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紫東 李正模 漢詩 硏究

        이유선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조선 후기 강우지역에는 性齋 許傳, 蘆沙 奇正鎭, 寒洲 李震相을 스승으로 하는 학자가 많았다. 紫東 李正模는 그중에서도 寒洲 李震相 문하의 이름난 학자이다. 어릴적에는 고모부인 晩醒 朴致馥의 百鍊齋에 나아가 학문을 연마하였다. 性齋 許傳이 김해부사로 부임하여 오자 晩醒과 그 문하생들은 許傳의 문하로 들어갔다. 이후 紫東 李正模는 后山 許愈의 권유로 寒洲 李震相의 문하에 들어가 학문을 닦았다. 寒洲의 문하에 8명의 어진 제자를 일컬어 洲門八賢이라고 한다. 洲門八賢은 俛宇 郭鍾錫(1846~1919), 后山 許愈(1833~1904), 膠宇 尹胄夏(1846~1906), 勿川 金鎭祜(1845~1908), 剛齋 李承熙(1847~1916), 晦堂 張錫英(1851~1929), 弘窩 李斗勳(1856~1918), 紫東 李正模(1846~1875)이다. 俛宇와는 동갑으로 절친한 벗이었다. 30년이라는 짧은 생을 마감하였기에 紫東에게는 제자가 없다. 그러나 짧은 생에 비해 그의 이름은 적지 않게 거론 된다. 洲門八賢에 어김없이 등장하는 李正模는 어떤 사람이었는지 어느 정도의 위상을 가졌었는지 밝히고자 노력하였다. 詩는 사람의 마음을 글로 나타낸 것이다. 과거의 학자들은 시로 日常의 모습을 기록하였기 때문에 시에는 평상시의 행동거지와 생각이 녹아 있다. 시는 지은이가 어떤 생각을 가진 사람이었는지를 알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된다. 그래서 시를 통해서 紫東이 가졌던 생각을 추적해보고자 한다. 紫東이 보고 느낀 바를 역추적하여 무슨 생각으로 日常을 영위해 나갔는지 알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이를 日常의 片鱗과 所懷의 形象이라고 이름하였다. 紫東은 학설을 세운 것도 없다. 그래서 어떤 인물과 교유한 사실은 주변 인물과 주고받은 시를 검토하여 交遊의 溫情이라고 제목하였다. 紫東의 시 속에는 그가 어떤 모습으로 삶에 임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紫東의 시는 대부분이 학문에 대한 열정이 묻어 있다. 그가 앉아있는 짧은 순간에도 求道에 대한 一念이 있다. 아침 일찍 일어나 하루를 시작하는 어둠 속에서 순임금을 떠올려 삶을 어떤 방향으로 영위할 것인가에 대해 궁구한다. 새벽에 일어나 舜跖判을 가슴에 새긴다. 산 속에 있는 우물을 보고 사람이 기운을 담아내고, 비우는 이치를 생각한다. 그의 시 가운데에는 道가 있다. 자동은 일평생을 求道했던 학자이다. 紫東은 죽기전까지 내면을 수양하는 向裏工夫를 쉬지않고 하였으며, 그의 인품의 향기에 벗들은 먼 곳으로부터 자동을 찾아왔다. 紫東이 생을 다한 후에도 사람들은 그를 그리워하였다. 자동이 교유하였던 여러 인물 중에 后山이라는 이가 있다. 后山이 지은 <憶李君聖養>에는 자동을 매화에 비유하였다. 자동과 교유했던 벗과 스승은 그의 성품을 칭찬하였다. 반백년이 되지도 않은 짧은 생이 반디처럼 홀로 밤이 새도록 불을 내어 우물을 지켜서 21세기까지 향기를 남겼다. 그 향기는 은은하여서 잘 드러나지도 않았다. 紫東의 은은한 모습은 오늘날 사람이 살아가는데 어떤 가치를 가슴에 지니고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답을 말해주고 있다.

      • 로봇 배우 ‘에버’를 활용한 문화콘텐츠화 방안 연구

        이유선 경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디지털 시대의 고도 정보화와 첨단 테크놀로지에 의해 인간의 문화적 삶은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공연예술 영역에서도 뉴 테크놀로지의 발달과 함께 전통적 공연예술의 주체가 되어온 ‘인간 배우’의 신체 표현 외에도 로봇을 활용한 ‘로봇 배우’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표현 매체의 변화에 따라 로봇 배우가 지닌 테크놀로지적 가치뿐 만 아니라, 예술 표현의 새로운 매체로서 로봇의 문화예술적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세계 최초의 안드로이드 로봇 배우인 ‘에버’를 중심으로 디지털 시대 로봇 배우의 문화콘텐츠화 방안을 연구한다. 총 5장으로 구성된 본 논문의 1장은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언급한다. 2장에서는 로봇 배우의 기원과 함께 허구적 존재 추구와 테크놀로지 시대 도래의 두 가지 측면에서의 등장배경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며, 이와 함께 아날로그와 디지털 형식으로 구분하여 로봇 배우의 시대별 유형을 분석한다. 3장은 구체적 공연 사례 연구로써 ‘에버’의 출연작 ‘에버가 기가 막혀’와 ‘로봇공주와 일곱 난쟁이’ 중심으로 작품 내적 요소와 로봇 배우의 매체적 특성, 그리고 관객의 수용성의 시각에서 공연 현황과 강점 및 보완점을 분석한다. 4장에서는 로봇 배우의 문화콘텐츠화를 위한 공연 콘텐츠 개발과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측면에서의 교육적 활용 측면, 그리고 뉴미디어 콘텐츠 개발 방안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전통적 공연예술과 디지털 기술의 융합, 통섭에 의한 다양한 표현 매체를 활용한 새로운 미학적 가치의 문화콘텐츠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문화콘텐츠는 전통적 공연예술의 일회성에서 복제 가능한 디지털 시대의 다중성의 미학적 가치를 제시하면서 21세기의 다양한 문화형태로 전환될 것이다. 이와 같은 변화의 시대를 맞이하여 본 연구는 앞으로의 로봇 배우 활용 가능성과, 로봇과 인간과의 관계를 통한 디지로그 공연예술의 다양성과 함께 문화콘텐츠 활용 가능성을 제시할 것이다. Due to the abundant amount of information and high technology in digital era, the cultural life of human being has changed in various ways. In performing art, a 'robot actor', which is able to follow the physical expression of human being has emerg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Since the media in art has been changed, it is necessary to research not only on the technological value of the robot actor, but also on its applicability as a new medium of artistic expression. In this thesis, a plan to develop robot actors as a cultural content in the digital era will be discussed, focusing on Ever, which is the world's first android robot actor. This thesis is consisted of five chapters: in chapter I,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research will be mentioned. In chapter II, while clarifying the origin of robot actor, the background of introducing robot actors will be explained in two ways; the pursuit of fictional existence and the advent of technology era. Also, the tendency of robot actors will be analysed chronologically in different category; digital and analogue types. The case studies of performance will be dealt in chapter III, the internal elements of Ever is simply stunning' and 'princess robot and seven dwarfs' will be analysed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 of a robot actor as a medium, current status of performance, its strength and weakness from the viewpoint of audiences. In chapter IV, the development of performing contents for having a robot actor as a cultural content, educational application of a robot actor as a edutainment content, a development plan of new media content will be studied. This study would like to propose the followings; the integration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digital technology, and the cultural content with new aesthetic value using consilience media. Such cultural contents will convert into various cultural forms in the twenty-first century by suggesting multiple aesthetic values of digital era to temporality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 In the rapidly changing circumstances, this research on robot actors is expected to suggest the application of robot actors, a variety of digilog performance through the relationship of robot and human being, and its application as a cultural content.

      • 스노우보드 보호용 속바지 개발에 관한 연구

        이유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protective inner-pants which combines existing inner pants and protectors for knees and hip for snow boarders. The purpose of wearing an inner pants is keeping warmth and that of putting on the protectors is protection of wear's body. With a focus of keeping warmth and protection of wear's body, the actual condition of wearing snowboard pants, inner pants and a type of protectors, subjects were selected among snow boarders. A total of 325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a protective inner-pants was designed, which was improved in comfort, appearance, and reducing time of putting on and off clothes, and also patterns and materials were constructed. In order to evaluate the developed experimental garments, existing inner pants and protectors for knees and hip were selected, and subjective and objective evaluations were made on them. 1.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urrent state of wearing inner-pants, about 58.5% of snow boarders who responded the subjects would wear inner-pants and among them about 87.9% would wear inner pants cling to their body. Among snow boarders who have ever hurt themselves, the rate of people who have ever been wounded in their knees and hip is the highest. Putting on protectors on the lower part of the their bodies, about half of the snow boarders wear knees and hip protectors at one time. Analysed that the parts of pants which is well worn out and get wet are sections of knees and hip, it would be supposed that these portions were rubbed and stricken against the ground. From these results, making material which the developed experimental garment would be made of the better, the function of sweat absorption would be improved. In addition, with a focus on the function of protecting knees and hip, the issue to simplify the way of putting on and off the clothes and be better appearance have been determined as the main subject of this study. 2.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design and material needed to be developed for better way of putting on and off the clothes, appearance, and comfort. (1) Design As the design of the protective inner-pants for snow boarders was a combination of improved existing pads for protecting knees and hip and inner-pants for keeping warmth, snow boarders would able to use this experimental garment conveniently and non-bulkily. Knee and hip pads for protection were made of EVA foam at Shin-han Co.. Knee pads were manufactured by the mold of knee-shape of three dimensions and the procedure of making hip pad was as follow. First step was sizing punched(the circles of 10mm diameter) flat EVA foam to 20' women's hip and then transformed the flat form into solid shape of the hip with the heat. After manufacturing knee and hip pads, the inner-pants which pads would be put into was designed. (2) Material Manufacturing sports wear, important functions of selecting materials are stretch that can make freedom of movement to wearers and the function of sweat absorption for the comfortableness. As snow boarders have been easily contacted with snow and moisture, the material to make snowboard inner pants is especially important to select. As a result, a researcher chose 3X-DRY material which can dry moisture rapidly. (3) Pattern As pads of knees and hip were inserted into, pockets for these pads were put in the experimental garment and a zipper and a velcro were used as fasteners to be put on and off the pads. Also, the coccyx part of the hip pad was lengthen to protect the coccyx safely but the pocket for hip pad passed through subcentral point because of the length of the pad of the coccyx part. As a result, it became to be easy to bring the hip pad into contact with the coccyx. 3. The experimental protective inner-pants and the comparative inner-pants, a knee and a hip protector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The subjective evaluation included the indoor and outdoor evaluations, and the objective evaluation identified the comparison of taking time to put on and take off the experimental and the comparative garment. (1) In the subjective evaluation, the respondents found the way of putting on and taking off the experimental pants much less vexatious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wear. the experimental garment was found that satisfaction measurement of the positions of th knees and hip pads, and the outline of the hip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arment. (2) In objective evaluation, the experimental pants took less time to put on and take off than the comparative wear to do. Although the result of taking an impact test, the existing pads were a little less than the experimental pads, a gap was in an acceptable error range. As a result, the efficiency of two kinds of pads was similar. 본 연구는 스노우보드를 탈 때 착용하는 속바지와 보호대를 결합하여 보호용 속바지를 개발하기 위한 것으로 속바지와 보호대를 착용하는 근본적인 목적인 보온성과 보호 기능을 잘 유지하면서 외관과 착탈의 용이성 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스노우보드 바지에 관한 착용 실태와 기능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파악하고, 속바지 및 보호대의 착용 실태와 스노우보드 운동 시, 손상부위에 관해 조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보호용 속바지의 착의와 탈의가 간편하며 외관과 쾌적성을 향상시킨 스노우보드 보호용 속바지를 디자인하고 소재를 선택하였다. 개발된 실험복의 비교분석을 위하여 기존에 입어오던 속바지와 엉덩이 보호대와 무릎 보호대를 선정하여 이와 함께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1. 스노우보딩 시 스노우보드 바지의 착의 실태 조사 58.5%의 사람들이 속바지를 착용하며, 그 중 87.9%가 붙는 형태의 디자인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노우보드를 탈 때, 하체에 부상을 당한 적이 있는 사람 중에는 엉덩이와 무릎 부위의 부상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보호대를 착용하는 사람이 미착용자보다 많았으며, 엉덩이 보호대와 무릎 보호대를 동시에 착용하는 사람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노우보드를 탈 때, 추운 부분과 땀에 의해 젖는 부분에 대한 조사결과 엉덩이 부분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잘 해지는 부분과 눈이나 외부 환경에 의해 젖는 부분은 각각 무릎과 엉덩이로 나타남으로써, 그 부위들이 마찰과 충격이 가장 많은 부위로 추측할 수 있었다. 이 조사 결과를 토대로 속바지 소재의 개선점으로써 흡한 속건 기능과 엉덩이, 무릎을 보호하는 기능을 중점으로 하되 보다 나은 외관과 착의와 탈의가 간편한 다기능성 보호용 속바지를 주된 연구 방향으로 설정하였다. 2. 실험복 설계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디자인을 개발하고 소재를 변화시켜 간편한 착의와 탈의, 외관, 쾌적성 등을 향상시킨 스노우보드 보호용 속바지를 개발한다. (1) 디자인 설계 스노우보드 보호용 속바지의 디자인은 기존의 보호 패드를 변형, 개발하여 속바지와 결합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착의와 탈의를 할 수 있고, 외관상 부담스러워 보이지 않게 제작하였다. 우선 무릎과 엉덩이 보호용 패드를 신한社에 의뢰하여 EVA 폼을 소재로 하여 제작하였으며, 무릎은 입체적으로 금형을 떠서 제작하였고, 엉덩이는 평평한 상태로 제작한 후, 열을 가하여 입체적으로 변형시켰다. 패드를 제작한 후, 보호대를 삽입할 속바지의 디자인을 설계하였는데, 패드가 보호하려는 부위에 밀착이 잘되게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2) 소재 설계 운동복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소재에서 가장 중점을 두어야하는 점은 스트레치성이 있어 움직임에 방해를 주지 않아야 한다는 것과 운동 시 배출되는 땀의 흡수와 외부에서 들어오는 수분을 막아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눈이나 물과의 접촉이 많은 스노우보드 운동 시에는 특히 기능성 소재가 필요하므로 속건 기능이 있는 3X-DRY를 사용하였다. (3) 패턴 설계 무릎과 엉덩이 보호용 패드를 삽입해야하기 때문에 양 무릎과 엉덩이 부위에 각각 패드의 모양에 맞는 주머니를 만들었으며, 벨크로와 지퍼를 무릎과 엉덩이 주머니의 여밈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꼬리뼈 부분의 길이가 길어서 엉덩이 주머니는 바지의 밑 중심을 4cm 정도 앞으로 지나게 제작하여 패드가 꼬리뼈 부분에 잘 밀착되도록 하였다. 3. 착의 평가 개발된 기능성 속바지와 기존복(속바지, 엉덩이 보호대, 무릎 보호대)의 비교분석을 위하여 주관적 평가로는 실내평가, 현장평가를 실시하고, 객관적 평가로는 착의와 탈의 소요 시간 측정과 각 부위의 보호대 충격량 측정을 실시한다. (1) 주관적 평가 결과, 착의와 탈의의 번거로움에 대한 항목에서는 실험복이 기존복보다 높은 비율로 만족도가 높게 나왔으며, 보호대의 위치 또한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실루엣에서는 무릎보다 엉덩이 부위에서 더 좋은 평가를 얻었는데, 이는 엉덩이 보호대 디자인의 변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하지만 엉덩이 패드의 모양이 자연스럽지 못했다는 의견이 있어 수정이 필요하다. 동작에 따른 엉덩이와 무릎의 움직임의 자유로운 정도는 실험복이 기존복보다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넘어졌을 때, 엉덩이와 무릎의 통증 정도는 기존복과 실험복의 차이가 많이 나지 않았다. (2) 착의와 탈의 소요 시간 측정과 각 부위의 보호대 충격량 측정을 실시한 객관적 평가 결과는 실험복이 기존복보다 착의 소요 시간과 탈의 소요 시간이 더 짧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충격흡수량은 기존 보호대가 실험복에 삽입된 보호패드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차이가 충격량을 측정하는 기계의 오차범위 내에 있으므로 거의 동일한 충격흡수량을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았다.

      • 수학일지를 통한 수학학습부진아 지도방안에 대한 연구-고등학교 3학년 적분과 통계 과목을 중심으로-

        이유선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학은 위계성이 큰 학문이다. 그로 인하여 다른 과목에 비해 학습부진아를 지도하는 것이 어려운 과목이다. 또한 학습자 개개인의 학습속도의 차이가 존재하는데 이를 고려하여 학교현장에서 개인별로 지도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수학학습부진아에 대한 문제는 오래전부터 존재하여 왔고 이를 위한 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되어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뚜렷한 교육 프로그램이 존재하지는 않는 상황이다. 수학학습부진아를 지도하기 위한 교사 대상의 연수 프로그램 역시 부족한 형편이다. 수준별 이동수업이 수학학습부진아의 지도방안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이 역시 상수준의 학습자에게 맞춰져 있는 경우가 많다. 수학학습부진아들의 학력제고를 위해서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은 수학학습부진아들의 수업태도 개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안인 수업시간 집중하기, 복습하기 등의 바람직한 학습습관을 길러주고 학습자 개개인에 맞춘 개별학습 지도가 가장 바람직 할 것이다. 그러나 교사 혼자의 힘으로 학습자 개개인을 지도 하기는 매우 어렵다. 그러므로 고등학교 3학년 적분과 통계 과목시간을 통하여 수학일지쓰기를 제안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총 12회의 수학일지를 작성하였다. 수학일지쓰기는 수업시간 종료 10분전에 학습자 스스로 작성하도록 하였다. 이 후 인터뷰를 통하여 수학학습부진아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사후설문지조사를 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수학일지쓰기가 종료된 후 소감문을 작성하여 수학일지쓰기가 수학학습부진아 지도방안으로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주요어 : 수학학습부진아, 수학일지쓰기, 학습태도 In this thesis, we study a teaching method using mathematics diary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 and its effect on students attitude toward learning in mathematics class. Our study is based on an experiment in a high school class of underachieving students, where each student has written his or her own mathematics diary about a two-months course of integration and statistics. Key Words : underachievement, mathematics diary

      • 말하기 과업 전 계획 활동 유형이 한국 대학생의 영어 말하기 능력과 수행에 미치는 영향

        이유선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English speaking ability has become one of the ultimate English learning goals for EFL learners. However, it is not easy for teachers to provide enough time or opportunities for them to practice speaking with different English learning background and proficiency in the context of classroom teaching in EFL environment. As Task-based instruction has been increasingly implemented, studies on an application of the task itself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as well as studies on the process of the task implementation except for the types of pre-task planning.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ree types of pre-task planning on Korean English learners’ oral language performance to explore the effective way of selecting and designing task conditions to improve their oral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oral language production of English by Korean University students working collaboratively or with a teacher while pre-task planning with students working individually while pre-task planning as reflected in complexity, accuracy and fluency. Also, it aims to see the learners’ attitude towards the different types of pre-task planning. A total of 30 Korean university students took part in this study for four weeks. The participants were all university students and all of them had TOEIC scores from 800 to 950.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 collaborative planning group had to prepare the given task with their pair. Teacher-guided planning group had to plan the given task with a teacher using handouts. Individual planning had to plan the task all by themselves. All the participants took pretest and posttest and two tasks of the TOEIC Speaking test were used; describing picture task and Expressing opinion task. The participants’ productions were recorded as they perform the task and the recordings were transcribed. Recordings were analyzed for overall oral performances using TOEIC Speaking test standard and transcriptions were analyzed in terms of complexity, accuracy, and fluency. As complexity can be divided into syntactic complexity and lexical complexity, the ratio of sub-clauses and TTR(type-token ration) were analyzed. For accuracy, the ratio of error-free clauses was analyzed and for fluency, the length of pauses and the number of words were count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OVA was used.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pre-test and post-test showed the positive effect in all three groups. Secondly, all three groups’ oral performance was showed positive improvements in complexity, accuracy and fluency except lexical complexity. Especially collaborative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luency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Also, individual planning groups and collaborative planning groups had positive attitudes toward pre-task planning. It shows that individual planning cannot be underestimated and that collaborative planning does assists learners to improve their fluency by having negotiation of meaning. To sum up, pre-task planning collaboration planning brings out the most positive language learning. Teachers should carefully select the task planning types considering the task, learners’ learning style, learning objectives before they utilize it for the task activities in English classes. The limitation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number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as 30.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its study results to overall EFL students in Korea. Additionally, since only two tasks were used in the experiment nor compared them, further researches are required to investigate what effect pre-task planning types for various types of tasks has on the performance of EFL learners. 영어는 국제적으로 널리 통용되는 언어로서 현재 글로벌 시대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주요한 의사소통 수단이 되었고 영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갖추어야 할 필요성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주어진 수업시간동안 가장 효율적으로 말하기를 연습할 수 있도록 의사소통 중심 언어 교수법(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에 기반한 실제적 교육 교육방법의 실현으로써 과업 중심 언어 교수법(Task-based language teaching)이 도입되었다. 이에 따라 과업 중심 언어 교수법이 주어진 수업 시간과 상황 내에 효과적인 영어 습득을 위해 가장 최적의 상황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과업의 종류와 과업 자체를 조절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는 많으나 과업 조건을 조절한 연구 중에서는 여전히 다양한 언어 수준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는 대체로 없다. 과업 전 계획 단계에서 동료와 계획할 때와 교사와 계획할 때, 혼자서 계획할 때를 비교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학습자가 말하기 과업을 수행하기 전 어떠한 단어와 표현을 사용하여 말을 할 것인가에 대해 계획하는 단계에서 교사의 도움 또는 같은 학습자의 도움이 주어졌을 때, 누구의 도움도 없이 혼자 과업에 대해 구상할 때인 3가지의 계획 유형에 따라 말하기 수행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질문을 던졌다. 첫째, 과업 전 계획 활동 유형이 학습자 말하기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과업 전 계획 유형이 학습자의 말하기 수행의 복잡성, 정확성, 유창성의 세 가지 측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과업 전 계획 유형이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과업 전 계획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20-26세의 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TOEIC 800점 이상 950점 이하로 매우 다양한 언어 수준을 가지고 있으며 개별 계획(Individual planning), 동료 학습자와 계획(Collaborative planning), 교사와 계획(Teacher guided planning)하는 세 집단으로 나누었다. 본 연구의 실험은 총 7차시로 4주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사진 설명하기와 의견 말하기 과업으로 이루어진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행하여 둘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말하기 평가는 TOEIC speaking의 말하기 시험 평가기준을 사용하여 원어민에 의해 채점된 점수로 비교하였고 모든 말하기 수행은 전사 후 복잡성, 정확성, 유창성 세 가지 측면으로 분석하여 말하기 수행의 구체적인 향상 정도를 보았다. 복잡성을 보기 위해서 AS-unit당 종속절의 비율과 TTR(Type-token ration)을 분석하였으며, 정확성을 위해서는 오류 없는 절의 비율을 유창성을 위해서는 1분 30초간의 어휘 수와 휴지의 길이를 살펴보았다. 세 집단의 말하기 수행을 비교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통계처리를 하였으며 세 집단 내와 집단 간의 사전 사후 말하기 능력 향상 차이를 보기 위하여 Wilcoxon의 부호순위검정과 Kruskal Wallis 검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개별계획, 교사지도 계획, 협력계획 집단 모두 말하기 수행이 향상하였으며 모든 과업 전 계획 유형은 어휘적 복잡성을 제외한 정확성, 복잡성, 유창성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특히 협력계획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유창성이 매우 향상되었는데 이는 개별계획 또는 교사지도에 의한 계획보다 비슷한 수준의 학습자들끼리 서로 짝을 이루어 협력 계획하는 것이 가장 긍정적 언어 학습을 불러일으킴을 의미한다. 또 말하기의 수준이 다양한 학습자끼리 협력계획을 할 때에도 말하기 수행에 유의미한 차이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과업 중심 수업을 진행할 때, 개별계획 또는 교사지도에 의한 계획보다 비슷한 수준의 학습자가 짝으로써 서로 협력하여 과업을 계획하는 것이 가장 긍정적 언어 학습을 불러일으킨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실험은 30명을 대상으로 한 소규모 연구로 연구결과를 모든 학습자에게 일반화하는 것은 어렵다. 개별계획 집단의 경우 주어진 계획시간을 모두 활용했는가에 대해 알 수 없으며 소리 내어 말하기(think-aloud) 전략을 사용할 경우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제한점이 있으나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가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과업 중심 교육을 시행함에 앞서 과업 전 계획 유형을 정하고자 할 때, 학습자들의 학습 스타일,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에 따라 계획 유형과 과업 유형을 선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주 52시간제 도입에 따른 중소기업의 인적자원관리 대응사례연구

        이유선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근로시간 단축을 위한 주 52시간제도는 2018년 7월에 300인 이상의 대기업을 기점으로 하여 2021년 7월에는 5인 이상의 사업장에 전면적으로 도입하게 된다. 이러한 제도의 시행은 우리사회의 장시간 근로의 뿌리 깊은 관행을 개선하여 워라벨을 구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근로시간의 단축은 우리가 원하는 방향이 아닌 근로자의 임금의 감소, 기업의 노동비용의 상승이라는 부정적인 결과로 귀결될 우려가 있어서 이러한 부작용의 발생을 방지하는 기업의 인사관리의 대응이 중요하다. 그러나 중소기업은 기업의 경영환경과 인사관리의 역량 등의 차이에 따라서 제도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준비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중소기업이 처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근로시간단축을 위한 주 52시간제도의 도입에 따른 실제의 기업의 인사관리대응 사례를 연구하였다. 주 52시간제도 정착을 위하여 기업의 인사관리 방안을 근로시간의 통제유연근무제도 도입, 업무효율화, 인력배치의 4가지 방안 유형별로 정리할 수있는데, 이들 방안을 기업에 적용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첫째방안으로 근로시간의 통제는 강제적인 근로시간을 준수하는 인사관리의 실시이다. 둘째방안으로 업무효율화를 위하여 직무중심인사관리, 고성과 작업장혁신, 공정한 평가제도, 성과급 제도의 도입이다. 셋째방안으로 인력배치의 경우 내부적으로 배치이동을 하거나 외부적으로 채용을 진행한다. 넷째 방안으로 유연근무제도의 도입을 통하여 노동의 유연성을 제고하는 방안이다. 이러한 4가지유형의 방안에 대하여 중소기업에서 어떻게 적용해 나가는지를 분석함으로써주 52시간제도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실증적인 시사점을 도출한다. 주 52시간제도는 전면적인 도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에 대응하기 위한기업에게는 쉽지 않은 과제가 부여되고 있는 상황이다. 중소기업에서 인사관리의 합리적인 대응을 통한 주 52시간제도의 성공적인 정착은 기업과 근로자 와 사회 모두가 윈윈함으로써 삶의 질을 한 단계 높여주게 될 것이다.

      • 스마트러닝을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학습용 애플리케이션 구성 방안 연구

        이유선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nvert many existing teaching materials into smart learning contents to reuse according to needs of learners. And, in order to supplement the classroom environment for speaking education in face-to-face teaching situations, smart learning will be applied and mobile application implemented to improve speaking skills of learners. The ultimate goal of learners who study who study a second language is to be able to communicate in that language without difficulty. To achieve such goal, there are many textbooks available in the market, and many books on Korean languate education have been published as well. Despite development of various textbooks and information technology, Korean language education did not fully use such environment. This problem seems to arise due to the following reasons : First, despite increasing diversity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teaching materials, to improve speaking skills, teachers are still complaining about lack of materials due to insufficient exchange and only try to develop new text books without using existing ones. Second, applications that are available in the market currently are focused on English, and there are not many Korean learning applications that are available at the monet. For that reason, in this study, and application for learning Korean speaking skills was proposed. This can help improve learners' speaking skills by applying a way to improving face-to-face classroom environment. Previous research on smart learning was reviewed to examin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smart learning, communication-oriented teaching method, and reusability of existing Korean speaking textbooks to smart learning and improving face-to-face classroom environment. Previous research on smart learning was reviewed to examin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smart learning, communication-oriented teaching method, and reusability of textbooks. Also, to implement an application for learning Korean speaking skills, types and market status of applications was analyzed and Korean learning applications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 First, applica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set as a supplementary textbook or tool before analyzing them according to learning goal, content and evaluation level. Based on the result, analysis and design of Korean language applications was performed and educational efficiency was reviewed based of the examples of Korean speaking applications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This study led to the following results: First, smart learning for Korean speaking skills was proposed. the worldwide change with smart devices and IT development has also influenced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various tools can be used for learning languages. Second, the study focused on converting existing teaching materials into a smart learning content, by excluding the work and inefficiency involved with developing a new material for the application. Third, the application used input and output activities that did not exist in paper textbooks to enable vice recognition and role-play function. By using this function, learners can learn speaking skills on their own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The following will need to be improved in the future: First, the example used in this study was only based on a part of 'Seogang Korean', and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will be needed to support reusing various textbooks. Second, technological aspects need to be incorporated to use the textbooks in more diverse ways and develop content types, As applications based on augmented or virtual reality are available, it is urgent to develop a way to improve learning efficiency. Third, the study did not test feasibility of the application with actual learners. Further research will need to supplement these limitations to develop relevant applic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이미 존재하는 수많은 교수자료들을 학습자의 요구에 맞게 재사용하기 위해 기존 교수자료를 하나의 콘텐츠로 보고 스마트러닝 콘텐츠로 변환하는 것이다. 그리고 면대면 수업 상황에서 기존교재가 지닌 말하기 교육∙학습을 위한 교실 내 환경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스마트러닝을 적용하여 이를 보조해 줄 수 있고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제 2언어로서 외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들의 궁극적인 목적은 학습한 언어로 어려움 없이 의사소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중에 여러 교재가 이미 시판되어 있으며 한국어 교육 관련 교재 또한 다양하게 나와 있다. 다양한 교재와 정보기술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한국어교육은 이러한 환경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다음으로부터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첫 째,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교재와 전문 교수자료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사간의 교류 부족으로 인해 자료의 부족함을 토로하며 새로운 교재 개발로만 해결할 뿐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둘 째, 현재 시판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은 영어 위주로 개발되어 있으며 한국어 교육∙학습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은 미비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말하기 학습용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기존 한국어 말하기 교재의 재사용성을 높이는 방안을 스마트러닝에 적용하고, 교실 내의 면대면 수업 환경의 한계를 보완하여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선행연구 자료를 검토하여 스마트러닝에 관련된 연구들을 살피고 스마트러닝의 개념과 특징, 의사소통중심 교수법 그리고 교재의 재사용성에 대한 개념을 알아보았다. 또한 한국어 말하기 학습용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의 유형과 시장의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국어 학습용 애플리케이션을 분석하였다. 먼저 한국어 교육 애플리케이션을 부교재 혹은 보조수단으로 설정하여 학습목표와 학습내용, 평가의 단계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한국어 학습용 애플리케이션 분석과 설계를 한 후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한국어 말하기 학습용 애플리케이션 구현 화면 예시를 통해 교육적 효율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말하기 학습을 위한 스마트러닝을 제안하였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된 스마트 기기와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한 변화가 한국어 교육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변화를 통해 다양한 인프라를 활용한 언어 학습이 가능함을 보였다. 둘째, 한국어 말하기 학습용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 새로운 자료를 개발하는 수고로움과 비효율적인 방법을 배제시키고, 기존 교수자료를 하나의 콘텐츠로 보고 스마트러닝 콘텐츠로 변환하는 것에 주목하였다. 셋째, 입∙출력 활동이 가능한 기능을 구현하여 기존 교수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종이로 된 교재에는 없었던 기술적인 측면을 활용하여 음성인식 기능과 역할극 기능을 통해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 기능을 사용하여 학습자가 말하기 학습을 혼자서도 능동적으로 가능하게 하여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실현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였다. 추후 보완되어야 할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고에서 구현한 예시는 ‘서강 한국어’의 한 부분만을 응용한 설계에 불과한 만큼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을 통해 다양한 교재의 대화영역이 연결되어 재사용 학습할 수 있도록 개발∙보완되어야 한다. 둘째, 기술적인 측면을 접목시켜 좀 더 다양하게 교재를 응용 할 수 있는 방안과 콘텐츠 유형을 개발해야 한다. 증강현실이나 가상현실을 이용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시판되어 있는 만큼 교육적 차원에서 연구되어 학습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셋째, 실제 학습자를 대상으로 애플리케이션 사용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는 과정을 거치지 못해 학습 효과를 검토하지 못하고 구현에 그쳤다. 이러한 제한점들을 보완하여 후에 이러한 주제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할 연구자들이 보다 발전 된 연구∙개발해야 할 것이다.

      • 장기입원 의료급여 조현병 환자의 삶의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이유선 평택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seeks to classify qualitatively for understanding the life experiences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identify the related factors using qualitative analysis. The study explored two main questions: is there any positive and future orientated hope and individuals with schizophrenia? And, what do the individuals who are in long-term hospitalized with schizophrenia experience of positive and future orientated hope in their lives? This study was administered with 4 participants (3 females and 1 male) who are inpatient currently and hospitalized from 11 years to 36 years. To achieve this qualitative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from July 2017 to March 2018, and the study derived one hundred forty concepts, twenty-seven subcategories and seven key categories. The causal variables of the domain analysis based on the case study model were the following; “switching on the red flag of mental health”, “missing golden time due to the misunderstanding and stigmatization”, “isolating a typified life from their families and society”, the place where they are like a jail without a grate, long-term hospitalization without hope, the dilemma and limitations of community mental health issues, notwithstanding a continuing life, an endless life with schizophrenia. As the resul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four stages as the following after the manifestation of the central phenomenon. First, the marriage issues were revealed; getting married and having one or two children without informing their spouses, and eventually divorced after worsening the symptoms and repeating the inpatient and outpatient services. Second, due to the prolonged hospitalization, they became accustomed to the endless life on inpatient care and felt comfortable to hospital living to be free from social prejudice. Third, they wanted to also discharge the symptoms were improving, but the family did not base half the hospital. Fourth, it also showed the social maladjustment issues; unable to stay with their families and re-hospitalizing repeatedly due to not taking their medicine properly. We suggest some major strategies for building up sustainable practices and the application of established community models of service delivery for long-term patients with schizophrenia. The inception and implementation of models of community treatment for patients with schizophrenia have not always been robust. First, with the development or refinement of the psychological treatments and the change in societal attitudes toward mental illness, the delivery of service to patients should be paid attention from society and keen to embrace flexibility and their hope. It would be more likely to cooperate with specialists and their families as well as individualized counseling services. Second, case management increased patient adherence could have paid more attention with all forms of health and social care in clinical and social care. The case manager is expected to assess that person's needs, develop a care plan, arrange for suitable care to be provided, monitor the quality of the care provided, and maintain contact with the person. The purpose of case management, assertive management, and crisis resolution is to provide a service to patients with a chronic and enduring mental illness, such as schizophrenia. Third, the strategies of the saved medical expenses behind the long-term hospitalization is to continuously seek way to make processes of their social adaptation costs more efficient. there is a suggestion that case management may bring about a relative reduction in costs effectively. The hospitalization costs of massive epilepsy patients should be diversely utilized for social adjustment after their discharge to prevent re-admission. Fourth, the individualizing case management program is an approach proposing to improve operational performance for patients who could have the diverse programs. It has been primarily applied to the continuous improvement for social skills and finding the meaning of life. Fifth, facilitation and support for care through their family solidarity groups are legally required. It is necessary to seek the guardian systems on the development and vitalization of support networks led by the local community. If the guardian systems cases are promoted and required public support are also offered, this is likely to expand care support with relatively finding their rights. This study derived the substantive findings from the life experiences o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identifying the related factors of hope and future orientated mind. This will be an opportunity to be interested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who are hospitalized for a long time. It suggests that the development of practices in community services should be planned strategically and not reactively to satisfy short-term needs or solve problems; their usefulness and effectiveness of care in mental health should be validated before they are adopted to ensure quality of care and find their future-orientated hopefulness. 우리나라 성인의 4명중 1명은 평생 1번 이상 정신질환을 겪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특히 조현병은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면 나을 수 있는 질 환이다. 하지만 우리사회에 뿌리 깊게 박혀 있는 조현병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편견 때문에 발병 초기에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다 병을 키우고 대 부분 장기입원으로 이어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급여를 받고 있는 장기입원 조현병 환자의 삶의 경험은 어떠한가 알아보기 위하여 질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 대상자들은 정신의료기관의 입원기간이 11년부 터 36년이며, 현재 정신병원에 입원해 있는, 49세부터 66세의 여성 3명과 남성 1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이들과의 2017년 7월부터 2018년 3월까지 심층면담 결과 140개의 개념과 27개의 하위범주와 7개의 핵심범 주가 도출되었다. 핵심범주의 내용은, 정신건강의 노란신호등이 켜짐, 조현 병에 대한 오해와 사회적 낙인으로 골든타임을 놓침, 사회와 가족들에게서 격리된 타자화 된 삶, 창살 없는 감옥처럼 출구가 보이지 않는 입원생활, 지 역사회 정신건강복지의 딜레마와 한계, 그럼에도 불구하고 삶은 계속됨, 조 현병과 함께 살아가는 삶 등 이었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증상이 완화되었을 때 조현병임을 알리지 않고 결 혼하여 1~ 2명의 자녀를 두었다. 그들의 배우자들은 상대방이 조현병임을 알게 되고난 후 또는 증상이 악화되어 병원에 입·퇴원을 반복하게 되자 모두 이혼 하였다. 처음에는 입원생활을 많이 힘들어 하지만, 입원의 장기 화로 인하여 입원생활에 익숙해지고, 사회적인 편견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병원생활에 편안함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꾸준한 질병의 치료로 증세가 호전되어 퇴원을 하고 싶기도 하지만, 가족들이 퇴원을 반기지 않 는다. 또한 어렵게 퇴원한 후에도 사회적응이 어려워, 집안에서만 지내며 약을 제대로 복용하지 못해 증세의 악화로 재입원을 하게 된다. 이러한 장 기입원 의료급여 조현병 환자들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조현병 환자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우리는 아무도 그들의 이야 기, 앞으로의 희망에 대하여 관심을 갖지 않았다. 전문 인력과 가족이 협력 하는 개별화된 상담서비스를 실시하여, 마음속에 담겨있는 이야기를 할 수 있도록 돕고, 아울러 그 이야기를 들어줄 수 있는 통로가 필요하다. 둘째, 장기입원 조현병 환자 퇴원 후의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조현 병 환자는 반복되는 입·퇴원의 과정을 거치면서 사회와 격리되기 때문에 주위 사람과의 관계형성이 어렵고 사회적으로 위축된다. 입원 시부터 사회 적응 훈련계획을 치밀하게 준비하여 퇴원 후 재입원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셋째, 장기입원 조현병 환자들이 퇴원하여 절약한 의료비용을 퇴원 후 그들의 사회적응 비용으로 활용해야 한다. 막대한 조현병 환자들의 입원비 용을 그들의 퇴원 후 사회적응을 위해 다양하게 활용하여 재입원을 방지해 야 한다. 넷째, 병원에는 다양한 맞춤형 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하다. 조현병 환자 들의 취미활동이나 프로그램시간을 다양화하여 입원해 있는 동안 활동을 통하여 살아있는 자신을 확인하며 삶의 의미를 찾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보호자인 부모 사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지지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가족 이나 보호자가 없는 경우 성년후견인 제도를 활용하여 권리를 찾고 불이익 을 당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접근하기 어려운 정신병원에 입원중인, 장기입원 의료급여 조 현병 환자의 삶의 경험에 대하여 알아 본 것에 의의가 있다. 이를 계기로 장기간 입원중인 조현병 환자에게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