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적자원개발과 의사소통 양식이 기업의 수익성에 미치는 효과 : 창조경제 및 기업양극화 담론의 경험적 진단

        이왕원 ( Wang Won Lee ),김문조 ( Mun Cho Kim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3 한국사회 Vol.14 No.2

        본 연구는 최근 한국사회에서 핵심적 화두로 대두되고 있는 창조경제 담론과 기업 양극화 담론에 대한 경험적 검증의 일환으로, 조직 내 인적자원개발(HRD) 및 의사소통 양식이 기업의 수익성에 끼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창조경제 담론에서는 ‘융합적 HRD``와 ‘수평적 의사소통’ 하에서 이질적 요소들의 순접적 결합을 통해 생성되는 창의적 지식이 중요시된다. 따라서 기업 HRD가 단순히 ‘많은 교육’을 시행하는 대신 얼마나 ‘폭넓은 융합교육’을 제공하는지, 또 그것이 ‘위계적-일방적’ 방식이 아니라 ‘수평적-자율적’으로 전수되는지를 집중적으로 탐색해보고자 했다. 이러한 시도는 사회적 불확실성이 날로 높아가는 현 시점에서 개방적 소통체계를 통한 융복합 지식의 확산이 기업체의 존속이나 번영의 필수 조건이 되어가고 있다는 문제의식에 근거한 것이다. 여기에 기업-노동시장 분절구조를 강조하는 기업 양극화 담론의 타당성을 타진하고자 ‘재벌기업’으로 지칭되는 ‘출자(상호)금지/제한기업군’과 여타 일반기업군의 수익성을 비교하였다. 다층성장모형(Multi GrowthModel, MGM)에 의거한 분석 결과, ‘융합적 HRD’와 ‘수평적 의사소통체계’ 간에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존재함이 드러났다. 하지만 양자 간의 정적 상호작용은 출자금지제한기업군의 경우에만 유효함이 판명되었다. 이는 HRD 기반이 취약한 일반기업군에서는 HRD의 융합성이나 의사소통체계의 개방성보다 제도 자체의 존립이 선결 과제임을 함축한다. As an attempt to solicit an answer to the discourses on creative economy and inter-corporate polarization theses,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effect of corporate HRD and inter-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tructure upon the net profit of corporations in Korea. Based on WPS(Workplace Panel Survey) data conducted and released by Korea Labor Institute, the net profits of sample corporations are compared with reference to the type of corporate HRD and the mode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discourse of creative economy that emphasizes the formation of creative knowledge owing to convergent HRD and non-authoritative communication, it is hypothesized that the wider the contents of corporate HRD and the more autonomous intra-organizational communications, the higher the profit of corporation. Such hypothesis is derived from the assumption that the diffusion of convergent knowledge near an ideal speech condition will generate high corporate productivity.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convergent HRD and horizontal intra-organizational communication upon the net profit of corporations is a crucial evidence confirming our hypothesis. But it turns out to be true only for large-scale corporations having a strong HRD infrastructure. For most small or medium size corporation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corporate HRD and autonomous intra-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upporting the discourse of creative economy is found.

      • KCI등재

        한국 저소득층 가구의 빈곤화 과정에 관한 연구

        이왕원(Wang Won Lee),최율(Yool Choi),김문조(Mun Cho Kim) 한국가족학회 2016 가족과 문화 Vol.28 No.1

        본 연구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복지패널 자료에 의거해 저소득층 가구에서 일어나는 빈곤의 재생산 동학을 실증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저소득층 가구의 “경제박탈(외부상황)-가구우울(내면인식)-가정불화(행위표출)” 사이의 관계를 불평등 담론에 기초해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모형 적합도를 비교하였다. 전통적 불평등담론은 통상적으로 구조우선적 관점을 지향해 왔다. 그런 입장에서는 저소득가구의 경제적 박탈상황이 가구원의 우울과 불화를 결정하는 선행 변인이 된다. 하지만 최근 불평등 양상은 다차원・복합적 양상으로 변모하고 있어, 배제와 박탈이 일상생활에 전면화하고 있다. 따라서 가정 내의 우울과 불화가 구조적 요인에 의해서만 설명되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인 상호의존 관계의 산물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신빈곤(new poverty)’으로 설명될 수 있는 이 같은 빈곤의 질적 변화를 포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구조중심적 관점을 탈피한 새로운 시각이 요구되는 바, 본 연구는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ARCL)에 의거한 실증적 분석을 통해, 한국 저소득층 가구 안에서 일어나는 ‘박탈-우울-불화’가 다중나선형적으로 상호작용해 빈곤을 재생산하고 있음을 함축하는 최적의 설명 모형을 경험적으로 확증해 보고자 했다.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reproduction dynamics of poverty occurring inside low-income households in Korea, by utilizing data from the 3rd-9th waves of KOWEPS, KIHASA, on a biennial basis. To this end, this study models relationships among ’economic deprivation(external conditions) - depression in household(internal perception) - family conflict(acting out)” in low-income households. Traditional discourse on inequality conventionally presents structure-centered perspective. And from this point of view, economic deprivation conditions in a low-income household determine household members’s depression and trouble. However, recently, the aspect of inequality has changed to the aspect of multi-dimensional and complex inequality. And exclusion and deprivation is expressed entirely in the life world. Therefore, depression and conflict inside household is not explained by structural factor only, but is placed in complex interdependence. In order to grasp the above-mentioned change in poverty, which may be commonly called ‘new poverty’, a new study perspective escaping the previous structure-centered perspective is needed. And this study aims at directly verifying this necess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through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RCL), it was possible to verify that the model was optimized one when relationships among deprivation-depression-conflict occurring inside low-income household became cross-sectionally inter-related and longitudinally inter-causal, differently from structure-centered perspective. This is defined as ‘multi-spiral/helix model of new poverty’ where ‘deprivation-depression-conflict’ inside low-income household is entangled cross-sectionally and longitudinally. And through this, the reproduction dynamics of new poverty occurring inside low-income household was empirically tested.

      • KCI등재

        한국사회의 계층귀속감과 상향이동의식 변화

        이왕원(Wang Won Lee),김문조(Mun Cho Kim),최율(Yool Choi) 한국사회학회 2016 韓國社會學 Vol.50 No.5

        이 연구는 1999년부터 2015년까지의 한국인의 주관적 계층귀속감과 상향이동의식의 변화를 분석한 것이다. 중상층의식으로 측정한 계층귀속감은 자신의 경제적 자원에 근거한 사회적 위계에 대한 인식이며, 상향이동의식은 사회이동의 가능성에 대한 인식으로 한국 사회 기회구조의 개방/폐쇄성에 대한 개인수준의 종합적 판단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두 가지 의식을 연령-기간-코호트로 분해함으로써, 경제위기 이후 불평등 인식의 변화 추세와 내적 동학을 살핀다. 이때 연령은 생애주기에 따른 사회적 시간을 대변하며, 코호트는 특정 사회변동의 역사적 경험을 공유하는 세대적 시간, 그리고 기간은 경제위기 이후 한국사회의 모든 구성원에게 부여되는 경제 사회적 상황 변화를 대변한다. 사회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한 APC-D 모형의 핵심적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계층귀속감과 상향이동의식의 분포 양상은 매우 상이한 경향을 보이며, 연령, 기간, 코호트에 따라 매우 이질적으로 분화 되어있다. 중상층의식의 경우 연령효과가 강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세대내 상향이동의식의 경우에도 연령효과가 가장 큰 영향을 보였고, 기간효과도 소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세대간 상향이동의식의 경우에는 코호트효과가 결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연구진은 시간에 따른 평균적 변화 추이만을 고려하던 기존 연구들의 한계를 벗어나 한국사회 불평등 인식의 복잡한 내적 동학을 분석하고, 그 사회적 함의를 상론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trends of two types of consciousness of inequality in Korea from 1999 to 2015: the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and the upward mobility consciousness.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refers to individual’s own perception of social position based on one’s economic resources; upward mobility consciousness is individual’s perception of ‘social openness’ based on the possibility of upward social mobility. Using the Social Survey from Statistics Korea, we decompose the two types of consciousness by age, period, and cohort. Our results indicate that while both subject class identification and upward mobility consciousness constitute individual’s perception of inequality, their patterns of distribution are heterogeneou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is further complicated by age, cohort, and period effects. Pure age effect turns out to have the strongest effect upon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while salient effects of age and period are found in case of intra-generational upward mobility more importantly, cohort effect is crucial in case of inter-generational mobility consciousness. By decomposing age, periods, and cohort effects of the two consciousness types of inequality and discussing its social implication, this study complements existing research that has followed only the average trends.

      • KCI등재

        한국인의 생활전망 잠재유형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객관적 불평등과 주관적 불평등의 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이왕원 ( Lee Wang Won ),김문조 ( Kim Mun Cho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保健社會硏究 Vol.35 No.3

        본 연구는 계급구조의 양극화가 심화되어가는 현 상황에서 한국 가구원들이 지닌 불평등 의식을 다음과 같은 절차로 규명하였다. 우선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복지패널 7차년도 자료의 “1년 후 가구생활의 영역별 전망”에 잠재집단분석과 일원배치분산 분석을 적용해 “청년-희망상류층”, “중년-하향중상층”, “장년-상향중상층” 및 “중노년- 절망하류층”이라는 네 개 잠재집단을 추출하였다. 이어 다항로짓분석을 통해 잠재집단 소속에 영향을 끼치는 예측요인을 분석해 생활 전망의 격차나 유형에 대해 객관적- 물질적 요소보다 주관적 의식 요소가 큰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주관적 예측요인들에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잠재집단 소속에 영향을 끼치는 주관적 의식 변인에는 객관적인 사회경제적 지위가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확증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희망 불평등”이라고 통칭할 수 있는 가구생활에 대한 전망에 결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은 객관적 불평등이 아니라 그에 대한 주관적 해석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는데, 그로부터 객관적 불평등의 내면화와 주관적 불평등의 표상화라는 교호작용의 산물인 가구생활에 관한 희망 격차가 한국사회의 계급적 골을 심화시키고 있다는 진단이 가능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s, pattern and factors of life prospect of Korean household members. First, latent class analysis and one-way ANOVA on “Outlook of 10 Areas of Household Life One Year Later” in the 7th Year Korea Welfare Panel Study of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were conducted in order to explore the existence and patterns of latent class in terms of life outlook. Next, multinominal logit analysis was followed to analyze predictive factors affecting class membership. The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the subjective predictive factors only in order to infer relationships between objective inequality and subjective inequality.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vels and types of the outlook of household life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secondly, regarding positive and negative levels of life outlook, residence place and subjective-conscious factor give more influence than objective-physical resources, and regarding types of life outlook, subjective factor,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s and satisfaction with leisure culture gave strong influence. However, the subjective variables affecting a latent class were greatly influenced by objective, social and economic status. Thus,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turns out to play a significant interpretive role of objective social inequality.

      • 융합잠재력으로서 다양한 교과 관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김두환(Doohwan Kim),김문조(Muncho Kim),이왕원(Wang Won Lee) 한국사회학회 2013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Vol.2013 No.6

        이 연구는 최근 만개하고 있는 창의?융합인재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정책적 노력을 한국 교육의 경험적 상황에 대입하여 분석한다. 우리가 초점을 두고 있는 한국 교육의 경험적 상황은 대부분의 교육활동이 시험을 통해 학생들을 한 줄로 세워 서열을 정하고 이러한 서열이 삶 전반의 기회와 성취에서 높은 상관을 보이는 현실이다. 우리는 이러한 “한국의 교육 현실이 창의적 융합인재가 보이는 특성을 지지하고 고양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교육학, 심리학, 사회학의 관련 연구에 기초하여 ‘다양한 교과목에 대한 흥미의 폭(흥미다양성)’을 창의?융합인재의 ‘융합잠재력’으로 조작적 정의를 한다. 다음은 시험 성적을 위주로 하는 경쟁에 봉사하는 현 교육체제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탐구한 수많은 문헌들이 검토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연구들에서 고려한 변수들과 앞서 정의한 ‘흥미다양성’이 어떤 연관을 보이는지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교육고용패널(KEEP)이 2004년 조사한 중3 시기 ‘흥미다양성’의 수준과 고3까지 일어나는 변화에 대해 다층성장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1) 중3에서 고3까지 4년 동안, 학생들의 흥미다양성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2) 학업성취 수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진 요인들이 중3 시기 다양한 과목에 대한 흥미의 폭에도 긍정적으로 관계하고 있지만; 3) 중3에서 고3까지 흥미다양성의 유지 혹은 함양에 학업성취와 관련되었던 요인들 중 긍정적인 관련을 보인 것은 학생의 백분위 성적이 유일했다. 본 연구는 융합(STEAM) 교육을 STEAM관련 과목, 혹은 여러 과목에 대한 ‘수평적 폭(horizontal width)’을 강조하는 교육체계로 이해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가 수행한 분석의 결과는 성적의 수직적 깊이를 강조하는 한국의 교육현실이 다양성과 흥미의 측면에서 수평적 넓이를 강조하는 창의?융합인재 교육과 괴리가 있음을 시사한다. 다시 말해 변화의 경계에 서 있는 한국의 교육체제가 새로운 시대변화의 속도와 맞지 않는 제도적 지체(Institutional Lag)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ever blooming theoretical discussions and policy efforts to educate students to have creative and convergent capacity with reference to the empirical reality of South Korean education. In South Korea, most of learning activities in and out of school are geared toward ranking students in a hierarchical order. Such hierarchy is highly correlated with life chances and achievements people encounter throughout their life. Our initial question is “Can current Korean education system support and encourage students who insinuate convergent potential in their early teens?” After reviewing related researches in education, psychology and sociology, we define ‘the breadth of interest (interest diversity) toward various subjects in a school curriculum.’ as ‘convergent potential’ yielding a person with creative and coordinative capacity in her or his later life. Then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est diversity’ and the variables included in the numerous researches on the factors affecting educational achievements of students under current education system in Korea. Our data is from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KEEP) first collected in 2004. By utilizing a multi-level growth model, we investigated how ‘interest diversity’changed from 9<SUP>th</SUP> to 12<SUP>th</SUP> grade. Three major findings worth mentioning are: 1) interest diversity showed decreasing tendency in 4 years time between 9th grade and 12<SUP>th</SUP> grade; 2) factors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previous research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breadth of interest on various subjects in 9<SUP>th</SUP> grade; however, 3) among the various factors related to educational achievements, only the percentile score of the students has shown to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terest diversity from 9<SUP>th</SUP> to 12<SUP>th</SUP> grade. If STEAM education is to be understood as an education system where the ‘horizontal width’ of the various subjects taught is stressed,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s some discord between an education expected to nurture creative and convergent individuals, and the reality of Korean education. In sum, institutional lag is witnessed as Korean education system at the threshold of change fails to keep up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 KCI등재

        기업체 근로자의 임금에 대한 HRD 효과 분석

        김문조 ( Mun Cho Kim ),김두환 ( Doo Hwan Kim ),이왕원 ( Wang Won Lee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社會科學論集 Vol.44 No.1

        Based upon HCCP data collected b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HRD on the wages of Korean corporate workers. Corporate HRD is an endeavor to promote the performance of a corporation. Wage is conceived as an indirect measure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Using HLM(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the effects of workers` human capital,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corporate education/training upon wage are investigated. Findings are as follows; (1) positive effect of corporate-level education/training and negative effect of work-floor situational education/training on workers` wages respectively, (2) greater effect of workers` human capital upon their wages among prestigious corporations, (3) strong interaction effect between workers` organizational position and experiences of corporate education/training with respect to their wages. In sum, the influences of corporate-level education/training on workers` wages turn out to be more significant and consistent than those of work-floor education/training. In order to explain this “manifest effect of latent factor”, functional implications of the very concept of ``corporate education(and training)``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of Korea during the year of 2005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