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컨버젼스 라이프스타일을 배경으로 한 리빙브랜드의 SNS 소통 현황

        이솔지(주저자) ( Sol Jee Lee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장미정(공동저자) ( Mi Jeong Jang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4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19 No.-

        본 연구는 컨버젼스 라이프스타일 시대를 배경으로 한 해외 리빙브랜드와 SNS 중 페이스북, 트위터를 중심으로 이용자간의 소통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국내 리빙브랜드와 SNS 소통 방안을 모색 하는데 그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을 둔다. 대상은 2013년 1윌~2013년 12윌까지 국내 리빙전문매거진 까사 라빙 홈페이지에 꾸준히 브랜드를 노출한 88개의 업체 중 리빙브랜드를 아이템별로 유형화하여 다국적이면서 동시에 OECD회원국 중 외부디자이너와 협업개발하는 이케아, 알레시, 뱅앤올룹슨으로 한다. 선정된 브랜드는 페이스북과 트위터를 중심으로 컨버젼스 라이프스타일, 리빙브랜드 구성요소, 리터리시접근 측면으로 분석하고, 언어이마지스케일과 구성요소체계의 분석을 통해 리빙브 랜드의 SNS 소통 현황을 밝힌다. 첫째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개인공간의 미니멀화 및 개인만족 지향과, 스마트폰 기기를 통한 비즈니스 상거래 활용 지향. 둘째, 페이 스북의 이미지 위주 구성, 트위터의 텍스트 위주 구성의 언어와 시각요소 지향. 셋째, 리터러시 측면은 접근형이 나타났다. 또한, 리빙브랜드에 대한 SNS 시각적 소통은 내츄럴/ 모던/ 쿨-캐쥬얼/, 언어적 소통은 언어/ 비언어 및 시각 개체를 통한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용자 간의 상호작용 욕구 및 정보·오락추구를 충족시키려는 소통지향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개인공간의 미니 멀 및 개인만족, 스마트폰 기기 중심의 생활에서 리빙브 랜드와 SNS의 소통은 오락성과 욕구충족성이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해외라빙브랜드 중 선정된 대표브랜드는 언어 및 시각적 요소 위주로 소통하고 있지만 향후 청각적 측면의 방법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를 통해 향후 국내 리빙브랜드 및 기타브랜드와 SNS 소통에 관한 후속연구를 기대한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present status of user-based communication focusing on Facebook and Twitter regarding overseas living brands and SNS by having the convergence lifestyle age as a background. Through this, this study aims to utilize it as its basic data in seeking a plan for SNS communication with domestic living brands. (Research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 lkea, Alessi, and B&O on categorizing living brands by item among 88 companies with exposed to CASA web-site from January 2013 to December 2013. The subjects are analyzed in the aspects of convergence lifestyle, living brand components, and literacy approach focusing on Facebook and Twitter. The present status of SNS communication in living brand is clarified through analyzing verbal Image scale and component system. (Results) first, it was indicated to point which orienting minimalization in personal lifestyle and desterillization of business commerce through smart phone. Second there were orienting image-driven configuration of Facebook and text-driven configuration of Twitter. Third, was indicated as approach on literacy. Also, visual commurication of SNS on living brand were shown in order off natural/modem/cool casual styles. & verbal communication were show in order of language/non verbal & visual objects. This is Interact with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to meet the need for communication is considered. (Conclusion) Finally, the selected overseas living brands is communicating focusing on verbal and visual. However, even a method in the auditory aspect needs to be sought hereafter. And this study is expected to lead to a follow-up research on SNS communication with domestic living brands and others.

      • KCI등재

        전통막걸리에서 분리한 효모균주를 이용한 막걸리 발효과정 중의 물성 및 미생물 군집의 변화

        전명제(Myong Je Jeon),장민경(Min Kyung Jang),이솔지(Sol Jee Lee),박성환(Sung Hwan Park),김미향(Mihyang Kim),손재학(Jae Hak Sohn),이한승(Han-Seung Lee),이동근(Dong-Geun Lee),이상현(Sang-Hyeon Lee) 한국생명과학회 2013 생명과학회지 Vol.23 No.6

        전통막걸리들에서 순수분리한 효모균주 5종을 이용하여 각각 막걸리를 제조하면서 발효 시일에 따른 막걸리의 물성 변화와 PCR-DGGE를 이용하여 미생물 군집구조 변화를 조사하였다. 막걸리의 pH는 0일째 pH 6 에서 발효 2일째 pH 3 정도의 큰 감소를 보였고 이후 큰 변화가 없었다. 발효일별로는 차이를 보였지만(ANOVA, p<0.001) 균주별로는 차이가 없었다(p=0.60). 산도는 0.19~1.04% 범위였으며 발효 2일째부터 증가하였고 발효일자별(p<0.001) 및 균주별(p=0.006) 모두 차이가 있었다. C 균주의 산도 증가가 가장 컸으며 S 균주의 산도 증가가 가장 적었다. 아미노태 질소는 S 균주가 8일째 0.442%로 높은 값을 보였지만 다른 균주들은 모두 0.150% 이하를 나타내었다. 발효일자별(p=0.4558) 및 균주별(p=0.3513) 모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당도는 빵효모균주인 C가 발효 4일 째부터 다른 균주들에 비해 높았고 발효일자별(p<0.0001) 및 균주별(p=0.007)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알코올 함량은 모든 효모균주에서 발효 2일째 10%의 급격한 증가를 보였으며 그 이후에 큰 차이가 없었다. 발효일자별(p<0.0001)로는 차이를 보였지만 균주별로는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1464). DGGE 밴드로 검출된 우점세균은 산성물질을 생산하며 기능성을 보이는 Lactobacillus fermentum와 Pediococcus pentosaceus였고, 우점진균은 Saccharomyces cerevisiae였는데 이는 효모균주 첨가에 의한 결과로 판단된다. Property changes and bacterial characterization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PCR-DGGE)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fermentation of Makgeollies by 5 isolated yeast strains. Changes of pH were large between day 0 (pH 6) and day 2 (pH 3) and showed less variation after then. ANOVA analyses revealed that pHs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with fermentation times (p<0.001), while strains (p=0.60) did not. Acidities were changed from 0.19 to 1.04% and showed rather high increase from day 2, and fermentation times (p<0.001) and strains (p=0.006) represented statistical differences. All strains showed less than 0.150% at amino-type nitrogen contents except S strain showed 0.442% at day 8,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with fermentation times (p=0.4558) and strains (p=0.3513). Saccharinities of C strain were higher from day 4, and fermentation times (p<0.0001) and strains (p=0.007)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s. Large variation of alcohol concentrations (%) were observed between day 0 (0%) and day 2 (10%) and showed less variation after day 2,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with strains. Dominant prokaryotes were Lactobacillus fermentum and Pediococcus pentosaceus, which producing acids and functional materials. Dominant eukaryote was Saccharomyces cerevisiae, which might be resulted from addition of yeas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