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 관계의 잠재프로파일 집단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 연구

        이예진 ( Ye Jin Yi ),신유림 ( Yoo Lim Shin ) 대한가정학회 2016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4 No.3

        This study clarified the maintenance of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based on longitudinal data and explored the latent classes. It clarified the latent classes connection with the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4 children (aged 3) who attended 11 differen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We collected data three times (once every 6 months) until they reached age 4.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irst, closeness, conflict, and dependence of child-teacher relationship that showed a continuous short-term connection. Second, we classified the child-teacher relationship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longitudinal data. Those groups were, ‘low level maintenance group’ which had the lowest conflict and dependence compared to the highest closeness with teacher, ‘middle level maintenance group’ which had the teacher relationship in the middle level of the sub element area, and ‘high level maintenance group’ which showed high conflict and dependence compared to low closeness with the teacher. Third, the group which maintains a longitudinal high conflict.dependence showed more interruption and disruption behavior than the group which maintained a low conflict and dependence. In conclusion, the child-teacher relationship seemed to be the steady characteristic because it showed the early formation of a stable relationship. It was possible to predict the child’s peer interaction through an early childteacher relationship. Teachers need to be educated by the kindergarten and daily care center because the early formation of a child-teacher relationship can be the foundation of child’s later peer and teacher relationships.

      • KCI등재

        잠재 프로파일분석을 통한 유아-교사 관계에 관한 종단연구

        이예진 ( Ye Jin Yi ),신유림 ( Yoo Lim Shi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ability of child-teacher relationship in the short-term terms. Moreover, this study identified the latent classes then explored the transition of these classes. The participants were 194 preschool children who attended preschool and daycare centers.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Scale was used to measure the closeness, conflict and dependence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closeness, conflict and dependence were stable in short terms. Moreover, three groups were identified, which were low conflict & dependence, middle level, and high conflict & dependence group. Most of children in ‘high conflict’ or ‘low conflict’ groups transit to ‘high closeness & dependence’ group in time point 2 and to ‘low dependence’ group in time point 3. 본 연구는 단기종단적 자료에 근거하여 유아와 교사 관계의 시점별 차이를 살펴보고, 잠재적 집단 및 집단의 이행 확률을 살펴봄으로써 관계의 변화 가능성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3세 유아 194명을 만 4세까지 6개월 간격으로 총3회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와 교사의 관계의 친밀감과 의존은 3차 시점이 가장 낮았으며, 갈등은 2차 조사 시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만 3세 1학기에는 교사와의 높은 친밀감과 중간 수준의 갈등 및 의존을 보이는 ‘높은 갈등’ 집단과 친밀감이 높고, 갈등 및 의존이 낮은 ‘낮은 갈등’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만 3세 2학기에는 교사와 중간 수준의 친밀감과 낮은 갈등 및 의존성을 보인 ‘낮은 친밀·의존’집단과 상대적으로 높은 친밀감과 낮은 수준의 갈등, 중간 수준의 의존성을 보이는 ‘높은 친밀·의존’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만 4세 시점에는 친밀감과 의존성이 높고, 낮은 갈등을 나타내는 ‘높은 의존’ 집단과 교사와 높은 친밀감과 낮은 갈등 및 의존을 나타내는 ‘낮은 의존’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셋째, 유아-교사 관계의 잠재 프로파일 집단은 만 3세 1학기에 ‘높은 갈등’ 집단에 속한 유아와 ‘낮은 갈등’ 집단에 속하는 유아의 대다수가 2학기에는 ‘높은 친밀·의존’ 집단으로, 다시 만 4세 시기에는 ‘낮은 의존’ 집단으로 수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전환기 청소년의 개인특성, 또래애착 및 부모양육행동이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휴대전화 의존도의 매개효과 검증

        이예진 ( Ye Jin Yi ) 대한가정학회 2014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2 No.5

        This study explores how the main variables of youth going through a transition period (parents` nurturing behavior, the youth`s self-esteem and ego resilience, the peer group relationships) affect the youth`s school adjustment. It also analyzes the effects of theses variables on the youth`s dependence on cell phones, which are considered a necessity in modern society. This research is verified by using a structure model verification method based on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Youth Panel Study. According to the research, first, 1st-year students in middle school show better adjustment to their school life and less dependence on cell phones when they have a stronger sense of self-esteem and ego resilience; further, it is revealed that cell phone dependence has an indirect influence on the school life of these children. Second, they tend to show better adjustment to their school life and less dependence on cell phones when their parents` nurturing behaviors are more positive. Third, these children tend to depend more on cell phones when they have a positive peer group relationship, Moreover, cell phone dependence has an indirect influence on their school life. When considering the impact of cell phone to youth in modern society, need to prepare proper training program for correct uses and preventing from addiction.

      • KCI등재

        유아기 자녀에 대한 양육스트레스와 모-자녀관계에서 어머니 취업상태의 조절효과

        이예진(Yi, Ye-Jin),윤수정(Yoon, Soo-J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8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09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모-자녀관계에서 어머니 취업여부의 조절효과가 있는지, 변인들의 관련성과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인지역 유아교육기관을 이용하는 만 3~5세 유아의 어머니 58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을 살펴보면, 양육스트레스(K-PSI-SF)와 모-자녀관계(K-PRQ-P) 도구를 토대로 한 설문지조사가 이루어졌고, 수집된 자료에 대해 t-test, 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이 시행되어졌다. 연구결과에서 첫째, 취업모는 전업모에 비해 모-자녀관계의 양육효능감은 높고, 관계좌절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육스트레스의 부모고통은 취업모보다 전업모가 더 많이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취업여부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와 모-자녀관계는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양육스트레스와 모-자녀관계에서 어머니 취업여부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이, 모-자녀관계 증진을 위한 어머니 취업의 상황적 여건과 양육스트레스의 심리적 여건 모두를 고려한 개별화된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employment status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mother-child relationship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568 mothers of 3, 4 and 5-year-old children who attend a kindergarten or daycare center in the Gyungin area of South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al regression using SPSS 18.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mployed mothers showed higher parental confidence and lower relational frustration in mother-child relationships, and higher parental distress and parenting stress than non-employed mothers. Second,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mother-child relationship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from both employed and non-employed mothers. Third, the results indicate a moderating effect of employment status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mother-child relationship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mothers employment status and parenting stress should be considered to promote mother-child relationships.

      • KCI등재

        교사 효능감과 유아의 부정적 또래상호작용 간의 유아-교사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이예진(Yi, Ye Jin),윤수정(Yoon, Soo J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6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01

        본 연구는 교사 효능감과 유아의 부정적 또래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유아-교사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6차년도(2013년)에 조사한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에 다니는 만 5세아 1,163명과 그들의 담임교사이다. 연구방법은 교사 효능감과 유아의 부정적 또래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유아-교사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AMOS 22.0 프로그램과 SPSS-WIN 18.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교사 효능감이 높을수록 유아의 부정적 또래상호작용은 감소하며 유아-교사 상호작용은 질적으로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 효능감과 유아의 부정적 또래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유아-교사 상호작용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teacher interactions on teacher efficacy and children’s negative peer interactions. For this study, the data of the 6th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in 2013, collected from 1,163 5-year-old attending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and their teachers were us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AMOS 22.0 and SPSS-WIN 18.0. The results indicated that higher teacher efficacy was related to a low level of children’s negative peer interactions and greater child-teacher interactions. In addition, the full spectrum of the child-teacher interactions mediating effects were seen to influence teacher self-efficacy and children’s negative peer interactions.

      • KCI등재

        교사-유아의 친밀감과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의 관계에서 부정적 정서성의 중재효과

        이예진 ( Ye Jin Yi ),신유림 ( Yoo Lim Shin ) 대한가정학회 2015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3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negative emotionality on the association between teacherchild intimacy and peer interaction based on a differential susceptibility model. The participants were 252 threeyear-old children recruited from a day care center and preschool located in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was measured on a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This measure is a type of teacher’s report with ratings based on a teacher’s daily observations. This scale is composed of closeness items on the degree of warmth and open communication in teacher-child relationships. Peer interactions were measured with a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This measure is composed of play interaction items, play disruption items and play disconnection. Negative emotionality was measured with Child Behavior Questionnaire. Teachers measured teacher-child intimacy and peer interaction scales. Parents reported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The research showed that negative emotionality moderated the association of teacher-child intimacy, play interaction, play isolation and play disruption. The magnitude of association between teacher-child intimacy and play disconnection as well as play interaction was greater for high levels of negative emotionality. Teacherchild intimac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lay disruption only for high levels of negative emotional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pport a differential susceptibility model.

      • KCI등재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학업준비도 관계에서 사회적 기술의 매개효과

        윤수정(Yoon, Soo-Jung),이예진(Yi, Ye-Ji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8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11

        본 연구는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기술, 그리고 학업준비도 간의 관계에서 관련성과 영향력을 살펴보면서 사회적 기술의 매개효과가 어떠한지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자료 중 초등학교 입학직전 연령인 2014년(7차년도) 조사에서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에 다니는 만 6세 남아 786명과 여아 755명, 총 1,541명이었다. 연구방법은 변인 간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AMOS 20.0 Program으로 매개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는 Sobel 검증을 통해 유의성을 점검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기술, 그리고 학업준비도 간의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기술의 매개변인을 통해서 학업준비도에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보여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ompetence between child’s self-esteem and academic readiness. A total of 1,541 children (755 girls, 786 boy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4-year-old children either attended kindergarten or day care cente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7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in the Korean Institute of Child and Education in 2014.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hild’s self-esteem, social competence, and academic readines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the findings showed a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mpetence between child’s self-esteem and academic readiness. This results suggests the important of academic readiness based on early childhood and the correlation and influence of the study variables.

      • KCI등재

        자기회귀 교차지연모형을 통한 유아-교사 상호작용과 또래상호작용의 종단연구

        윤수정(Yoon, Soo Jung),이예진(Yi, Ye Ji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7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03

        본 연구는 만 4세-6세까지 유아-교사 상호작용과 또래상호작용의 지속성 및 상호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즉, 유아-교사 상호작용과 또래상호작용의 지속성과 변인들끼리 서로 미칠 수 있는 종단적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만 4세-6세 유아와 담임교사 634쌍으로서,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제공하는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data 중 2012년부터 2014년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은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WIN 18.0 Program과 AMOS 22.0 Program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는 또래상호작용은 만 4세부터 만 6세까지 안정적으로 지속되었다. 둘째, 유아-교사 상호작용은 만 4세부터 만 6세까지 안정적으로 지속되었다. 셋째, 유아-교사 상호작용은 이후 시점의 또래상호작용에 유의미한 교차된 지연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놀이방해는 이후 시점의 유아-교사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교차지연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결과를 통하여 유아기의 유아가 나눌 수 있는 또래 및 교사와의 상호작용의 시간적 변화와 발달은 질 높은 상호작용의 교육 및 프로그램, 그리고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intenance and effects of child-teacher interactions and peer interactions based o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The data used in this study from the Panel Study on KICCE(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Education), which carried out an investigation of the fourth through sixth longitudinal panel data beginning 2008.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AMOS 22.0 program and SPSS-WIN 18.0 program. The result indicated the child-teacher interactions and peer interactions continued stability age 4 to 6. Specifically teacher-child interactions peer interaction, and play disruption child-teacher interactions after that time. The study result suggested the necessity of study constantly, and high quality education or program about interactions with teacher or peer.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 문화 인프라 이용 빈도가 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강은진(Kang, Eun-Jin),이예진(Yi, Ye-Jin),이정림(Lee, Jeong-Rim)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6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98

        본 연구는 수도권과 지방의 문화 인프라 이용 빈도 및 이용 편리성 인식 차이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과 양육스트레스 및 가구의 문화 인프라 이용 빈도가 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을 검토해 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이러한 영향력이 수도권과 지방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2013년) 참여자 1,620명을 대상으로 연구문제에 따라 t-test, 구조방정식 모형,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수도권과 지방의 문화 인프라 이용 빈도와 편리성 인식은 차이가 있었으며, 어머니의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 가구의 문화 인프라 이용 빈도는 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구의 문화 인프라 이용 빈도는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수도권과 지방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사회적 지원과 지역사회의 문화 인프라 확산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regarding the usage frequencies and the usage conveniences of cultural infrastructure for young children between metropolitan areas and local areas. The study also examined the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 parenting stress, and the usage frequencies of cultural infrastructure on young children’s social skills. The seventh annual data(2013) of the Panel Study on Korea Children was used for the data analysis,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multi-group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of the usage frequencies and the usage conveniences of cultural infrastructure for young children were found between metropolitan areas and local area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warmth of parenting behavior, parenting stress, and the usage frequencies of cultural infrastructure impacted young children’s social skills. Third, the usage frequencies of the cultural infrastructure were mediated by the warmth of parenting behavior and children’s social skills. Based on the results, measures to improve the warmth of parenting behavior and the spread of cultural infrastructure in local area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