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비디오 모델링 기법의 근거기반 실제를 위한 메타분석

        이성용 ( Seong Yong Yi ),김진호 ( Jin Ho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3

        비디오 모델링 기법은 장애학생들의 사회성 및 의사소통 기술, 기능적 기술, 그리고 행동기능을 중재하기 위해 활용된 매우 효과적인 중재 기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이루어진 비디오 모델링을 중재로 활용한 실험연구 중 단일대상연구를 조사하여 메타 분석함으로써, 중재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앞으로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최근 국내에서 발표된 비디오 모델링 기법과 관련된 논문을 조사하고, 분석논문 선정기준에 따라 단일대상연구 설계로 실시한 국내 16편(학위논문 9편, 학술논문 7편)의 실험논문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은 3가지 분석변인의 영역에 따라서 총 7개의 분석변인(연구 대상, 실험환경, 실험설계, 중재유형, 목표기술, 중재효과, 유지 및 일반화 효과)으로 심층적으로 분석되었다. 메타분석 한 결과를 살펴보면 중재(Median PND = 99.5%), 유지(Median PND = 100%) 및 일반화(Median PND = 100%)가 모두 PND 중위수 값이 90% 이상으로써 중재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7개의 분석변인에 따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근거기반 실제의 개발과 활용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Video modeling is one of the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addressing social-communication skills, functional skills, and behavioral functioning in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ta-analysis the research literature of video modeling intervention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provide information and suggestions on video modeling interven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s at schools.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from 2000 to 2010 revealed 16 experimental studies published in special education within South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16 selected studies in terms of 7 analytical variables: participants, research settings, experimental design, target skills, type of intervention, effects of intervention, maintenance and generation. Results indicated a highly positive effect of video modeling interventions (median PND=99.5%). High maintenance (median PND=100%) and generalization effects (median PND = 100%)were also revealed in the reviewed stud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7 analytic variable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on video modeling intervention were presented.

      • KCI등재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에 대한 국내외 실험연구 고찰

        김진호 ( Jin Ho Kim ),이성용 ( Seong Yong Yi ),차재경 ( Jae Kyoung Cha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3

        본 연구는 정서ㆍ행동장애 위험아동을 대상으로 중재프로그램을 실시한 국내외 실험 연구를 조사하고 비교 분석함으로써, 관련 분야의 연구 동향과 교수 전략 등을 파악하고 앞으로 정서ㆍ행동장애 위험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최근 국외 및 국내에서 발표된정서ㆍ행동장애 위험아동을 대상으로 한 실험연구를 조사하고, 분석논문 선정기준에 따라 국외 10편, 국내 6편, 총 16편의 실험 연구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변인은 5가지영역에 따라 총 9개의 분석변인(연구 대상, 선별 도구, 실험 환경, 실험 설계 및 절차, 중재프로그램과 기법, 목표기술, 측정도구 및 방법, 신뢰도, 연구결과)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결과에서는 분석변인에 따라 국내외 연구를 비교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정서ㆍ행동장애 위험아동 연구와 중재프로그램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Current prevalence estimates suggest that between 2 and 20% of the school age population are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EBD), with less than 1% of students receiving special education services under the label of EBD(Lane et al., 200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esearch literature for children at-risk for EBD and to provide information and suggestions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s.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from 2000 to 2014 revealed 16 experimental studies published in major special education journals within the foreign countries(specially the United Sates) and South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16 selected studies in terms of 9 analytical variables: participants, screening tools, research settings, experimental design, training program and strategies, target skills, method of measurement, reliability(treatment fidelity, inter-observer reliability, social validation), results(ie. effects, maintenance, gener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9 analytic variable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의 가정생활기술에 대한 국내 실험연구 고찰

        김진호 ( Jin Ho Kim ),이성용 ( Seong Yong Yi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3 지적장애연구 Vol.15 No.3

        가정생활기술은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이 독립적으로 생활하는데 가장 필요한 기술 중의 하나이다. 그런데 지적 및 발달장애 분야에서 지금까지 직업이나 여가생활 등은 많이 다루어지고 있지만, 그들의 거주생활능력을 높이기 위한 가정생활기술에 대한 연구와 교육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이루어진 가정생활기술에 대한 실험연구를 조사하여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으며, 이를 통하여 가정생활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또한 문헌분석연구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는 선행실험연구들의 중재 효과성과 질적 지표에 대한 것도 같이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는 최근 국내에서 발표된 가정생활기술 관련 논문을 조사하고, 분석논문 선정기준에 따라 총 12편의 실험논문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은 10개의 분석변인(연구대상, 실험환경, 실험설계 및 절차, 중재프로그램, 목표기술, 측정도구 및 방법, 신뢰도, 연구결과, 중재 효과성, 질적 지표)에 따라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보면 중재는 인지행동훈련프로그램(자기교수, 자기관리, 자기점검)을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중재와 유지, 일반화의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 분석결과는 10개의 분석변인에 따라 제시하였으며, 그러한 결과는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의 가정생활기술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The domestic skill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kills for independent living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esearch literature of domestic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provide information and suggestions on domestic skill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s at schools.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from 1998 to 2012 revealed 12 experimental studies published in major special education journals within the South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12 selected studies in terms of 10 analytical variables: participants, research settings, experimental design, training program and strategies, target skills, method of measurement, reliability, results(ie. effects), ES and PND, qualitative indicators. In particular, most of the interventions were used cognitive training programs(ie. self-instruction, self-management, self-monitoring). Intervention (ES > .80, median PND = 98%), maintenance (median PND = 100%) and generalization effects (median PND = 100%) revealed large effec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10 analytic variable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on domestic skills were presented.

      • KCI등재

        일반 유아 및 초등학생의 사회적 기술 증진을 위한 실험연구 분석

        이성용 ( Yi Seong-yong ),김진호 ( Kim Jin-ho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9 지적장애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일반 유아 및 초등학생의 사회적 기술 증진을 위해 중재를 적용한 국내 실험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선행 연구들의 중재 효과를 살펴보고 앞으로 일반 유아 및 초등학생을 위한 사회적 기술 증진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데 있어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1998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사회적 기술 관련 학술연구 25편(유아14편, 초등 11편)을 체계적으로 수집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25편의 선행연구는 9가지 분석변인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변인은 연구대상, 실험환경, 실험설계, 목표기술, 측정도구, 중재방법, 중재기법 및 전략, 연구결과, 효과크기다. 주요 연구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은 일반 유아 만 5세가 많았다. 둘째, 실험환경은 유치원과 학교와 같은 교육기관에서 연구되었다. 셋째, 실험설계는 집단설계연구의 사전-사후 비교(통제)집단 설계를 활용하였다. 넷째, 목표기술은 사회적 기술뿐만 아니라 추가 목표기술도 설정하였다. 다섯째, 측정도구는 SSRS를 대부분 사용하였다. 여섯째, 중재방법은 유아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초등학생은 모두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일곱째, 중재기법은 언어적 기법이 다수 활용되었다. 여덟째, 연구결과 중재는 사회적 기술을 증진시켰다. 아홉째, 효과크기는 유아의 경우 대부분 큰 효과를 나타냈고, 초등학생의 경우 다양하게(작은~큰 효과)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유아 및 초등학생의 사회적 기술 증진 관련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experimental research literature of social skills interventions of young children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provide information and suggestions on social skills interven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s.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from 1998 to 2018 revealed 25 experimental studies published in South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25 selected studies in terms of 9 analytical variables(participants, research settings, experimental design, target skills, tools of measurement, types of intervention, strategies of intervention, effects of intervention, effects size). The finding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participants of the studies conducted in preschool settings were five years old young children in general. Second, research settings of the experimental studies were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Third, the experimental design of the studies was the pre-post comparison(control) group design. Fourth, target skills were established not only for social skills but also for additional target skills. Fifth, most studies used SSRS as a measuring tool. Sixth, as the type of intervention, various programs were conducted for young children in preschool settings, and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s were used for all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venth, most reviewed studies used linguistic techniques as strategies of intervention. Eighth, intervention programs of the studies have enhanced social skills of most participants. Ninth, effect size was mostly large for young children, and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 were various effect sizes(small to large effect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on social skills interven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대한 소고 : 개념 고찰 및 문헌분석을 중심으로

        이성용(Yi, Seong-Yong),김진호(Kim, Jin-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8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사회적 기술과 관련된 국내의 측정 도구와 사회적 기술 증진 프로그램을 고찰함으로써 향후 유아의 사회적 기술 프로그램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유아의 사회적 기술 및 프로그램과 관련된 연구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한 개념 고찰 및 문헌분석 연구다. 연구를 위해 유아를 대상으로 한 국내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와 중재를 실시한 학술연구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유아의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는 2편으로 나타났으며, Gresham과 Elliot(1990)이 개발한 것을 바탕으로 타당화하거나 표준화하였다. 둘째, 국내 유아의 사회적 기술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는 1998년부터 2019년까지 18편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기술 중재 프로그램은 동화 및 독서를 활용한 프로그램이 많았다. 중재 기법으로는 이야기 나누기, 신체활동(놀이), 미술활동 등을 다수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 기술의 어려움을 겪는 유아들에 대한 선별과 교육 방법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는 향후 유아의 사회적 기술 증진 방안과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향후 유아의 사회적 기술 증진을 위해서는 예방적 차원에서 유아들의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를 개발하고 측정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 분석한 중재 기법을 활용한 사회적 기술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esearch literature of social skills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 and to provide inform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s. For research purpose, studies(in south korea) that conducted social skills rating scale and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were systematically collected and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udies on the social skills rating scale of young children were two cases, and it was developed by Gresham and Eliot(1990). Second, studies on the social skills interven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were 18 cases. Social skills intervention methods were used to talk through young children s story and reading, to play physical activities, to do art activ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to provide insight about how to select and educate young children with difficulties in social skills. We discussed ways and implications of social skills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