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글 간판 디자인 선호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유진 ( Youjin Lee ),박진애 ( Jinae Park ),정주애 ( Jooae Jeong ),전성숙 ( Seongsuk Jeon ),정진우 ( Jinsoo J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3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종로구청이 진행하고 있는 간판 디자인 개선 사례로부터 영문 브랜드 간판 디자인과 개선한 한글 간판 디자인을 비교하여 흥미 정도와 선호 정도의 차이를 측정한 것이다. 이는 범람하고 있는 영문 브랜드 간판 디자인 속에서 고군분투하는 한글 간판 디자인의 현주소를 확인하고 향후 한글 간판 디자인 개선에 있어 필요한 논의를 이끌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영문 브랜드 간판 중에서 한글 간판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하며, 개선 이전에 설치되었던 영문 간판 디자인과 개선 이후에 설치된 한글 간판 디자인을 실험 연구의 범위로 택했다. 특히 음료(커피 전문점), 전자·통신(대리점 포함), 제과·식품의 업종별 간판 디자인을 총 18개로 선정한 후, 간판 디자인의 흥미 정도와 선호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정서적 주의도, 조형적 호감도, 이지적 선호도를 묻는 설문 조사를 단행했다. 측정에 사용한 의미 분별 척도는 국어형용사 의미 분류 방법에 따라 상관적 형용사와 비상관적 형용사에서 총 6개를 추출하여 양 끝 척도로 완성했다. (결과) 분석 결과, 영문 브랜드 간판 디자인이 정서적 주의도, 조형적 호감도, 이지적 선호도에서 우세했으나 한글 간판 디자인과 비교했을 때 그 차이가 현격히 두드러진다고 볼 수 없었다. 특히 KT, 올레, 배스킨 라빈스, 던킨 도너츠의 한글 간판 디자인은 영문 브랜드 간판 디자인과 비교했을 때 그 차이 값이 척도 반 개 정도에 해당했다. 이것은 한글 간판 디자인으로 개선했을 때 브랜드의 정체성에 영향을 미칠지도 모른다는 선입견이나 편견이 기우에 불과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조형적 호감도를 묻는 문항에서 한글 간판 디자인에 대한 호감도는 10대~30대 여성의 값과 40대 이상 남성의 값이 두 집단으로 나뉘어 대립하는 양상을 보였다. 즉, 같은 한글 간판 디자인(던킨 도너츠, 배스킨 라빈스)을 보고도 10대~30대의 연령층은 `촌스럽다`는 응답률이 높았으나 40대 이상 남성 연령층에서는 `세련되다`는 응답률이 더 높게 나왔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해당 문항은 연령층에 따라 다른 해석의 차이가 나타나고 있었다. (결론) 이번 연구에서는 한글 간판 디자인과 영문 간판 디자인의 호감 정도와 선호 정도가 브랜드마다 다르지만, 그 차이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영문 브랜드 간판을 한글 간판으로 개선할 때 연령층에 따라 다른 해석의 차이를 보이므로 인구통계학적 의미 해석의 문제를 조율하기 위한 평가 도구 개발이 시급하다는 점도 파악되었다. 그러므로 더욱 과학적인 간판 디자인 평가를 위한 도구 개발과 아름다운 한글 간판 디자인의 요건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향후 과제로 남는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compared English signboards to Korean-language signboards based on the improvement of signboard design launched by Jongno-gu Office, and measured differences in interest and preference. The ultimate goal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language signboards amidst a flood of English ones and bring up discussion on improving Korean-language signboards. (Method) For this study, cases of participating in the Korean-language signboard design improvement program in Jongno-gu, Seoul were analyzed. In terms of scope, English signboards installed prior to this program and Korean-language ones installed after the program began were compared. In particular, 18 different signboard designs were selected by business type: beverage (coffee shop),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 (agencies included), and bakery and food. To measure the level of interest in and preferences for signboard design, a questionnaire survey covering emotional attention, formative liking, and intellectual preference was given. For scale of measurement, six words were extracted from correlative and non-correlative adjectives, according to the Korean Adjective Meaning Classification Method, and the semantic differential was completed. (Results) The study results found the following: English signboards were superior in emotional attention, formative liking, and intellectual preference. When compared to Korean-language ones, however, no considerable difference was found. In KT, Ollie, Baskin Robbins, and Dunkin` Donuts,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between English and Korean signboards was as small as a half scale. In other words, there is no evidence that Korean-language signboards have a negative effect on brand identity. In questions about formative liking, however, liking of Korean-language signboards was divided into two groups: women ages 10 to 39, and men aged 40 or older. Specifically, those in the 10-39 group said that Korean-language signboards (Dunkin` Donuts, Baskin Robbins) were “corny,” while men in their 40s or older responded that they looked “refined.” In other words, different responses were observable by age.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even though there is some difference in liking and preference between Korean-language and English signboards, it is not very large. Furthermore, different responses were found by age when English signboards were redesigned into Korean-language ones. Therefore, it is urgent to develop an assessment tool to coordinate a matter of interpreting demographic meanings. In sum,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ool to assess signboard design in a more scientific manner and investigate the requirements for more beautiful Korean-language signboards in future studies.

      • 남북러 가스관 사업의 개요와 주요 쟁점들에 대한 고찰

        이유진(Lee Youjin) 고려대학교 러시아 CIS연구소 2013 Acta Russiana Vol.5 No.-

        в декабре прошлого года во время встречи с Послом России в РК избранный Президент РК особо отметил, что соединение газо проводов. железных до рог и электросетей чере з Северную Корею является очень хорошим делом для создания мира и совместного расцветания в регионе Северо-восточной Азии . Однако на дан ный момент именно проект прокладки газопровода оценивается как «самый осушествимый» , поскольку уже изучено и подтвер ждено ТЭО , а также сушествует возможность прокладки газопровода за довольно короткий отрезок времени. Кроме того, этот проект привлекает наше внимание и в том смысле, что его успешное осуществление может прив ести к началу других крупномасштабных проектов стратегического з начения , такие как, проект соединения транскорейской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й магистрали с выходом на Транссиб и проект по соединению электросетей при помоши ЛЭП. Исходя из такой актуальности данная статья посвящена главным спорным вопросам по данному проекту включая нынешнее состояние проекта и ожидаемые эффекты проекта для России и Кореи . Среди значе ния проекта особо подчеркнуты такие тезисы, как: "газопроводы как прочный фундамент для ра звития политического и экономического сотрудничества Росси и РК" , "газоп роводы как мотив привлечения Северной Кореи к реформам и открытости" , "газопроводы как вклад России в мир и безопасность Корейского полуострова" . Далее пр едложены ответы на такие вопросы "какова оценка риска транзит?" "какова острота проекта? " и "какие предстоящие задачи " . В заключении подчеркнуто , что смысл данной работы не ограничивается только экономическим и интересами, но и имеет р аз ного рода стратегическое значение для России и Кореи . Следовательно , провал работы данного проекта может нанести большой урон . После третьего ядерного испытания Северной Кореи все обстоятельства вокруг Корейского полуострова выглядят не просто. Наступает момент , который требует острого раз ума и решительности нового правительства чтобы не терять момента .

      • KCI등재

        소비자 경험 기반의 소매점 서비스 디자인 조사 방법에 대한 연구

        이유진 ( Youjin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5

        (연구배경 및 목적) 연구자는 소비자가 원하는 소매점 서비스 디자인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소비자 관점의 서비스 디자인을 조사하기 위해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목적은 소매점 소비자의 맥락을 살펴 소비자 관점의 ‘소비 경험과 장소 의미’를 추출하고 이를 소매점 서비스 디자인 방향으로 구체화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범위는 서비스 디자인의 소비자 조사 과정인‘발견(discover)’과정이며, 이를 위해 질적 조사 방법의 하나인 기본적 해석적 연구(basic interpretive qualitative research)방법을 응용하였다. 이 방법은 소비자 관점의 소비 의미를 재구성하는 데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심층 인터뷰를 통해 소매점의 위상을 살피고, 소비자가 경험한 감각적 의미를 추적하여, 소매점별‘소비 경험과 장소 의미’를 범주화하였다. 각각의 범주에 따른 의미 맥락을 분석해 소매점 서비스 디자인의 기초 자료로 도출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대다수 소비자가 생각하는 동네 대표 소매점은 편의점이었으며, 가격보다도 상품의 질, 서비스 상태, 매장 진열 상태, 신뢰할 수 있는 정보 제공, 안심할 수 있는 제품 유통기한, 쾌적한 매장 분위기, 일관성 있는 서비스, 다양한 결제 방법, 할인 행사 등에 소비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소비자들은 제품 정보 표시, 매장 분위기, 접객 태도 등을 필수 서비스 내용으로 꼽았다. 연령별, 성별로 선호하는 서비스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공통적으로 1인 가구나 소가족 단위의 소분 판매 제품, 신선한 과일과 샐러드, 유기농 건강 식품, 보온 요리, 컬래버레이션 기획 제품, 수입품 등을 원하고 있었다. 10대에서 30대까지의 소비자들은 새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정보에 민감한 편이었고, 이 중 30대 1인 가구가 편의점 문화에 호감을 느꼈다. 20대는 제품 정보를 사회적 연결망 서비스로 확인하고 있었으며, 새 제품이 출시되면 호기심을 가지고 구매하는 편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40대 이상 소비자들은 새 제품보다는 기존 제품의 신뢰가 높은 편이었고, 편의점보다는 중소규모의 마트를 선호했다. 또한, 이들은 가격에 민감해 할인 행사 정보를 비교한 후 제품을 합리적으로 구매하는 편이었다. 50대 이상은 건강식이나 지역 특산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으며, 온라인을 통한 장보기, 배달 서비스 등을 선호했다. (결론) 이를 종합해 볼 때 소매점 생존 서비스 전략은 최신 제품 입점, 소셜 마케팅을 통한 홍보, 지역 인구 구성에 따른 지역 상권 분석, 차별화된 서비스 등이 필수적임을 발견하였다. (Background and Purpose) A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necessity of meeting consumers’ preferences in retail stores’ service design and to identify a service design from the consumer persp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ontext of retail store consumers to extract “consumption experience” and “place meaning” from consumers’ perspective, and specify them to offer direction in retail stores’ service design. (Method) The research encompassed “discovery,” a consumer research process in service design, and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basic interpretive qualitative research, a method that is useful for reconstructing the meaning of consumption from consumers’ perspective. This research examined the status of retail stor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consumers, traced the sensible meanings experienced by consumers, and then categorized consumption experience and place meaning by each retail shop. Finally, the study analyzed the meaning context for each category and then used it as basic data for the service design of retail stores. (Results) For most consumers, the representative retail stores in their towns were convenience stores, and their consumption significance depended not on price but on product quality, service condition, display condition in stores, credible information, reliable product shelf life, organized store setting, consistent service, various payment methods, and discount events. The consumers also indicated the provision of product information, store atmosphere, and employees’ attitude as essential services. We observed differences in the types of service preferred by age and sex, but most consumers wanted products in small portion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or small families, organic and healthy food products, fresh fruits and salad, warm food items, products of collaboration planning, and imported items. Consumers in their 10s, 20s, and 30s were sensitive to the information on new products and services. People in their 30s in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more favorable to the convenience store culture. Consumers in their 20s said they tended to check product information on social media and purchase new products out of curiosity. However, consumers in their 40s or older tended to trust existing products more than new ones and preferred medium-sized and large superstores to convenience stores. This older group also tended to make reasonable purchases of products after comparing sales discount information because they were sensitive to price. Consumers in their 50s or older highly preferred healthy or regional specialty food as well as online grocery shopping and delivery services. (Conclusions) This study identified that a survival service strategy for retail stores would be to sell the latest products, promote the store through social marketing, analyze regional business areas according to population composition, and offer differentiated services.

      • KCI등재

        18세기 중엽 사근도 형지안과 단성현 호적대장의 역인 기재 비교 분석

        이유진 ( Youjin Lee ) 한국고문서학회 2017 古文書硏究 Vol.51 No.-

        조선 왕조는 각 지역 요충지에 역(驛)을 설치하여 한성을 중심에 둔 교통통신망을 설립하였다. 역에는 역리, 역노비, 일수 등 각종 역인(驛人)이 배속되어 역역(驛役)을 담당하였다. 역인에 대한 기록은 지리지, 역지 등 각종 자료에 단편적으로 드러나며, 역인 개개인에 대하여 자세한 정보를 기재하고 있는 자료는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는 역도(驛道)에서 역역 담당자를 파악하여 작성한 형지안이다. 둘째는 역촌(驛村)을 포함한 군현에서 호구(戶口)를 파악하여 작성한 호적대장(戶籍大帳)이다. 그간의 연구에서는 자료적 한계로 인하여 역도 형지안이나 호적대장이 별도로 분석되었다. 그런데 최근에 사근도 형지안(1747)이 발굴되면서 자료 활용 면에 있어서 새로운 가능성이 열렸다. 사근도형지안에는 단성 벽계역, 신안역 기록이 있고, 단성현 호적대장의 경우 그와 가까운 1750년에 도산면 벽계리, 북동면 신안리의 기록이 존재한다. 즉, 이 두 자료는 비슷한 시기와 지역의 역인을 기재한 명부라는 측면에서 상호 비교의 가능성이 열려있는 것이다. 분석 결과 두 자료에서 공통적으로 파악된 역인도 있었지만 그 비율은 높지 않았고, 오히려 둘 중 한 자료에서만 파악된 역인의 수가 상당하였다. 또한 두 자료에 모두 파악되었더라도 동일인의 직역을 다르게 기재한 경우도 발견되었다. 사근도형지안과 단성현 호적대장은 작성 주체, 목적, 파악하려는 대상 등이 다르기 때문에 비슷한 시기 같은 지역의 역인 기재에 있어 차이를 보일 수밖에 없었다. 형지안의 경우 역도나 역이 주체가 되어 역을 운영하는 데에 필요한 역인과 그 후보군을 최대한 파악하려는 자료이다. 호적대장의 경우 군현이 중심이 되며, 한 군현에서 대장 작성에 필요한 직역의 종류와 직역자의 수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호적대장에 기재될 역인의 수가 어느 정도 결정되어 있다. 두 자료의 비교를 통하여 둘 중 어느 자료도 한 지역의 모든 역인을 완벽하게 파악한 자료는 아니기 때문에, 역인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자료의 성격과 특성을 잘 이해하면서 각 자료의 공백을 서로 보완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군현과 역도라는 이중적인 범주의 행정 시스템이 같은 대상을 어떤 식으로 같게 혹은 다르게 파악하고 있는지에 대한 단서를 얻을 수 있었다. The Joseon(朝鮮) dynasty established a traffic network centered on Hanseong(漢城) by installing a number of stations(驛) at important traffic hubs in each region in the state. There were various people called station workers/(驛人) such as the station officials(驛吏), station clerks(日守), station servants/slaves(驛奴婢), who belonged to and worked at those stations. These days, the two kinds of data is existing that describes detailed information about each person in charge of station works. The first one is the Hyeongjian(形止案), the station register identifying the people in charge of station works and complied by each station route(驛道). The second one is the household register (戶籍), the list grasping the household and people in a prefecture. In preliminary studies about station people, these two types of data was analyzed separately due to the data limitation. Recently, however, a new possibility has been opened in terms of utilization of data as a result of the excavation of Sageundo Hyeongjian(沙斤道形止案) complied in 1747. There is a record of Byeokkye Station(碧溪驛) and Sinan Station(新安驛) in Sageundo Hyeongjian.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record of Byeokkye-ri in Dosan-myeon and Shinnan-ri in Bukdong-myeon in the Dansung-Hyeon household registers complied in 1750.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compare these two data because these two are the list of station people complied in similar periods and reg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ed that there were some station workers who appeared in both data, but the number of them was not a lot. Rather, there were more station workers who appeared in the only one data. In addi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ere several cases that the same person was described as differently in terms of his/her work or status. Because of the difference in subject, purpose, and object to be listed in compiling the two data,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escription of the same station workers in the same area at the same time. In the case of Hyeongjian, it is the data to identify the station workers and the candidates required to operate the stations and complied by the station routes or the stations. In the case of the household register, on the other hand, the types of the works/duties in the state and the number of people to be listed in a prefecture was determined to some extent. In order to grasp the actual situation of the stations worker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two data and fill the blanks that each data has by comparing them to each other. Furthermore, under the dual system of the administrations of the state and the stations, it is possible to get a clue how each side respectively grasps and control their people.

      • KCI등재

        국내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부모교육 효과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이영미(Youngmee Lee),박희선(Heesun Park),이유진(Youjin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6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최근 20년간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부모교육에 관한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부모교육 연구의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체계적인 문헌고찰 방법에 따라 2001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부모교육 논문19편의 질적평가를 실시하고, 부모교육의 특성과 내용, 효과성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선정된 19편의 논문은 전반적으로는 비뚤림 위험이 낮았으며, 부모교육 논문은 연간 1편 미만으로 출판이 저조하였다. 선정된 논문의 실험 참여자는 상당수가 어머니와 아동이었으며, 주로 취학전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프로그램 적용 연구에서는 실험연구를 통해서 효과성을 검증하고 있었으며,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부모교육과 관련된 질적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내용은 부모의 의사소통 전략향상을 통한 아동의 의사소통 행동 변화에 초점을 두고 있었으며, 중재효과는 긍정적이었다. 논의 및 결론: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장애유형, 부모 요구, 사회 변화를 고려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연구가 필요하며,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정착과 확산을 위해서 효과적인 부모교육의 콘텐츠 및 코칭전략에 대한 개발도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in regards to parent training and the speech and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in Korea,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parent training for improvement of children’s communication skills, and to provide evidence-based directions for parent training. Methods: A search of 4 databases, and manual searching resulted in the identification of 1,222 relevant articles in domestic journals. The 19 articles published from 2001 to 2020 in domestic journal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Intervention, Comparison, and Outcomes (PICO) criteria. Three authors did article selection, data extraction, and quality assessment using the Risk of Bias for Nonrandomized studies (ROBANS). Results: First, the quality of selected articles was high overall. Second, very few studies have empiricall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parent training intervention on the speech and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Third, most programs have been provided for mothers and no program focused on supporting fathers. Most programs focused on infants, toddlers, and preschoolers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Fourth, regarding studies on research type and method of data collection; most studies were conducted by experimental study. Lastly, areas of measurement involved participant interactions, development, parent perceptions, and parent experiences. The research studies reported positive effects of parent training intervention on the speech and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identified studie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ystematic review are discussed, as well a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research and practice for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regarding parent training intervention.

      • KCI등재
      •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수소연료전지 기반 트랙터 프레임의 구조 취약부 분석

        황희수 ( Huisu Hwang ),김지태 ( Ji-tae Kim ),정기성 ( Ki-sung Jeong ),이유진 ( Youjin Lee ),박영준 ( Young-jun Park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

        농업용 트랙터는 대부분 디젤 엔진을 탑재하고 있으며, 경운/정지 작업 등 고부하 환경에서 운용되므로 많은 대기오염 물질 배출과 함께 환경 오염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환경 오염 문제 해결 및 사회적 비용 감소를 위한 친환경 동력원 시스템을 이용한 트랙터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고부하 조건에 적합한 수소연료전지 기반의 대형 트랙터 개발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 디젤 엔진 트랙터는 하우징 형식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어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을 장착하기가 어렵다. 이에 따라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을 탑재할 수 있는 T 형태의 트랙터 차체 프레임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T 형태의 프레임은 트랙터에 새롭게 적용되는 프레임 형식이기 때문에 고부하 조건에서의 프레임 안정성 검토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소연료전지시스템 탑재가 가능한 트랙터 차체 프레임을 대상으로 구조 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소탱크, 쿨링모듈 등 수소연료전지시스템의 핵심부품을 포함하여 프레임 위 요소들의 장착 위치에 따른 무게분석을 통해 하중 분배를 수행하였으며, 트랙터 중량을 증가시키면서 하중조건을 정의하였다. 이후, 새로운 T 형태의 프레임 단품을 대상으로 정적해석을 수행하여 취약부 분석 및 안정성 검토를 진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