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MFM 알고리즘에 의한 퍼지 논리 제어기의 성능 향상

        이영신 조선대학교 2001 국내박사

        RANK : 247647

        In this paper, I propose the algorithm for the membership function modification, which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Fuzzy Logic Controller(FLC) by representing the control knowledge with the experts and the operators more exactly. This paper suggests an algorithm to modify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fuzzy membership function based on the input-output data clustering so that the FLC can represent the control knowledge more exactly. It is used by the rough control knowledge retrieved from the intuitive experiential knowledge and experience as the evaluation criteria to cluster the input-output data. Sugeno's model expresses the input and output relation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 function by using fewer less rules, has the same performance as the existing controller, is computationally efficient, and is well-suited to mathematical analysis. Therefore I constructed FLC of Sugeno's model by learning the input and output data from the modified FLC based on the proposed algorithm. I applied this algorithm to the model for controlling the water level and the traffic signal, and showed that it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FLC so that it can solve the difficulty of the range partition of the linguistic variables.

      • 광센서 선형 화재감지시스템 개발을 위한 응답특성 측정실험 및 화재감지 알고리즘 도출에 관한 연구

        이영신 湖西大學校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의 복잡한 생활여건으로 인하여 공동 생활시설, 공장, 생산시설, 위험시설들은 특정지역에 밀집‧분포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있으며 전력, 통신, 가스 등의 생활 시설들은 지하 공동구에 집합되어 설치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우리나라는 급격한 경제성장으로 늘어나는 교통량 때문에 도로의 확충은 필연적이며 국토의 70%가 산악지역인 지리적 특성으로 터널연장의 증대와 사용빈도 또한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시설은 토지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반 시설이다. 하지만 환경적 특징인 먼지의 과대한 체류, 습기, 현장의 접근이 용이하지 못하여 유지보수의 효율성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그 중요성에 비하여 마땅히 적응성이 있는 화재감지기를 설치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화재안전기준 등에 설치하여야 하는 감지기는 명시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 정온식 선형감지기, 차동식 분포형 공기관식 감지기가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화재가 발생하기 전에 작동하기 보다는 화재가 발생한 후 작동되고 광범위한 화재 위치를 표시하기 때문에 사실상 적용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시설에 적용성이 있는 감지기는 광센서 선형감지시스템으로 전자파 장애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으며 거리별 온도표시, 장거리 화재감시 가능, 자체적인 방폭구조로 외부의 먼지‧수증기‧부식성가스 등 열악한 조건에서도 비화재보의 발생 없이 조기 화재를 감지할 수 있다는 장점 등이 있다. 현재 국내에서도 본 시스템의 필요성을 인지하여 도입하고 있는 추세에 있지만, 광센서 케이블을 제외한 광 중계기 및 전용 수신기는 국외의 제품을 그대로 수입하여 판매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 또한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센서 선형감지기의 적용성 및 효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열악한 조건에서의 타 감지기와의 성능을 비교하고, 무풍과 풍속 조건에서의 광센서 선형감지기의 응답특성 측정하였으며, 온도 및 위치측정에 대한 알고리즘을 도출하여 미비한 국내의 광센서 선형감지기에 대한 연구에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 돌봄에 대한 정신보건간호사와 대상자의 상호지향성

        이영신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지역정신보건활동은 정신재활, 정신건강증진 및 예방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정신보건간호사가 지역사회에서 돌봄을 제공하고 지역사회 대상자의 정신건강증진에서 요구되는 실천적 지식을 형성해 왔지만 제공되는 돌봄에서 드러나는 주관적 간호활동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보건간호사와 정신보건간호사에게 간호를 제공받는 대상자의 주관적 돌봄의 구조를 파악하고 대인 관계적 차원에서 상호지향성을 분석함으로써 대상자 중심의 돌봄을 제공하는 지역사회 정신간호 실무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3년 1월부터 5월까지 정신보건간호사와 대상자에게 정신보건간호사가 인식한 돌봄, 정신보건간호사가 대상자 입장에서 인식한 돌봄, 대상자가 인식한 돌봄, 대상자가 정신보건간호사 입장에서 인식한 돌봄에 대한 각각의 유형을 파악하고 상호지향성 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돌봄에 대한 Q 표본은 심층면담과 문헌고찰을 통하여 모집단을 구하였다. 정신보건간호사는 총 280개, 대상자는 총 178개의 Q 모집단으로 나타났으며 6개의 범주로 분류한 후 각각 50개의 진술문을 선정하였다. P 표본은 톰슨의 스키마타(Thompson Schemata)를 사용하여 돌봄에 대해 상이한 수준의 흥미를 갖고 있는 사람들을 체계적으로 표집 하였고 최종 P 표본은 두 집단 각 31명, 총 62 명이었다. 자료분석은 PC QUANL program을 이용하여 Eigen Value 1.0 이상을 기준으로 유형을 선택하였다. 정신보건간호사의 돌봄유형은 구조개선, 업무중심, 증상관리, 효율적 수행, 수용돌봄 이었다. 정신보건간호사가 대상자 입장에서 인식한 돌봄 유형은 전생애, 헌신, 존중, 자립돌봄 이었다. 대상자의 돌봄 유형은 양육, 자기조절, 참여, 안위, 평등돌봄 이었다. 대상자가 정신보건간호사 입장에서 인식한 돌봄은 실천격려, 사회적응, 편견해소, 능력신장, 역량인정, 기대충족 돌봄 이었다. 돌봄의 관계를 상호지향성 모델을 통해 살펴 본 결과 두 집단이 돌봄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견해의 유사점이 있었으며 상대 집단 입장일 때의 인식과 실제 상대 집단의 인식에서도 유사점을 찾을 수 있었고 대상자의 주관적 일치성이 높았다. 그러나 정신보건간호사의 주관적 일치성은 낮아 정신보건간호사와 대상자의 소통을 통해 정신보건간호사의 주관적 일치성을 높여야 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신보건간호사·대상자의 돌봄 유형과 치료적 돌봄 관계 파악을 통해 지역사회 정신간호의 실무를 확인하고 대상자의 만족을 높이는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또한 정신보건간호사의 주관적 일치성이 낮음을 확인하였는데, 낮은 주관적 일치성은 정신보건간호사가 돌봄 제공시에 내적 갈등을 일으킬 수 있음을 의미하므로 이러한 내적 갈등의 소지를 줄이고 대상자 맞춤형 돌봄 제공을 위해 대상자와의 구체적이고 정례적인 다양한 소통의 요구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정신보건간호사의 실무와 대상자의 요구 확인을 통해 존재론적 돌봄과 의도적 돌봄에 대한 이해를 돕고 Q-방법론과 상호지향성 모델을 가지고 두 집단의 관계를 확인한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정신간호 실무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support or treat not only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but also general people. PMHN have formed practical knowledge required in community mental health. However, no study has yet reported PMHN's practice in caring through utilizing a Q approa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ubjectivity of caring in PMHN and clients from receiving services from the PMHN. There are evidences, providing of the PMHN's caring and client-centered service. By analyzing coorientation model, the strategy of community mental health nursing is found.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to May 2013, this study identified the four types of aspects(the PMHN's cognition of caring, Client's cognition of caring by PMHN, Client's cognition of caring, PMHN's cognition of caring by Client) by applying the Q methodology, and the coorientation model. Q-population for caring was organiz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en PMHNs and ten patients as well as by a study of related literatures. There was a total of 280 samples for the PMHN's Q-population and 178 samples for the client's Q-population. Both Q-populations represented the following six categories: professional, related emotional, institutional, cultural, interpersonal and related client's role. Each of the Q-sample included fifty statements, which were selected after collecting the opinions of experts. The P sample systematically selected people's different levels of interests in caring by applying Thompson Schemata. Each final P sample of the PMHN and client is decided 31 in total 62. In the data analysis, the following types were selected based on a Eigen value of over 1.0 using the PC QUANL program.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types of caring among PMHN and client, PMHN's caring was classified into five types as follows: Improvement of organization care, Focused on the roles care, Symptom management care, Efficient performance care and Acceptance care. Client's caring by PMHN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Entire life care, Devoted care, Respect care and Independence care. Client's caring was classified into five types: Nurturing care, Self-control care, Involvement in care, Comfort care, Equality of care. PMHN's caring by client was classified into six types: Demanding practice care, Social adjustment care, Dissipating prejudices care, Expanding ability care, Recognizing capability care, and Satisfying expectation care. The result of caring relation through the coorientation model was similar viewpoint of two group, and each's position was high standard compliance. Because PMHN's caring cognition was identified as being low, we realized that communication between PMHN and client is very important. Therefore, we believe that the PMHN and Client's caring the type and relation of was identified nursing care, improving client-centered service, need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PMHN and Client.

      • 발 반사요법이 방사선 치료를 받는 유방암 환자의 피로에 미치는 영향

        이영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에서 유방암은 2002년에 여성의 악성 종양 중 1위를 차지함에 따라 유방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최근 유방암 치료가 신체상에 심각한 장애를 초래하는 종래의 유방절제술에서 유방 보존술로 치료형태가 바뀌면서 잔여 암세포를 방사선 요법으로 파괴시키는 방법을 많이 시행하고 있다. 방사선 치료가 진행됨에 따라 환자는 피곤함을 느끼게 되며, 치료와 관련된 다른 부작용이 해소된 뒤에도 지속되는 경향이 있어 피로 감소를 위한 간호중재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는 발 반사요법이 방사선 치료를 받는 유방암 환자의 피로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 보고 간호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에 의한 유사실험 연구로 서울에 소재한 A 종합병원에서 유방암 수술 후 방사선 치료 중인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05년 9월부터 10월까지였다. 피로측정 도구는 Piper 등(1998)이 수정 보완한 Revised Piper Fatigue Scale로 손수경(2002)이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 발 반사요법은 대상자의 양발에 각각 10분씩 총 20분간 1일 1회씩 3일간 연속해서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두 집단간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구하고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에 대한 동질성 여부는 각각 Fisher's exact test와 Mann-Whitney U 검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피로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두 집단 간의 실험 전 피로도에 대한 동질성 및 실험 후 피로도의 차이는 Mann-Whitney U 검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 반사요법을 시행한 후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전체 피로도가 낮았으며, 영역별로는 활동 방해, 감정 표현, 주관적 느낌, 기분 및 사고력 영역에서 피로도가 낮았다. 본 연구 결과, 방사선 치료를 받는 유방암 환자에게 발 반사요법을 제공함으로써 피로를 감소시켜주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므로 앞으로 간호 실무 현장에서 독자적인 간호중재의 한 방법으로 발 반사요법을 적용하여 피로를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effect of foot-reflexo-massage on fatigue of breast cancer patients undergoing radiation therapy.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selected at A hospital in Seoul, and they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16 patients per group.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to October 2005.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the Revised Piper Fatigue Scale (Son, 2002).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isher's exact test and Mann-Whitney U test, with using the SPSS WIN 1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 The level of fatigue h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ollowing foot-reflexo-massage.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breast cancer patients undergoing radiations therapy were decreased fatigue by the foot-reflexo-massage. Thus, the foot-reflexo-massage will be applied a method for independence nursing intervention. And the foot-reflexo- massage will have the positive effect on the recovery of cancer patients undergoing radiations therapy.

      • 남성들을 위한 스킨케어 뷰티 서비스 디자인 프레임워크 연구

        이영신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남성 아이돌의 대거 출연과 ‘꾸미는 남자’라는 새로운 키워드의 등장과 함께 남성들 또한 자신을 가꾸는 것, 화장품을 사용하는 점이 전혀 이상할 것 없는 세상이 도래했고 많은 화장품 회사들은 이러한 남성들을 위한 화장품의 개발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정책적으로 식약처는 지난 2018년 맞춤형 화장품 판매업 제도를 개정, 2020년 3월부터 시행하였고, 경제적으로는 뷰티 산업은 지난 20년간 연 평균 4.5% 성장과 한류의 영향으로 뷰티 산업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사회·문화적 측면에서는 대한민국은 고령화시대로 진입하였으며 이는 많은 사람들이 안티에이징(Anti-Aging)에 대한 관심도가 올라가고, 맞춤형 화장품 판매업 시행으로 새로운 시장이 형성되며 뷰티 제품 통합시스템(PSS)의 확장이 일어났다. 기술적으로는 뷰티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결합한 뷰티테크 산업이 발전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여러 기업들은 고객 Data Base 확보에 노력중이다. 본 연구는 최종 모델인 ‘남성들을 위한 토탈 뷰티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첫 번째 뷰티 서비스 디자인 콘텐츠 구성 연구이다. 전반적으로 화장품에 취약한 남성들을 타겟(Target)으로 선정하였고, 이론 고찰을 통한 문제점과 소비자 조사를 통한 요구사항 등의 요소들을 확인하여, 남성들이 좀더 사용하기 쉽고 편리한 가상의 서비스 디자인 프레임워크를 구축하여 제안하였다. 첫째, 문헌 및 현황 조사를 바탕으로 국내·외 남성 뷰티 서비스 개념 고찰 분석 및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현재 맞춤형 화장품은 오프라인 제조만이 가능한 실정이며, 화장품에 표기된 전성분을 알아보기 힘들다는 점과, ‘외모도 스펙’이라고 말하는 현 시대에 남성들을 위한 뷰티 서비스가 미흡하며,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하고 판매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기능이 탑재된 유통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다. 둘째, 설문지법을 통해 소비자들의 니즈를 분석하여 요구사항을 파악하였으며 뷰티 서비스 관심도를 기준으로 상·중·하로 나누어 각 관심도별로 문제점 해결 방안을 모색하였다. 조사된 뷰티 서비스 관심도는 상 43명(28.3%), 중 71명(46.7%), 하 38명(25%)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된 사용자 요구사항 및 필요기능들을 바탕으로 뷰티 서비스 목표 및 컨셉을 설정하고 퍼소나 모델링, 구조 설계 및 내용 설계, 사용자 여정 지도, 사용성 Task 시나리오를 진행하여 타겟에 대한 해결방안의 아이디어 및 서비스 디자인을 기획하였다. 그 결과, 프로토타입에 추가될 화면인 최초 로그인 및 메인 화면, 피부 테스트 화면, 전성분 사전, 커뮤니티, 화장품 제조/구매, 마이 페이지 등의 화면을 제시하였다. 넷째, 수집된 자료들을 통해 ‘화랑’이라는 이름의 남성 뷰티 서비스 디자인 프레임워크 프로토타입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총 36종의 화면으로 구성된 각 메뉴에 알맞은 화면의 프로토타입이 제작되었다. 다섯째, 제작된‘화랑’프로토타입을 관련 전문가 4명에게 사용성 평가 및 기타의견 제시를 의뢰하였다. 그 후, 기타의견을 반영하여 프로토타입 각 화면마다 개선안 8가지를 제작하였다.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동반한 남성들의 뷰티 셀프케어 플랫폼의 비즈니스 모델의 제시와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빅데이터(Big Data) 등의 서비스 디자인의 학문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결과를 통해 세 가지의 기대효과가 나타날 것이다. 첫째, 남성들을 위한 뷰티 서비스 마케팅 데이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둘째, 제안한 ‘화랑’뷰티 서비스를 통해, 남성들이 스킨케어 뷰티 서비스 플랫폼의 확장 버전을 기대할 수 있다. 셋째, 추후 등장할 ‘토탈 뷰티 서비스 플랫폼’의 기초적인 단계를 시작하는 연구이며 비슷한 후속 연구를 진행할 사람들에게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뷰티 스킨케어 관점이 아닌 확장된 남성 뷰티 콘텐츠를 이용한 응용서비스 디자인 연구도 이어져야 할 것이다.

      • '스캠퍼 기법'을 활용한 고전문학 감상 교육 방안 연구

        이영신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고전을 읽는 목적은 우리 민족의 삶을 이해하고 민족 문화에 대한 교양을 갖춘 한국인이 되기 위함에 있다. 고전문학 교육의 지향점도 민족 정서의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이 경험하지 못한 삶의 방식을 체험하고 해석하여 내면적 의미를 형성하고 이를 삶에 적용하는 데 있다. 그러나 현행 고전문학 교육의 필요성과 문제점을 연구하고 조사한 결과, 우리의 고전문학 교육은 목적에 부합하는 바람직한 교육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선행 연구자들의 조사 내용을 보면 고전문학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배경지식의 부족, 어려운 어휘와 수업 시수의 부족, 지식 전달 위주의 수업, 교육 목표에 부합하지 않는 작품 선정 등이 원인으로 지목되었으며, 그 중 지식 전달 위주의 수업 방법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과학기술이 나날이 발달함에 따라 우리 사회는 급속도로 변해가고 있다. 능동적으로 문답하고 새로운 것을 탐구하고 수용하는 창의적 인재가 우리 교육계에서도 절실하다. 기존의 교육방법에 머무른 채, 지적된 문제점을 개선하지 못한다면 고전은 현실과 유리된 구태한 문학으로 고착되고 말 것이다. 따라서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창의력을 더하여 능동적으로 학습하고 이해하는 입체적 교육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 이에 따른 대안으로 본고에서는 창의성 기법 중의 하나인 ‘스캠퍼 기법’을 고전문학 감상 교육에 활용하고자 한다. ‘스캠퍼 기법’이란 사고의 기준을 미리 질문형식으로 나열하여 빠짐없이 생각해 봄으로써 자신의 생각을 확장해나가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자기 주도적 읽기로 작품에 대한 친밀감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현대적 시각을 적용한 질문지를 이용한 다각적 사고가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확산적 사고의 결과를 바탕으로 내면화된 텍스트로 재창조하는 것에 대한 부담감을 해소할 수 있다. ‘스캠퍼 기법’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확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를 통합하여 내면화와 재창조에 이르는 활용구조와 올바른 학습 모형의 선택이 필요하다. 본고는 계획하기 ⇒ 진단하기 ⇒ 지도하기 ⇒ 평가하기 ⇒ 내면화하기의 다섯 단계에 맞추어 학습 모형을 구축하고, 작품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분리된 학습자에게 실험이 되는 수업을 실시한다. ‘스캠퍼 기법’ 활용 효과는 다양한 사고의 확산을 가능하게 하므로 역동적 수업이 가능하다. 고전문학 작품을 지금의 ‘나’와 견주고 질문하는 몰입의 과정을 거치므로, 고전문학 작품에 대한 고착된 의식을 탈피하고 흥미와 관심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이해력과 장기기억력 향상에 효과가 있으며, 입력된 지식을 자신의 텍스트로 내면화하여 출력하는 재창조의 발판을 마련해준다. 학교 현장에서 수업 시수나 학생들의 개인차 등을 고려해서 ‘스캠퍼 기법’을 활용한다면, 고질적 문제점으로 지적되던 학습의 내면화와 재창조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유용한 전략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표재감염 치료제로서의 항균 펩타이드 HG1의 효과

        이영신 호서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HG1 is a synthetic derivative of an antimicrobial peptide found in the hemocytes of a tunicate. The peptide was previously shown to exert profoun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a variety of antibiotic-resistant bacteria and fungi.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potential use of HG1 as a topical agent for the treatment of otitis media (OM) caused by a variety of microbial pathogens including bacteria resistant to conventional antibiotics. HG1 showed much stronge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and multidrug-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MDRPA) associated with human OM than did ofloxacin, which is the major ototopical antibiotic currently available for management of OM. Also, it was shown that the peptide exhibited substantial dose-dependen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microbes of middle ear fluid from patients with OM.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ototoxicity of HG1 in a mouse model. After application of HG1 into the tympanic cavity, changes in hearing thresholds were examined in short- and long-term test groups. Hair cells of the cochlea were examined under fluorescence microscopy after staining with FITC-conjugated phalloidin. The work showed that topically applied HG1 caused neither a decrease of sensorihearing level nor inner ear damage. Therefore we concluded that HG1 is a promising new ototopical antibiotic for treatment of middle ear infections associated with antibiotic-resistant bacteria. We investigated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an antimicrobial peptide, named HG1, as a novel topical antibiotic using a mouse surgical wound model infected with MRSA. First, it was examined if HG1 was infiltrated into the dermis upon its topical administration. We also assessed the antibiotic effect of HG1 on the skin infection via bacterial-enumeration analyses of the tissue biopsies that was obtained from the mouse skin infected with MRSA for 2 days and then treated with HG1 for 5 days. In addition, the antibiotic efficacy of HG1 was evaluated under confocal microscopy after immune-staining the skin section with anti-HG1 antibody. As a consequence, it was determined that HG1 could permeate to the infection site of the dermis upon topical administration and exert its antimicrobial activity. From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and the previous study, we concluded that HG1 might become a novel peptide antibiotic that is useful for the treatment of superficial infections caused by a variety of microbes resistant to currently available drugs. HG1은 동해산 비단멍게(Halocynthia aurantium)의 체액세포들로부터 분리된 halocidin의 구조에서 도출된 새로운 항균 펩타이드로서, halocidin의 두 단량체 가운데 18개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18Hc의 N-말단에 Lys 잔기를 추가하여 합성한 펩타이드인 K19Hc (KWNLALLHHGL NCAKGVLA)를 동형-이량체(homo-dimer) 형태로 제작한 것이 HG1이다. HG1은 기존 연구를 통해 알려진 바와 같이 그람 양, 음성의 내성균을 비롯하여, 다양한 진균들에 대해서도 광범위하고도 강력한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보유하고 있다. 본 연구는 HG1을 이용한 새로운 외용 항생제 개발을 주제로 하고 있으며, 대상 적용증을 중이염 및 당뇨 족부 감염증을 포함한 피부 외상 감염증으로 선정하고, 이들에 대한 HG1의 외용항생제로써의 치료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들을 진행하였다. 항균 펩타이드는 기존 항생제들과는 다른 작용기작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항균활성을 방해하지 않는 제제를 선별하였다. 크림제제나 카보머, 바셀린과 같은 제형에서는 활성이 소실되었으나,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글라이세롤의 혼합물에서는 항균활성이 온전히 유지되었으며, PBS나 HBSS와 같은 일반 수용성 완충액 하에서 솜이나 거즈와 같은 드레싱 재료에 비특이적 결합을 하여 발생하는 항균활성 소실의 문제도 나타나지 않았다. HG1의 약물동력학(pharmacokinetics)적 특성연구는 마우스 피부를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scratch wound가 유발된 마우스 피부에 HG1을 처리 후 정해진 시간에 따라 피부 조직을 적출하여 산추출물과 파라핀 블럭을 제작하고, RP-HPLC 방법과 면역조직화학적염색(immunohisto- chemical staining)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HG1은 투여 시간 경과에 따라 점진적으로 피부로 침투되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HG1 처리 후 8시간 경과된 피부조직에서는 진피(dermis)층은 물론 피하조직(hypodermis)일부에까지 침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RP-HPLC 방법은 HG1이 피부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었다.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HG1의 적용증으로 중이염을 고려하고 있기 때문에, HG1에 대한 이독성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독성의 여부는 HG1과 대조군으로 젠타마이신(gentamicin)을 처리하고, 시료 처리후의 청력역치 측정과 유모청신경세포(sensory hair cells)에 대한 조직학적 연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HG1은 HBSS 완충용액 처리군과 다르지 않게 청력의 변화나, 유모청신경세포 사멸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젠타마이신 처리군은 청력의 악화와 유모청신경세포의 부분적 결실을 보였으며, 청각유모세포의 생존률에서 HG1 처리군에서 96∼100%, HBSS 처리군에서 95∼100%, 젠타마이신 처리군에서 72∼92%를 보였다. 삼출성 중이염환자로부터 채취한 병원균이 포함된 중이삼출액(middle ear fluid)에 대하여 HG1은 강한 항균 활성을 보인 반면에 현재 중이염 치료제로 사용 중인 오플로삭신(ofloxacin)의 활성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MRSA에 의하여 유발된 중이염 실험동물 모델에서 HG1(1 mg/day)처리군에서는 처리 시작일로부터 3일 경과 후부터 삼출액에서 MRSA 균주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대조군은 처리시작일과 종료일 동안 107 CFU/ml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MRSA를 대상으로 피부에 3 종류의 다른 상처감염을 유발하였으며, 대조군과 비교해서 HG1 처리군은 절개 감염모델에서는 102 CFU/ml, 박피 모델에서는 106 CFU/ml, 제모 모델에서는 109 CFU/ml 수준으로 감염 부위 삼출액에서 감염균주의 감소를 보였다. 진균 감염모델은 족부 백선을 유발 하는 균주인 Trichophyton mentagrophytes와 Trichophyton rubrum에 의한 감염 모델에서 대조군은 피부 조직의 화농을 동반한 괴사 또는 염증반응이 나타났으나, HG1의 처리군은 증세의 완화 또는 감염증후를 보이지 않는 수준으로 효과를 보였으며, Candida albicans에 의한 감염 모델에서도 감염부위에서 병원균이 대조군보다 104 CFU 만큼 감소되는 치료효과를 보였다.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당뇨 마우스를 이용하여 MRSA 감염 모델을 제작하였으며, HG1 처리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평균 102 CFU 만큼 감소되는 치료효과를 보였으며, 감염 조직에 대한 조직학적 연구에서도 HG1 처리군이 대조군에 비해 MRSA 균주가 감소하였음을 보였다.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을 사용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결과 감염된 MRSA 균주에 감염부위로 침투한 HG1이 결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다운증후군 아동의 노래를 통한 언어적 상호작용강화에 대한 사례연구 : 모방기법을 중심으로

        이영신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 교육의 목표는 개인의 전인적 발달이라는 관점에서 교육활동이 어느 한 영역에만 치우치는 것이 아니라 심신의 조화로운 발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반을 형성하는 데 있다. 그 중에서 언어능력의 발달은 사회활동이나 대인관계나 의사소통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것이다. 다운증후군 아이들의 교육프로그램 중에도 특히 중요한 이유는 언어능력의 개선으로서 언어 능력이 사회적응의 첫 걸음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운증후군 어린이들에게 음악치료를 통해 치료사가 모델링을 사용하는 기법으로 언어능력을 향상시키고 사회성 향상에 도움을 주어 그들의 삶 속에서 부딪치는 여러 가지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사례연구의 대상은 소아정신과 의사에 의해 다운 증후군진단을 받은 4명의 아동이며 5세남아 1명, 6세남아 2명, 여아1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기간은 주 1회 10주간 40분 동안 음악 치료 세션을 실시하였고, 이들에 대한 연구 문제는 첫째, 10회의 음악 치료를 통해 얼마만큼 언어 능력이 향상되었는가? 둘째, 언어 능력이 낮은 중증의 아동과 발음에 문제가 있는 경증의 아동을 같은 프로그램에 참여 시켰을 경우 언어 능력 향상에 차이가 있는가? 마지막으로, 조건 강화와 음악이 함께 제공되었을 경우와 조건 강화를 하지 않고 음악만 제공되었을 경우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사례 분석중심이며 1차적 검증방법은 행동관찰중심의 방법이며 2차적 검증 방법은 과학적으로 진단하기 위하여 표준화 된 검사도구인 언어 학습능력 진단 검사(ITPA-Illinois Test of Psycholinguistic Abilities)와 사회 성숙도 검사(Social Maturity Scale)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음악치료에 대한 자료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치료사의 모델링을 통한 노래 부르기가 언어 능력 향상에서 아동 4명 모두가 향상되었음을 볼 수 있으며 둘째, 언어 능력이 낮은 중증의 아동과 발음에 문제가 있는 경증의 아동이 같은 프로그램에 참여했을 경우 경증인 사례1,3,4의 경우 많은 향상을 보였다. 셋째, 음악치료시 전반부(1-5회기) 에 강화 사용을 했을 경우와 후반부(6-10회기)강화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비교한 결과 강화를 사용한 전반부가 후반부에 비해 언어 능력 향상이나 사회성이 두드러지게 향상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언어 장애와 사회성이 결여된 다운 증후군 아동의 음악 치료는 통계적 검증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정확한 통계로 나타낼 수는 없지만 행동관찰의 점수로 볼 때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고, 사회성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바람직한 치료방법이라 생각하며 본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The goal of human education lies in forming the foundation of balanced development of mind and the body, not biased toward a certain area in the sense of development of the whole man. The development of language ability is the very basic of social activity or communication.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education programs for Down syndrome children is language because it is the first step toward adaptation to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Down syndrome children be able to solve various difficult problems they face in life as well we improve their language ability through music therapy. The subject of this case study are four children diagnosed Down syndrome by an infant's psychologist. These children belong to Ilsan Holt Children's welfare town, and their age ranges from three boys (age 5 (1), and 6 (2)) and one girl aged 6. The term of therapy session was 40 minutes each for once-a-week therapy of 10 weeks. The study questions includes. First, how much their language ability is improved through 10 times' music therapy,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with serious language problems and other children with unclear pronunciation in improving their language abilities? and finaly, does stimulated condition with music in session have any difference with the case only with music in session? This study in based on case analysis. For the first inspection method, I used behavior observation, and practiced pre and post tests using ITPA-Illinois Test of Psycholinguistic Abilities and Social Maturity Scale to have a scientific inspection for the second inspection including a data analysis on music therap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first, singing through modeling of a therapist shows improvement of all the four children's language ability, second, the case 1,3,4 of the children having minor symptoms show better improvement than the children having lower language ability. Third, as the result of comparing the case using strengthening in the first half (1-5 session) and the one without strengthening in the second half (6-10 session), the first half sessions show conspicuous improvement both in language ability and sociability compared to the second half. The conclusion made based on this study is that music therapy for the down syndrome children who lack language ability and sociability is not statistically inspected, but the behavior observation scores shows that it is a very desirable therapy to improve their language ability and sociability, a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sense.

      • Alban Berg의 「Sieben Fruhe Lieder」에 관한 연구분석

        이영신 경성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Berg, one of the members of 'The 2nd Wien' like Scho¨nberg, has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twentieth century's music. He used atonal music, but he was not distant from the tradition, disposition of romanticism and lyricism completely. His musical idea was to fuso atonal music with musical diction of the post romanticism rather than to seek atonal music. Thus, Berg composed his lieder based on various poems of many different poets and the words of the lieder were lyric and romantic with nature as their matter. Berg's 「Sieben Fru¨he Lieder」, were developed from the post romanticism, impressionism to expressionism in terms of a composition technique. These were not composed in their number order but made in harmony with backgrounds in the order of Nos. 5, 3, 6, 4, 1, 2 and 7. For instance, lieder containing elements of the post romanticism are No. 5 「Im Zimmer」, No. 3 「Die Nachtigall」 and No. 6 「Liebesode」, No. 2 「Schilflied」 has elements of impressionism. And, included in liens from which atonal music is strongly felt are No. 4 「Traumgerkro¨nt」, and No. 7 「Sommertage」. These 「Sieben Fru¨he Lieder」, have features such as the proper use of whole tone scale and chromatic scale and clear distinctions between a major and a minor keys, a consonance and a dissonance, constructive stability and instability, and melody and accompaniment. For the No. 1, whole tone scale was mainly used. The No. 2 is characterized by the progress of chromatic scale and an open chord. The Nos. 3 and 7 have the most remarkable constructions. In the No. 4, the progress of chromatic harmony which was made by counterpoint, inharmonic tone and appoggiatura were applied. The No. 5 was composed with a limited chromatic scale and, in No. 6, the motive of melody was used repeatedly. And the No. 7 has features such as the progress of chromatic scale and the technique of twelve notes. As seen in 「Sieben Fru¨he Lieder」, Berg's musical type made a creative musical diction of the composer's own in the twentieth century, showing his excellence and creativity in music, while considering traditions from the old times as important. I have felt from the study on Berg's works that it would be necessary for Korean composers to accept the importance of traditions and the challenge to new things by themselves when they compose art lieder, and that musical analyses and studies in approaching modern lieder in the position of a real performer are most important for the learning of musical techniques by a performer and expressing widely and understanding the intent of a composer. Finally, I hope that this study will help you help approach and understand Berg's other lieder and musicall works as well as the lieder as described above.

      • 코다이 음악교수법을 적용한 플루트 지도방법 연구 : 초등 방과후학교를 중심으로

        이영신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현재 우리나라 초등학교에서 사교육비 절감의 대책의 일환으로 벌이고 있는 방과후학교에서의 플루트수업에서 초등저학년과 초등중・고학년의 플루트지도법을 구분하여 지도할 필요성을 느끼고 그 지도방안을 모색함에 그 목적을 두고 학생들에게 쉽게 다가가고 흥미를 유발하여 개개인의 음악적 잠재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코다이 교수법을 활용하여 지도하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코다이 교수법은 음악의 기본개념을 학생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제시하고 있으며 다양한 음악적 경험과 활동을 통해 음악적 기초능력을 향상시키고, 문제해결력과 창의성을 길러주어 음악적 성장을 이루게 하며 나아가 음악을 통한 삶의 질을 높여 주는데 도움을 주는 효과적인 교수법이라고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코다이에 대한 문헌, 논문, 인터넷 등을 참고하여 코다이의 생애와 교육철학, 코다이 교수법을 제시하였고 코다이 교수 지도단계를 제시하여 초등저학년에서는 플루트 수업 입문, 다장조의 음계와 운지의 지도방법을, 초등중・고학년에서는 바장조, 사장조, 라장조, 내림나장조, 내림마장조, 내림가장조의 음계와 운지의 지도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수-학습지도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악기의 교육에 매우 유익한 노래부르기를 활용하기 위해 가사가 있는 악곡을 제재곡으로 선정하였고 가사가 없는 곡들은 허밍이나 '아', '우' 혹은 '두'의 모음발음을 이용하여 노래하도록 하였다. 둘째, 손기호를 이용한 계이름 익히기를 통해 음정의 고저를 시각화 하여 음정의 고저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도록 하였다. 이는 플루트에서 같은 운지를 사용하는 저음, 중음의 소리의 높이를 바르게 연주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효과적이며 계이름을 종이 악보로 익히기 전에 손기호를 통해 익히게 함으로써 악보읽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나는 음표(Flying note)를 사용하여 계이름을 학습하도록 하였다. 이는 오선보의 줄과 칸에 대한 이해를 돕고 올라가는 선율과 내려가는 선율을 잘 구분하여 연주할 수 있도록 하는데 효과적이다. 넷째, 리듬읽기를 통해 리듬을 말과 신체로 표현하며 익히게 하되 리듬카드를 이용한 학습방법과 리듬게임을 이용한 학습방법을 통하여 쉽고 재미있게 리듬을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학생들이 기본리듬과 변형리듬등의 다양한 리듬을 구분하고 리듬읽기를 적용하여 쉽게 리듬을 익힐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줄 수 있다. 다섯째, 코다이 교수법을 활용한 기악합주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합주교육은 학생들에게 악곡을 이해하는 능력과 음악을 표현하는 능력을 길러 줄 수 있다. 또한 화음을 통한 음악의 아름다움을 느끼도록 하며 협동심과 책임감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코다이 교수법을 활용한 방과후학교 플루트지도 방법을 통해 교사와 학생이 모두 즐겁게 참여하는 수업이 되기를 바라며, 코다이 교수법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자료의 개발과 창의적인 지도방법의 연구가 계속 되어 음악교육에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Understanding the need to distinguish flute teaching methods for lower grades and upp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s participating in after-school activities offered as a part to reduce private education costs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arch for an instruction plan using the Kodaly Method designed to make music more accessible to students, encourage interests in students, and improve each students' potential musical talents. The Kodaly Method considers students' level of development to teach the basic concepts of music and is thought to b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hat improves students' basic musical skills through various musical experiences and activities and allows students to develop problem-solving skills and creativity to achieve musical growth and pursue higher quality of life through music. This study referred to literature, theses, and online resources on Kodaly to discuss Kodaly's biography, educational philosophies, and the Kodaly method, and specify the instructional steps of Kodaly to suggest introduction to flute and the scale and fingering of C Major for lower grade students and the scales and fingering of F Major, G Major, D Major, B Flat Major, E Flat Major, and A Flat Major for upper school students. The following characterizes the teaching-learning plan suggested in this study: First, this study picked a piece with lyrics to apply singing which is very beneficial for learning to play an instrument and allowed students to use humming, "Ah," "Woo," or "Doo" to sing any piece without lyrics. Second, the position of keys was visualized by learning the syllable names using hand gestures to comprehend the concept of highs and lows of keys. This is effective for playing low and medium sounds that use the same fingering on flute and learning to read sheet music as students learn the syllable names using hand gestures before they begin to read sheet music. Third, flying notes were used to teach the syllable names. This is effective for playing ascending melodies and descending melodies by comprehending the lines and columns of staff notation. Fourth, students expressed rhythm by words and body gestures and participated in rhythm cards and games to learn the rhythms in a fun way. This improved their abilities to distinguish various rhythms, such as basic rhythms and distorted rhythms and learn rhythms easily through rhythm reading. Fifth, a method to teach instrumental concert was suggested using the Kodaly Method. Concert education can improve students' abilities to comprehend and express music. They can also feel the beauty of music through harmony to improve their teamwork skills and sense of responsibility. It is hoped that the after-school flute instruction class using the Kodaly Method can create classes that are enjoyable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and that more instructional resources and creative methods are developed for more effective use of the Kodaly Method for music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