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고추, 쇠비름, 표고버섯의 물 추출물 및 당침액의 항산화 활성 및 ${\alpha}$-Glucosidase Inhibition 활성 비교

        이성미,강윤환,김대중,김경곤,임준구,김태우,최면,Lee, Sung Mee,Kang, Yun Hwan,Kim, Dae Jung,Kim, Kyoung Kon,Lim, Jun Gu,Kim, Tae Woo,Choe, Myeon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14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최근 건강 관리를 위해 다양하게 상용되고 있는 당침액의 오 남용을 막기 위해 과학적으로 물 추출물과 당침액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일반 물 추출물과 비교하였을 때 당침액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그에 따라 항산화 활성 또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물 추출물과 비교하여 당침액의 건조 분말에는 설탕 또는 그 분해물들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그러나 혈당강하 효능의 target 효소로 연구되고 있는 ${\alpha}$-amylase 및 ${\alpha}$-glucosidase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청고추, 쇠비름, 표고버섯의 물 추출물과 당침액은 ${\alpha}$-amylase 억제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alpha}$-glucosidase 억제 활성은 의약품인 acarbose에는 미치지 못하였으나, 물 추출물에 비해 당침액이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세포 독성을 HepG2 cell에서 확인한 결과, 물 추출물과 비교하여 당침액의 독성이 약 1/10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민간에서의 믿음처럼 당침액이 물 추출물과 비교하였을 때 모든 부분에서 우수한 기능을 가진다고 할 수 없으며, 활용할 용도에 따라 소재를 물 추출하거나 당침액을 제조하는 등의 가공 과정을 거치는 것이 목표한 기능을 효과적으로 확보하는 방법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민간에서 맹목적으로 믿는 당침액의 효능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 접근법은 당침액의 적절한 사용 목적과 방법을 설정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compare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and sugar immersion extracts of green pepper (Capsicum annuum L.), purslane (Portulaca oleracea L.) and shiitake (Lentinula edodes (Berk.) Pegler) by measuring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ntioxidant activities and inhibitory effects on ${\alpha}$-amylase and ${\alpha}$-glucosidase. The contents of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s were higher in water extracts than in sugar immersion extracts.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water and sugar immersion extracts were measured using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say and reducing power assay. All extracts scavenged radical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nd water extracts showed stronger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than sugar immersion extract. However, they all exhibited lower activities than ascorbic acid. Compared to the anti-diabetic drug acarbose, which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the two types of extracts exhibited low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although the activity of sugar immersion extracts were 2-fold higher than that of water extracts. ${\alpha}$-Amylase inhibitory action was not observed for any of the extracts. Finally, by cytotoxicity test, we confirmed that sugar immersion extracts were safer than water extrac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water extracts and sugar immersion extracts of green pepper, purslane and shiitake have different advantages in terms of their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effects, respectively.

      • SCOPUSKCI등재

        항비만소재의 lipoprotein lipase 억제 작용 연구

        이성미(Sung Mee Lee),강윤환(Yun Hwan Kang),김경곤(Kyoung Kon Kim),김태우(Tae Woo Kim),최면(Myeon Choe) 한국식품과학회 201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7 No.2

        본 연구에는 항비만소재로 연구되어진 11종의 소재를 대상으로 lipoprotein lipase (LPL)의 억제효능을 확인하고자 배양배지내 LPL의 함량과 LPL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3T3-L1 adipocyte에서 LPL의 분비를 억제하는 소재로 능이추출물(NE)을 선택할 수 있었다. 선택된 NE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16.61±0.44 mg/g과 6.58±0.01 mg/g이 각각 확인되었다. NE의 LPL 분비억제기작을 확인하기위해 먼저 세포내 LPL 단백질의 함량과 mRNA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함량이 감소했던 배양배지와는 다르게 NE를 처리한 3T3-L1 adipocyte의 세포내 LPL은 유의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mRNA의 발현에는 영향이 없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생성된 LPL 단백질의 exocytosis에 문제가 발생했을 것으로 유추하고 다양한 단백질 이동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LPL의 이동과 분해에 관여하여 세포내 LPL의 활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진 SorLA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고 이를 조절하는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과 nuclear로의 이동에 NE가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NE를 처리함으로써 SorLA promoter에 작용하는 C/EBPβ의 단백질 발현이 nuclear에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NE가 SorLA 유전자의 transcription factor인 C/EBPβ의 단백질 발현을 nuclear에서 증가시킴으로서 결과적으로 LPL의 분비억제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NE의 항비만 효과기전을 설명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라 사료된다.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lipoprotein lipase (LPL) inhibitory activity of 11 water extracts derived from Cinnamomum cassia Blume, Sarcodon aspratus, Cordyceps militaris, Crataegus pinnatifida Bunge, Corni fructus, Allium cepa, Coix lacryma-jobi, Plantago asiatica L., Lentinus edodes, Rosa rugosa, and Foeniculum fructus. The results of the LPL secretion and activity assay showed Sarcodon aspratus (NE) extract have an LPL secretion inhibitory acitivity. The cause of reduction in LPL secretion after NE treatment was investigated using molecular biology methods. NE treatment affected the LPL content in cells, but did not affect LPL mRNA expression. It also increased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sortilin-related receptor LDLR class A (SorLA), a receptor that induces endocytosis and intracellular trafficking of LPL. Finally, cell fractionation revealed that NE treatment induced the expression of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beta (C/EBPβ), a SorLA transcription factor, in the nuclei of 3T3-L1 adipocytes. These results show that NE’s anti-obesity effect involves inhibition of LPL secretion through C/EBPβ-mediated induction of SorLA express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