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국가의 중요한 정책결정은 국론분열과 사회적 비용이 수반되는 선전선동이나 법률적 판단에 의한 해결에 의존하기 보다는 국민의 대의기관인 국회에서의 이성적 토론을 통한 정치적 해결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The government announced measures for ‘Rationalization of Regulation on the Capital Area’ as one of state affairs and as an effort to switch from policies restraining growth to deregulation for enhancing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improving the environment of investment by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Surrounding deregulation on the capital area and decentralization to localities, there is a sharp confrontation between the capital area and non?capital areas. Until now, the excessiv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and economic power into the capital area has caused serious aftereffects such as environmental pollution, traffic problem, and housing problem, and resulted in the hollowing of localities. Supported overwhelmingly by all areas except the capital area, regulation on the capital area is a key national project for enhancing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all people through resolving excessive concentration in the capital area and fostering balanced development of localities. Centralization and regional imbalance are critical problems that should not be overlooked any longer. The assertion that regulation on the capital area infringes the basic rights guaranteed under the Constitution is not acceptable considering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capital and non?capital areas. The government must listen to the voiceless shout of people in non capital areas who are craving for strong nat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balanced development of localities.

      • KCI등재

        개정사립학교법에 관한 헌법적 검토

        이윤환(Lee Youn-Hwan) 한국법학회 2006 법학연구 Vol.22 No.-

        개정 사립학교법이 지난해 12월 국회를 통과하여 공포되었다. 개정사학법의 주요골자는 개방형이사제 도입과 친ㆍ인척의 학교장 임명 금지 등이다. 사립대학과 사립 중ㆍ고교의 이사장과 총장, 학부모 등 15명이 위헌여부를 가려달라는 헌법소원을 청구하였다. 개정사학법의 운명은 헌법재판소가 사유재산으로 출연한 학교법인의 자율성과 교육의 공공적 기능 중 어느 쪽에 무게를 두느냐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설립자가 사립학교를 자유롭게 운영할 자유는 헌법에 의하여 인정되는 기본권의 하나이다. 그러나 학교교육은 가장 기초적인 국가응성의 자양분이며 사회발전의 원동력이라 할 수 있고 국가ㆍ사회적으로 지대한 관심과 영향을 미치는 것이어서 국가의 개입과 감독의 필요성이 그 어느 분야보다도 크다고 아니할 수 없다. 입법권은 기본권의 본질적 내용을 침해하지 않는 한 궁극적으로는 입법권자의 형성의 자유에 속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개정사학법이 사립학교운영의 자유를 제한하고 있다 하더라도 그 위헌여부는 입법자가 기본권을 제한함에 있어 합리적인 입법한계를 벗어나 자의적으로 그 본질적 내용을 침해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Last year, december, reformed the private school act was declared through the agreement of National Assembly. The essential part of reformed private school act includes the introduction of open trustee system and the prohibition of employing friends and relatives as the school director. Private colleges', universities' and private middle, high schools' fifteen members who consist of the chief trustee, the school president, and parents, submitted a petition as an appeal to decide whether this act is constitutional or not. The reformed private school act's destiny will be decided by the constitution court's attitude, that is. what this constitution court would value more between the school legislation's freedom and the education's public function. That the founder operates the private school with freedom, is one of basic rights which are approved by the constitution. However, the school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basic nation development resources, and the motive for the social improvement. Moreover, since the school education is the realm of influence and effect, nationally and socially, the necessity of national intervention and ! supervision is important than any other fields. The legislative power, in so far as it does not harm the essential content of basic rights, can be considered as what belongs to the legislator. Therefore, even though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reformed private school act limits the private school's freedom to operate, the basis for constitutionality should be decided by whether the legislator, in regulating the basic rights, violated the essential content beyond the limit of rational legislation, or no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공직선거법상 외국인선거권에 관한 고찰

        이윤환(Lee Youn-Hwan) 한국법학회 2008 법학연구 Vol.32 No.-

        21세기는 이민의 시대라 불린지 오래이다. 주된 요인으로 경제의 세계화를 꼽을 수 있으며 이것이 상품, 자본 정보, 이미지 등과 함께 주로 노동자들의 전 지구적인 이주를 촉진시켰다. 우리나라의 인구증가율은 둔화되고 있는 반면 인구대비 국내 체류외국인 비율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들 외국인 주민들이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누리기 위해서는 그 사회의 권력의 구성과 운영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인정되어야 하고 그 최소한의 수단이 바로 지방참정권을 부여하는 것이다. 외국인주민에게 지방참정권을 인정한다는 의미는 공공생활에서 공동결정의 동료로서 그들을 받아들인다는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참정권 자체는 인격을 인정한다는 상징적 의미를 갖게 된다. 일정자격을 갖춘 외국인 주민에게 참정권을 인정하는 것은 그 사람을 돈벌이를 위해서 온 이방인으로 차별대우를 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인간으로서 평등하게 대우하는 우리사회의 의식전환의 상징이기도 하다. 2005년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우리나라 영주권을 취득하고 3년 이상 경과한 19세 이상의 외국인에게 투표권이 부여되었다. 영주자격을 가진 외국인들에게 지방선거권을 부여하는 공직선거법 개정이 있었지만 그 대상자는 극히 제한되었다. 화교 등 일부에만 한정된 영주권제도를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 지난 2005년의 공직선거법개정은 충분한 연구검토 없이 졸속으로 이루어진 측면이 있다. 다음 선거가 얼마 남지 않았다. 지난 선거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보완하고 좀 더 합리적인 법 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자국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에게 선거권을 인정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고 유럽지역 국가들 중 일부는 이미 선거권을 부여하고 있다. 아시아지역에서는 우리나라가 최초다. 외국인에 대한 선거권 부여는 국가간 상호주의에 따라 재외 한국인들이 참정권을 부여받는데 큰 힘이 되는 것은 물론 국제교류 및 협력 등 외교활동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oday almost every country of the globe confronts the era of internationalization in which a great number of foreigners with their own aims reside in each country in a variety of forms. Consequently, the unexpected legal and institutional problems have come to light, so it becomes the urgent question how to clarify and secure aliens' legal duties and rights including their fundamental human rights. Human rights, it is said, are the only political and moral ideology which is universally approved in the world. It is a general opinion that the fundamental human rights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shall be guaranteed even to aliens. And yet, since the voting right is guaranteed only to a nation under the principle of people's sovereign power, it has been taken for granted that aliens do not acquire the right and the right has nothing to do with aliens' settlement or their living reality. Also, it is undeniable that every constitutional law of all the countries maintains the same attitude. It must be approved that permanent alien residents can participate actively in composing and operating power at least within their community so that they may enjoy human dignity and value as human beings. To do so, the irreducible minimum of a demand is to grant aliens the voting ri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