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지적 관계유형에 기반한 참조시스템에 관한 연구

        이양숙,김태수,Lee Yang-Sook,Kim Tae-Soo 한국문헌정보학회 1999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3 No.4

        This study is intended to build a cross-reference system as syndetic device to provide bibliographic relations and to collocate variant access points through references, by developing a reference record format. To this end, the method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oles of references, which have long been used in traditional records, have been reviewed. Second, ways in which references are depicted not only by current cataloging rules but also by authority control systems are examined.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reference record are summarized as fellows: 1) If variations either of an author name or of a title are made, or any related works are published, only a single reference record is created. This record uses existing authority records, and instead of adopting authority headings, it will expand the function of the explanatory reference as well as newly implementing a relational reference which can later be used as a reference record. 2) All the variations of identical personal or group names and of lilies are dealt as one access point. In place of current 'see' and 'see also' references, not drawing lines between authority heading(1XX field), 'see'(4XX field) and 'see also' reference(5XX field), all forms of names will be simply applied to record field '1XX'. 3) Any form of data elements, which are used as access points, will be described in '1XX' which has equal value. When a need arises to explain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access points, it can be met by applying the general explanation reference-name(666 field). Similarly, when there is a need to articulate bibliographic relationships between related works, they will be suggested through the title and relational reference. 4) The title and relational reference regulates related terms that each relation type contains its field, according to each relational type, by reclassifying entire fields in order to provide direct bibliographic relation types on reference records. 5) Pointers which are connected to each access point present reference control numbers. 본 연구는 서지적으로 관련된 저작을 연결하고, 특정 저자의 상이한 이름이나 특정 저작의 상이한 서명을 직접 접근점으로 사용하기 위해, 전거표목을 배제한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이를 위해, 특정 접근점과 그 이형(異形)에 대한 참조와 이들간의 서지적 관계유형을 제공할 수 있는 레코드의 형식을 개발하여 참조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전통적인 표목 및 상호참조의 기능을 본 시스템과 관련하여 검토하였다.

      • KCI등재후보

        3교대 근무 간호사의 자녀양육 체험

        이양숙(Lee, Yang Sook),이선미(Lee, Sun Mi),이정숙(Lee, Jeong Sook),이한미(Lee, Han Mi) 질적연구학회 2015 질적연구 Vol.16 No.2

        Purpose: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Lived experiences of Childrearing among nurses who works threeshift-schedules in a general hospital.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supportive data for contextualized policies to establish child-rearing circumstances for nurses. Methods: This study harnesse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0 nurses between June and October, 2011. Colaizzi method (1978) was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 analysis produced five themes: ‘Struggling to fulfill Responsibilities under Hardship’, ‘Feeling guilty about Maternal Duties’, ‘Heading through the Wholeness of Family with My baby’, ‘Feeling love and Hatred for Nursing’, ‘Dwelling in the Feelings of Gratitude and Regret’, Conclusion: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d both physical and mental fatigue, due to irregular shiftwork, posing negative effects on their child-rearing. Therefore, hospitals’ childcare facilities should be improved not only in quantity, but also, in quality to satisfy working mothers. Moreover, paternal duty at home is vital, and thereby, this research suggests policies such as childcare leave and/or flexible working environments.

      • KCI등재

        해외 대학 사례 분석을 통한 인테리어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 연구

        이양숙 ( Lee Yang Sook ),김미옥 ( Kim Mi O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시대 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전문 인테리어디자이너 양성을 위하여 학부과정의 인테리어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직면한 4차 산업 혁명시대에 요구되는 디자인의 역할과 디자인교육의 방향, 인테리어디자인 분야의 변화에 대해 고찰하고 4개국 7개 대학의 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분석하였다. 사례는 디자인전문 연구기관 및 주정부 등으로부터 우수 인증을 받은 Pratt Institute,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New York School of Interior Design, University of Cincinnati, Chelsea College of Arts, 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BAU International Berlin의 학부과정 프로그램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사례분석을 통해 교육목표, 주요 교육내용, 주요 특징에서 공통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시사점을 바탕으로 한 프로그램 개선방향은 첫째, 실험적 공간의 창조 및 변경을 통한 문제해결 역량 강화, 둘째, 혁신 아이디어 구현이 가능한 환경 제공, 셋째, 인간 중심 및 인간을 둘러싼 환경, 사회에 대한 책임과 윤리의식 강조, 넷째, 스튜디오 중심의 복합 프로젝트 수행을 통한 다학제적 연구, 다섯째, 기존 실무 이해관계자들 이외에 타산업과 지역커뮤니티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협업프로젝트 수행, 마지막으로, 글로벌 문화, 사회 및 정치에 대한 이해와 경험을 위한 과목과 교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인테리어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의 방향 제시와 함께 인테리어디자이너가 갖추어야 할 역량 파악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국내 커리큘럼 분석 및 융합 교육의 성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통한 구체적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interior design education program of undergraduate course in order to nurture professional interior designers demanded by the age change. To this end, I examined the role of design, the direction of design education, and the changes in the field of interior design required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analyzed the educational programs of seven universities in four countries. The case studies were targeted at undergraduate programs that have received excellent accreditation from design research institutions and provincial governments : Pratt Institute, Rhode Island Shool of Design, New York School of Interior Design, University of Cincinnati, Chelsea College of Arts, 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and BAU International Berlin programs. Through case analysis, common implications can be drawn from the educational objectives, main contents of education, and main features. The program improvements based on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problem solving capacity through creation and modification of experimental space. Second, it is required to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innovation ideas can be realized. Third,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human-centered environment and responsibility for society and ethical consciousness. Forth, multidisciplinary researches should be conducted through studio-based complex project. Fifth, collaboration projects are required not only with existing stakeholders but also with other stakeholders such as other industries and local communities. Finally, subjects and exchange programs are needed for a better understanding and experiencing global culture, society and politics. This study is expected to show the direction of the interior design education program and it will help the interior designers to grasp the competence to be equippe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specific programs through empirical studies on the results of domestic curriculum analysis and convergence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재현공간으로서의 서울 미아리 달동네

        이양숙(Lee, Yang-So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과학연구 Vol.0 No.46

        이글은 김소진의 연작 장편 『장석조네 사람들』에 나타난 재현공간 분석을 통해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존재했던 서울 변두리의 달동네와 달동네 거주민의 삶을 고찰하였다. 『장석조네 사람들』의 배경은 서울의 대표적 달동네 중 하나인 미아리 산동네로, 미아리 산동네의 형성과정을 보면 푸코가 말한 ‘배치’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미아리 산동네는 경제적, 사회적 요인에 의해 거주제한구역에서, 삶과 죽음의 경계를 나누는 지역으로, 다시 해방 이후에는 안정적인 주거지를 구할 수 없었던 사회적 약자의 자리로 ‘배치’된 공간이다. 김소진의 『장석조네 사람들』은 1990년대 중반의 시점에서 기억된 1970년대 풍경이다. 『장석조네 사람들』은 계층 간의 격차에서 오는 희망이나 절망보다는 도시 속의 ‘낯선’ 모습을 보여주는데 그 낯선 모습은 미아리 달동네라는 ‘공간’의 특수성에서 빚어진다. 작품에 나타난 이질성, 폐쇄성, 가까움의 감각은 현재 우리 사회가 유토피아적으로 재현하고 있는 궁핍한 시절에 대한 ‘향수’가 보다 복합적으로 사유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Miari’ the shantytown in Seoul and the people"s lives in the town, existed from the 1970s until the 1990s, by analysis of space of representation in The People residing at Seokjo-Jang’s written by Sojin-Kim. The meaning of the "emplacement" which Michel Foucault conceptualized in “Les Heterotopies” can be understood in detail by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e Miari. During the Joseon Dynasty Miari had been a forbidden area uninhabitable, under the colonial rule it became the cemetery area, after the Liberation ‘Miari’ the shantytown stands for the seat for social minorities as a result of the emplacement. This novel was a landscape of the 1970s reviewed in mid-1990s. The People residing at Seokjo-Jang’s shows the unfamiliar appearances of the town rather than showing the hope and despair coming from the gap between the hierarchy, those unfamiliar appearances were made from special nature of the space. This paper is a study about how the people experienced and recreated the urban space by reviewing familiarity, exclusiveness, the sense of nearness in The People residing at Seokjo-Jang’s.

      • KCI등재

        메트로폴리스의 시공간과 청년의 감정:

        이양숙(Lee Yang soo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6 외국문학연구 Vol.- No.62

        Although ‘young generation’ has been praised as an icon of modernity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young men today are regenerated into the representatives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Such situation is global which is especially intensified since 1990s when the space time of metropolis has been reorganized by the logic of capital. This article focuses on the feelings of young men in Korean novels of early 2000s. Kim Ae-ran is generally renown for the ‘lively’ and ‘youthful’ imaginations. Her novels, however, are also permeated with anxiety and fears about the reality. Heroes in her novels have not yet entered the community, and are the generations of ones who cannot lose anything because they don’t have anything at the first place. They don’t have inheritance from their parents generation, and their ‘present’ has been deferred by the logic of capital, called ‘cruel optimism.’ The background feelings of these novels are ‘compassion’ and ‘shame.’ ‘Compassion’ for their parents, and the ‘shame’ on themselves –’shame’ for not being able to deny the logic forced by the world, even though they think the logic is wrong-can be easily found throughout these works. ‘Compassion’ and ‘shame’ have two sides. ‘Compassion’ for the parents is a positive sentiment which can diffuse the generational conflict, but is also a passive attitude to avoid the legitimate rage against the violence of the world. ‘Shame’ is very private feeling, but it also has a property that aims to communicate with others. In the barren environment of metropolis, the way hero can escape from the lethargy is to try a new ‘encounter.’ But in the novels, the attempts of ‘encounter’ fails repeatedly. Nevertheless, these attempts to encounter, and behavior that can be seen as a ‘hesitation’ and ‘inaction’ could be appreciated for evoking ‘special feeling’ in its own. 근현대사에서 ‘청년’은 근대적 속성의 담지자 즉 근대의 아이콘으로 칭송되었으나 오늘날 청년은 우리 사회의 대표적 타자로 전락하였다. 이와 같은 상황은 전세계적인 것으로 특히 1990년대 이후 메트로폴리스의 시공간이 자본의 논리로 재구성된 ‘중성도시’적 성격을 띠면서 더욱 심화되었다. 최근의 소설에서 도시의 창조성이나 거리의 활력을 찾기 힘든 이유는 여기에 있다. 이 글에서는 2000년대 초 한국 소설에 나타난 청년의 감정에 주목하였다. 일반적으로 김애란은 ‘발랄한 상상력’으로 주목받아 왔다. 그러나 김애란의 소설에는 현실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이 짙게 배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김애란의 주인공들은 아직 사회에 진입하지 못한 청년들로 무언가를 상실하고 싶어도 아직 가진 것이 없어 잃어버릴 수도 없는 세대라 할 수 있다. 이들에게는 부모세대의 유산이 부재하며, 또한 ‘잔혹한 낙관’이라 일컬을 수 있는 신자유주의의 논리에 의해 ‘현재’도 끝없이 유예된다. 이들 작품에 나타난 배후감정은 ‘연민’과 ‘수치심’이다. 부모세대에 대한 연민과, 세상이 강요하는 논리가 이상하다고 생각하면서도 그것을 거부할 수 없는 자신들에 대한 수치심은 이들 작품에서 두루 찾아볼 수 있다. 연민과 수치심은 양면성을 갖는다. 먼저 부모세대에 대한 ‘연민’은 공감에 기초한 것으로 세대의 갈등을 봉합할 수 있는 긍정적인 감정이지만 세상의 폭력에 대한 정당한 분노를 회피하는 소극적 태도이기도 하다. 타인의 시선을 내화함으로써 드러나는 ‘수치심’은 지극히 개인적인 감정이지만 동시에 타자와의 소통을 지향하는 속성을 지닌다. 김애란 소설의 주인공들, 21세기 초 한국의 청년들이 이와 같은 감정을 동력삼아 무기력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길은 메트로폴리스의 척박한 환경 속에서 새로운 ‘마주침’을 시도하는 것이다. 그러나 소통욕망을 실현시켜 줄 수 있는 ‘마주침’의 순간은 번번이 실패한다. 그럼에도 마주침을 위한 이들의 시도, ‘머뭇거림’과 ‘무위’로 보일 수 있는 행동은 ‘특별한 감각’을 일깨울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자체로 높이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해방기 비평의 몇 가지 논점-임화를 중심으로

        이양숙(Lee, Yang-sook) 한국현대문학회 2016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9

        해방직후 임화는 민족문학의 이념을 통해 민주주의 국가 건설에 일조하는 문학, 인민의 이념을 중심에 두는 문학을 꿈꾸었다. 이 글에서는 임화의 민족문학론을 분석하기 위해 남로당을 비롯한 좌익세력의 변화와 당시 연합국의 일원으로 남북에 각각 진주하고 있었던 미국과 소련의 영향력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 시기 임화의 민족문학론은 현실과의 부단한 교섭 속에서 변화된 것이었다. 해방초기 발표된 『문학의 인민적 기초』에서 임화는 민족국가의 성립을 낙관하면서 ‘인민-민주주의’를 새로운 문학의 이념으로 제시하였다. 해방 직후의 낙관은 인민적 세를 결집할 수 있다는 자신감, 민족해방운동의 정통성에 따른 사회주의의 도덕성과 인민의 지지에 근거한 것이었다. 임화를 비롯한 좌익 측은 인민공화국이 주도하는 민족국가 건설을 낙관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현대적인 민족문화를 건설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좌와 우, 미국과 소련의 대립이 날로 첨예해지는 상황에서 이러한 낙관을 유지할 수 없게 되자 임화는 ‘민족’의 개념을 재고하게 된다. 1947년에 발표된 『민족문학의 이념과 문학운동의 사상적 통일을 위하여』에서는 이러한 변화를 찾아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민족이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인민의 집합체가 아니라 독자적 민족국가를 형성하려는 강한 의지를 지닌 정치적 자결단 위임을 분명히 함으로써 민족이 종족적 개념이 아니라 역사적 사회적 개념임을 밝히고 있다. 민족/반민족의 개념구도는 해방기 통일민족국가 수립에 강한 열망을 지니고 있었던 대중의 감정구조에 부합하는 것이었다. 해방 직후 외세를 배격하고 통일민족국가를 형성해야 한다는 감정구조가 형성되었던 이유는 민족국가 없이는 개인의 삶이 온전히 보전될 수 없다는 식민지 시기의 경험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감정구조가 단일민족국가 형성의 힘으로 응집되기 위해서는 강력한 정치적 중심점이 형성되어야만 했다. 해방직후 임화를 비롯한 <조선문학가동맹>의 성원들이 당시의 상황을 낙관한 이유는 광범위한 인민의 열망이 민족이라는 이름하에 응집되어 있었고 이들이 민족해방투쟁과정에서 도덕적 정당성을 갖고 있었던 좌익의 이념에 우호적이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좌우대립의 상황을 집요하게 파고들어 자국의 이익을 관철시키려 했던 미국과 소련의 이념적 공세는 대중의 민족주의적 열망을 통합의 원동력이 아니라 이념의 동일성을 기준으로 한 분리와 배제의 이데올로기로 작용하게 만들었고 식민지 시기 동안 민족적 정통성을 상실했던 우익세력이 이 과정에서 기사회생함으로써 ‘민족’과 ‘인민’은 다시 분리되고 말았다. 결국 해방직후 ‘현대 민족’의 이념이 인민임을 분명히 함으로써 구상되었던 민주주의 민족문학수립은 남북분단으로 좌절되었다. Directly after Liberation, Im, Hwa’s idea of ‘National Literature’ had been changed in constant negotiation with reality. In the initial announcement of Liberation "Basis of people"s literature" while optimizing the formation of nation-states, Im, Hwa suggested the "people"s democracy" to the idea of a new literature. Optimism of Liberation was based on the people"s power and legitimacy of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and the people"s support on that movement. Left side, including Im, Hwa was optimistic about the construction of nation-state and in the People"s Republic they could build a modern national culture. As Ideological confrontation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increased sharper, optimism in these circumstances can not keep in, so Im, Hwa rethink the concept of "nation". "For the ideological unity of the national literature and literary movement" published in 1947 showed these changes. This article summarized clearly that nation was not people"s assembly of the current reality but people with a strong political will to form an independent nation-state. The composition of “nation/anti-nation” was to meet the ‘structure of feelings’ of the public who had a strong desire to establish unified nation-state in Liberation period. In Liberation period, ‘structure of feelings’ of the public that rejected foreign powers was formed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he colonial period. However the strong political center was needed for such a “structure of feelings” to become united with the power of a single nation-state formation. Im, Hwa and the members of 〈Korean Writer’s Congress〉 were optimistic about the situation at the time for the following reason. First, the wide range of people were gathered in the name of national aspirations. And they were friendly to the left because the Left had the moral legitimacy in the process of national liberation struggle. But the ideological offensive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made the nationalist aspirations of the masses to act on the principle of exclusion and separation. They stubbornly tried to make accomplish the benefit of their own country by using the situation of the conflict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The right-wing forces were dramatically re-alive in this process. So "nation" and "people" are separated. Eventually the idea of national and democratic literature that was established by initiative of the People"s fell frustrated by division into the south and the north.

      • KCI등재

        채만식 소설에 나타난 1941년의 경성과 지식인

        이양숙(Yang Sook Lee) 한국현대소설학회 2013 현대소설연구 Vol.- No.54

        This study aimed to reveal features of Chaemansik`s works in 1941. In order to achieve such an object this study focused on two novels <Resident of Jongro> and <Sahoildan>. Everyone seems to know Chae, Mansik began to write pro-Japanese articles in 1941 and his collaboration with Japan was obvious and baldy one. But the remarkable thing is that he also created <Resident of Jongro>, <Sahoildan> in 1941 which seemed not to be connected with collaboration. Review for these has been in debate and the controversy has continued. This study attempt to read meticulously especially focusing on space of the novel and tried to analyse deeply. In these novels Protagonists resided or remained only in a specific space such as Jongro street or their own room and they repeated similar behavior. Everyday Song, Youngho in <Resident of Jongro> walked down the Jongro street and took coffee in Morinaga and then looked Pagodapark`s landscape and people in the park. One of his routines was visiting on “Sweety” in Hwa-shin and buying cigarettes. Every day he repeated such behavior. Meanwhile Mr. Park in <Sahoildan> could not feel happiness unfortunately. Even though getting the envy from people around him, He felt boredom inall things. Every day he repeated to read newspaper but he was interested in only trifle things. He spent most of his time meaningless. His behavior could be explained as a “Time-expelling”(Zeitvertreib) which Heidegger regulated to explain a boredom as the fundamental mood for a philosophical pounding. Probably behind the repetitive behavior by them, people in that times would have been able to see a certain kind of sense. The reason why Song, Youngho had visited Jongro everyday was to meet friends and converse something suspicious. And Mr. Park`s behavior showed how deeply he felt a emptiness. Ladies left them by wedding or by death but they were still staying in the same space. Time appeared to have ceased for them.

      • KCI등재

        해방기 문학비평에 나타난 ‘기억’의 정치학 : 1945~1948년 〈문학가동맹〉을 중심으로

        이양숙(Lee Yang-sook) 한국현대문학회 200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8

        본 연구는 해방기 〈조선문학가동맹〉의 비평문을 대상으로 이들이 구축하려 했던 집단적 정체성의 문제를 탐구하였다. 해방기 비평의 한 특징은 문학사적 안목이 전제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것은 그들이 ‘진보적’인 문학사의 자산을 현재적 의미로 환기하고 이를 통해 당대 요구되었던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하려 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억압된 기억의 회복과 그 의미복원을 위해 활용되었던 ‘집단기억’의 개념을 통해 이와 같은 해방기 담론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억은 현재의 필요에 의해 과거가 재구성되는 정치적 과정이다. 해방직후 이들이 복원하려했던 전통은 철저하게 ‘현재의 필요성’에 의해 규정되었다. 그 근본 원인은 물론 첨예한 이념투쟁에 있었다. 이들은 과거 심한 이념적 탄압을 감수해야만 했다. 그러므로 해방직후 민족문화 건설을 위한 주도권 다툼에서 이들은 효과적인 이념적 근거를 마련해야 했고 그 근거는 바로 과거의 신문학, 혹은 인류의 진보적 문학의 자산이었다. 이를 통해 이들은 억압적 규제에 대항하는 집단기억을 환기하고 대항기억으로서의 문학사를 창출하려 하였다. 해방 직후인 1945년 8월에서 인민항쟁이 일어나기 전까지는 좌익과 우익이서로 이념적 주도권을 획득하기 위해 정치적 이해타산을 앞세웠다. 이에 따라 문인으로서 본질적으로 점검해야 할 ‘자기비판’의 문제조차 정치적인 관점으로 접근한다. 인민항쟁이 일어난 1947년 10월 이후 좌익에 대한 탄압이 극심해지자 이들은 일제에 대항했던 3.1운동의 의미를 민족적 저항의 상징이자 ‘신문화 운동’의 분수령이라 규정하고 1947년의 인민항쟁을 새로운 민족문학운동의 출발점으로 규정하였다. 이는 3.1운동의 환기를 통해 인민항쟁의 역사성을 부각시키는 기억투쟁으로 설명할 수 있다. 1948년 8월 남북한에 각각 단독정부가 수립되었다. 이는 시간과 공간의 단절이자 이념적 단절이다. 이제 ‘민족’이라는 기표는 더 이상 저항의 기억과 해방의 기대기평을 보여줄 수 없는 무력한 것이 되었다. 이 시기 이들의 기억은 식민지 시기 계급문학의 담론인 ‘영웅’, ‘구국’, ‘아지프로’에 머물게 되는데 이는 정치적 무력감의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의 담론은 이후 남과 북에서 각각 소수의 기억으로 치환되어 ‘역사’에서 소외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llective identity which was attempted by the critics belonging to the 〈Chosun-Munhakga-Dongmaeng〉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One of characteristics in their critics was the concern about Korean literary history especially came from progressive cultural movement. This means that they tried to build new identity by the contemporary meaning of past Korean literary history. In this study 'the collective memory' which was practically used for the recover of suppressed memory played important role in analyzing their works. Memory is the political process in which the Past was reformed by the contemporary necessity. In the Liberation Period the description of the Past showed such a case. It was resulted from the strife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at bottom. Directly after the Liberation a matter of the primary concern was 'self-criticism'. But it was not throughly examined due to the strife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After all they couldn't take a long hard look at their-self. During the period of people's resistance(1947.10) they paid attention to 1st on march in 1919 which positioned the origin of New Literature in Korea. It was the struggle for memory to bring into relief the meaning of people's resistance. In 1948 two administrations were composed in the South and in the North apart. It was a severance of space and a severance of new historical time especially a severance of ideology. Finally the South and the North became the enemy officially and their discourse about the new horizon of expectation was isolated from both the South and the North.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국내 디자인 전문 인력 자격 제도 개선 방향 연구

        이양숙 ( Lee Yang Sook ),문은정 ( Moon Eun J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을 통해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를 맞이한 현 시대에 요구되는 디자인 전문 인력의 제도적 재정의 및 자격 기준 개선을 위한 방향 제시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디자인 전문 인력에 대한 국내 법적 기준 및 학계와 산업계에서 실행되고 있는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현황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디자인 및 디자이너의 역할을 고찰하기 위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사회 및 산업 변화, 그에 따른 디자인 및 디자이너의 역할 변화와 세계 각국의 디자인 관련 정책에서 확대되고 있는 디자인 역할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에 요구되어지는 디자이너에 대한 재정의 및 디자이너의 자격, 이를 지원하고 보호하기 위한 제도적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연구를 통한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 전문 인력 자격은 교육수준과 심화수준(공식적인 교육 활동 이후의 재교육 이수 여부 및 횟수, 수상, 경력 등의 디자인 숙련 수준)이 포함된 형식적 측면과 기술 수준과 타분야 경험 수준이 포함된 내용적 측면의 기준들의 종합적인 검토를 토대로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현재와 미래에 요구되는 디자인 전문 기술 훈련으로 정의될 수 있는 디자인 재교육 시스템 구축과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셋째, 재교육을 기피하는 기업들의 인식 개선 및 인센티브 제도 구축 등, 디자인 인력이 지속적인 재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기준들의 종합적 평가를 바탕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디자인 전문 인력의 자격 등급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한 자격 기준의 척도가 될 수 있는 디자인 전문 인력 등급 마련 및 시대상을 반영한 재교육 내용과 시스템 구축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the institutional redefinition and improvement of qualification standards of the design specialists required in the current era in which the new paradigm has changed throug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national legal standards for design specialists and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implemented in academia and industry, and drew implications through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Next, to examine the role of design and designer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we looked at social and industrial chang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hanges in design and designer roles, and the expanding design roles in design policies around the world. Based on this, it proposed redefining the designer's qualifications and institutional direction to support and protect them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through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qualification of design professional manpower includes the formal aspects including the level of education and deepening (the degree of design skill such as the number and frequency of re-education after formal education activities, the award, career, etc.) It should be set based on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criteria of both aspects.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design retraining system, which can be defined as training the design skills required for present and future, and to continuously update it. Third, policy support will be needed to encourage designers to receive continuous retraining, such as improving awareness of companies avoiding re-education and building incentive schemes. Finally, qualification levels of design specialists should be prepared so that they can be measured based on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above criteria.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grades of design specialists which can be a measure of the eligibility criteria presented in this study. Also, it is needed to continuously study the contents of re-education and system construction that reflect the t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