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의 문제해결과정 측정도구 개발

        이우숙(Lee Woo Sook),박선환(Park Sun Hwan),최은영(Choi Eun Young) 기본간호학회 2008 기본간호학회지 Vol.15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Korean problem solving process inventory (K-PSPI) for adults. Method: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adult problem solving process, and 40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references and expert consultations. After a pilot test, preliminary questions were further refined. The final inventory of 30 items was tested with 1,500 adult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PSPI were tested by factor analysis using the SPSS Windows 12.0 program. Results: Through factor analysis on the final 30 questions, 5 factors were identified and cumulative variant of the factors was 52.15%. For the test of reliability of the 30 questions on the problem-solving process, The Cronbach alpha was .93.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K-PSPI is a systematic method with verifies reliability and validity. It is not only adequate for the actual circumstance and culture of Korean adults, but is also a useful instrument to test post-action problem solving ability.

      • KCI등재
      • KCI등재

        시뮬레이션 연계 문제중심학습이 간호학생의 간호기본역량에 미치는 효과

        이우숙(Lee Woo Sook),조갑출(Cho Kap Chul),양선희(Yang Sun Hee),노영숙(Roh Young Sook),이규영(Lee Gyu Young) 기본간호학회 2009 기본간호학회지 Vol.16 No.1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roblem based learning (PBL) combined with simulation on the basic nursing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Method: A pretest-posttest design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roblem based learning combined with simulation for 9 weeks in a group of 283 nursing students. The PBL group of 141 students participated in PBL classes with simulation, 4 hours a week for 9 weeks compared to control group of 142 students who received the usual fundamental nursing class. Results: The group that had PBL with simulation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communication competency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PBL with simulation for nursing students may increase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and suggest that utilizing this teaching-learning method may be beneficial as an effective nursing education strateg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물리치료학 교육의 변화에 부응하는 문제중심학습방법(Problem Based Learning)

        황현숙,이우숙,임종수,Hwang, Hyun-Sook,Lee, Woo-Sook,Lim, Jong-Soo 대한물리치료과학회 2002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Vol.9 No.3

        This study addresses the need to adopt teaching-learning approaches in physical therapy education that develop links between theory and clinical practice in a meaningful way. Problem-based learning (PBL) is presented as a useful way to educate physical therapy for the future.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problem-based learning include: curricular organization around problems rather than disciplines; an integrated curriculum rather than one separated into clinical and theoretical components; and an inherent emphasis on cognitive skills as well as on knowledge. PBL as implemented in the health sciences, is an educational method in which the focus of learning is a small-group tutorial in which students work through health care scenarios. The goals of the health care scenarios are to provide a context for learning, to activate prior knowledge, to motivate students, and to stimulate discussion. Learning is student-centered rather than faculty-centered, and self-directed learning is emphasized. Whereas the former focuses on critical thinking and clinical judgement, the latter's emphasis is on clinical competency. The physical therapist (PT) program at Cheju Halla college is a partial integrated problem-based curriculum. The history and process of PBL in general and in the PT program are reviewed. Long-term advocates of PBL stress that it is the only known method for preparing future professionals to be able to adapt to change, learning how to reason critically, enabling a holistic approach to health.

      • KCI등재

        간호대학의 시뮬레이션 연계 문제중심학습(PBL)을 위한 수업설계 핵심요인 분석 연구

        노영숙 ( Young Sook Roh ),조은순 ( Eun Soon Cho ),이우숙 ( Woo Sook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시뮬레이션 연계 PBL간호학 수업에서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수업설계에 대한 인식과 차이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업설계모형에 포함되어야 할 필수적인 요인을 추출해 봄으로써 간호학 수업에 최적의 수업설계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간호대학의 교수 18인과 학생 131명을 임의 표출하여 교수자의 수업 준비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여 시뮬레이션 연계 PBL수업에 대한 필수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수자에게는 ‘교수학습매체개발’에 대한 준비도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학습자에게는 ‘효과적인 팀티칭 진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수자와 학습자간에는 전체 설문 항목 32문항 중 21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학습자와 교수자간에 수업준비에 대한 인식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으로 전체 32개의 설문 항목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수업설계’, ‘수업평가’, ‘수업실행’, ‘학습 활동과 환경’, ‘팀티칭’과 ‘학습성과 분석’의 총 6요인이 나타남으로써, 본 연구에서 확인된 교수설계의 핵심 요인을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 연계 PBL학습을 위한 간호학의 구성주의적 수업설계모형 개발이 반드시 이루질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needs and perception differences among nursing faculty and students to investigate main factors for simulation linked with PBL nursing course design. A descriptive survey desig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need for instructional desig ni nnursing course with 18 faculty and 131 sophomore nursing students. The Faculty Preparation for Instructional Design Scales(FPIDS) was used to analyze discrepancies in perceptions of faculty vs. students. The lower mean score from faculty preparation was `developing teaching media` compared to `doing effective team teaching` from students. There were statistical significances on faculty preparation for instructional design between faculty and students. Six factors in Faculty Preparation for Instructional Design Scale were identified as `course design`, `course assessment`, `course implementation`, `learning activities and environment`, `team teaching`, and `analyzing learning outcome`. The significant items and factors from the Faculty Preparation for Instructional Design Scale should be included in instructional system design for nursing PBL and simulation courses. Further study needs to develop a simulation-PBL integrated instructional design for constructive nursing courses based on six main factor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o improve nursing faculty preparations and students participation.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문화역량 강화를 위한 교수학습모형의 효과

        최경숙(Choi, Kyung Sook),이우숙(Lee, Woo Sook),박연숙(Park, Yeon Suk),전명희(Jun, Myunghee),이소영(Lee, So Young),박연우(Park, Yeonwoo),박수영(Park, Soo Young),Bev Zabler 한국간호교육학회 2018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4 No.1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a teaching model to improve cultural competency (TMCC) for Korea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168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South Korea. The experimental group of 121 seniors was taught a 13-week teaching model in order to improve cultural competence. A control group with 47 junior students underwent nursing major courses, but did not take this teaching model.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students’ level of cultural competency was measured using the Questionnaire for Cultural Competence (QCC) consisting of three sub-scales: “awareness and desire,” “encounter,” and “nursing skill and knowledge.” Results: After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in the Questionnaire for Cultural Competence in the three sub-scales of “awareness and desire,” “encounter,” and “nursing skill and knowledge” than the control group (p=<.050). Conclusion: A teaching model to improve cultural competence was effective in improving Korea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cultural competency. Further studies need to be repeated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ing model to improve cultural competency with graduate or clinical nurses.

      • KCI등재후보

        간호대학 수업에서 혼합학습을 활용한 문제중심학습 설계 및 운영 사례 연구

        최은영 ( Choi Eun Young ),이우숙 ( Lee Woo Sook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0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6 No.2

        대학에서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을 탈피하여 다양한 교육방법의 시도는 피할 수 없는 시대의 요구가 되었다. 처음에는 PBL의 도입으로 인해 정통적인 강의식 수업의 단점과 한계를 전적으로 해결하고 보완하리라고 기대해 왔다. 그러나 PBL 또 한 문제점이 제기됨에 따라 웹기반 수업과 면대면 수업의 장점을 적절히 혼합하고 단점을 보완하는 수업방식인 혼함학습의 효율성이 주장되어 오고 있어 혼합학습을 기반으로 한 PBL 모듈을 개발하여 실행하고, 학습자들의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대다수가 e-mail, 웹토론, 파워포인트 작성 등에 보통 수준 정도로 익숙한 학생들이었으며, 학교 내에 토론실과 도서관 및 전산실에서 컴퓨터 사용이 자유로워 인터넷 사용과 과제물 탑재 등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하였다. 학생들의 문제해결방법은 우선 면대면 환경에서 교수자가 제시한 시나리오 상황을 문제해결 접근방식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였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더 알아야 할 학습 과제를 분담하게 되고, 이를 인터넷 검색과 도서관 이용을 통하여 먼저 개별적으로 문제에 대해 생각한 후에 이의 결과를 정보 공유방에 올리고, 각 학습자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팀의 문제해결안을 완성시키는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이러한 모든 과정을 교수자가 모니터링함으로써 모든 팀원이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하였다. 혼합학습을 활용한 PBL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혼합학습에서 온라인상에 제공된 자료가 학습에 도움이 되고,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이 지식향상에 도움이 되었다는 항목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PBL이 면대면으로 시행되었을 때 학생들이 참고할 수 있는 자료 부족(Lee, 2001)의 문제를 온라인 커뮤니티와 웹페이지 자료를 통해 학습자들이 수업내용을 원하는 시간에 볼 수 있고, 동영상 자료를 통해서 실습을 반복학습함으로써 학습에 도움이 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룹활동과 토론을 위한 시간 부족(Achilles & Hoover, 1996)과 시설 부족(Lee, 2001; Shin, 2006)의 문제는 학생들이 원하는 시간에 온 라인 커뮤니티를 통하여 조원들과 나머지 토론을 할 수 있었고, 과제를 정보공유방에 올리면서 의견을 종합하는 그룹활동을 통하여 감소되었다. 그러나 인력 지원의 문제(Shin, 2006)는 교수자가 교과목 시간 이외에 온라인에 탑재한 학생들의 과제 물 점검과 피드백을 주기 위해 준비를 많이 하여야 하고, 많은 역할이 요구되기 때문에 이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토론활동이 오프라인상의 토론학습보다 도움이 되었는지와 온라인 커뮤니티의 흥미도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이유는 면대면 환경에 비해 온라인상의 토론은 신속한 토론이 힘들고, 경우에 따라 주제에서 벗어나 진행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학습자들이 면대면 수업에서의 토론을 더욱 선호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비하여 면대면 수업이 학습자 간의 즉각적인 질의응답과 토론이 가능하므로 학습자들에게는 활기를 줄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온라인상에시 학습자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들 간의 인간적 교류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면대면 학습과 온라인을 접목한 혼합형 학습이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PBL이 친구들과 토론할 수 있었던 점과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는 점, 교과서 외에 일상생활과 연관된 지식을 많이 얻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지적하였다. 이는 PBL이 학습자 중심의 학습방법으로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였으며, 이러한 경험은 임상에서 유사항 상황에 직면했을 경우 효과적인 전이를 유발하며 대처능력을 향상시키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학생들은 PBL로 계속 수업하는 것과 성적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이는 성적 반영의 방법이 기존의 학습결과에 대한 평가 외에 학습과정에 대한 자기평가와 동료평가, 교수평가 등으로 이루어지고, 투자한 많은 시간에 비하여 상대평가로 인해 높은 점수를 받지 못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한 PBL이 강의식 교육에 익숙한 학생들에게 불편을 주기도 하고(Duncan-Hewitt, 1996), 다른 교과목의 학습과제와 겹치면서 시간 및 과제에 대한 부담감을 경험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차후 PBL을 적용할 경우에는 새로 운 수업방법에 익숙해질 수 있는 가이드 제공과 학습과제의 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논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팀원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의 모색이 필요하였다.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은 팀구성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거나 의사소통이 잘 안되는 경우, 역할분담이 잘못 이루어진 경우에 어려움을 느꼈다. 팀활동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 학기 초에 효율적인 팀활동 방법과 PBL 운영에 대한 강의를 하였고, 학생들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하여 학생들의 문제해결과정을 온라인상에서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자주 참여 독려 메시지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좀 더 구체적으로 팀 활동의 문제를 도와주기 위해서는 학습에 있어 주도적인 참여의 의미와 방식에 대한 안내를 보다 강화하고, 교수자의 학습 동기부여를 위한 격려, 칭찬의 메시지 제시 등을 적절한 때에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교수자 이외에 수시로 피드백이나 도움, 상담을 받을 수 있는 선배나 동료 튜터의 활용, 학습과정과 결과에 대한 평가 강화 등의 방법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수자가 면대면 환경뿐만 아니라 온라인 환경에서의 자신의 역할에 익숙해져야 하겠다. PBL은 학습자 중심으로 이루어지지만 학습과정에 대한 책임은 교수자에게 있다(Bar- rows, 1988). PBL의 성공 여부는 교수자가 그 역할을 어떻게 해주느냐에 달려 있다. 면대면 수업에서는 학습자들의 논의과정을 지켜보면서 적절한 때에 적절한 질문을 제시하여 도움을 제공해야 하지만, 웹기반 PBL에서는 대부분의 의사소통이 글쓰기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학습자와의 관계 형성을 위해 학습자들을 격려하고 칭찬하며, 친근감을 형성하기 위한 메시지를 작성하는것과 같은 노력을 기울여야 했다. 또한 실질적으로 교과목 시간 이외에 온라인에 탑재한 학생들의 과제물 점검과 피드백을 주기 위한 시간적 부담과 학생들과의 상호작용과 피드백을 위한 계속적인 독려 등이 부담으로 작용하였다. 하지만 Chang (2005)의 연구에서는 학기 초에는 교수자가 다양한 형태로 도움을 제공하지만, 학습자들이 PBL 과정에 익숙해짐에 따라 이러한 도움이 자연스럽게 감소하고 있다고 하였고, 본 연구의 경우에도 세 번째 모듈부터는 교수자의 도움 활동이 감소되었다. 따라서 교수자는 과정을 시작하기 전에 자신의 역할을 인지하고 이를 어떻게 수행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준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방식의 수업이 활성 화되기 위해서는 행정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셋째, 온라인와 오프라인에서의 학습목표를 구분하여 설계하여야 하겠다. 온라인상에서 정보 제공 및 강의가 학생들의 지식향상에 도움이 되었으므로 자료실에 학습결과물과 교수자의 강의 자료를 탑재하여서 학생들이 수시로 자료를 볼 수 있고 반복학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들이 면대면 수업시간에 토론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므로 교실 수업에서는 학습자가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토론 위주의 수업을 이끄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혼합학습은 웹기반 학습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전통적인 면대면 교육의 장점을 결합시켜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간호교육을 위해서는 학생들의 요구도와 선호도를 고려한 다양한 학습방법을 적용한 교육방법을 시도해야 할 것이며, 다른 교과목에서도 적용해 보는 반복연구를 통하여 혼합학습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분석한 학습만족도뿐만 아니라 학습참여도, 학업성취도, 학습 후의 행동의 변화 등 다각적인 측면에서 혼합학습의 효과를 측정하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Purpose: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on a problem-based learning (PBL) model with blended learning in a nursing college. Methods: The target students were nursing sophomores in a nursing college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a blended learning course and to be subjects in this study for 15 weeks. The questionnaires developed by Baek (2003) and Lee (2007) were modified and applied to collect data. Results: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blending learning was the highest in the item “Online community activities were helpful in enhancing knowledge.”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PBL was the highest in the item “It was helpful to listen my classmates` opinions rather than thinking all by myself.” Conclusion: This study is suggestive that blended learning is effective to improve learning satisfaction by reinforcing practicality of face-to-face study to online learning. Various learning methods based on students` demands and preferences should be applied in nursing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