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진주 가산리 우물지에서 출토된 동물뼈 유물의 해부학적 분류

        최종혁,이시준,김종섭,원청길,Choi, Jong-Hyuk,Lee, Si-Joon,Kim, Chong-Sup,Won, Chungkil 대한수의학회 2021 大韓獸醫學會誌 Vol.61 No.4

        The classification of the bone pieces excavated from Gasan-ri archaeological site 1 in Jinju, presumed to be relics was investigated macroscopically. The remains of the animal bone were 3 classes (Mammalia, Aves, Amphibia), 5 orders (Carnivora, Artiodactyla, Galliformer, Rodentia, Salientia), and 6 species (Sus scrofa, Cervidae sp., Nyctereutes procyonides, Phasianidae, Rattus norvegicus caraco, Rana nigromaculata). The total weight of the animal bone remains was 1,002.80 g, with the identified bones comprising 975.30 g and an identification rate of 97.26%. A total of 447 animal bone fragments were identified, including 204 bone pieces of S. scrofa (468.00 g, 47.99%), 102 bone pieces of Cervidae sp. (453.79 g, 46.53%), 68 bone pieces of R. nigromaculata (4.69 g, 0.48%), 59 bone pieces of N. procyonides (47.14 g, 4.83%), 9 bone pieces of Phasianidae (0.98 g, 0.10%), and 5 bone pieces of Rattus norvegicus caraco (0.70 g, 0.07%). The bone pieces of the animal relics consisted of 81 skull (18.12%), 161 axial skeleton (36.02%), 64 forelimb (14.32%), and 141 hindlimb (31.54%) fragments. The archaeological significance of the animal bones excavated in this investigation was that wild boars and deer were presumed to have been mainly used animals in the Gasan-ri area of Jinju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 KCI등재

        일제강점기에 간행된 야담집에 대하여 : 『오백년기담(五百年奇譚)』을 중심으로

        장경남(Jang Kyung-Nam),이시준(Lee Si-Joon) 우리문학회 2011 우리文學硏究 Vol.0 No.34

        일제 강점기에 야담집은 1912~1926년 사이에 본격적으로 출간되었는데 본고에서 주목한 것은 1913년에 개유문관에서 간행된 崔東洲의 『五百年奇譚』이다. 이 야담집은 활자본 4종 필사본 2종 일본어 번역본 3종 현대어 번역본 2종 등으로 다양하게 존재한다. 활자본은 180편의 이야기를 수록하고 있는데 5판이나 간행되어 당대의 관심을 알 수 있다. 필사본은 활자본 가운데 일부분을 발췌하여 국문으로 또는 국한문혼용문으로 필사하여 엮은 것이다. 현대어 번역본은 崔載喜에 의해서 번역되었다. 관심을 끄는 것이 일본어 번역본인데 이것은 1923년에 시미지 겐키치(淸水鍵吉)가 78편을 발췌하여 번역한 것이다. 이 책에 수록된 이야기는 유형별로 보면 아주 다양하다. 이 가운데 정치적 격변기의 이야기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당대의 정치 현실을 되짚어 보려는 의도하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편자인 최동주는 자신의 주장을 드러내지 않고도 조선 오백년의 주요 사건을 다룸으로써 조선의 굴곡진 역사를 이해하도록 했고 위기에 처한 현실을 극복했던 조선조의 역사와 인물을 되짚어봄으로써 현실의 고난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드러내기도 했다. 일본어로 번역된 것은 3.1운동 이후 조선을 제대로 알자는 취지에서 내선결합의 의도로 이루어진 것이다. 조선의 고서를 일본어로 번역 간행하는 사업이 일어났고 이 과정에서 조선조 5백년의 주요 인물과 사건을 압축해서 다룬 오백년기담은 선택되었던 것이다. Yadam collections during the Japanese ruling era was published 1912-1926 in earnest and this article focused on 『500 years weird story(五百年奇譚)』 of Dong Ju Choi which was published at Gae-Yu-Mun-Gwan in 1913. This Yadam collections exists in various forms such as 4 kinds of printed book 2 kinds of manuscript 3 kinds of Japanese translation 2 kinds of modern language translation etc. Printed book includes 180 pieces of stories and its 5 editions show the interest during that generation. The manuscript is what some of printed books were transcribed into Korean or a mixed script of Korean and Chinese. Modern language translation was translated by Jae Hee Choi. Japanese translation of 78 extracts is what attracts interest and it is a translation by Simiji Kenkichi(淸水鍵吉) in 1923. The stories in this book differ a lot depending on the type. Among these there are many stories of rapid political change and it seems like it was to retrace political reality at that time. Dong Ju Choi an editor covered key events in 500 years of Joseon Dynasty without revealing his opinions and help people understand the history of Joseon Dynasty full of ups and downs. By reviewing history and people of Joseon Dynasty that overcame crisis he also disclosed his will to overcome hardship of reality. Japanese translation was done by intention of integration of Japan and Korea in the purpose of knowing the Joseon Dynasty after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better. And the project of translating and publishing old books into Japanese took place and 『500 years weird story(五百年奇譚)』 which covered important people and events of 500 years of the Joseon Dynasty as summarized was selected among this process.

      • KCI등재

        자료 및 해제 : 『백학선전』의 일역본 『여장군』의 번역 양상과 의의

        장경남 ( Kyung Nam Jang ),이시준 ( Si Joon Lee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4 No.-

        우스다 잔운[薄田斬雲]의 <女將軍(白鶴傳)>은 우리의 고전소설 『백학선전』을 일본어로 번역한 것이다. 『여장군』이 『백학선전』과 내용면에서 유사한 모습을 보이지만 이것을 번역한 것이 아니라, 알렌(H. N. Allen)의 영역본(英譯本) 『직녀와 견우』를 번역한 것임을 본 논문에서 밝혔다. 우스다 잔운의 번역은 남녀 주인공을 중심으로 한 사건 중심의 번역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가운데서도 제명을 ‘여장군(女將軍)’이라고 한 데서 알 수 있듯이 여주인공에 이야기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이야기도 여주인공 조은하가 남주인공 유백로를 구원한데서 끝맺음을 하고 있다. 우스다의 일역본을 비롯한 외국어 번역본은 우리의 고소설 작품이 외국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어떻게 변형되는가, 변형의 의도는 무엇인가 등을 살펴 볼 수 있는 의미를 갖는다. 『여장군』은 근대 초기에 고소설 『백학선전』의 외국어 번역본으로서의 이본적 가치를 가짐은 물론, 우리 고전소설의 외국어 번역본의 연구 지평을 확대할 수 있는 자료적 가치를 갖는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Usuda Zanun`s Yeojanggun(Baekhakjeon) is the Japanese version of Baekhakseonjeon, one of the classical novels in Korea. This article has discovered that although Yeojanggun shows some similarities with Baekhakseonjeon in terms of its contents, it is not the translated version of it but that of Jiknyeo and Gyeonwoo, which is Allen`s English translation. Usuda Zanun`s translation shows the aspects of focusing on events centering around the hero and heroine. A bove all, a s we can s ee from t he f act that i t was titled a s `Yeojanggun`, it is focused on the story of the heroine. Thus, the story also ends with the event that heroine Cho Eunha saves hero Yu Baekro. Foreign language versions such as Usuda`s Japanese version have significance as we can see from them such things as how Korean classical novels have been changed in the process of being translated into foreign language and also for what it has been changed. Yeojanggun has the value of a different version as a foreign language version of Baekhakseonjeon, one of the Korean classical novels written in the early modern era, and we can also find its meaning from the fact that it has value as material that can extend the prospect of research on Korean classical novels` foreign language ver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