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산 몰개속(Squalidus) 어류 골격의 형태학적 연구

        이욱주 군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examine osteomorphological characters among species of the genus Squalidus: S. chankaensis tsuchigae, S. gracilis majimae, S. japonicus coreanus and S. multimaculatus which are Korean endemic species from Korea. The osteological taxonomic characters in the cranial region, vertebrae, caudal skeleton and appendicular skeletons of each species were observed and compared differences among four species in morphological standpoint. In the cranial region, ethmoids which is shape of crown were similar to each species, but anterior sulcus of S. japonicus coreanus appeared deeper than that of others and had a small process in its posterior edge. Cranial sutu re on skull curved into a direction of left in S. chankaensis tsuchigae and S. multimaculatus, but into two direction of left and right in S. gracilis majimae and S. japonicus coreanus. Cranial fontanelle absent in S. chankaensis tsuchigae and S. gracilis majimae but present in S. japonicus coreanus and S. multimaculatus. Circumorbital bones of each species showed huge differences in size, morphology and opening method of sensory canal, respectively. Especially, shapes of lacrimal bones were very worthy of notice among four species. Upper jaw of mouth part was much alike in morphology, but S. chankaensis tsuchigae appeared a sulcus at anterior edge, and S. gracilis majimae presented two small processes, and S. multimaculatus had a small process in anterior upper part. In hyoid arch and branchial arch, there was a small foramen on both hypohyal of S. chankaensis tsuchigae, and a small precess in S. japonicus coreanus. Morphology of basihyals and urohyals showed some differences according to species. The numbers of hypural in both S. chankaensis tsuchigae and S. japonicus coreanus were 5, but 6 in S. japonicus coreanus and S. multimaculatus. Epural bone of S. chankaensis tsuchigae not separated from first fused centrum but separated in the rest of three species. The size and form of coracoid foramen and cleithrum of shoulder girdle, and arrangement of actinost in pelvic girdle showed fairly differences among the four species. First pterygiophore of dorsal fin originated from 8th vertebra in S. chankaensis tsuchigae and S. japonicus coreanus, and 7th in S. gracilis majimae and S. multimaculatus. In anal fin, first pterygiophore of S. gracilis majimae and S. multimaculatus begun from 19th vertebra but 20th in S. japonicus coreanus, and 22nd in S. chankaensis tsuchigae.

      • 수생식물의 수질정화 효과에 관한 연구 : 꽃창포, 박하, 이삭물수세미, 큰피막이, 부들, 노랑어리연꽃, 생이가래에 대하여

        이욱주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생식물의 수질정화효과를 알아보고자 오염된 하천수를 배양액으로 하여 실험실 조건에서 일정 시간경과에 따른 수생식물의 생장량을 비교하고 pH, COD, BOD, SS, T-N, T-P 등의 수질분석을 하였다. 실험대상 식물은 정수식물(挺水植物, emergent plants)인 “꽃창포(Iris ensata var. spontanea)”, “박하(Mentha arvensis var. piperascens)”, “이삭물수세미(Myriophyllum spicatum)”, “큰피막이(Hydrocotyle ramiflora MAX)”와 “부들(Typha orientalis)”을, 부엽식물(浮葉植物, floating plants)인 “노랑어리연꽃(Nymphoides peltata)”을, 부유식물(浮游植物, free-floating plants)인 “생이가래(Salvinia natans)”를 선택하였고, 식물의 배양액 및 오염 정도를 분석할 실험수액은 경기도 용인군의 경안천과 그 지류인 양지천의 생활하수구에서 채수한 생활오폐수를 사용하였다. 수생식물의 배양 전후에 커다란 생장을 보인 것은 큰피막이와 이삭물수세미로 이 식물들은 온도와 습도가 높을수록 적응력이 강하였고, 배양액으로 사용된 생활오폐수에도 생장속도가 활발함을 보여 주었다. 시간경과에 따라서 각 수생식물이 생장하고 있는 배양액에서 수질분석의 결과는 pH가 전체적으로 낮아져 중화능력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실험대상 수생식물들 가운데 박하가 가장 높았다. COD의 경우 모든 실험대상 식물에서 점진적으로 낮아짐으로써, 고르게 정화능력이 점진적으로 높아졌으며 큰피막이는 배양 초기에는 정화능력이 낮았으나 본격적으로 성장을 하면서(배양 15일부터) 현저히 정화능력이 높아졌다. BOD의 경우도 모든 실험대상 식물에서 낮아짐으로써 실험 수생식물 전체가 정화능력이 뛰어났으며 큰 격차 없이 배양기간이 경과될수록 점진적으로 정화능력이 증가하였다. 부유물질(SS)은 전체적으로 배양기간이 길수록 낮아져 배양 15일 후부터 점차 정화능력이 증가되는 현상으로 보였는데, 특히 꽃창포가 가장 정화효과가 높았다. Total- Nitrogen 함량도 시간이 경과되면 낮아졌는데, “큰피막이”의 경우 배양 10일 후 정화능력이 현저히 높아졌고 생이가래를 제외한 실험대상 식물들은 배양한지 20일이 지나면서 비슷하게 정화능력이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Total-Phosphorus 함량도 점차 낮아짐으로써 배양기간이 경과될수록 정화능력이 높았는데 이삭물수세미는 활착기간이 끝나고 본격적인 생장을 하면서 정화능력이 뚜렷이 높아졌다. 본 연구에서 수생식물이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모두 수질을 정화하는 효과를 갖고 있었으며 특히 “이삭물수세미”와 “큰피막이”는 고온다습한 환경의 고농도 유기물 오염 하수에서도 생장이 왕성하며 수질 정화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오염된 하천의 수질정화 효과는 물론 생태적인 경관조성의 배가를 위하여 자생 수생식물의 보전가치를 높게 하고있다.

      • 도심 재생을 위한 캠퍼스와 지역사회 통합 타당성 연구 : 동국대학교 필동 캠퍼스를 중심으로

        이욱주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도심에 위치한 대학교가 지역사회 커뮤니티, 행정관청, 민간자본의 참여와 협력을 유도하여 캠퍼스 주변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도심 재활성화의 거점으로 작용하는 캠퍼스와 지역사회 통합 타당성에 관한 연구이다. 대도시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직주분리현상, 도시 외곽지역의 신 주거지 개발에 따른 도시인구의 유출, 도심지역의 높은 지가로 인한 일부 도심기능의 이유로 주거인구 공동화가 도시문제로 진행된다. 특히 1970년대 이후 거울 강남지역으로 충추관리기능의 계획적 이전과 고밀도 공동주택의 집중적인 개발·공급으로 구도심을 포함한 서울 강북지역의 업무와 인구 공동화를 초래하였다. 이로 인한 서울은 강남·북 지역의 불균형 성장은 강남지역으로의 도시기능 집중에 따라 토지의 비효율적 이용과 주거환경, 교육여건, 생활편의시설 등 시민 생활 여러 분야의 지역간 격차를 심화시켜 강북지역 시민의 상대적 소외감이 증대하고 결국 시민화합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 강북지역에 소재지를 둔 31개 대학교를 검점으로 상대적 개발 소외지역을 활성화하고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것으로 도심 공동화 현상과 강남·북 지역간 불균형 성장문제 해결을 제안한다. 대학교 캠퍼스는 젊고 활력 있는 인구와 다양한 교육문화자원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와 동반성장의 방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비활성화 된 도심 기능재생이 가능함을 제안한다. 특히 본 논문은 서울 구도심에 위치하며 도심 공동화 현상과 개발 소외지로 인한 도시문제가 상존하는 동국대학교 필동캠퍼스 주변지역에 캠퍼스 기숙시설을 연계시켜 지역사회와 캠퍼스의 동반성장을 유도하고 이를 통한 재활성화 시키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대학교 기숙시설은 캠퍼스 인구 일과 활동의 시작과 마무리를 제공하는 장소이며 일과이후 휴식과 학습, 문화 활동 등 자기계발 활동의 구심점으로 작용하는 공간이다. 즉 기숙시설 프로그램은 캠퍼스 인구 활동이 지속·고밀도로 일어나는 활동의 중심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기숙시설이 지역사회 커뮤니티의 동의를 얻고 행정관청과 민간자본의 지원으로 낙후된 거중환경 지역에 개발되는 것은 캠퍼스의 국제경쟁력 제고와 주변지역의 주거환경을 개선하며 젊고 활력 있는 인구를 지역사회에 확보하는 것으로 비활성화 된 도심 캠퍼스 지역의 기능을 재생시키는 것이다. This thesis is a research about propriety of university campus which makes be a base of downtown re-activation from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from local community, government office, and private capital and improves campus environment and local community. When metropolis grow up, slum become an urban problem because the phenomenon of occupation-residence separation, exodus of urban population from new residential area in outside of metropolis and the high price of land in downtown. Especially, after 1970s, moving main administration function to the south of Han River on purpose, development and supply of high-density apartment house make the north of Han River slum of business and population. Urban function concentration of the south of Han River makes disproportion growth of Seoul and deepens local gap between south and north. According to this result, citizen live in the north of Han River increase a sense of alienation and finally it makes be a factor that disturb urban harmonization of Seoul. This research propose the solution of unbalanced development of the south and north of Han river and slum from revitalization of development neglect area based on 31 universities campus located in the north of Han River. Because of influence of young and energetic people and various educational and cultural resources in university, it is possible to develop and restore of urban downtown function both university and local society. Especially, this thesis focus on re-activation method from connection old downtown with campus residence facility located in neighbor area of the Dongguk University Pildong campus which undergo urban problem from coexistence of slum and development neglect. Campus residential facility is an area offered to start and finish of campus life and acted to central space of rest and education, cultural activity and self-development for population of campus. So, we can think that residential facility program is a center area of campus activity with continuity and high density. Accordingly, development of this residential facility with agreement and support from local community, government office and private capital in falling behind area makes campus and downtown improves of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of campus and residential environment of neighbor and gets an energetic and young population to university and local community for restoration of area.

      • Thymic stromal lymphopoietin and TRPV4 play essential roles in dry skin pruritus

        이욱주 가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15

        Dry skin is a sign that the skin is itchy due to a malfunction of the skin barrier. Indeed, dry skin is frequently accompanied by various itch-related dermatological diseases such as xeroderma, psoriasis and atopic dermatitis. However, it is surprisingly unclear how dry skin triggers itch in detail.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ed to elucidate a plausible underlying mechanism of dry skin evoked itch. For this purpose, an acetone/diethyl ether/water (AEW) mouse model for dry skin was used throughout the stud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anufacturing of thymic stromal lymphopoietin (TSLP) became appreciably expanded in keratinocytes of AEW treatment mice. Importantly, remedy of HC067047 (a TRPV4-selective antagonist) in AEW treatment mice ameliorated various dry skin conditions, suggesting a pivotal role of TRPV4. Indeed, TRPV4 knockout (KO) mice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dry skin symptoms after AEW treatment. Moreover, TSLPinduced intracellular calcium increase in dorsal root ganglia (DRG) neurons from AEW treatment mice were significantly attenuated in TRPV4 KO DRG neurons. Furthermore, spontaneous scratching behavior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both HC067047-treated and TRPV4 KO AEW treatment mice. Therefore, these data suggest that a vital role of TSLP and TRPV4 in the dry skin condition. In addition, TSLP induced increased release of tryptase from mast cells in AEW treatment 2 mice, along with increased proliferation of mast cells. However, tryptase release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both HC067047-treated and TRPV4 KO AEW treatment mice, suggesting that TRPV4 is required for TSLP production. Combining these data, we propose a molecular mechanism that may underlie dry skin evoked pruritus. Dry skin causes increased production of TSLP as well as overexpression of TRPV4 in keratinocytes. TSLP then acts on sensory neurons to evoke pruritus. In addition, TSLP also acts on mast cells to stimulate the release of tryptase and stimulate keratinocytes to produce more TSLP, creating a loop of increased TSLP production.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SLP and TRPV4 are playing paramount roles in dry skin prurit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