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yntheses of new thiophene derivatives and asymmetric sulfoxidation of sulfides

        이서진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1. Syntheses of new thiophene derivatives Novel dithienobenzenes substituted hexafluorocyclopentene derivatives were synthesized by photocyclization of 1,2-bis(bithiophene-2-yl) hexafluorocyclo- pentene(4TF6) and 1,2-bis (thiophene- 2-yl)hexafluorocyclopeneten(2TF6) with I2 catalyst, in 90% yield. The photoluminescence spectra of thiophene derivatives were measured from a 1x10-5 M solution in ethyl acetate. The emission peaks were red shifted when they added the more thiophene rings. And when they turn to cyclization form they show blue shifted. In particular, C4TF6 shows blue emission in solution. And emission intensity of C4TF6 is stronger than other derivatives. The UV-Vis absorption spectra of those compounds were also measured.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new dithienobenzenes may be promising materials for organic electronic materials devices. 2. Asymmetric sulfoxidation of sulfides We have prepared novel chiral schiff bases of hydroxy aldehydes derived from thiophene, benzo[b]thiophene and naphtho[2,1-b]thiophene. They were synthesized by 4 step, 5 step and 7 step, respectively, in good yields. The catalytic activities of metal complexes prepared from VO(acac)2 and those ligands in the enantioselecive oxidation of sulfides with hydrogen peroxide were studied. The benzo[b]thiophene ligand shows lower enantioselectivity than thiophene ligand, and now we are studying the reaction with naphtho[2,1-b]thiophene. We will developing sterically hindered thiophene derivatives to improve the enantioselectivity.

      • 동인지 『散文時代』 연구

        이서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1960년대 동인지 『산문시대』에 수록된 작품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산문시대』의 문학정신과 문학사적 위치를 규명하는 것을 그 목적이 있다. 1960년대 사회가 빚어낸 현상들에 대응하여 나타난 동인지 『산문시대』는 당대 문학의 원점이자 이후 한국 문단사의 흐름을 규정하는 하나의 맥락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산문시대』는 4.19혁명에서 고취된 자유의 정신을 계승하며 이를 문학에서 실현하고자 한다. 이들은 자신들의 세대론 적 전략을 구사하며 낡은 문학에 대한 거부와 새로운 언어와 문법의 구축으로 나아간다. 『산문시대』의 작품은 무엇보다 탁월한 언어적 감성과 개인의식의 성취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문학의 주체성, 문학의 자율성의 확인은 4.19세대 그리고 『산문시대』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산문시대』는 그 동인 집단과 잡지의 성격 사이뿐 만 아니라, 그리고 그 구체적인 내용들 -비평, 번역, 창작물- 사이에도 매우 밀접한 영향 관계를 형성하며 이를 통하여 자신들이 추구하는 문학론을 드러내고 있다. 그러므로 지금까지 피상적으로 다루어져 왔던 『산문시대』의 구체적인 텍스트를 대상으로 『산문시대』가 구현하는 문학정신과 그 실천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따라서 Ⅱ장에서는 그들의 문학정신의 기반이 되는 60년대의 문단적 배경과 『산문시대』 를 형성한 동인 집단의 성격을 살펴보았다. 4.19혁명의 ‘자유’의 경험과 5.16 쿠데타의 경제적 근대화의 (부정적) 체험은 이 시기의 핵심적인 사회적 현대화 기획으로, 동시에 문학적 전환을 가져다 주는 계기가 되었다. 60년대의 이러한 사회적 전환은 문학사에서는 4.19세대의 대두와 함께 기성문단의 해체와 급격한 세대교체 현상을 불러온다. 4.19세대는 동일한 세대감각으로 이전 세대와 확실히 구분되는 ‘자기 정체성’을 확보하고 있었는데, 이 세대감각은 무엇보다 혁명체험에서 근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4.19는 그들에게 이성적 지적인 주체의 발견이었으며 개인의 이성과 자율성의 가능성을 확신시킨 사건이자 분기점이었다. 또한 민주주의 교육을 받고 한국어로 사유하기 시작한 한글세대라는 것 역시 4.19세대만의 세대감각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은 민주주의 교육을 통해 4.19의 기반을 가질 수 있었으며, 언어에 대해 보다 깊게 사유하고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는 세대였다. 4.19세대는 자신들의 동일한 세대 감각을 기반으로 기존세대와의 전략적 단절을 유도한다. 『산문시대』는 세대의식, 세대론 적 전략 속에서 새로운 문학의 주체로 자리매김하고자 했던 이들의 욕망의 실천이라 할 수 있다. 대학생 중심으로 형성된 『산문시대』의 동인 활동은 지방출신, 외국 문학전공자, 서울대 문리대 생이라는 상징자본을 활용하며 자신들의 동인지를 “대학생 문단 지” 로 철저히 규정하고 기성문단과의 ‘차별화의 전략’을 구사한다. 작품 수준을 고려해 등단한 사람으로 제한했다는 점, 당대 문학적 지형도를 의식해 산문을 선택했다는 점, 대학생이라는 상징 자본을 활용했다는 점은 『산문시대』의 구성이 그들 청년 문학세대가 소유하고 있는 자본의 총량, 즉 문화적 자본과 사회적 자본의 전략적 배치의 결과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산문시대』의 동인 구성, 편집태도, 그리고 작품내용은 이전 기존 문단에서는 보여주지 못했던 60년대 동인지로서의 성격을 드러낸다. 『산문시대』는 문학 외적 측면이나 내적 측면에서 모두 기존 문단과의 적극적인 차별화를 통하여 문학 장에 속한 하나의 문학 집단으로 스스로를 자리 매김하고 있다. Ⅲ장에서는 이러한 『산문시대』 동인들이 지향하는 문학이론을 비평을 통해 분석해보았다. 비평은 『산문시대』의 문학정신의 이론적 탐색 및 정립을 위한 것이었다. 이전세대의 문학적 풍토를 비판하면서 새로운 문학을 창조하고자 했던 이들은 한국의 전근대성을 극복할 새로운 문학의 가능성으로 서구 문학의 현대성을 받아들인다. 기존문단에 대한 반감이나 도전의식이 서구 문학을 통해 학습한 문학개념의 자기화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김현의 「비평 고」, 염 무 웅 의 「현대성이론」, 김치수의 「작가와 문학적 작품의 변모」 등 산문시대의 동인들은 서구 문학론을 토대로 기성문학을 비판하고 서구문학이론 속에 드러난 현대성을 적극적으로 탐구한다. 이들이 모색하는 현대적 특성은 문학의 자율성을 바탕으로 자기의식과 개인의 발견, 그리고 언어의 자각을 통한 독자의 소통 문제로 나아간다. 김현은 「비 평 고」에서 비평정신을 규명하는 과정 속에서 텍스트를 통해 세계를 포착하고자 하는 비평가의 자의식을 찾고, 그 의식을 가능하게 하는 근원으로 (계몽주의 혁명을 통해 나타난) 개인의 발견, 자아의 발견에 주목한다. 또한 문학을 개인의 창조물로 보는 개인의 주관적 자율성에 근거한 문학관을 드러내고 있다. 한글세대로 ‘언어’에 대한 의식이 남달랐던 이들은 기존세대의 도구적 언어 관념에서 벗어나 언어를 그 존재로 자각하는 새로운 언어창조를 시도한다. 이러한 언어에 대한 관심은 그것의 소통성과도 연결되는 데 언어는 작가의 개성을 드러내는 미학적 측면도 있지만 독자의 입장에서 수용되는 소통의 측면도 있다. 언어가 도구가 아니라 목적이 되었을 때, 언어는 일방적인 강요가 아닌 독자에게 새로운 해석의 장을 열어 준다. Ⅳ장에서는 구체적인 소설작품을 분석을 통하여 이들의 문학적 지향점의 구현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자기세대의 새로움을 독자적인 문학 형식을 통해 담아 내려 했던 이들의 노력은 창작소설 속에서 내면성의 탐구와 언어적 실험을 중심으로 나타난다. 4.19혁명의 자유의 환희와 5.16쿠데타로 인한 근대화의 환멸은 이성적이고 자율적인 주체로 정립하는 순간, 자기분열과 회의에 직면을 가져온다. 그래서 『산문시대』 소설의 상당수는 불안의식 속에서 개인의 내면성 탐구를 통해 자기세계를 모색하는데 이 모색의 과정은 형식적 측면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산문시대』의 독보적인 특징은 그들의 소설이 대부분 형식적인 측면에 많은 관심을 기울 여 다는 것인데 이들 파편화된 현실과 개인의 내면을 그리면서 다양한 형식적 기법과 언어적 실험을 감행했다. 『산문시대』의 문학 작품들은 세계와 사물의 문제를 인과적이고 논리적으로 드러내는 전통적인 서사방법에서 벗어나 자아, 의식, 충동의 문제를 정서적 관념의 결합으로 드러내고 있다. 또한 소설 전반에 흐르는 부정의식과 환멸의식은 이들 4.19세대의 의식을 대변하는 내용적 특성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은 세계를 타자로 상정하고 환멸과 부정을 통해서 스스로의 위치를 재정립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타자와 갈등은 동시에 그러한 부정적 현실에서 부정적으로 살아가는 개인-자신에 대한 환멸로 나타난다. V장에서는 동인지 『산문시대』가 갖는 문학사적 위치에 대하여 규명하였다.『산문시대』는 집단적 동류의식을 바탕으로 스스로의 활동을 보증하고 평가하면서 세대교체를 이루어가는, 새로운 문학장을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이들은 문학이념과 성향의 공통성을 통해 자신들의 문학담론을 형성해 나갔다. 본격적인 4.19세대의 대두와 함께 나타난 『산문시대』는 4.19를 통해 발견한 ‘자유’의 문학적 의식화의 최대치를 보여주었다. 이들은 문학의 자율성을 바탕으로 문학의 내적 논리의 발전을 모색하며 미학적 탐색을 전개해 나간다. 이들이 추구한 문학적 이념은 후에『산문시대』-『사계』-『68문학』 로 이어지는 미학적 탐색을 통하여 『문학과 지성』 으로 자유주의 문학론을 형성해가는 새로운 문학담론의 기반을 이루고 있다.『산문시대』의 작품들은 결여와 과잉, 혼란과 무질서를 내포하고 있는 미완의 실험이었지만 이론과 실천을 통해 자기세대의 문학을 독자적인 문학 형식으로 담아내고자 했던 그들의 노력은 새로운 문학의 출발점을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그 문학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literary spirit of The Prose Age, a literary coterie magazine in the 1960s, and its position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by analyzing works contained in the magazine. Literary coterie magazine The Prose Age, which emerged in response to social phenomena in the 1960s, occupies a very crucial position in that it is the origin of new literature in those days and forms a context defining the subsequent flow of Korean literary circle history. The Prose Age aims to inherit the spirit of freedom inspired by the 4.19 Revolution and to realize it in literature. Using their own strategy of generation theory, they reject old literature and move toward the establishment of new language and grammar. Works in The Prose Age are quite meaningful in that they are achievements from keen linguistic sensibility and personal consciousness. The confirmation of the subjectivity and autonomy of literature is considered the core of the 4.19 generation and The Prose Age. The Prose Age forms a very close influence relation not only with its coterie group but also with its contents - criticisms, translations, and creations - and through the relation it reveals literary theories that they pursue. Therefore, using specific texts of The Prose Age that have been discussed superficially until now,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literary spirit advocated by The Prose Age and its practice. For this purpose, Chapter II examined the background of literary circles in the 1960s, which is the base of their literary spirit, and the nature of the coterie group that created The Prose Age. The experience of ‘freedom’ through the 4.19 Revolution and the (negative) experience of economic modernization from the 5.16 Coup D’IJtat were key turning points for the social modernization and the transition of literature in those days. Such social transformations in the 1960s bring forth the rise of the 4.19 generation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the consequent dissolution of established literary circles and radical generation shift. The 4.19 generation had ‘self-identity’ that was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previous generations by its homogenous generation sense, which came from their experience in the revolution. To them, the 4.19 Revolution was the discovery of rational and intellectual subjects and, at the same time, an event and landmark that assured them of the possibility of individuals’ reason and autonomy. It is also a generation sense unique to the 4.19 generation that they are the Hangeul generation who had democratic education and began to think in the Korean language. Through democratic education, they could lay the base of 4.19 and, in terms of language, could think more deeply and speak more freely. Based on their homogenous generation sense, the 4.19 generation promotes strategic severance from the old generation. The Prose Age is a practice of their desire to find their position as a subject of new literature out of their generation sense and strategy of generation theory. The coterie activities of The Prose Age led mainly by university students utilized symbolic capitals “liberal arts studen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from provinces and majoring in foreign literature,” and defined their coterie magazine strictly as “university students’ literary magazine” distinguished from established literary circles. In that it limited those who made their debut in consideration of the level of their works, chose prose with consciousness of the literary topography in those days, and used university students as symbolic capitals, we can see that the composition of The Prose Age is a product of the aggregate of capitals owned by the young generation of literature, namely, the strategic deployment of cultural and social capitals. These coterie composition, edition attitude and contents of The Prose Age reveal its characteristics as a literary coterie magazine in the 1960s, which had not been displayed by previous literary circles. The Prose Age sets up its position as a literature group that belongs to a literary world through active differentiation from all the other existing literary circles in the external and internal aspects of literature. Chapter III analyzed literary theories pursued by the coterie of The Prose Age through criticism. Criticism was for the theoretical exploration and establishment of the literary spirit of The Prose Age. Trying to create new literature while criticizing the literary culture of old generations, they admit the contemporariness of Western literature as a possibility of new literature to overcome Korean premodernism. That is, antipathy against or challenge to the existing literary circles is expressed through the internalization of the concept of literature learned from Western literature. As in Kim Hyeon’s Critical Study, Yeom Moo-woong’s Contemporariness Theories, and Kim Chi-soo’s Transformation of Writers and Literary Works, the coterie of The Prose Age criticizes existing literature based on Western literature theories and explores contemporariness revealed in the theories actively. The contemporary characteristics that they search for are self consciousness, discovery of individuals, and communication with readers through the self-consciousness of language based on the autonomy of literature. In his Critical Study, Kim Hyeon finds the self-consciousness of a critic who tries to capture the world through texts in the process of inquiring into the spirit of criticism and pays attention to the discovery of individuals and the discovery of ego as the origin (appearing through the revolution of illuminism) that enables the consciousness. Furthermore, it reveals the view of literature based on individuals’ subjective autonomy that views literature as an individual’s creation. As a Hangeul generation who has a peculiar perception of ‘language,’ they attempt to create a new language, which exists by itself, different from the old generations’ concept of instrumental language. This interest in language is linked also to the communicability of the language. That is, language has not only the aspect of aesthetics that reveals the writer’s personality but also the aspect of communication that is received in readers’ position. When language becomes an object rather than an instrument, it opens the ground of new interpretation instead of forcing unilaterally. Chapter IV discussed how their literary aims are achieved through analyzing specific novels. Their efforts to carry the newness of their generation in a unique literary form are manifested mainly through inquiry into internality and linguistic experiment in creative novels. The jubilation of freedom in the 4.19 Revolution and the disillusion of modernization by the 5.16 Coup D’IJtat bring confrontation with self-division and skepticism at the moment they are established as a rational and autonomous subject. Therefore, many of novels in The Prose Age search for their own world in anxious consciousness through the exploration of individuals’ internality, and the search process is remarkable in the formative aspect. A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Prose Age is that most of its novels pay high attention to the formative aspect. That is, they try various formative techniques and linguistic experiments while drawing fragmented realities and individuals’ inside. Literary works in The Prose Age expose the issues of ego, consciousness and impulse through combination of emotional concepts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narration method that reveals the issues of the world and things causatively and logically. Furthermore, negative consciousness and disillusion underlaid in the novels are the contents characteristics representing the 4.19 generation’s consciousness. They assume the world to be others, and try to reestablish their position through disillusion and negation. The other and the conflict are, at the same time, described as disillusion for individual-self who lives negatively in such a negative reality. Chapter V discussed the position of literary coterie magazine The Prose Ag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The Prose Age showed the process that a new literary world is formed through generation shift while the coterie guarantees and evaluates its own activities based on collective kind consciousness. They build up their own literary discourses through their commonness in literary ideas and tendencies. The Prose Age, which emerged together with the rise of the 4.19 generation, shows the peak of literary conscientization of ‘freedom’ discovered through 4.19. They look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ner logic of literature based on the autonomy of literature, and the literary ideas promoted by them form later the base of new literary discourses that form liberal literary theories through the aesthetic journey from The Prose Age to Four Seasons, 68 Literature and, lastly to Literature and Intellectual. Although the works of The Prose Age were incomplete experiments connoting absence, excess, confusion and disorder, they have a meaning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hat their efforts to contain the literature of its own generation in a unique literary form through theories and practices constitute a starting point of new literature.

      • 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부정정서를 통한 심리적 수용의 매개된 조절효과

        이서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정서인식명확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심리적 수용의 매개효과와 부정정서의 조절효과, 그리고 부정정서를 통한 심리적 수용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대학의 대학생 307명을 대상으로 정서인식명확성, 우울, 심리적 수용, 부정정서를 측정하여 연구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 20.0과 SPSS PROCESS의 macro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 수용은 정적상관을 부정정서와 우울과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우울은 부정정서와는 정적상관을 보였으나, 심리적 수용과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정서인식명확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심리적 수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본 결과, 정서인식명확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심리적 수용이 부분 매개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정서인식이 명확할수록 심리적 수용이 용이해지고, 우울감이 감소한다는 것을 뜻한다. 셋째,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 수용의 관계에서 부정정서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이들의 관계에서 부정정서가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 수용 간의 관계는 부정적 정서를 얼마나 느끼는가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부정정서가 높을 경우 정서인식명확성이 높을지라도 심리적 수용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반면, 부정정서의 수준이 낮을 경우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 수용의 관계는 정적상관을 보였는데, 이것은 정서인식명확성이 높다하더라 부정정서의 수용이 쉽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앞서 확인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결합하여, 정서인식명확성이 우울로 가는 과정에서 부정정서의 조절효과와 심리적 수용의 매개효과, 즉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분석결과, 정서인식명확성은 직접적으로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또한 심리적 수용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정정서는 정서인식명확성이 심리적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였는데 즉, 정서인식명확성이 심리적 수용을 통해 우울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부정정서의 수준에 따라 달라졌는데, 부정정서가 높을수록 정서인식명확성의 긍정적 효과는 줄어들었다. 따라서 매개된 조절 모형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부정 정서는 정서인식명확성이 심리적 수용을 통해 우울을 예방하는 간접효과를 감소시킨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정서인식명확성이 높을 경우 심리적 수용의 수준이 높아져 우울이 감소하지만, 부정정서가 이것의 효과를 축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emotional clarity on depression and also determine whether psychological acceptance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depression. Also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negative emo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A total of 307 students who enrolled at th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study. Analysis of data was conducted using SPSS 20.0 and the macro function of SPSS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hile negative emotion and depress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In addition, depression was found to be correlated with negative emotion while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acceptance. Secon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yielded that psychological acceptance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depression. Such finding indicates that emotional clarity has a direct effect on decreased depression, while it also indirectly influences decreased depression through psychological acceptance. Third, negative emotion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In other word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was different depending on how much participants reported to have negative emotion-when the level of negative emotion was low, emotional clar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psychological acceptance. However, when the level of negative emotion was high, emotional clarity did not facilitate psychological acceptance. Fourth, the mediated moderating model was confirmed in that psychological accepta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depression, while negative emo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That is, emotional clarity had a direct and indirect effect through psychological acceptance on decreased depression. Also it was found that negative emo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Taken together, negative emotion decreased the indirect effect of emotional clarity on decreased depression through psychological acceptance. The aforementioned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depression will be reduced when the level of emotional clarity is high since the level of psychological acceptance rises. At the same time, they also imply that negative emotion may reduce the effect thereof. The significance, the limitations and the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above-stated results.

      • 이중언어로써 수화를 사용하는 청각장애인의 쓰기에 나타난 문법오류특성

        이서진 대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hearing-impaired who does not use the mother tongue depending upon the visual system far away from the phonoreception can have the difficulties in the circumstance of spoken language with normal people who does not have hearing problem. A hearing impaired person cannot fully accept the normal linguistic system which relies on vocal awareness even if he or she uses Korean as the primary language from oral method, which does not mean authentic mother tongue. That can be called as correspondent obstacle rather than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For the search and development, thus, we need to consider the hearing-impaired as the foreign learners who are in the bilingual and bicultural background. Simultaneous bilingual sign-language users are defined as the hearing-impaired who use sign-language as their primary language and Korean as their secondary one in this research. While sequential bilingual sign-language users are defined as the hearing-impaired who use Korean as their primary language and sign-language as their secondary one throughout its acquisition in their college leve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haracterize the syntactic aspects in writng of the hearing-impaired, especially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linguistic structure in their statement between simultaneous bilingual sign-language users and sequential bilingual sign-language users. To specify, twenty hearing-impaired college students divided from their stage levels in experiencing sign-language and eleven normal college students are expected to perform the writing tasks after watching video clips. Simultaneous bilingual sign-language users are designated to be group one and sequential bilingual sign-language users are designated to be group two.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in the statement of writing of the two hearing-impaired groups and normal college students’ group, the difference between the sampl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syntactic aspects including average numbers of sentences, phrases, words.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f the numbers in grammatical errors between the two hearing-impaired groups and normal group,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group1 and normal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verbal errors and no difference between group2 and normal group. That means people in group1 share their early stages of their lives in terms of sign-language acquisition and errors of verbal usage when it come to the Korean grammar, their secondary language. Second, both group 1 and 2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ference from the normal group in the errors in usage of postposition particle, especially severe in group1. Group 2 which shares the longer period of experiencing oral method has lower portion of the errors in usage of postposition particle than the other two groups. Third, both group 1 and 2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ference from the normal group in the errors in usage of connective words. As a result, the deference between group1 and normal group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verall numbers of errors and most severally in the usage of postposition particle.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f error types in the statements of the hearing-impaired, it’s very similar to the aspect of mistakes in normal people’s Korean language learning. It often occurred in distinguishing causative verbs from passive verbs, in usage of postposition particle, in usage of connective words. Studies on contrastive analysis of Korean and sign-language was not often conducted from linguistical view points while the one of Korean and other languages is growing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like these days. It is difficult to find the cause of grammatical errors in detail because of the reason. It is needed to be done more studies on contrastive analysis between sign-language and Korean from now. 청각에 의존하지 않는 시각체계의 모국어를 사용하는 청각장애인은 건청인의 구어환경에서는 장벽에 놓일 수 밖에 없다. 또한 청각장애인이 구화교육을 받아 1차언어로 한국어를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음성-청각체계인 건청인의 언어를 완전히 받아들일 수 없으므로 완전한 모국어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 이는 언어발달지체라고 하기보다는 의사소통의 장애라고할 수 있다. 그러므로, 청각장애인을 이중언어와 이중문화를 가진 외국인과 같이 이중언어를 사용하는 학습자로 생각하고 접근방식을 달리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수화를 모국어로 하여 1차언어로 수화를 사용하며, 2차언어로 한국어를 사용하는 청각장애인을 동시적 이중언어로써 수화사용자라고 정의하고, 한국어 구화교육을 먼저 받아 1차언어로 한국어를 사용하고, 대학생이 된 이후 수화교육(문법수화)을 받은 청각장애인을 순차적 이중언어로써 수화사용자라고 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각장애인의 쓰기에 나타난 구문특성을 알아보고 특히 동시적 이중언어로써의 수화사용자와 순차적 이중언어로써의 수화사용자간에 담화의 언어구조적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청각장애 대학생 20명(농학교를 졸업했거나 초등학교 이전에 수화를 배운 학생 8명:청각장애그룹 1, 일반학교를 졸업하고 대학교 입학 후 수화를 배운 청각장애학생 12명: 청각장애그룹 2)과 일반 건청 대학생 11명을 선정하고 동영상을 본 후 쓰기과제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동시적 이중언어로써의 수화사용자와 순차적 이중언어로써의 수화사용자를 그룹1과 그룹2로 배정하고, 건청 대학생그룹과의 쓰기담화를 비교분석한 결과 구문특성의 양적분석에서는 평균 문장수, 평균어절수, 평균단어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청각장애그룹과 건청인그룹 사이의 문법오류유형별 오류수를 측정한 결과는 첫째, 동사오류에 있어서 청각장애그룹1과 건청인그룹의 오류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청각장애그룹2와 건청인그룹의 오류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이것은 수화습득시기가 빠르고, 사동-피동을 단어가 아닌 수향(방향)으로 나타내는 수화문법이 익숙한 청각장애그룹1에서 2차언어인 한국어문법의 동사 오류를 빈번히 범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조사오류에서는 청각장애그룹1과 청각장애그룹2 모두 건청인그룹과 오류수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청각장애그룹1의 경우 좀 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일반학교에서 구화를 사용한 기간이 더 긴 청각장애그룹2, 즉 순차적 이중언어로써의 수화사용자가 조사오류에서 좀 더 낮은 오류를 범했다.셋째, 연결어미오류에서는 청각장애 두 그룹 모두 건청인그룹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총오류수에서 청각장애그룹1과 건청인그룹의 오류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더 뚜렷이 나타났으며, 오류유형별로는 조사오류에서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오류의 유형을 살펴보면, 청각장애인이 사용하는 한국어의 오류양상은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배우는 과정에서 보이는 오류양상과 비슷한 점이 많다. 동사의 경우 불규칙활용이나 사동-피동의 오류가 보였고, 조사나 어미의 쓰임에서도 오류가 나타났다. 다른 외국어와 한국어의 대조분석은 다문화시대를 맞아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농인들의 모국어라 할 수 있는 자연수화에 대해서는 언어학적으로 대조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오류의 원인에 대해 명확히 기술하기 어렵다. 앞으로 수화와 한국어의 대조분석이 더 필요하다.

      • 럭셔리 패션 수입 브랜드 MD의 판매 전략 정보 활용에 따른 성과에 관한 연구

        이서진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Variously mixed selling strategic informations are shared and executed by merchandisers & sales advisors to accurately & quickly understand customers' external & internal need which is rapidly & diversely changing on a daily basis. Recently, in case of luxury fashion import brand, including sharing general sales target plan & merchandise information, through more detailed and variously combined selling strategic informations, they are not only closely reach to the sales target plan but also more sophisticated service are provided to customers and that is efficiently used for customer management and also especially used for creating new customers. Despite of the importance of utilizing selling strategic information to achieve this kind of sales performance, regarding studies are very insufficient. Currently the studies are mainly focused on merchandise's efficient sell through(An, Byung Soo, 1999; Suh, Eun Hee, 2006; Lee, Yoo Jin, 2006; Park, Soo Hyun, 2016, recite) but the studies on integrative utilizing selling strategic information are inadequate. This refers due to the studies were mostly done on buying & sell through in general, the sales performance through utilizing selling strategic information was not reveal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overall utilizing selling strategic information including sales target plan, merchandise information, customer by gender(age & sex) information, customer by spending(new/existing/VIP) information & competitors information, to draw the influence on performance of merchandise & sales advisor. This will be beyond creating additional profit for the company, but it can be used as sales strategy to understand and predict customer in depth and ultimately to maximize the profit on the limited market. The results on study are as below. First, result on factor analysis for selling information utilization are drawn by total 5 factors, including competitor's information, merchandise information, sales target plan information, customer by gender(age & sex) information and customer by spending(new/existing/VIP) information, and result on performance are drawn by total 2 factors which are company and individual performance. Second, the result on the effect of selling information utilization on performance, only merchandise information side has affected on company's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none of variable has not effected on individual performance. Third, result on analysis for difference on information utilization and performance by group, 1)by age group analysis, the 30's & 40's utilization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20's. 2)by occupation analysis, merchandiser's competitor's, merchandise and sales target plan information utilization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sales advisor. 3)by length of career analysis, over 5 years experienced(including over 5 years experienced to under 10 years experienced and over 10 years experienced) competitors' information and sales target plan information utilization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ver 1 year to under 5 years experienced. Regarding individual performance, over 5 years to under 10 years experienced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over 10 years and over 1 year to under 5 years experienced. 4)by position in company analysis, junior merchandiser's competitor's information utilization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new employee. Regarding sales target plan information utilization, assistant store manager and senior merchandising manager's utilization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ew employee. Regarding individual performance, assistant merchandiser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new employee. 5)by women's ready-to-wear analysis by retail price, between over 2 mil. kwn to under 5 mil. kwn and over 5 mil. kwn to under 10 mil. kwn,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utilizing selling strategic information but significant difference on both company & individual performance. Regarding both company & individual performance, over 2 mil. kwn to under 5 mil. kwn has shown significantly higher than over 5 mil. kwn to under 10 mil. kwn. 6)by handbag analysis by retail price, regardless pric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information utilization and performance. Regarding on customer by gender(age & sex) information, over 5 mil. kwn to under 10 mil. kwn's utilization is analyzed significantly higher than over 1 mil. kwn to under 5 mil. kwn. 7)by accessory retail price analysis, regarding merchandise information utilization, over 2 mil. kwn to under 5 mil. kwn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over 5 mil. kwn. 8)by total company sale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size of total sales, company and individual performance on information utilization and performance. The result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only merchandise information utilization among 5 attributes of competitor's, merchandise, sales target plan, customer by gender(age & sex) and customer by spending(new/existing/VIP) from selling strategic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none among 5 attributes has affected on individual performance. Therefore, to encourage individual performance by setting more specific personal goals such as personal incentive plan vs target and personal incentive plan by specific merchandise, it should be reflected in a more direct way to influence individual performance. This should be noted that the satisfaction of individual performance is directly related to the ongoing company's performance. 매일 빠르고 다양하게 바뀌고 있는 소비자들의 외적인 동시에 내적인 구매 욕망을 정밀하고 빠르게 파악하기 위해 다양하게 조합된 판매 전략 정보들을 MD(머천다이저)와 매장의 Sales Advisor(판매 직원)가 서로 공유하며 정확하게 집행하고 있다. 최근 패션 수입 브랜드의 경우 통상적 판매 전략 공유 방식인 매출 목표 공유와 상품 교육 정보 공유를 포함하여 더 정밀하고 복합적인 판매 전략 정보 활용을 통해 목표에 근접할 뿐 아니라 보다 정교한 서비스를 고객들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판매 전략 정보 활용을 통한 효율적 고객 관리 및 특히 신규 고객 창출에 급진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판매 성과를 이루기 위해서는 판매 전략 정보 활용이 중요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현재 상품의 효율적 회전 적중률에 관한 연구 측면들(안병수, 1999; 서은희, 2006; 이유진, 2006; 박수현, 2016, 재인용) 위주로 이루어졌을 뿐 통합적인 판매 전략 정보 활용에 대한 연구나 자료는 미비하다. 이는 일반적인 구매(Buying)와 소진(Sell Through)을 연구한 것이 대부분임으로 전략 정보 활용에 따른 판매 성과에 대해 알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매출, 상품, 고객 군, 고객 개인 정보의 활용과 동종업계 정보의 총체적 판매 전략 활용을 바탕으로 기업, Merchandiser(MD)와 Sales Advisor(판매 직원)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는 또한 기업의 추가 이익 창출을 뛰어 넘어 고객을 심도 있게 이해하고 예측 할 수 있는 판매 전략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며 궁극적으로 한정시장의 이익극대화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판매 정보 활용의 요인 분석 결과, 동종업계 정보, 상품 정보, 매출 목표 정보, 고객 군 정보와 고객 개인 정보 활용의 총 5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성과 요인 분석 결과, 회사와 개인 성과의 총 2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판매 정보 활용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 상품 정보 측면만이 회사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그 어떤 변수도 개인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집단 간의 정보 활용과 성과 차이에 관한 분석 결과, 1) 연령 분석에 있어, 30대와 40대 연령층의 활용이 20대에 비해 더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2) 직종 분석에 있어, MD의 동종업계, 상품 및 매출 목표 정보 활용에서 Sales Advisor(판매 직원)보다 더 유의하게 높았다. 3) 경력 분석에 있어, 5년 이상-10년 미만 경력자와 10년 이상 경력자의 동종업계 정보 활용, 매출 목표 정보 활용과 개인 성과에서 1년 이상-5년 미만 경력자보다 더 유의하게 높게 분석됐다. 4) 지위 분석에 있어, 차장급의 동종업계 정보 활용이 사원급의 활용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매출 목표 정보 활용의 경우 부점장급과 부장 이상급의 활용이 사원급의 활용도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분석됐다. 고객 군 정보 활용에 있어서 매장의 부점장급의 정보 활용이 과장급의 활용도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개인 성과의 경우 대리급이 사원급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5) 여자 의류 가격대 분석에 있어, 200만원 이상-500만원 미만의 가격대 취급 업체와 500만원 이상-1,000만원 미만 가격대 취급 업체 간의 정보 활용과 성과에서 정보 활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성과의 경우 회사 성과와 개인 성과 두 부분에서 동일하게 200만원 이상-500만원 미만 가격대의 여성 의류 업체가 500만원 이상-1,000만원 미만의 가격대 취급 업체보다 더 유의하게 높았다. 6) 가방 가격대 분석에 있어, 가격대의 구분 없이 정보 활용과 성과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객 군 정보 활용의 경우, 500만원 이상-1,000만원 미만 가격대 취급 업체가 100만원 이상-500만원 미만 가격대 취급 업체보다 더 유의하게 높게 분석되었다. 7) 악세사리 가격대 분석에 있어, 상품 정보 활용의 경우, 200만원 이상-500만원 미만의 가격대 취급 업체가 500만원 이상의 가격대 취급 업체보다 더 유의하게 높았다. 8) 회사 총 매출에 따른 정보 활용과 성과 분석에서, 총 매출의 규모, 회사적 및 개인적 성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본 연구 결과, 판매 전략 정보 활용의 동종업계, 상품, 매출 목표, 고객 군과 고객 개인의 다섯 가지 속성 중 상품 정보 활용만이 회사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반면 연구된 다섯 가지 속성 중 그 어떤 속성도 개인 성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각 개인의 성취도에도 부합할 수 있는 문항들이 포함되어 추가적인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개인 성과를 독려할 수 있는 개인별 목표 대비 인센티브 플랜과 특정 상품 별 개인 인센티브 플랜 등 좀 더 구체적인 개인 목표의 설정을 통해 개인 성과에 더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도록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개인 성과의 충족이 지속적인 회사 성과와도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음으로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 FDM 타입 보급형 3D프린터의 직육면체 형태 출력물 품질 향상을 위한 최적 제어 파라미터 분석

        이서진 한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3D 프린팅 기술을 발달로 인하여 비전문가 일반 사용자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타입의 보급형 3D프린터가 많이 상용화되었다. 이에 따라 산업현장 뿐만 아니라 가정이나 학교와 같은 공간에서 쉽게 3D프린터를 사용하여 맞춤형 제품을 생산 할 수 있게 되었다. 기존 산업용 3D프린터의 출력물은 기계 부품이나 건설자제의 용도로 사용되어 고강도와 높은 수준의 정밀도를 필수적으로 요구한다. 하지만 일반 소비자가 3D프린터를 사용할 때는 출력물을 주로 장난감이나 생활용품 같은 용도로 사용하기 때문에 산업용 3D프린터의 출력물과 같은 수준의 강도나 정밀도는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되는 재료도 산업용 FDM 타입의 3D프린터는 금속이나 콘크리트 등이 주를 이루지만, 보급형 3D프린터는 플라스틱이 대중적으로 사용된다. 다시 말해 보급형 3D프린터의 출력물과 산업용 3D프린터의 출력물은 사용하는 용도, 재료, 대상 소비자가 다르기 때문에 고품질에 대한 기준이 상이하다. 따라서, 산업용 3D 프린터에서 생성되는 제품과는 다른 보급형 3D 프린터 출력물에 대한 품질 측정이 필요하다. 또한 보급형 3D프린터는 산업용 3D프린터와는 탑재된 옵션이나 시스템의 제어 가능 범위가 다르기 때문에 보급형 3D프린터의 최적 제어 변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에게 어떤 품질요소가 가장 중요한지 KANO 모델 기반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고자 한다. 중요한 품질 요소를 결정한 후,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보급형 3D프린터의 최적 출력 제어변수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 보급형 3D프린터 사용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품질 요소는 각 변의 길이 오차, 강도, 표면의 거칠기, 프린팅 시간, 무게 순서로 정리되었다. 이 중 각 변의 길이 오차와 표면의 거칠기를 고려하여 보급형 3D프린터의 최적 제어 파라미터를 통계 분석한 결과 내부밀도는 30%, 레이어의 높이는 0.1㎜, 외벽 라인의 수는 2개인 경우 가장 좋은 품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히팅베드는 추가되는 경우 더 좋은 품질을 나타냈지만, 챔버는 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못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비전문가 일반 사용자도 원하는 수준 이상의 품질을 보다 쉽게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일반 사용자가 3D프린터 구매 시 옵션 선택에 도움을 줘 보다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의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품질요소의 우선순위가 보급형 3D프린터 제작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Due to the development of 3D printing technology, many entry-level 3D printers with FDM (Fused Deposition Modeling) types can be simply used by non-professional general users, and thus they have been popularly commercializ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produce customized products using 3D printers not only in industrial sites but also in personal spaces such as home and school. The outputs of existing industrial 3D printers are usually used for mechanical parts and building materials, and therefore high strength and precision are essentially required. However, when ordinary consumers use 3D printers, printing results are mainly used for toys or household goods. That is, the same level of strength or precision as those made by industrial 3D printers is not required. In addition, industrial FDM-type 3D printers are used with various materials, such as metal and concrete, but major materials for low-cost 3D printers are plastic. In other words, the outputs of entry-level 3D printers and industrial 3D printers should have different standards for high quality because the uses, materials, and target consumers are different. Therefore, we need a measurement standard for output quality of entry-level 3D printers different from industrial 3D printers. In order to increase accessibility 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 of the printers, general entry-level 3D printers exclude various options for controlling a quality of output precisely, and consequently it make fine adjustments difficult. For example, most industrial FDM-type 3D printers basically have heating bed and chamber options, but many entry-level 3D printers doe not have those options. Therefore, in this paper, we intend to determine priorities by deriving which quality factors are most important to users through KANO model based surveys. After determining the most important quality factors in entry-level 3D printers, we also investigate the optimal control parameter which showed significant effects to the quality of outputs generated by FDM printers. As a result of the above mentioned survey analysis, the most important quality factors in using entry-level FDM type 3D printers were summarized in the order of length error of each side, strength, surface roughness, printing time, and weight. Among them, we selected two important quality factors (i.e., length error of each side and surface roughness) to design the experiments for investigating optimal control parameters of entry-level 3D printers and conducted statistical inferences between five control parameters and two quality factors.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rnal density was 30%, the height of the layer was 0.1㎜, and the number of outer wall lines was 2. In addition, the heating bed showed better a output quality when added, but the chamber did not significantly affects the quality. Using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non-professional users are able to more easily obtain high quality above the desired level. In addition, it will help general users to choose appropriate options when purchasing FDM type 3D printers, and then they can make more effective decisions. Lastly, in the case of 3D printer manufacturing companies, the proposed priority of quality factors and control parameters can contribute to the efficient production of entry-level FDM 3D printers.

      • 텍스트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한 대학 역량기반 교육 방향 탐색

        이서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고등교육의 목적은 본래 학술이론과 그 응용을 가르치고 연구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최근처럼 급격하게 변화하는 사회에서는 이러한 교육만으로는 더 이상 대학이 학생들에게 적절한 능력을 배양하지 못한다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다. 이에 따라 각 대학은 직업 및 직무 훈련 또는 삶의 다양한 맥락적 필요로 대두된 역량의 개념을 활용하여 새로운 교육 활동을 설계하고 있다. 오랜 기간 검증을 통해 설계된 교육과정을 역량기반 교육과정이 급격히 교체하는 과도기의 상황속에서, 핵심역량 및 대학생의 역량 수준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과정은 대학 입시, 대학생의 학업성취 파악 및 진로지도, 대학의 교육과정 설계, 정부의 고등교육 성과평가 등 다양한 이해관계 요소와 관련 맺게 되었다. 따라서 고등교육 전반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목표인 대학생 핵심역량이 설정되고, 실제 역량기반 교육이 시행되는 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필요가 있다. 한편, 국내 대학 역량기반 교육에 대한 지원과 시행은 교육부의 대학 재정지원사업에 따라서 지대한 영향을 받았고, 현장에서는 교육과정 영역별로 큰 차이를 보인다. 역량기반 교육의 시행을 명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대학 재정지원사업에 따른 시기(도입기, 정착기, 확장기, 변혁기) 및 교육과정 영역(전공, 교양, 비교과)을 고려하여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학술지 초록을 활용하여 국내 대학 역량기반 교육의 목표와 시행의 실제를 파악하고, 영향요인(교육부 재정지원사업 시기, 교육과정 영역)을 고려하여 이를 세밀하게 살펴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핵심역량’ 및 ‘대학 역량기반 교육’과 관련된 학술지 초록에 나타난 주요 키워드의 빈도, 키워드 간 관계(네트워크 연결), 주요 토픽은 중요 키워드에 대해 어떠한 의미를 시사하는가? 둘째, ‘대학생 핵심역량’ 및 ‘대학 역량기반 교육’과 관련된 학술지 초록에 나타난 주요 키워드의 빈도, 키워드 간 관계(네트워크 연결), 주요 토픽은 역량기반 교육 지원정책의 시기별로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셋째, ‘대학생 핵심역량’ 및 ‘대학 역량기반 교육’과 관련된 학술지 초록에 나타난 주요 키워드의 빈도, 키워드 간 관계(네트워크 연결), 주요 토픽은 교육과정 영역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분석 대상은 2010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발행된 학술지 초록 876건으로, 웹스크래핑으로 KCI에서 수집되었다. 각 문서들에 대해 전처리 후 DTM으로 변환을 실시하였고, 그를 토대로 키워드 빈도(TF, TF-IDF) 및 네트워크 분석과 토픽 모델링(LDA)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도(TF) 상위 키워드를 살펴본 결과 팀워크역량, 의사소통역량, 학습역량, 리더십역량, 문제해결, 인성역량, 자기관리역량, 창의력, 대인관계역량이 높은 빈도로 언급되었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결과, 팀워크역량, 의사소통역량, 핵심역량진단도구, 자기관리역량이 주목받았다. 토픽 모델링 분석 결과, 전공에 관계된 역량기반 교육에 실무역량이, 창업교육에는 창업역량이, PBL에는 창의융합역량이 대표단어로 각각 배정되는 등 다양한 역량이 역량기반 교육 각각의 특성에 맞게 나뉘어 배정되었다. 반면에, 역량기반 교육의 시행과 관련된 빈도(TF) 상위 키워드를 살펴본 결과 교양 교육과정, 인성 교육 프로그램,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 등 각각의 교육영역과 관련된 키워드가 골고루 언급되었다. 키워드 네트워크 중심성 상위 키워드를 살펴본 결과 교수학습방법이 주목받았다. 부그룹으로는 교육과정 구성에 관한 그룹이 가장 큰 그룹으로 등장하였으며, 토픽 모델링 분석 결과 교육과정과 핵심역량이 적절히 연계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구직, 창업, 인성은 부그룹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토픽으로 등장하였다. 둘째, 시기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TF기준으로 시기가 변화함에 따라 일부 TF 상위 단어가 교체되었다. TF-IDF 기준으로는 도입기 이외에는 역량이 거의 등장하지 않다가 변혁기에 새로운 역량이 대거 등장하였는데, 이를 통해 기존과 차별화된 역량이 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시기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도입기에서는 핵심역량진단도구, 자기관리역량, 팀워크역량이, 정착기에서는 팀워크역량, 의사소통역량, 핵심역량진단도구, 자기관리역량이, 확장기에서는 핵심역량진단도구, 학습역량이, 변혁기에서는 팀워크역량, 의사소통역량이 상위 매개 중심성 단어로 등장하였다. 시기별 토픽 모델링 분석 결과, 대학생 핵심역량에 관한 토픽은 자기주도학습 역량진단 및 교육, 창업교육 및 창업역량, 직업적역량, 창의 및 융합역량, 역량 간 관계 및 역량의 활용, 전공역량 향상, 인성 및 상호작용 역량의 7가지 토픽이 시기와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모습을 보였다. 대학 역량기반 교육의 시행과 관계된 결과, 도입기에는 구직, 문화콘텐츠, 문화, 직업, 일자리 등이, 정착기에는 학업성취도, 교양 교육과정, 의사소통, 교수학습방법, 창업 등이, 확장기에는 학업성취도, 교양 교육과정, 창업, 교수학습방법, 비교과교육프로그램 등이, 변혁기에서는 교양 교육과정, 교수학습방법, 교양교과목, 교과교육과정, 창업, 비교과교육프로그램 등이 상위 TF 키워드로 등장하였다. 빈도(TF-IDF) 상위 키워드는 대체로 TF와 유사한 의미의 키워드가 선정되었으며, 정착기에서는 구직의지, 다양성, 독서교육, 사회적 지지, 진로정체감, 창업자 등 TF와 다른 의미의 키워드가 다수 등장하였다. 확장기에는 실무경험, 학업부진 학생, 공정무역, 진로효능감, 자아탄력성이 등장하였고, 변혁기에는 데이터리터러시, 서포터즈 프로그램, 교과목 인증제, 온라인 수업 등의 키워드가 상위권으로 등장하였다. 시기별 토픽 모델링 분석 결과 진로관련 개인변인, 교수학습방법 개발, 교수역량, 학습역량 향상 비교과 프로그램,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등 교수학습법 또는 교육프로그램, 진로개발과 관련된 5가지 토픽이 시기와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모습을 보였다. 진로개발 지원과 관계된 토픽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소멸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PBL과 관계된 토픽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주목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교육영역별 분석결과, 전공 교육영역에서는 학습역량과 전공역량이 주목받았으며, 교양 교육영역에서는 인성역량, 팀워크역량, 의사소통역량, 자기관리역량이 상위 키워드로 등장하였다. 비교과 교육에서는 학습역량, 창의융합역량, 인성역량, 대인관계역량이 등장하였다. 빈도(TF-IDF) 상위 키워드를 살펴본 결과 전공 교육에서는 전공역량, 교양 교육에서는 창의적인재역량, 데이터리터러시, 비교과 교육에서는 비인지적 핵심역량이 등장하였다. 교육과정 영역별로 상이한 역량을 포함하고 있으며, 교양 교육이 다수의 역량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육영역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매개 중심성 기준 전공 교육영역에서는 학습역량, 교양 교육영역에서는 팀워크역량과 의사소통역량, 비교과 영역에서는 학습역량이 등장하였다. 토픽 모델링 분석 결과, 교육과정 영역의 측면에서 밝혀진 대학생 핵심역량에 관한 토픽은 ‘전공역량 향상’과 ‘학습역량 향상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이 2가지 토픽이 시기와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대규모 문서를 대상으로 대학 역량기반 교육의 키워드와 키워드 네트워크, 토픽 분석을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교육과정의 시기별, 영역별 분석을 통해 새롭게 도입, 시행되고 있는 역량기반 교육의 가능성 및 한계를 확인하였으며, 역량기반 교육의 교육적 함의를 확인하고 교육 영역에 따른 실제적인 제안을 구성하였다. 이 연구에서 활용된 텍스트마이닝 기법은 다양한 교육 분야 연구에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후속 연구를 통해 분석 기법을 더욱 정교하게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 매입형 영구자석 전동기의 자속 모델 기반 센서리스 제어 알고리즘 : 루엔버거 관측기 설계 및 센서리스제어 성능 평가

        이서진 국민대학교 자동차공학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동기는 벡터 제어 혹은 직접 토크 제어를 위해 엔코더 및 레졸버와 같은 위치/속도 센서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센서는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고 이에 따라 안정성 문제가 야기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센서 리스 제어 기법들이 연구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유효 자속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전동기 센서 리스 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유효 자속 모델을 통해 돌극성을 갖는 매입형 영구자석 전동기를 비돌극 전동기로 변환하고 전차원 관측기를 설계하여 전동기의 상태 변수를 추정한다. 전차원 관측기를 설계하는 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루엔버거, 칼만 필터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루엔버거 방법을 이용하여 관측 시스템의 이득을 설계한다. 이때 전동기 시스템에서 루엔버거 관측기 이득 행렬 설계 방법을 제안하고 이에 따른 관측기의 응답성능을 살펴본다. 또한 정확한 상태 변수 추정을 위해서는 운전 환경에 따라 큰 폭으로 변화하는 전동기 시스템 제정수 추정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유효 자속 모델에서 주요한 전동기 제정수는 q-축 인덕턴스로 고정밀 제어를 위한 제정수 오차 대응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이를 통해 개발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저속 및 고부하 환경에서 위치 및 속도 추정 성능에 대해 살펴보고 제안한 제정수 오차 대응 방법이 유효한지 살펴본다. Motor drive systems require position/velocity sensors such as encoder and resolver for vector control or direct torque control. However, such a sensor is affect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accordingly, a stability problem. Various sensor-less control techniques have been studied to compensate for these shortcomings. In this paper, it is proposed that a motor sensorless control scheme based on Active flux model. Through the Active flux model, a permanent magnet motor with saliency is converted into a non-salient motor and a full-dimensional observer is designed to estimate the state variables of the motor. As a method of designing a full-order observer, methods such as Luenberger and Kalman filter are typically used. In this paper, the observation system is designed using the Luenberger method and proposed by a method for designing the Luenberger observer gain matrix and examine the response performance of the observer. In addition, for accurate state variable estimation, it is essential to estimate parameters of motor system, which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operating environment. In the Active flux model proposed in this paper, the main motor parameter is q-axis inductance, and a method for coping with the constant error for high-precision control is proposed. Using the algorithm developed through this, it is examined that the performance of estimating position and velocity in low-speed and high-load environments and examine whether the proposed method for coping with parameter error is effective.

      • 성인남성 안면 하드왁싱과 슈가링에 따른 제모효과와 피부상태 변화

        이서진 창신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 목적: 하드왁싱과 슈가링을 실시하여 안면 헤어라인과 구레나룻의 제모효과 및 피부상태 변화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왁싱 시술 프로그램 개발 및 미용 왁싱 시장의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연구 참여자 모집공고를 통해 연구 참여자를 모집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선정 기준에 부합하며, 자발적으로 연구의 참여에 동의한 성인 남성 20명을 최종 선정하였다. 왁싱 시술 후 안면 좌측은 하드왁싱을 실시하였고 안면 우측은 슈가링을 실시하였다. 피부상태와 헤어상태는 시술 전(1차 측정), 왁싱 시술 직후(2차 측정), 시술 4주 후(3차 측정) 총 3회 측정하였고 대상자의 주관적 평가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및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였으며, 수집한 자료를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반복측정 분산분석,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하드왁싱과 슈가링 시술에 따른 안면 피부상태의 유분 변화를 파악한 결과 왁싱 시술 전과 비교하여 시술 직후 유분은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4주 후 헤어라인의 경우 시술 전보다 유분이 증가하였고 구레나룻의 경우 시술 전의 피부상태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하드왁싱과 슈가링 시술 후 수분이 안면 피부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왁싱 시술 직후 수분은 증가하였으며 4주 후에는 시술 전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하드왁싱과 슈가링 시술 후 모공이 안면 피부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왁싱 시술 직후 모공은 증가하였으며 4주 후에는 시술 전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하드왁싱과 슈가링 시술에 따른 안면 피부상태의 거칠기 변화를 파악한 결과 시술 전과 비교하여 시술 직후 거칠기는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4주 후 헤어라인의 경우 시술 전의 피부상태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구레나룻의 경우 시술 전보다 거칠기가 증가하였다. 다섯째, 하드왁싱과 슈가링 시술 후 피부톤이 안면 피부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왁싱 시술 직후 피부톤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4주 후에는 시술 전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섯째, 하드왁싱과 슈가링 시술에 따른 안면 헤어상태의 헤어 수 변화를 파악한 결과 시술 직후 하드왁싱과 슈가링의 헤어 수는 모두 감소하였으며 4주 후에는 시술 전과 비교하여 하드왁싱, 슈가링의 헤어라인, 슈가링의 구레나룻의 경우 시술 전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하드왁싱의 구레나룻의 경우 시술 전의 헤어상태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일곱째, 왁싱 시술 후 대상자의 주관적 평가를 실시한 결과 하드왁싱은 통증, 따끔거림, 열감과 화끈거림, 피부 붉어짐, 가려움이 유의하게 높으며 슈가링은 매끄러움, 피부톤이 밝아짐, 각질 제거, 피부상태에 대한 만족도는 유의하게 높고 재관리 및 타인에 대한 권유 의향도 높았다. 결론: 하드왁싱과 슈가링 시술 직후 안면 피부의 유분은 감소, 수분은 증가, 모공은 확대, 거칠기는 증가, 피부톤은 붉어져 왁싱 시술 전 피부상태 변화에 대한 고객 안내 및 대응이 필요하다. 특히 안면 헤어라인의 유분과 구레나룻의 거칠기의 경우 4주 후에도 원래의 피부상태로 완전히 회복되지 않아 이 부분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4주 후 잔여 헤어 수는 시술 전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줄어들었으나 하드왁싱을 실시한 구레나룻 부위는 이전 상태의 헤어 수와 유의한 차이가 없어 반복 시술 시 참고가 필요하다. 하드왁싱, 슈가링의 두 집단 모두 제모효과와 피부상태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슈가링 집단의 만족도, 재이용 의도, 추천 의도가 더 높게 나타나 고객의 만족도를 고려한 왁싱 시술 시 슈가링을 제안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하드왁싱, 슈가링, 하드왁스, 슈가페이스트, 피부상태, 헤어상태

      • 범죄 심각성과 자백 여부에 따른 법과학적 증거의 신뢰성 및 양형판단 : 법과학적 증거 평가 편향의 매개효과

        이서진 숙명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reliability of forensic evidence and the sentencing judgments depending on the crime seriousness and confessions, and investigated whether bias of the forensic evidence evalua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each of the referring variables. A total of eight scenarios were comprised by the combination of crime seriousness and confession conditions. Two types of crime, murder and theft, were chosen depending on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ived crime seriousness. Confession was manipulated by four conditions: confession, denial, confession reversal, and control. Thirty-five participants read each of the scenarios and rated the perceived crime seriousness, reliability of the confession and forensic evidence, and degree of punishment. They then responded to the scale of the forensic evidence evaluation bia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bias of the forensic evidence evaluation o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reliability of the forensic evidence and the confession, and the sentencing judgments. The results showed that respondents trusted forensic evidence more in the murder condition than the theft condition, and were more likely to convict the defendant and to impose a serious sentence in the murder condition than the theft condition.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liability of the forensic evidence according to the confession manipulations, more guilty judgments and heavy sentences were made under the confession and the confession reversal condition. Meanwhile,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bias toward evaluation of the forensic evidence according to the seriousness of the crime. The more serious people considered the crime in the scenario, the stronger they believed that the forensic evidence itself was tru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ias toward evaluation of the forensic evidence based on whether or not the confession was made. Lastly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the bias of the evaluation of forensic evidence in the reliability of the forensic evidence and sentencing judgment according to perceived seriousness of crime by collapsing all conditions. Specifically, the same mediating effect was found in the murder and the denial of confession condition, respectively.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judgment of a crime could vary depending on the perceived severity of the crime and the reliability of the confession. In particular, people are vulnerable to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bias of forensic evidence, when they are highly aware of the severity of the crime. It may prevent people from making accurate juristic judgments. Final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범죄 심각성과 자백 여부에 따라 법과학적 증거의 신뢰성과 유·무죄 및 양형판단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법과학적 증거 평가 편향이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알아보았다. 범죄의 심각성 인식 정도에 따라 살인과 절도 두 가지 범죄 유형을 제시하였으며, 피고인의 자백 여부에 따라 자백, 부인, 번복, 통제 총 네 가지 조건으로 분류하여 전체 8가지의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각 시나리오 당 35명씩 총 280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제시된 시나리오를 읽은 후 사건의 심각성 인식, 자백 여부에 대한 신뢰성, 법과학적 증거의 신뢰성, 그리고 유·무죄 및 양형판단에 대하여 응답하도록 하였다. 또한, 법과학적 증거를 평가함에 있어 편향이 있는지 알아보고, 법과학적 증거 평가 편향이 범죄 심각성과 자백 여부 각각의 변인과 법과학적 증거의 신뢰성 및 양형판단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 범죄 심각성에 따라 살인범죄 조건에서 절도범죄 조건에 비해 법과학적 증거를 더 많이 신뢰하고 피고인에게 유죄 판단을 내리며, 중한 양형을 부과하는 경향이 있었다. 자백 여부에 따라서는 법과학적 증거의 신뢰성에서 차이는 없었지만 자백 조건과 번복 조건에서 더 많은 유죄 판단을 하고 무거운 형량을 선고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편, 범죄 심각성에 따라 법과학적 증거 평가 편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살인범죄 조건에서 법과학적 증거를 더욱 지나치게 신뢰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자백 여부에 따른 법과학적 증거 평가 편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모든 조건을 통합하여 분석한 결과, 범죄 심각성 인식 정도에 따른 법과학적 증거의 신뢰성과 양형판단 간의 관계에서 각각 법과학적 증거 평가 편향의 매개효과가 있었으며, 살인범죄 조건과 범행 부인 조건에서도 법과학적 증거 평가 편향이 범죄 심각성 인식 정도와 법과학적 증거의 신뢰성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는 범죄 사건에서 인식하고 있는 범죄의 심각성과 자백 여부에 대한 신뢰성에 따라 사건 판단이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특히 범죄 심각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법과학적 증거 평가 편향 등과 같은 외적 요인에 취약할 수 있으며, 이는 정확한 판단에 방해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