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여성 베이비부머의 부양지원 제공과 우울

        이여봉 ( Lee Yeobong ) 한국가족관계학회 2017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1 No.4

        Objectives: This study observes how providing family support - financial, emotional, and instrumental - is related to depression in babyboom women. Method: I analysed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5th wave, collected by the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regression, t-test, Chi-square test, frequency analysi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Financial support for grown-up children, either married or unmarried, increases depression in babyboom women. In the dimension of instrumental support, caring for grandchildren reduces babyboom women`s depression. It implies that contact with grandchildren is perceived as an emotional support rather than a physical burd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show that babyboom women are comforted by living with their own parents, but not by living with parents-in-law. The most impressive observation, however, is in the dimension of emotional support, which showed that the conversation with elderly parents reduces baby-boom women`s depression, but that the conversation with married children increases it. The opposite directions in the effects seem to be related to the subjects of the conversations. The subjects of the conversation with children are mostly about problems and agenda of the children, while those with elderly parents are mainly about parents` health and care for each other.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uggest that babyboom women should become less involved with their grown-up children`s lives. It also calls for the societal efforts to be put into building up the support system, especially for eco-boom generation, to reduce babyboomer`s burden of supporting the children.

      • 친족연결망의 구조적·관계적 특성이 부부결속에 미치는 영향

        이여봉(Lee, Yeobong),김현주(Kim, Hyunju),이선이(Lee, Suni)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20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세미나자료 Vol.2020 No.9

        본 연구는 2018년과 2016년 여성가족패널조사에 응답한 만 35-64세 유배우 여성 자료를 3 연령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령층에 따라 친정부모, 친정형제자매, 시부모, 시형제자매로 구분된 각 연결망의 구조적·관계적 특성이 부부결속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변량분석과 카이검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관찰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친족연결망이 지닌 가부장적 가치관이 희석되고 성평등적 가치관이 확산되는 변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kinship network affect conjugal solidarity, and whether the influence of the kinship network is changing in Korean families. The 7th and 6th panel of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collected in 2018 and 2016, were used for the analysis. Among the respondents, married women aged between 35 and 64 in 2018 were selected and sorted into 3 age groups. ANOVA, Chi-square 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ffects of the proximity with parents, siblings, in-law parents and in-law siblings on conjugal solidarity vary with age grou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normative pressure of patriarchy operated via kinship network is diminishing, being substituted by the new value of gender equality.

      • KCI등재

        가족변인의 변화와 청소년의 학교 적응성 변화

        이여봉(Yeobong Lee) 한국가족학회 2016 가족과 문화 Vol.28 No.2

        본 연구는 가족변인의 변화가 청소년의 학교 적응성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에 주목하고, 그 연관성에 있어서 성별 및 발달단계 그리고 학교 적응성의 하위범주 청소년과 상위 범주 청소년 간에 어떤 유사성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관찰하였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중 2차 연도와 5차 연도에 수집된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표본은 2차 연도에 초등학교 5학년이었고 5차 연도에 중학교 2학년이 된 학생들과, 2차 연도에 중학교 2학년이었고 5차 연도에 고등학교 2학년이 된 학생들, 그리고 그들의 주양육자이다. 학교 적응성은 학습태도, 교칙 준수성, 교우관계, 교사와의 관계 등 4 차원의 개념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가족관계를 양육행동으로, 가족배경을 거주지와 양육자의 취업 여부 및 한 부모 여부 그리고 가족수입 등으로 측정하였다. 이들 변인들에 있어서 3년의 시차를 둔 변화정도에 주목하여, t-검증과 분산분석 및 Chi-검증 그리고 일반최소자승 회귀분석(OLS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학교 적응성의 초기값이 높은 청소년의 경우 최종값 역시 높지만 그 개선 폭은 좁거나 오히려 감소 폭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학교 적응성의 초기값이 낮은 청소년의 경우 개선될 여지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행동의 온정성 및 그 변화가 청소년의 학교 적응성 개선에 미치는 영향력은, 학교 적응성의 초기값이 상위 범주인 청소년들의 경우에 더 일관적이긴 하지만 하위범주인 청소년들의 경우에도 학습태도를 제외한 나머지 세 영역에서 상당한 연관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리고 양육행동의 변화만큼은 아니더라도, 가족배경의 변화 역시 청소년의 학교 적응성 변화와 다양한 모습으로 연관되었다. 이는 개별 청소년의 성별과 발달단계 및 학교 적응성의 초기값에 대한 판단에 따라 양육행동 및 가족배경 변수 중 일부를 적절히 변화시키는 맞춤형 전략을 통해, 학교 적응성의 저하를 막고 개선을 촉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focuses on how the changes of family variables affect the changes of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s. It also examines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girls and boys, between younger and older adolescents, and between the two categories of initial school adjustment level.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s the Korean Panel Data of Child and Youth - Wave 2 & Wave 5, colle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samples are those who were the 5th graders in wave 2 and became the 8th graders in wave 5, and those who were the 8th graders in wave 2 and became the 11th graders in wave 5. The school adjustment was estimated in four dimensions: the study attitude, the compliance to school rules, the peer relationship, and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I utilized t-test, ANOVA, Chi-test,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Ordinary Least Squares Regression. The adolescents who were initially higher in school adjustment level, also show higher score in the final school adjustment. Even so, those who were initially lower in the school adjustment level have higher potentials of change. The quality of child care and the change of it have more consistently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 changes of school adjustments in the higher level category. The quality of child care and the change of it in the lower level category also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to the changes in the three dimensions of school adjustments, but not in the study attitude dimension. The family backgrounds and the changes of them also revealed various relationship to the changes of school adjustments. Therefore, this study offers that the intensionally designed change of child care and the planned change of the family background can be used for enhancing the level of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s.

      • KCI등재

        가족배경과 초ㆍ중기 청소년의 학교적응

        이여봉(Yeobong Lee) 한국가족학회 2014 가족과 문화 Vol.26 No.3

        본 연구는 가족배경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초래하는 불평등에 주목하되, 성별 및 발달단계에 따른 유사성과 차이점을 관찰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 아동ㆍ청소년 패널 조사> 1, 2차 자료 중 2011년 시점에서 초등학교 5학년생 및 중학교 2학년생들과 그들의 양육자에 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t-검증과 분산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있어서 양육방식 만으로 설명될 수 없는 차이가 실재하고 그 상당 부분이 가족배경으로 인해 빚어짐을 확인하였다. 다만 학교적응의 네 차원 중 학업태도와 교우관계 수준 및 교사와의 관계가 다양한 가족배경에 의해 좌우되는 반면, 규범 준수성은 가족배경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배경이란 청소년의 자질이나 선택에 의한 것이 아니고 또한 개별 가족이 원한다고 해도 쉽사리 변화시키기 힘든 특성들이므로, 가족배경으로 인한 차이를 해소시키는 것은 사회적 책임이다. 따라서 가족의 경제적 지위와 지역적 차이 그리고 가족 구성에 따른 불평등과 소외에 관심을 두고, 그로 인한 학교적응 격차를 감소시키기 위해 다각적이고 지속적인 사회ㆍ정책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of the family backgrounds with the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s. It also examines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girls and boys, and between the early adolescents(5th graders) and the mid-stage adolescents(8th grader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s the Korean Panel Data of Child and Youth - Wave 1 & Wave 2, colle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study utilizes t-test, ANOVA, correlation, an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echnique. The school adjustment is measured in 4 dimensions - the level of class attitude, the relationship with peers,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the school rule observance. It is observed that there is inequality i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s influenced by the family backgrounds. Among the four dimensions of school adjustments, the rule observance is relatively free from the family backgrounds while the other three a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various family background variables. The family background is not what adolescents can choose but what is randomly given to them, and it is hardly changeable even if individual families want to. Therefore, the result of the analysis signifies the existence of inequality in the life chance of adolescents, which should be reduced by the extensive and intensive efforts in societal level.

      • KCI등재

        부부역할과 여성의 결혼만족도 : 연령범주별 분석

        이여봉(Yeobong Lee) 한국인구학회 2010 한국인구학 Vol.33 No.1

        본 연구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의해 수집된 2008년도 여성가족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분석하였다. 유배우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임금노동분담과 가사노동분담 및 여가공유활동 등의 다차원적 부부역할에 주목하고, 여성의 성역할 태도 및 성장기 부모 간 친밀도와 여타 인구학적 변인을 고려하였다. 연령에 따른 생애발달단계의 특성과 출생집단별 경험의 차이를 고려하고자 각 연령대별로 표본을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이는 변수간의 연관성이 연령대에 따라 상이하게 혹은 유사하게 나타나는지를 관찰하고자 함이다. 관계만족도와 결혼행복도로 측정된 두 변수로써 결혼만족도를 개념화하고 관련변수들을 분석한 결과, 성장기 부모의 친밀도가 자녀의 결혼만족도와 정적인 연관성을 보이면서 세대 간 전이 가능성을 예시하였다. 임금노동차원에서 결혼행복도와의 관련성에서는 30-50대에서 남편홑벌이 가정의 아내가 가장 행복한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이 맞벌이 여성이지만, 관계만족도와의 연관성에서는 40대에서 맞벌이 여성이 남편과의 관계에 가장 만족하고 다음이 남편홑벌이 가정의 아내로 나타나면서 50대 여성과 차별화된다. 가사분담 차원에서는 30-50대 여성들에서 자신의 부담이 줄어들수록, 결혼행복도 및 관계만족도가 높다. 그런데 가사분담의 평등성 자체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30대 연령층의 경우 관계만족도와의 연관성에 관해서뿐이다. 부부가 함께 공유하는 여가활동이 많을수록 결혼행복도 및 관계만족도가 높아서, 여가활동을 함께 해야 할 필요성이 강력히 제시된다. 나이든 연령대일수록 건강 및 가족경제상황을 좋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여가공유활동의 빈도가 낮으며 결혼만족도가 낮다. 이는 연령이나 결혼기간의 경과에도 불구하고 만족스러운 결혼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 건강과 경제상황 및 여가공유활동 등의 여타 여건들을 유지하고 개선하기 위한 행동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개인적 노력과 더불어 친가족적 기업문화와 사회정책 등을 통한 지원이 함께 할 때, 가족과 사회 간의 선순환으로 이어질 것이다. This study observes how the conjugal sharing of the roles such as breadwinning, housework/childcare, and leisure activities affects wives' marital satisfaction, and how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onsidered variables are similar or different across age categories. Two dependent variables,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 marital happiness, are measured and estimated as the concept of the marital satisfaction. Analysed is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2008 collected by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Among women in the ages of 30s-50s, full-time housewives with the breadwinning husbands feel happier with their marriage than the wives in dual career families, and those in dual career families are happier than the breadwinning women with the househusbands. Among the women in their 40s, the highest relationship satisfaction is reported by the those of the dual career families. Wives in their 30s prefer equal division of familywork in explaining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while wives in the age of 40s and 50s show only the effect of reducing wives' portion. The co-spousal leisure activity is consistently significant in its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marital satisfaction across the age categories. There is a general tendency that the marital satisfaction is the highest in the youngest age bracket and the lowest in the oldest. For managing better marriages, individual efforts of both spouses as well as social support are required.

      • KCI등재

        가족 내 분배정의 원칙의 적용과 모-자녀 관계의 질

        이여봉(Yeobong Lee),김현주(Chung-Ang University) 한국사회학회 2014 韓國社會學 Vol.48 No.2

        본 연구는 가족 내에서 분배정의 원칙 ? 평등, 형평, 수요 ? 의 적용이 모-자녀 관계의 질에 어떻게 연관되는지에 초점을 둔다. 또한 그 연관성이 어머니의 경우와 자녀의 경우 그리고 대학생의 경우와 중학생의 경우 차이가 있는지의 여부 역시 관심사이다. 서울과 수도권에 거주하는 중학생과 대학생 그리고 그들의 어머니로 구성된 199쌍의 표본을 분석하였다. 대학생의 모-자녀 관계와 중학생의 모-자녀 관계, 그리고 자녀의 평가와 어머니의 평가를 분리하여 분석하고 상호 비교함으로써, 이들 간의 유사성과 차이점에 주목하였다. 분석 결과, 역할분배에 있어서는 분배정의 원칙들 중 어떤 것도 모-자녀 관계의 질과 유의미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자원분배에 있어서 형평 원칙의 적용이, 어머니와 자녀 그리고 대학생과 중학생을 막론하고, 모-자녀 관계의 질과 정적인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분배에 있어서 수요 원칙의 적용은, 대학생 자녀의 평가에 한해서만 모-자녀 관계의 질에 정적으로 연관됨이 확인되었다. 반면 평등 원칙의 적용은 모-자녀 관계의 질에 미치는 연관성을 찾을 수 없었다. 이로 미루어 볼 때, 가족 내 자원분배에 있어서 형평 원칙을 적용하는 것이 모-자녀 관계의 질을 증진하는데 가장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distributive justice ? equality, equity, and need ? within family. The research questions are how the family observance of each principle affects the quality of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and how the effects are similar or different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as well as between college students and middle schoolers. The data used in the research are from 100 middle schoolers, 99 college students under 24 years old, and their mothers, living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The analyses are done separately for each category of the samples: the college students, the middle schoolers, and the mothers of them. None of the distributive justice principles in the role distribution a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quality of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In the resource distribution, the equity principle i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quality of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The need principle in the resource distribution i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relationship quality only in the sample of college student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is detected between the equality principle and the quality of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equity principle in distributing the family resources should be obeyed for the higher quality of mother-child relationship in general.

      • KCI등재

        어머니와 자녀 간 자원교환의 호혜성에 관한 연구

        이여봉(Lee, Yeobong),김현주(Kim, Hyunju),이선이(Lee, Suni) 한국가족학회 2013 가족과 문화 Vol.25 No.1

        본 연구는 교환이론과 자원이론들을 활용하여 어머니와 자녀 간의 호혜성이 양 당사자의 관계만족도에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호혜성 개념은 어머니와 자녀 간 자원교환에 있어서의 형평성과 불형평성으로 구체화된다. 그러고 불형평성은 다시금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의 이기적 불형평과 상대방에게 유리한 방향으로의 이타적 불형평으로 분기한다. 이들 개념을 활용하여 교환관계의 특성과 자원의 특성에 띠라 구분된 6 자원영역 각각에서 교환의 형평성과 관계만족도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서울과 수도권에서 중·고 ·대학교에 재학 중인 자녀 150명과 그들의 어머니 15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분석결과, 상대방의 시간과 체력 및 지원의 소모를 통해서만 가능한 서비스나 물품 혹은 금전 등과 같은 물질적 지원의 경우 자녀는 형평한 교환이 이루어질수록 어머니와의 관계를 만족스럽게 느낀다. 반면 어머니의 경우엔 물질적 지원의 교환양상은 자녀와의 관계 인식에 유의미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는다. 한편 지위나 애정 등과 같이 상징적이고 정서적이며 비물질적인 자원의 경우엔 어머니와 자녀 모두 형평한 교환보다는 상대편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이타성 교환이 이루어질 때 자신들의 관계에 더 만족한다. 이는 한국의 어머니와 자녀 간 교환 원리로서 이타성이 작동하는 부분이다. 그런데 특이한 것은, 애정자원의 교환과 관계만조도간 연관성이다. 자녀는 자신이 어머니에게 제공하거나 기대하는 것보다 어머니로부터의 애정이 과하게 주어진다고 여길 때, 오히려 부담스러워하고 멀어지려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어머니로부터 멀어지려는 자녀에겐 어머니의 과도한 애정표현이 오히려 관계를 훼손할 수 있으므로, 자녀와 보조를 맞추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observes how the reciprocity between children and their mothers affects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Reciprocity is conceptualized as giving and taking resources in dyadic relations, based on the exchange theory. The degree of equity and inequity can be calculated in exchanging resources, and the inequity diverges to two opposite directions - egoistic inequity and altruistic inequity. For estimating the effects of equity/inequity on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this study utilizes the framework of resource theory.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as collected by surveying 150 children and their mothers. It is observed that children are more satisfied with the relationship when material resources such as service/goods/money are more equitably exchanged, but that mothers' relationship satisfaction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way of exchanging material resources. Both mothers and children prefer altruistically inequitable exchange of symbolic, emotional, and immaterial resources such as love and status. One interesting finding is that the children are dissatisfied with their mothers when they get maternal love more heavily than their own expression of love to their mothers. Today's mothers should remind themselves of the fact that the excessive expression of maternal love can ru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 KCI등재

        세대관계망이 부부간 가사분담과 여가활동 공유에 미치는 영향 : 출생집단별 차이 및 발달단계별 변화

        이여봉(Lee, Yeobong) 한국가족학회 2019 가족과 문화 Vol.31 No.4

        본 연구는, 세대관계망의 구조적 특성이 부부간 가사분담과 여가활동 공유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출생집단 및 발달단계별 특성과 차이를 관찰하였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수집한 여성가족패널조사 중 2010년에 수집된 3차 자료와 2018년에 수집된 7차 자료를 사용하였다. 2010년과 2018년에 만 31-57세인 응답자들을, 양 시점 각각 30대와 40대 및 50대로 지칭될 수 있는 연령범주로 구분하였다. 분석방법으로서, 상관분석과 대응표본 t-검증 및 독립표본 t-검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2010년의 30대 여성에게 친정아버지는 가부장적 성역할 기대를 전달함으로써 부부간 여가공유빈도를 낮추는 존재이다. 그러나 2018년의 30대에겐 딸의 가사분담비율을 낮추고 딸내외의 여가공유를 지원하는 친정어머니 그리고 자녀 부부의 여가공유를 지원하는 시어머니가 지닌 영향력이 부각되었다. 젊은 여성은 친정부모와 가까이 살수록, 가사분담비율이 낮고 부부간 여가공유빈도가 높다. 또한 시부모와 가까이 살수록 여성의 가사분담비율이 낮다. 한편 2018년의 30대 연령집단에서 미취학 아동수 및 초중고 자녀수와 여성의 가사분담비율 간 정적 연관성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2010년의 30대에서 미취학 아동수와 여성의 가사분담비율 간에 나타난 부적 연관성과 대비된다. 또한 2010년의 30대 연령층에서 미취학 아동이 많을수록 부부간 여가공유빈도가 낮은데 반해, 2018년의 30대에서는 부부간 여가공유빈도를 낮추는 존재로서 오히려 초중고 자녀가 두드러지는 것 역시 양 출생집단 간 차이이다. This study observed how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intergenerational network are related to couple’s division of domestic labor and sharing of leisure activities, and how they are different among life stages and between two birth cohorts.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was analyzed - focused on the 3rd panel collected in 2010 and the 7th panel collected in 2018. For each data set, the respondents aged between 31 and 57 were selected and sorted into 3 age groups - 30’s, 40’s, and 50’s. Correlation analysis, paired t-test,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In 2010 data set, fathers led young couples to reduce the frequency of sharing leisure activities. However, in 2018 data set, mothers reduced young women’s proportion of domestic labor and increased couples’ sharing of leisure activities. Women living closer to their own parents or to their parents-in-law, undertook less proportion of domestic labor. Those who lived closer to their own parents, enjoyed more sharing of leisure activities. Children under school age increased women’s proportion of domestic labor in 2018 data set. In 2010 data set, however, children under school age rather decreased women’s proportion of domestic labor by increasing husbands’ hours for domestic labor. Children under school age reduced the sharing of couple’s leisure activities in 2010 data set. On the other hand, it was school aged children who reduced the sharing of couple’s leisure activities in 2018 data set.

      • KCI등재

        청소년 자녀와 어머니의 교환관계 분석

        이선이(Suni Lee),김현주(Hyun-Ju Kim),이여봉(Yeobong Lee) 한국인구학회 2006 한국인구학 Vol.29 No.1

        본 연구는 요즈음의 청소년 자녀와 어머니 사이의 관계를 교환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이루어졌다. 포아 등이 제시한 서비스, 물품, 금전, 정보, 지위, 애정을 포함하는 6가지 자원영역 개념과, 긍정적 교환(보상)과 부정적 교환(처벌)의 구분을 활용하여,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 간에 어떠한 자원이 교환되는지, 교환되는 자원이 상호간에 어떠한 가치를 지니는지, 자원의 제공이 일방적으로 이루어지는지 대칭적인지, 자녀의 성별이나 연령/발달단계가 교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수도권에서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을 포함하는 청소년 자녀 150명과 어머니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수행되었다. 자료 분석 결과는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다. 청소년 자녀와 어머니 사이의 교환은 부정적 자원보다 긍정적 자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긍정적 자원은 애정을 제외하고는 유형에 따라 비대칭적인 교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긍정적 자원은 대체로 자녀가 더 많이 받는 경향이 있지만, 자원의 가치는 어머니에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부정적 자원은 교환이 비교적 대칭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환빈도가 높은 자원은 부정적 가치가 약하다. 딸이 아들보다 어머니와 보다 긴밀한 교환관계를 유지하며, 특히 애정과 정보영역에서 그러한 경향이 두드러진다. 자녀의 연령은 교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This study analyses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nd adolescent children in current Korean society from an exchange perspective. Utilizing the 6 types of resources, I. e., service, goods, money, information, status, and affection, suggested by Foa et. al. and the distinction between positive exchange (rewards) and negative exchange (punishments), it explores what resources are exchanged, how the resources exchanged are valued by each party, whether the exchange is symmetrical or asymmetrical, and if gender and age of the child affects the exchange. A survey was conducted to 150 children─from middle school aged to college going, and their cohabiting mothers in the metropolitan Seoul. The overall findings are as follows: Positive exchanges are dominant over negative exchanges. The exchange of positive exchanges occur asymmetrically within each resource type, with the exception of affection which is exchanged in a more equal term. In general, children receive positive resources more often, but mothers value the resources given by their children more highly. Negative resources are exchanged in more symmetrical terms. Negative resources exchanged more frequently tend to have weaker negative valence. Daughters maintain a more intensive exchange relation with their mothers than sons do, and this pattern is especially prominent in the exchanges of information and affection. The age of the child has a weak effect on the ex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