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로리타룩을 응용한 현대 패션 디자인 연구 : 영화 시모츠마 이야기를 中心 으로

        이주영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2004년 나카시마 테츠야 감독에 의해 제작된 영화 ‘시모츠마 이야기’에 나타난 복식을 분석·고찰하여 영화내에서의 사적 측면에서 연구 하였다. 이를 통해 영화에서의 영화의상의 중요성을 깨닫고 영화로 유행되어진 로리타 패션에 대해 연구·분석 하였다. 영화에 나타나는 복식은 흔히‘ 영화의상’이라고도 일컬어지는데, 이는 ‘의상’ 이라는 개념이 ‘복식’보다는 다소 특화 되어 있기 때문이다. 영화의상은 배우의 연기에 진정성을 부여해 영화의 내용과 서술적 구조를 보다 쉽고 빠르게 이해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기 때문에 대중들은 영화에서 보여지는 의상만으로 영화에 대한 개략적이고 종합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주인공 모모코의 의상 분석과 현대 패션에 나타나는 의상을 여러각도로 관찰하여 주인공 모모고의 의상디자인을 제시하였고 선행된 연구 자료를 관찰하여 로리타 패션의 특징들은 응용한 7점의 작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 작품의 분석과 고찰을 통해 영화에 표현된 로리타 의상의 상징성을 관찰하였다. 이론적 배경에서 일반적인 영화의상의 역할을 제시하고 작가 및 작품 해설을 통해 영화 내용을 파악하였고, 그 다음 영화에 표현된 로리타 패션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소설과 영화에 묘사되어 진 여주인공의 귀여운 이미지를 나타내는 로리타 패션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 실루엣은 둥글고 프릴과 퍼프소매, 러플로 풍성한 느낌을준다. 둘째, 색상은 주로 흰색에서 파스텔톤이 많고, 짙은 브라운도 쓰인다. 무늬는 꽃무늬나 과일무늬, 케이크라던지 체크 무늬에 꽃 무늬, 체리나 딸기의 후루츠 무늬 등등의 사랑스러운 소녀다움을 나타낸 느낌이 많다. 이러한 기본적인 로리타 패션의 특징은 현대에 살고 있는 소녀들에게 귀여운 이미지를 표현하는 방항으로 유행되고 있다. 현대 패션에 로리타 패션을 접목시켜 응용한 작품 제작을 통해 연구자가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로리타 패션은 의복의 일반적인 역할만을 수행하는것이 아니라 영화의상으로도 응용하여 배우가 지닌 개성을 완화시키고 등장인물들의 성격과 개성을 표현할수 있도록 디자인 되어야 한다. 둘째, 로리타 패션의 표현을 위한 첫 번째 방법인 텍스타일 디자인을 통해 플로럴 문양이 기본이되며, 귀여운 이미지에서 품위있는 이미지까지 표현할수 있는 의미를 지닌 문양임을 알수 있었다. 셋째, 로리타 패션에서의 색상은 파스텔 계열의 색상들이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보였지만 비비드한 컬러와 어두운 계열의 색상이 포인트컬러로 사용되는것을 알수 있었다. 넷째, 한국패션속의 로리타 패션은 아직은 시작인 단계이지만 여러 가지의 다양한 매체를 통해서 일상의 곳곳에 침투해 새로운 패션의 요소로서 함께 사용되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로리타패션 이라는 의미가 예전의 의미와는 달리 좀더 새로운 패션 요소로서 해석 할수 있었다. 21세기에 새로운 주류로 나타나게된 일본의 로리타패션은 어린 소녀에서부터 성인 여성에 이르기까지 모든 여성들의 귀여움에 대한 동경을 내포하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연구자는 새로운 로리타 패션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로 인해 일반 패션 디자인 분야의 창작 활동에도 도움이 되길 바란다. This study was designed in 2004 by the Connecticut coach thrilling film 'story simocheuma' doubles, appeared on the analysis. Literature research on the film within the private side. This allows the film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film on the film, were Lolita fashion trend for the study. Analysis. Doubles is a common occurrence in the movie 'movie costumes,' also known as also known as makes, it 'costume' to the concept of 'doubles' rather than because they are specialized. Movie actor's costumes are truly acting in the film's content and distorting the structure of the grant to more quickly and easily understood, because the masses are usually large role in a movie shown in costumes for the film alone, and outline a comprehensive insight into the flow. Hero's costume analysis and 7 modern fashion as it appears in costume yeoreogakdo observation of the heroine's costume design Momo offered by research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observed by fasting 7 Lolita fashion pieces presented. This study is the work of analysis and Literature through the film's costume Lolita symbolic representation of observation.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usual film on the role of the present writer and commentator work to determine the contents into a movie, then the movie for Literature expressed Lolita fashion. The result is depicted in the novel and the film's heroine with a cute image that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Lolita fashion. First, the basic silhouette is round and pull through, refuses to give the impression that rich. Second, it is primarily the white color in 1010 a lot, used as a dark brown. Fruit flower pattern is a pattern, LA throw check pattern on the cake flower patterns, etc. 118 strawberry pattern of the garden as a memorial feel there are many lovely girls. Thes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fashion Lolita girls who live in a cute image, a representation banghangeuro fashion. Lolita fashion and modern fashion, the song works produced by the researchers combined the results of caution is as follows. First, the movie's costumes are common apparel role it is not only done to mitigate the emergence of actors with personality portrait of the character and personality designed to be wonderful. Second, Lolita fashion for the first presentation of a way of textile design through to the primary floral patterns, with a cute image in the dignified image of the concept with meaningful patterns that could learn. Third, the United States Lolita fashion fashion look, but is still several steps in Maryland through a variety of media everywhere, the everyday elements of a succession of new clothing is being used as a startup. Therefore, in this study, the mean old Lolita fashion, means that, unlike the newer fashion can be interpreted as a factor. In the 21st century, Japan's new mainstream natanagedoen Lolita fashion is a young girl from the women about everything from women's cute to imply that you are implying Tokyo. Researchers in the new study due to ongoing Lolita fashion for the general field of fashion design creative activities also help I wanted.

      • 포스트모더니즘 패션에 표현된 패러디 표현기법을 응용한 벨트 디자인 개발 연구

        김보람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71

        Industrial society of today is rapidly changing. Hence, values and personalities of the people are being apparent. And, the fashion in the society of today is tending toward valuing personality and diversity of each, distinction than standardized beauty in the past. New attempts unbound to style or matter, color, coordination etc. of the past are being done at the recent fashion. Fashion senses is also maturing as the limit is already felt on existing fashion design and want on expression of personality of their own of the consumers is growing. To this, the boundary like style, matter, color, etc. is collapsed at the fashion of today as the experimental spirit of designers is added, so due to this change, the accessory like the belt needs various application on the fashion design. This could be seen as the good reflection of the want of the modern people today. Since the impression changes as how and where the accent is given according to situation and intention as face, figure, character, impression of each person with the same dress varies, modern people take much interest in the accessory. Of those, the role of the belt, not just practical purpose or part of fashion, is growing as the important accessory showing the fashion trend and perfecting fashion. Accordingly, the study, reflecting the want of modern people valuing individual personality and diversity, distinction according to the rapid change of the industrial society of today, will play the part in the fashion coordination not just the practical use but as the original accessory through the creative belt design. Various figures of the belt will be embossed by applying the parody expression technique based on function of fastening of the belt, and the aim is to present the new fashion trend through the belt design applying the parody expression technique. As for contents and methods of this study, the parody techniques shown in the postmodernism are analyze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n belt and parody and seven pieces of belts are made by applying the expressing technique using partial modification (exaggeration, repetition, collage, metaphor, mixing techniques) and the expressing technique using structural modification (dismantling, distortion and modification, transposition and modification, disharmony techniques). Through the study, I expect that it is possible to show the belt with creative design different from existing belt as the fashion trend of the new accessory that can express not just practicality but figure and personality. 현대 산업사회는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이에 사람들의 가치관과 개성이 뚜렷해지고 있다. 또한, 현대사회로 오면서 패션은 과거 정형화된 미보다는 각자의 개성과 다양성, 차별성을 중시하는 경향으로 흐른다. 최근 패션에서도 과거의 스타일이나 소재, 컬러, 코디네이션 등에 얽매이지 않고 새로운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의상 디자인에서 이미 한계가 느껴지고, 소비자들도 자신만의 개성표출 욕구가 커지면서 패션의식 또한 성숙되어가고 있다. 여기에, 디자이너들의 실험정신이 더해져서 현대패션은 스타일, 소재, 컬러 등에 경계가 무너졌고, 이러한 변화의 흐름에 따라 벨트와 같은 액세서리도 의상 디자인에 다양한 활용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는 오늘날 현대인들의 욕구를 잘 반영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같은 옷차림이라도 사람마다 얼굴, 체형, 품성, 느낌이 제각각 다르듯이 상활과 의도에 맞게 어떻게, 어디에 액센트를 주느냐에 따라 느낌이 달라지기 때문에 현대인들은 액세서리에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 그 중 벨트는 실용적 목적이나 패션의 일부분에서 벗어나 패션 트렌드를 전달하고 패션을 완성시키는 중요한 액세서리로서 역할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 산업사회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각자의 개성과 다양성, 차별성을 중시하는 현대인들의 욕구를 반영하여 창의적 벨트 디자인을 통해 실용적 목적뿐만 아니라 독창적인 액세서리로서 패션코디의 일익을 담당할 것이다. 벨트의 묶는다는 기능성을 바탕으로 패러디 표현기법을 응용하여 다양한 벨트의 조형성이 부각 될 것이고, 패러디 표현기법을 응용한 벨트 디자인을 통해 새로운 패션 트랜드를 제시가 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벨트와 패러디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포스트모더니즘에 나타난 패러디 기법들을 분석하여 부분변형을 이용한 표현기법인 과장, 반복, 꼴라주, 은유, 혼합 기법과 구조적 변형을 이용한 표현기법인 해체, 왜곡과 변형, 전위와 변용, 부조화 기법을 응용하여 총 8점의 벨트를 제작하였다. 작품 소재로는 양가죽, 소가죽, 옥스퍼드, 세틴을 중심으로 체인, 링, 금속 부자재, 스냅단추 등을 사용하였으며, 실사물이나 조형물, 옷 등에서 모티브를 얻어 재미있고 독창적인 벨트 7점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벨트와는 다른 독창적인 디자인의 벨트로서 실용성뿐만 아니라 조형성과 개성을 표현할 수 있고, 포인트를 줄 수 있는 새로운 액세서리의 패션 트랜드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레이요그램 기법을 응용한 코르티잔 패션 디자인 연구

        변수연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71

        패션과 사진은 문화와 예술성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시대적 가치를 담아 선도한 예술가들 및 각 시대의 아이콘들이 있다. 그 예로 게오르그 지멜에 의해 패션 창조자로 인정받은 코르티잔들은 수많은 예술 작품 속에 주인공으로 등장하며 다양한 예술 분야에 영감을 주고, 오늘날 예술과 패션을 선도하는 데 원천이 되고 있다. 코르티잔은 부유한 사회 지배계층의 남자들과 관계를 가진 창부 혹은 정부로 계급시대의 가치체제에 의한 종속적인 사회 계층이었지만 점점 독립적으로 진취적인 삶을 살아나가며 여성들을 구속했던 제약들로부터 벗어나 여권을 회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사진은 ‘빛으로 그린다’라는 뜻으로 눈에 보이는 실제적인 대상을 평면으로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다. 하지만 20세기 초반에 전통적인 가치를 부정하고 합리주의와 기계 기술에 저항하는 다다이즘 정신과 무의식의 세계를 반영한 초현실주의 사상이 대두되면서 사진 분야에서도 새로운 시도들이 이루어졌다. 그 중 만 레이에 의한 레이요그램 기법의 등장은 기존의 사진 개념을 벗어나게 하는 전환점이 되었다. 이는 예술가의 사상을 사진 속에 담고 인위적인 이미지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사진의 영역을 확장하고 독창적인 예술 표현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에 영감을 주는 코르티잔의 복식을 형태, 색상, 장식, 소재로 분류하여 고찰한 뒤 현대 패션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 레이요그램의 조형적 특성을 투명성, 중첩성, 연속성으로 특성을 도출하여 실제적인 의상을 디자인함으로써 시대의 흐름에 맞는 창의적인 디자인을 창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코르티잔 복식과 레이요그램 기법의 분석을 통하여 현대 패션에 응용된 코르티잔 복식에 가치를 두고, 실물의 재현에만 그쳤던 사진 기법이 패션에 응용될 수 있음에 가능성을 부여하여 입체적인 의상으로 독창적인 디자인을 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코르티잔과 레이요그램에 관련된 문헌, 선행 연구, 자료, 패션 매거진, 예술 작품, 인터넷 자료 등을 참고로 이루어졌다. 패션 디자인 분석을 위해 국내외 컬렉션, 매거진 등을 활용하였고 이를 토대로 레이요그램 기법을 응용하여 코르티잔 복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6개의 패션디자인 작품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Ⅰ장에서 연구의 목적 및 의의, 연구의 내용 및 방법에 대해 논하였다. Ⅱ장에서 코르티잔에 대한 문헌 조사와 선행 연구를 통해 코르티잔의 발생 및 사회적 배경, 패션에 영향을 끼친 대표적인 코르티잔 3명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형태, 색상, 장식, 소재로 특성을 도출하였다. 레이요그램에 대한 단행본 및 선행연구, 사진집을 통하여 발생 배경 및 작품들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투명성, 중첩성, 연속성으로 조형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코르티잔 복식의 조형적 특성과 레이요그램 기법의 조형적 특성을 토대로 현대패션디자인에 응용된 사례를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위에서 분석한 특성을 바탕으로 레이요그램 기법을 패션디자인에 응용하여 현대적이고 독창적인 코르티잔 패션을 6점 제작하였다. 작품은 투명성 2점, 중첩성 2점, 연속성 2점으로 제작되었다. Ⅴ장 결론에서 위에서 분석한 코르티잔 복식의 특성과 레이요그램 기법의 조형적 특성을 정리하고 시대적인 요구에 부응하는 독창적인 디자인 연구 및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에서 살펴본 코르티잔 복식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형태는 여성의 성적인 부위를 강조, 왜곡하여 관능적인 여성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가슴이 드러날 정도로 깊게 파진 데콜타주, 콜셋으로 가늘게 강조한 허리, 과장되게 부풀린 스커트로 아워글라스 실루엣을 나타냈다. 색상은 노란색, 심홍색, 황갈색, 파스텔 색조, 검은색, 백색 등으로 고급 소재와 어우러져 우아하고 귀족적인 분위기를 자아냈다. 극도의 여성미를 보여주기 위하여 과도한 세부적인 장식을 사용하였는데 셔링, 프릴, 러플, 플라운스, 리본, 개더 등으로 화려함을 표현하였다. 소재는 광택감이 도는 고급스러운 실크, 레이스, 벨벳, 다마스크, 브로케이드, 타프타, 린넨 등으로 귀족적인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레이요그램의 이론적 분석을 통하여 도출한 조형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투명성은 사물의 투명도에 따라 빛이 투과하여 생성되는 흰색부터 검은색까지의 그림자를 통해 사물의 형태감이 나타난다. 중첩성은 오브제나 오브제의 이미지가 여러 층 겹치면서 생성되는 깊이감과 공간감을 나타낸다. 연속성은 형태, 모티프, 크기, 색채, 질감 등이 전이되거나 반복되는 것으로 리듬감과 균형감을 불러일으켜 추상적인 이미지를 표현한다. 이러한 관능적이고 향락적인 여성미를 강조한 코르티잔 복식에 레이요그램 기법의 조형적 특성을 도입하여, 사진 기법을 패션에 응용함으로써 소비자들의 요구를 반영한 창의적인 작품 6점을 제작하였다. 작품의 구성은 투명성을 응용한 작품 2점, 중첩성을 응용한 작품 2점, 연속성을 응용한 작품 2점으로 되어 있다. 레이요그램 기법을 응용하여 코르티잔의 미적 감성에 부합할 수 있는 독창적인 패션을 디자인함으로써 새로운 시대의 흐름에 맞는 예술적인 작품을 제작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코르티잔의 미적 가치가 현대적인 패션에까지 영감을 주고 있는 것에 가치를 두고, 이를 반영하여 현대적인 디자인 요소를 넣어 표현하였다. 사물의 현실적인 재현에 불과하던 아날로그적 사진 기법에서 벗어나 레이요그램 기법을 통한 새로운 발상과 예술적 가치를 담은 입체적인 패션을 디자인 할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Fashion and photograph have a common ground in containing culture and artistry. There are artists and periodic icons who took the head by containing this timely value. As its example, courtesans, who were recognized as a fashion creator by Georg Simmel, appear as the main character in numerous art works and give inspiration to diverse art fields, and are becoming the source in leading art and fashion of today. As a prostitute or a mistress who had a relationship with men in the rich ruling caste, the courtesan was a dependent social class according to a value system in the period of rank, but showed possibility available for being liberated from the restrictions to women and for recovering women's rights while proceeding with gradually making an independent and progressive life. As a photo implies to 'draw with light,' it was for showing a visible object with the actual plane. However, according to the emergence in the early 20th century of the Dadaism spirit, which denies traditional value and resists rationalism and mechanical technology, and of the surrealistic thought, which reflected the world of unconscious, new attempts were made even in a photographic field. Out of it, as Rayogram technique is appeared by Man Ray, it became the turning point that escapes from a conventional concept of photograph. This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expressing new art with extending the sphere of photo in the aspect of containing an artist's thought in a photo and creating an artificial im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the creative design in line with a periodic flow by examining the influence upon modern fashion after considering with classifying the courtesans' costume of giving inspiration to fashion into a form, color, decoration and material, by elicit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in transparency, overlap, and continuation of Rayogram technique and by designing actual clothing. Moreover, there is a significance in originative design with dimensional costume by giving possibility that the photographic technique of having remained just in the revival of a real thing, can be applied to fashion, with putting value in courtesan costume of being applied to modern fashion, through analyzing the courtesan costume and the Rayogram technique. A research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seeing documents, previous researches, materials, fashion magazine, art works, and internet data relevant to courtesan and Rayogram. To analyze fashion design, the collections and magazines at home and abroad were utilized. Based on this, 6 pieces of the fashion design applying courtesan costume with the Rayogram technique could be manufactured. This study was progressed as follows. Chapter 1 was discussed about the objective & significance of research, and the contents & method of research. Chapter Ⅱ was examined the occurrence & social background of courtesan, typically 3 courtesans who had influence upon fashion through a documentary survey and a previous research, and was elicited the characteristics in a form, color, decoration and material based on this. It examined the background of occurrence and the works through book forms, previous researches, and the photograph collection in relation to Rayogram and inquired into the characteristics in transparency, overlap, and continuation based on this. Chapter Ⅲ was analyzed a case of the application to contemporary fashion design based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of courtesan costume an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of Rayogram technique. Chapter Ⅳ was manufactured 6 pieces of the modern and originative courtesan fashion by applying the Rayogram technique to fashion desig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that were analyzed in the above. A work was manufactured with 2 pieces for transparency, 2 pieces for overlap and 2 pieces for continuation. The conclusion of Chapter Ⅴ was arranged a characteristic of courtesan costume and a characteristic of Rayogram technique that were analyzed in the above, and was suggested the direction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originative design of satisfying the periodic demand. The following are the characteristics of courtesan costume that were examined in the above developmental process. A form emphasized and distorted a woman's sexual region, thereby having aimed to reveal sensual femininity. It was shown décolletage, which is low-cut enough to be exposed the breast, the waist, which was stressed thinly with corset, and the X-lettered silhouette with the excessively inflated skirt. A color included yellow, lac lake, light brown, pastel tone, black and white, thereby having harmonized with the luxury material, resulting in having aroused elegant and aristocratic mood. To show the extreme femininity, the excessively detailed decoration was used. Brilliance was expressed with shirring, frill, ruffle, flounce, ribbon and gather. Aristocratic atmosphere was produced with luxury silk with a glossy sense, lace, velvet, damask, brocade, taffeta, and linen. The following are the characteristics that were drawn through the theoretical analysis of Rayogram. Transparency shows tone from white color to black color through a form of a thing along with a shadow that is created by the penetration of light according to the transparency of a thing. Overlap is a sense of depth and of space in which a thing or an image of a thing is created with being overlapped in many folds. As the continuation is that is spread or repeated a form, size, tone, and texture, it allows a sense of rhythm and balance to be felt. Six creative works with the reflection of consumers' needs were manufactured by applying photographic technique to fashion after introduc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Rayogram technique to the courtesan costume with the emphasis of this sensual and pleasure-seeking femininity. The works are composed of 2 pieces with the application of transparency, 2 pieces with the application of overlap and 2 pieces with the application of continuation. Designing the originative fashion available for satisfying courtesans' aesthetic sensitivity by applying Rayogram technique led to being able to manufacture artistic work in line with a flow of new era. Through this, study, the aim was to express it as contemporary fashion by reflecting this with putting value in what the courtesans' aesthetic value is giving inspiration even to the modern fashion. There is a significance in being able to design the dimensional fashion, which contains new idea and artistic value through Rayogram technique, with escaping from the analogue photographic technique, which had been just the practical revival of a thing. A continuous research is expected to be performed henceforth.

      • Texture의 대비조화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 터킹(Tucking)기법을 중심으로

        염하림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671

        현대 패션은 기능미와 개성적인 조형미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특히 새로운 소재 및 다양한 텍스츄어(texture)를 통해 독창적이고 차별화 된 미를 창출하고 있다. 최근의 패션은 동일 소재로 통일된 느낌을 강조하던 예전의 방식에서 벗어나 서로 상반되는 느낌의 이질적인 소재를 혼합시켜 사용함으로써 신선함과 즐거움을 배가 시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전통적인 재료가 지닌 표현의 한계를 뛰어 넘는 방법으로 다양한 장식봉제기법을 통해 소재를 변형시키거나, 오버랩(overlap)과 레이어드(layered) 방식으로 나타내기도 한다 이러한 소재의 조합은 무한한 발상의 가능성과 패션디자인을 통한 창조의 자율성을 열어주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텍스츄어의 대비조화에서 창출되는 조형미를 인식하고, 색채 대비의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다양한 소재를 서로 상반되는 텍스츄어끼리 결합시켜 사용하여 작품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동일한 소재를 이질감이 나는 텍스츄어로 변형시키기에 유용한 장식봉제기법들 중 터킹(tucking)기법을 도입하여 이를 대비조화의 표현에 응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츄어의 대비조화를 응용한 의상 디자인을 통해 개성적인 조형미를 창출하고, 패션의 표현영역을 확대시키고자 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내용 및 방법으로 텍스츄어의 개념과 특성, 대비조화의 요소와 원리를 문헌을 통해 살펴보았고, 구체적인 소재를 통한 텍스츄어의 대비조화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국내외 패션관련 전문서적 및 인터넷 자료를 통해 디자이너들의 작품에 표현된 텍스츄어의 대비조화 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터킹에 의한 텍스츄어 표현기법에 관한 고찰로 터킹의 개념과 특성 및 역사를 알아보고, 다양한 터킹기법을 직접 실험연구 하였으며, 이를 응용한 텍스츄어의 대비조화 현상을 연구하였다. 또한 터킹기법을 응용한 현대 패션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작품 제작에서는 소재를 혼합함에 있어 레이어드 방식과 면분할을 중심으로 하였고, 작품의 색채는 모노톤으로 하였으며 아이보리, 베이지, 인디언 핑크, 카키, 퍼플, 그리고 블랙을 사용하였다. 작품의 소재는 쉬폰, 실크, 노방, 벨벳, 모피, 모, 가죽, 스웨이드 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였고, 대부분의 소재는 터킹을 한 것과 하지 않은 것을 함께 사용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 패션에 있어서 텍스츄어(texture) 대비조화는 개성적인 조형미와 무한한 발상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다양성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감성에 부합되는 독특한 디자인 원리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작품의 소재는 다양한 소재를 서로 상반되는 텍스츄어끼리 결합시켜 사용함으로써 투명과 불투명, 광택과 무광택, 딱딱함과 부드러움, 거칠함과 매끈함 등에 의한 대비조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었다. 셋째, 터킹(tucking)기법을 도입함으로써 평평한 질감을 요철감이 있는 질감으로, 얇은 질감을 두꺼운 질감으로, 투명한 질감을 불투명한 질감으로 전환시킬 수 있었고, 이를 대비조화의 표현에 응용할 수 있었다. 또한 터크의 자유로운 길이와 높낮이, 간격, 방향, 선적 구성으로 다양한 질감 효과를 나타낼 수 있었다. 넷째, 작품의 색채는 모노톤을 사용함으로써 일차적으로 색채보다는 질감을 먼저 인식할 수 있었고, 각 작품은 색채를 통일시킴으로써 색채 대비의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질감의 대비 효과를 나타낼 수 있었다. 또한 소재 대비가 간결한 색채를 통해 차분하고 우아한 이미지로 조화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텍스츄어의 대비조화 효과에 의한 무한한 디자인 개발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앞으로도 다양한 소재와 질감의 개발, 장식봉제 기법에 의한 텍스츄어의 응용을 통해 예술적 조형성을 부여한 고부가가치 패션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Modern fashion is developed toward pursuing its functional beauty and individual formative beauty. Especially it creates original and differentiate beauty through new materials and various kind textures. Recent fashion tends to double freshness and pleasant through mixing contrasting materials derailed from the past style which was to emphasize uniformed feeling with same materials. Also, in a way to go beyond limits of expression by traditional materials, it's appeared as ways to transform through decorative sewing techniques, overlap or layered. These assembling ways of materials are to open limitless possibilities of inventions and autonomy of creativeness through fashion design. Therefore, in this study, works are expressed by combining various materials by contrasting textures without influence of color-contrast with recognition of formative beauty created from contrast-harmony of textures. And also among decorative sewing techniques, tucking technique was introduced to apply on contrast-harmony. Decorative sewing techniques are useful to transform same material to a texture with different feeling. The goals of the study are to create original formative beauty and to extend the scope of expression of fashion through fashion design with application of texture's contrast-harmony. For these goals, cases of texture's contrast-harmony expressed on designers' works were analyzed through internet information. As an examination of expressive technique for texture by tucking, concept, characteristics and history of tucking were found along with direct tucking technique test and study in various ways. A contrast-harmony of texture applying tucking was studied. Cases of modern fashion design applying tucking technique were also analyzed. Concept and features of texture, and factors and principles of contrast-harmony were examined as the subject and method of the study. Effects of texture's contrast-harmony were analyzed using specific materials. In making works, layered method and division were used for combining materials, mono tone for color and ivory, beige, Indian pink, khaki, purple and black colors were used. Various materials such as chiffon, silk, organza, velvet, fur, wool, leather, and swede are used for the works. Most fabrics were combined with and without tucking.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s known that texture's contrast-harmony is an unique way in modern fashion to meet variety-pursue modern people's emotions because it has possibilities of individual formative beauty and limitless inspiration. Secondly, effects of contrast-harmony such as transparent-opaque, gloss-mat, hard-soft, rough-smooth by combining various textures by contrasting ones. Thirdly, it could transform plain texture to uneven one, thin to thick and transparent to opaque by introducing tucking technique and applying to contrast-harmony expression. Various texture effects could be also made with tuck's flexible length, intervals, directions and line allocations. Forth, for colors of the works, mono tone was used to recognize texture at first hand than color. Colors of each work were uniformed to raise contrast effects of texture without influence of color contrast. Therefor, contrast of fabrics could be created in calm and elegant image through simple and clean colors. Through the study, it's discovered limitless possibilities of design developments by texture's contrast-harmony effects. It's expected development of value added fashion with artistic formtiveness through developing various materials and textures and applying textures by decorative sewing techniques.

      • 리디자인을 통한 모피 패션 디자인 연구

        이다소미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50671

        2010년 세계적인 이상기온 현상으로 모피 산업은 성장하였다. 수요와 공급 원칙에 따라 모피 원자재 가격이 폭등하였고 모피브랜드 간 가격경쟁이 한계에 도달하였다. 원가 인상분을 소비자가에 반영할 수 없자 모피 업체들은 할인율 경쟁을 하였다. 이에 전체 매출규모 증가대비 이익률은 감소했다. 소비자들의 명품 선호, 수입 모피 브랜드의 국내 진출, 국내 디자이너 및 여성복 브랜드들의 모피 아이템 기획 강화에 따라 소비자층의 변화와 이동이 일어났고 국내 모피 브랜드의 입지는 줄어들었다. 이에 본 연구는 급변하는 패션 산업 환경의 변화 속에서 급격한 저속 성장기인 모피 패션 디자인의 차별화 된 리디자인을 기획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희소성 있는 소재의 특성이 지속 가능으로 연계되어 새로운 가치 창출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첫 번째 사례라는데 의의가 있다. 모피 고유의 특성은 업사이클링 제품으로 높은 가능성을 갖고 있다. 모피 산업은 친환경적인 리디자인과 수공예 작업으로 인한 저에너지 소비, 고실용성, 고품질 이라는 패션디자인 산업 내 최상위 리디자인 조건을 갖고 있다. 세계적인 동물 보호 운동으로 어려움이 있으나 폐기 후 환경을 오염시키는 합성 소재, 인조 모피와 달리 재가공을 통한 모피의 계승과 개발, 이미 수급되어있는 모피 소재를 여러 가지 전통적인 수작업으로 업사이클링 하여 새로운 디자인을 제시함으로써 모피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 수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방법은 모피 디자인에 대한 문헌연구와 현대 업사이클링 상황을 조사 및 분석하여 리디자인에 활용 할 수 있도록 실물 제작을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는 SDG(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지속가능성, 업사이클링, 리디자인, 모피관련 선행연구, 국내외 단행본, 인터넷 기사 등의 매체를 통해 알려진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국내외 패션 산업에서 나타난 리디자인을 분석하고, 국내 소비자를 상대로 진행한 모피 리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 한 것을 4장에서 도출하였다. 실물 제작은 이미 상품으로 제작되어 착용하였던 20년 전후의 빈티지 밍크, 폭스, 렉스모피, 양가죽, 폐 악세사리를 혼합하여 수선 개념이었던 국내 모피 재사용 사례를 보다 발전시켜 상품성 있는 제품으로 리디자인 하고자 하였다. 작품 Ⅰ은 구스다운 코트와 렉스 코트를 업사이클링 하여 캐주얼함과 클래식함을 동시에 표현한 리버시블 베스트 원피스로 리디자인 하였다. 작품 Ⅱ는 화이트 톤으로 염색된 밍크 코트와 자켓을 해체하여 업사이클링한 소재로 리디자인 하였다. 밍크를 세로방향으로 봉제하여 큰 판을 만든 후 재단하여 밍크의 볼륨감이 있음에도 슬림한 바디라인을 나타낼 수 있으며 움직임도 용이하게 제작하였다. 작품 Ⅲ은 무겁고 투박한 렉스 코트를 커팅하여 케이프를 제작하였다. 단조로운 케이프 밑단에 부드러운 캐시미어 소재의 미니스커트 장식을 덧대고 업사이클링 된 금색 자수 레이스를 매치해 화려함을 강조하였다. 모피 리디자인을 통해 럭셔리한 컬렉션을 전개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여다. 작품 Ⅳ는 손상이 많이 된 모피의 지속 가능성 연구에 관한 작품이다. 털 빠짐이 심한 렉스 코트와 부분 파손이 일어난 폭스 베스트를 해체 및 재구성 하여 쉬폰 소재와 믹스 앤 매치 한 시즌리스 롱 베스트이다. 추가로 새 모피를 더하는 것이 아닌 업사이클링 한 블라우스의 소매를 해체하고 모질이 남아있는 렉스스킨을 커팅 해 패치기법으로 부착하였다. 목, 암홀, 자켓 앞부분에 탈부착 가능한 폭스 트리밍을 매치해 시즌리스로 활용할 수 있다. 작품 Ⅴ는 블랙, 그레이, 화이트로 짜여진 니팅 숄과 폭스 베스트를 업사이클링 하여 믹스 앤 매치 한 작품이다. 장기간 착용으로 늘어난 직사각형의 니트 숄을 베이직 코트로 제작 하였고 그 위에 업사이클링 폭스 스킨을 목,어깨, 자켓 앞부분, 밑단, 그리고 커프스에 트리밍 하였다. 작품 Ⅵ은 오랫동안 착용하여 부분 훼손 및 이염 된 오프 화이트 밍크 코트를 업사이클링 하여 해체 및 재구성 미니 케이프를 제작하였다. 여기에 펄 포인트가 들어간 니트 가디건을 분해하여 꽃모양 레이스 모티브를 제작하여 케이프 밑단에 탈부착으로 장식하였다. 니트 장식위에 업사이클링된 다양한 크기의 진주 장식을 달아 장식하였다. 작품 Ⅶ은 구스다운 코트의 소매부분과 업사이클링한 폭스 베스트의 스킨부분을 봉제하여 목과 어깨를 감싸는 형태로 리디자인 한 숄 작품이다. 리디자인의 본질적 목표인 제로 웨이스트, 동시에 기존 제품에 비해 실용적인 디자인을 제시함으로써 착용 빈도를 늘릴 수 있도록 하였다. 작품 Ⅷ은 모피 디자인에서 여러 디자인에 다양하게 사용되어 온 브라운 계열 밍크 의류로 리디자인 한 작품이다. 부분적인 탈색과 털 빠짐이 없는 부분들을 사용하기 위해 코트의 앞, 뒤판을 해체하여 업사이클링 하였다. 이를 커팅하고 가죽이 부드럽고 모질이 풍성하게 남아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가방과 모자를 제작하였다. 이와 같이 이미 상품화 되어있는 모피, 가죽, 악세사리를 업사이클링 후 혼합하여 수공예적인 모피의 전통 기법을 활용 해 리디자인 하고, 동시에 모피의 역사적 사실과 모피 소비자들이 기억하고자 하는 감성적인 욕구를 바탕으로 시장 개척 가능성과 모피의 지속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디자인 개발에 있어 원자재 수급 부족과 가격 상승 등의 어려움이 있을 수도 있으나 전문적인 기획력과 기술력을 갖추고 있다면 모피산업의 새로운 시장 개척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이를 통해 현대 모피 패션의 이해에 도움이 되고 후속 연구들이 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2010, the fur industry grew due to the global abnormal temperature phenomenon, and the price of raw materials for fur soar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supply and demand. As price competition between fur brands reached its limit and the increase in cost could not be reflected in consumer prices, professional fur companies competed for discount rates. As a result, the profit ratio compared to the increase in overall sales decreased. As consumers preferred luxury goods, imported fur brands entered Korea, and domestic designers and women's clothing brands strengthened their fur item planning, the consumer class changed and moved, and the position of domestic fur brands decreased.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plan a differentiated redesign for fur fashion design, a period of rapid slow growth amid rapidly changing fashion industry environment. Through this, it is significant that it is the first example showing that new value can be created by linking the characteristics of scarce materials to sustainability. Fur's unique characteristics are upcycling products and have high potential. The fur industry has the highest design conditions within the fashion design industry, such as low energy consumption, high practicality, and high quality due to eco-friendly redesign and handcrafted work. Although there are difficulties due to the global animal protection movement, it is believed that new possibilities for the fur industry can be opened by inheriting and developing fur through reprocessing, and by upcycling the already in supply and demand fur materials by various traditional manual designs.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literature research on fur design and the modern upcycling situation so that it could be used for redesign. The literature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known data through media such as SDG(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ustainability, upcycling, redesig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fur, domestic and international books, and Internet articles. The redesign that appeared in the domestic and foreign fashion industry was analyzed, and the analysis focusing on the fur redesign case conducted for domestic consumers was derived from Chapter 4. The actual production was intended to further develop the domestic fur reuse case, which was a concept of repair by mixing vintage mink, fox, rex fur, sheepskin, and waste accessories around 20 years ago when it was already manufactured and worn as a product, and redesign it into a commercial product. Work I was redesigned as a reversible vest that expresses both casual and classic by upcycling the goose down coat and the rex coat. In Work II, mink coats and jackets dyed in white tones were disassembled and redesigned into upcycled materials. After making a large plate by sewing the mink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was cut to show a slim body line despite the volume of the mink, and the movement was made easy. In Work III, a heavy and rugged rex coat was cut to make a cape. The splendor was emphasized by adding a soft cashmere miniskirt decoration to the monotonous cape hem and matching upcycled gold embroidered lace. It is intended to show that luxury collections can be developed through fur redesign. Work IV is about the sustainability study of heavily damaged fur, and it is a seasonless long vest that mixes and matches chiffon materials by dismantling and reconstructing rex coats with severe hair loss and fox vest with partial damage. Rather than adding new fur, the sleeves of the upcycled blouse were disassembled, and rex skin with remaining hair was cut and attached with a patch technique. It can be used as a seasonless by matching the detachable fox trimming on the neck, armhole and the front of the jacket. The Ⅴ is a mix and match by upcycling a knitting shawl and a fox vest made of black, gray, and white. A rectangular knit shawl that has been stretched by long-term wear was made into a basic coat, and upcycled fox skin was trimmed on the neck, shoulder, front of the jacket, hem, and cuffs. The Ⅵ was worn for a long time, and a partially damaged and dyed off-white mink coat was upcycled to create a disassembled and reconstructed mini cape. The knit cardigan with pearl points was disassembled to produce a flower-shaped lace motif, and it was detachably decorated on the bottom of the cap. The upcycled pearl decorations were attached to the knit decorations of various sizes. The work Ⅶ is a shawl work that has been redesigned to cover the neck and shoulders by sewing the sleeves of the goose-down coat and the upcycled skin part of fox ves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wearing by presenting a zero-waist, which is the essential goal of the redesign, and at the same time a more practical design compared to existing products. The work Ⅷ is a redesigned piece of brown mink clothing that has been used in various designs in fur design. In order to use parts without partial bleaching and hair loss, the front and back of the coat were disassembled and upcycled. After cutting this, bags and hats were made centering on the areas where the leather was soft and the hair remained abundant. In this way, by upcycling and mixing fur, leather, and accessories that have already been commercialized, we were able to redesign using the traditional technique of handcrafted fur, and at the same time, we were able to confirm the market development possibility and sustainability of fur based on the historical facts of fur and the emotional desire of fur consumers to remember. In design development, there may be difficulties such as lack of supply and demand of raw materials and rising prices, but it is believ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pioneering a new market in the fur industry if it has professional planning and technology. It is hoped that this will help understand modern fur fashion and lead to follow-up studies.

      • N세대 인터넷 쇼핑몰 패션제품 소비자의 쇼핑성향과 정보원 활용에 관한 연구 : 서울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채윤희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의 목적은 N세대 인터넷 쇼핑몰 패션제품 소비자의 쇼핑성향과 정보원을 유형화하고 구매자 집단 간에, 조사대상자 특성에 따른 집단간 쇼핑성향과 정보원 활용의 차이를 밝힌다. N세대 인터넷 쇼핑몰 패션제품 품목별 구매자/비구매자 집단 간에 쇼핑성향과 정보원 활용에서의 차이를 밝힌다. 본 연구의 조사방법은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1977~1989년 사이에 태어난 남녀 중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AS Package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데, 자료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분석한 후, 요인분석, t-test, 분산분석(ANOVA), Duncan’s test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의 요약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N세대 인터넷 쇼핑몰 패션제품 소비자의 쇼핑성향은 쾌락추구 쇼핑성향, 경제추구 쇼핑성향, 유행추구 쇼핑성향, 편의추구 쇼핑성향으로 구성되었고, 정보원은 매체를 통한 정보원, 경험을 통한 정보원, 대인을 통한 정보원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N세대 인터넷 쇼핑몰 패션제품 구매자 집단 간에 쇼핑성향의 차이는 쾌락추구 쇼핑성향에서 패션제품 구매자가 비구매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정보원 활용의 차이는 패션제품 구매자는 비구매자보다 매체를 통한 정보원과 경험을 통한 정보원을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집단 간 N세대 인터넷 쇼핑몰 패션제품 소비자의 쇼핑성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쇼핑을 즐기며 경제성을 의식하고 유행에 더 관심이 높게 나타났고, 연령이 젊을수록 유행과 경제성 및 쇼핑의 즐거움을 중요시하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편의성을 중요시하였다. 또한 거주지는 유행추구 쇼핑성향에서 강남지역 집단이 강북과 강서지역 집단보다 더 높았다. 용돈을 많이 받는 집단일수록 경제추구 쇼핑성향이 낮고, 편의추구 쇼핑성향이 높았고, 한달 평균 의복 구입비를 많이 지출하는 N세대일수록 쇼핑을 즐기고 새로운 유행을 추구하며, 쇼핑의 편리성을 중시하는 반면, 의복 구입비를 적게 지출하는 집단은 경제 추구 쇼핑성향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복 구입시 동행인은 쾌락추구 쇼핑성향에서 부모님과 동성친구와 함께 의복을 구입하는 집단들이 이성친구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집단 간 N세대 인터넷 쇼핑몰 패션제품 소비자의 정보원 활용의 차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자가 남자보다 매체를 통한 정보원과 경험을 통한 정보원을 더 많이 활용하였고, 연령이 젊을수록 대인을 통한 정보원을 더 많이 활용하였다. 또한, 거주지는 강남 지역 집단이 경험을 통한 정보원과 대인을 통한 정보원을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돈을 많이 받는 집단일수록 자선이 직접 정보를 활용하는 것을 더 선호하며, 한달 평균 의복 구업비를 많이 지출하는 N세대일수록 매체를 통한 정보원을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이성친구와 함께 의복을 구입하는 집단이 부모님과 형제/자매와 함께 의복을 구입하는 집단보다 대인을 통한 정보원을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N세대 인터넷 쇼핑몰 패션제품 품목별 구매자/비구매자 집단간에 쇼핑성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의류 세부품목 중에서 정장 구매자 집단은 경제추구 쇼핑성향에서 비구매자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패션잡화 세부품목 중에서 패션액세서리 구매자 집단은 쾌락추구 쇼핑성향과 편의 추구 쇼핑성향에서 비구매자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정보원 활용의 차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의류 세부품목 중에서 정장 구매자 집단은 비구매자보다 대인을 통한 정보원을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패션잡화 세부품목 중에서 패션액세서리 구매자 집단은 비구매자보다 경험을 통한 정보원을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N-generation's the shopping orientations and utilization of information sources on fashion goods through Internet shopping-mall, and to find out differences in orientations and utilization of information sources group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other purpose was to identify a difference in shopping orientations and utilization of information sources between buyers and non-buyers according to items of fashion goods through Internet shopping-mall. As an instrument for the survey,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male and female born between 1977-1989 living in Seoul and Kyonggi. To analyze the data SAS Package Program, means of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the factor analysis, t-test, ANOVA, and Duncan's test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y are follows: First, the N-generation's shopping orientations to consume fashion goods through Internet shopping-mall was composed of the pursuit of pleasure, economical efficiency, fashion, and convenience, and the utilized information sources included media, experience, and personal relations. Second, fashion goods buyers through Internet shopping-mall showed differences in shopping orientations. fashion goods buyers showed differences in utilization of information source from media and experience than non-buyer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hopping orientations and utilization of information sources among groups according to consumers's characteristics.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hopping orientations and utilization of information sources between buyers and non-buyers of fashion merchandise items.

      • 구스타브 클림트(Gustav Klimt)의 작품을 응용한 현대 패션디자인 연구 : 아르누보의 조형적 요소를 중심으로

        홍은수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671

        인간의 내면적 욕구와 미의식의 표현인 복식은 그 시대 예술의 구성인자가 표출되고 지각되며 경험되는 매체의 하나이기도 하다. 인류의 출현과 함께 시작된 복식의 오랜 기원을 비추어 볼 때, 당시의 정신 문화, 시대사조 및 양식 등 전반적인 시대 · 문화상을 복식을 통하여 알 수 있으며, 한 시대의 패션을 통하여 조형 예술의 특성을 연구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지금까지도 패션산업 발전에 큰 영향력을 끼치고 있으며, 다양하고 새로운 시각과 방법으로 끊임없이 개발되어지고 있다. 복식의 모티브로서 예술 작품은 시대사조를 반영하고 있는 동시에, 색과 형을 가지고 있다는 점, 또한 보는 이의 관점에 따라 다른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디자이너들이 이를 응용하여 보다 새롭고, 창의적인 디자인 개발에 활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9세기 말 비엔나 분리파의 창시자이며, 오스트리아 표현주의에 있어 주도적 역할을 한 구스타브 클림트(Gustav Klimt)의 작품세계를 연구하고, 당시 큰 영향을 미쳤던 아르누보 예술양식의 특성을 고찰, 현대 패션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아르누보 양식의 영향을 받은 클림트의 회화작품에서 보여 지는 장식적 문양과 화려한 색채, 곡선적 표현 등 조형적 요소를 새롭고 다양한 방법으로 응용하여, 이를 현대적 감각에 맞는 의상과 접목시킴으로서 예술의 실용화 및 의상의 미적 예술화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클림트 작품의 시대적 배경 및 당시의 아르누보 양식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돕기 위해 미술관련 서적과 시대사조를 연구한 관련 문헌을 고찰하였다. 보다 구체적인 작품세계와 아르누보 양식의 공통적인 특징을 올바르게 연구하기 위하여 관련서적, 화보집, 사진자료 및 국내외 단행본과 간행물, 선행 연구된 학위 논문 등의 자료를 참고하였다. 또한 패션 전문 매거진, 디자이너 작품집, 인터넷 정보 검색 등을 통하여 보다 전문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현대적 감각에 맞는, 새로운 시각으로 재구성한 작품 5점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스타브 클림트 작품세계에서는 세밀하고 아름다운 장식성과 여성을 통한 다양한 인간 심리를 에로티시즘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이러한 특징들을 상징적인 표현과 함께 등장하고 있다. 둘째, 아르누보 양식의 조형적인 요소들은 본질적으로 여성적이며 장식적인 요소가 강하며, 대부분 자연물에서 그 모티브를 적용하였으며, 곡선적이고 율동감있게 표현되고 있었다. 셋째, 클림트 회화세계에서 볼 수 있는 아르누보 양식의 조형적 요소들은 다양하고 화려한 문양과 색상, 곡선 등으로 표출되고 있으며 이는 창의적이며 예술적인 의상을 디자인 하는데 있어서 그 모티브가 적합하였다. 넷째, 복식과 회화작품의 예술적 요소들을 새로운 시각으로 접목함으로써 기존의 단순한 예술 의상이 아닌 현대 감각에 맞는, 실용성을 갖춘 독창적인 작품을 제작할 수 있었다. S-curve line을 응용하여 여성의 부드러운 곡선의 실루엣을 강조할 수 있었으며, 또한 비치는 소재를 통하여 신체 일부를 노출함에 따라 에로틱한 여성미를 표현할 수 있었다. 아르누보 양식의 자연적인 모티브를 중심으로 한 특징적인 장식들은 의상에 표현하기에 적합하였으며, cut out기법과 비딩(beading), 테이핑(taping), 트리밍(trimming)장식 등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강조할 수 있었다. 클림트 회화세계의 영향을 미쳤던 아르누보 양식은 현대 패션뿐만 아니라 앞으로 다가올 미래의 패션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기대한다. 더불어 클림트의 독특한 화면구성방식과 화려한 색채, 장식적 문양이 더욱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되어지고, 또한 색다른 시각에서의 미적특성이 복식 디자인에 표현, 개발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costume is an expression of inner desires and aesthetic consciousness of mankind. It is also one of many methods of which given time's arts, their compositions, and elements can be expressed, recognized, and experienced. Considering the long history and origination of the costume, which also have started off with beginning of the mankind, the overall cultural attributes of any given time such as intellectual culture, the Zeitgeist, and ways of living can be known through studying the costume of that tim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formative arts also can be studied through consideration of the time's fashion. These studies still greatly affect fashion industries, and they are also continually being improved through uses of various perspectives and methods. As a motive of costume, artworks are being continually used and applied to develop designs that are more new and creative by many designers. It is possible because while the artworks reflect the Zeitgeist, the works do have colors and forms, and also many different images can be produced from the works depending on perspectives of viewers. Therefore in this study, artworks of Gustav Klimt, the founder of Vienna Secession and who also took the leading, active role of Expressionismus have been studied. Also characteristics of Art Nouveau, which was the dominant style of the time, has been considered more in depth in this study in order to find out what effects the artist and the style have been giving to modern fash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art and aesthetic and artistic application of clothing by studying and applying the figurative factors of Klimt's paintings where decorative patterns, brilliant colors, and curvy expressions can be found which are also seemed to be influenced by Art Nouveau style. Regarding the contents and method of this study, publications on art and related documents about the Zeitgeist have been consider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historical background of artworks of Klim't and Art Nouveau style of the time. In order to properly study the in depth structure of Klimt's artworks and common characteristics of Art Nouveau style, related books, pictorials, photographic documents, domestic and international periodicals and publications, and previously studied articles and papers of the time have been reviewed as references. Also through studying specialized fashion magazines, work collection of designers, and Internet information search, figurative factors of Art Nouveau that have manifested in modern fashion has been analyzed in more specialized manner. Using these as foundation, five works have been made that the figurative factors of Art Nouveau have been newly recomposed according to modern sense.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described as follow. First, the artworks of Gustav Klimt shows fine and aesthetic decorativeness, also eroticism that has been expressed as various states of human psychology through female. And these characteristics have been represented with figurative expressions. Second, figurative factors of Art Nouveau are fundamentally feminine and very decorative, and its motives are from natural figures while being expressed in curvy and dynamic manner. Third, figurative factors of Art Nouveau style that can be found in Klimt's paintings are being expressed with patterns, colors, and curves that are various and brilliant. It is very creative and can be very appropriately used as a motive in designing creative and artistic clothing. Fourth, unlike previous simple artistic clothes, a very original work with practicality that also satisfies modern sense could be created by combining the artistic factors of custom and paintworks under a new perspective. By adaptation of S-curve line, silhouette of soft and feminine curve of woman could be emphasized. Also erotic feminine beauty could be expressed by partly using a see-through material that exposes part of body. The distinctive decorations of Art Nouveau which were centered toward natural motives were very appropriate to be used and expressed on clothes and also could be more effectively emphasized by using cut out technique and beading, taping, and trimming decorations. Art Nouveau style that affected paintworks of Klimt is expected to continually affect modern fashion and also fashion of the future. Furthermore Klimt'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canvas composition with his use of brilliant colors and decorative patterns are expected to be further studied under various methods and ways, and those aesthetic characteristics would be developed and expressed more in custom design under various perspectives.

      • 시니어 모델 교육프로그램의 경험자와 비 경험자의 특성비교에 관한 연구

        안미선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50-70대 노년층을 중심으로 시니어 모델 워킹교육 참가자 집단과 비참가자 집단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라이프스타일, 신체만족도, 신체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패션연출 자신감에서의 모델 워킹교육 효과를 분석하여 노년층의 다양한 연령대를 통한 생활체육참여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노인 생활체육참여 방향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수도권에 거주하는 50-70대 여성을 대상으로 2012년 6월 1일에서 7월 10일에 걸쳐 편의표집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00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에는 SPSS 12.0 Package Program을 활용하여 요인분석, t-test 그리고 Tukey`s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니어모델교육프로그램 경험자와 비경험자 간에 라이프스타일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경험자 집단이 비경험자 집단 보다 라이프스타일의 개인만족, 건강추구와 사회지향성이 높았다. 둘째, 신체만족도에서도 경험자 집단과 비경험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경험자 집단이 비경험자 집단 보다 신체만족도가 높았다. 셋째, 시니어모델교육프로그램 경험자집단과 비경험자 집단 간에 신체자기효능감의 2개 하위요인인 학습효능감과 신체효능감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경험자 집단이 비경험자에 비해 학습효능감과 신체효능감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존중감에서도 경험자 집단이 비경험자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패션연출 자신감의 2개 하위요인인 패션관심도와 패션자신감에서도 경험자집단이 비경험자 집단보다 패션관심도와 패션자신감이 모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50-70대 노년층을 대상으로 한 시니어 모델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로 요약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노년층의 다양한 연령대를 통한 생활체육참여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differences in lifestyles, body satisfaction, self-esteem, self and body efficacy, self-confidence in fashion coordination between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in senior model education program, and among groups according to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was distributed to 139 female participants and 161 female non-participants who aged between 50 and 79, and resided in Seoul or Gyeonggi-do. Three hundr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OVA, and Tukey’s test as a post-hoc test using SPSS 18.0/Window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Lifestyl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factors including personal satisfaction, health pursuit, and society orientations, self and body efficacy into 2 factors including learning efficacy and physical efficacy, and self-confidence in fashion coordination into 2 factors including interest in fashion and confidence in fashion.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in senior model education program. The Participants showed higher scores than non-participants in three factors of lifestyles, body satisfaction, self-esteem, and 2 factors of self and body efficacy, 2 factors of self-confidence in fashion coordination.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articipants with longer than 6 month participation and the participants with shorter than 6 month participation. The participants with longer than 6 month participation showed higher scores personal satisfaction in lifestyles and body satisfaction than the participants with shorter than 6 month participation. For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occupation, professionals showed higher scores in personal satisfaction in lifestyles than other occupation groups.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graduate school/university graduates showee higher scores in personal satisfaction in lifestyles, body satisfaction, self-esteem, 2 factors of self and body efficacy, and 2 factors of self-confidence in fashion coordination than the groups with other education levels.

      • 클로드 모네(Claude Monet)의 회화를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최나리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71

        Today is being rapidly transformed to the times of regarding personality and diversity as important. As such, preference of contemporary consumers also becomes diversified. Modern fashion requires experimental and creative development for expressing unique and differentiated beauty by breaking away from impersonality oriented design in the past. On the other hand, in 21c, importance of sensibility was emerged and as this was reflected in fashion market also, consumers wish to express artistic value and sensibility through their fashion. In order to satisfy needs of the consumers based on this current trend, graft with various fields such as fashion, painting, architecture and sculptor has been performed actively. Among graft with diversified fields, that with painting takes up its most part. Painting is utilized and analyzed as inspiration source of design. This is to keep pace with the current of the times by increasing creativity of fashion design and presenting possibility of design creativity having artistic value and creative sense by grafting with new field in order to express differentiated beauty and personality. Claude Monet is a painter who has high awareness and prominent preference among general public and his painting delivers sensible, unique sensibility. Therefore, as paintings of Monet are furnished with artistic value and popular appeal, such paintings are considered to be suitable for applying to fashion design.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expression possibility of more broad sense by deducing fashion design features from trait and expression technique of Monet and combining it with art and to create a creative modern fashion design that may express sensibility of consumers by using artistic value and popular appeal inspired by paintings of Monet. Combination of fashion with Monet painting is a work of containing sense and sensibility of Monet painting in fashion to be matched with demand of the consumers having high sense under the times of sensibility. Method of this study was progressed based on domestic, overseas literature relevant to impressionism and Monet painting, preceding study data, separate volume, fashion magazine, painting work, internet data. In order to analyze modern fashion design empirically, art works presented in domestic and overseas collections from 2000 F/W collection to 2015 F/W collection were utilized. As its result, 6 pieces of creative fashion design work applying Monet painting were manufactured. This study was developed based on the following contents. In chapter 1, objective, significance, method and conten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chapter 2, first, through literature survey of impressionism, its definition, concept, formation background were surveyed and its contents,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Second, life and art work world of C. Monet were surveyed and observed by classifying it into 3 times including Argenteuil, Vetheuil and Giverny depending on a place where Monet progressed his work. In addition, formativeness of Monet painting was explored by classifying it into features and expression skill. In chapter 3,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features and expression skill of Monet painting being represented by modern fashion design expression were deduced by expression of instantaneousness, color expression by impression, expression of atmosphere, juxtapositional mixture effect. And in order to perform empirical case study of modern fashion design applying Monet painting, a value of combining fashion with Monet painting was evaluated by classifying, analyzing Monet painting depending on fashion design features being deduced for the works of fashion designers applying Monet painting. For this objective, through the works represented in domestic, overseas collection during 2000-2015, it was analyzed as follows. In chapter 4, 6 pieces of modern fashion design work were manufactured by using Monet painting as motif and utilizing fashion design features deduced from features and expression skill of Monet painting. In chapter 5, conclusion, development possibility of modern fashion was presented by summarizing fashion design features deduced from Monet painting being analyzed as above and extending creative design R&D matching with rapidly changing current of the times and artistic value of Monet painting.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analyzing features and expression skill of Monet painting, 4 types of fashion design features were deduced as follows. First, instantaneousness among the features being represented in Monet painting is to capture a change of natural phenomenon instantaneously and make it as art work and its typical case is series and in this study, it was specialized as expression of instantaneousness. Second, based on painting features of emphasizing impression color by rejecting universal form or color of the target, fashion design features of color expression by impression was deduced. Third, characteristics of expressing light change depending on flow of time and its atmospheric state was concluded as fashion design features. Fourth, in expression skill of Monet painting including color, brushing division using fast brushing, numerous brushing touch and visual mixing mode that were represented as painting was required to be drawn by Monet within the shortest time possible, fashion design features called juxtapositional mixture effect expression was deduced. How 4 types of fashion design features deduced from features and expression skill of Monet painting were represented in modern painting was analyzed as follows through the works presented in domestic, overseas collection during 2000-2015. First, expression of instantaneousness was represented as an image of being changed instantly due to movement of wearer and light reflection by using polishing material as if to remind light that was regarded to be important by Monet and additionally, instantaneousness was expressed through an image of pleats being transformed by movement of wearer while expressing decorative effect by using accordion pleats at the same time. Second, color based on impression was expressed by free-hand painting of impression received from Monet painting by using diversified colors or producing, printing image through computer graphic work. In many cases, work was progressed by receiving inspiration from painting based on topic of 'Water lily' series or flower among paintings of Monet. In one case, unique sensibility of Monet painting was expressed as it is by manufacturing an image almost similar to Monet painting as if to borrow its image and in other case, an image being felt from Monet painting was recomposed as painting and photo by analyzing it based on a sense of designer. In addition, a work designed by extracting a color typically used in a painting being inspired by overall color of painting could be observed. Third, an atmosphere giving an effect of screen was expressed by performing an embroidery on organza based on <Water Lily> series as motif and once more printing same image on thin and transparent material like tulle, organza, chiffon on top of printing material being overlapped on solid material or manufactured under inspiration of Monet painting. Through mutual overlapping and separating among printed materials depending on each movement, subdued and mysterious effect was represented. Fourth, juxtapositional mixture effect was expressed so that unevenness could be felt by developing textile that looks like dotting points by brush using color represented in Monet painting or overlapping narrow pleat decoration as if to express brush touch of Monet. This effect was represented through 3D sense of connecting or separately quilting small fabric, sequin, beads of several colors by closely arranging different colors rather than using mixed color. Based on fashion design features and advantage of Monet, 6 pieces of creative and artistic fashion design work that satisfies aesthetic needs of contemporary consumers were manufactured. As a result of this study, beyond a method of introducing Monet painting to dress as it is, a work of sense differentiated from modern view while maintaining sensibility of Monet was manufactured by adding diversified techniques to fashion design features being deduced from features and expression skill of Monet painting. Through this study, if sustained attention should be paid to utilization possibility of Monet painting, it would be helpful for future design research and development of modern fashion. It is expected that in the subsequent study, a new development possibility would be emerged in fashion design field as diversified researches on fashion applying Monet painting would be actively performed in the future. 오늘날은 개성과 다양성을 중시하는 사회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그만큼 현대 소비자들의 기호도 다양해지고 있다. 현대 패션은 몰개성적인 디자인에서 탈피하여 독특하고 차별화된 아름다움을 표현하기 위해 실험적이고 창의적인 발전이 필요하다. 한편, 21세기는 감성의 중요성이 대두되었고 이는 패션시장에도 반영되어 소비자들은 패션을 통해 예술적인 가치와 감성을 표현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바탕으로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패션과 회화, 건축, 조각 등 여러 가지 분야와의 접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다양한 분야와의 접목 가운데에서도 회화와의 접목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회화는 패션디자인의 영감의 원천으로 활용되고 재해석 된다. 이는 차별화 된 아름다움과 개성을 표현하기 위해 새로운 분야와의 접목으로 패션디자인의 창의성을 높이고 예술성과 독창적인 감각을 지닌 디자인 창작의 가능성을 제시 하여 시대의 흐름에 발맞추도록 한다. 클로드 모네는 대중들에게 높은 인지도가 있으며, 선호도가 두드러지는 화가로서 그의 회화는 감각적이고 특유의 감성을 전달한다. 따라서 모네 회화는 예술성과 대중성을 두루 갖추고 있어 패션디자인에 응용하기에 적합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본 연구는 클로드 모네 회화의 특성 및 표현기법에서 패션디자인 특성을 도출하고 동시에 이를 응용하여 패션과 예술의 결합으로 보다 넓은 의미의 표현 가능성을 제시하고 클로드 모네 회화가 주는 예술성과 대중성을 이용해 소비자들의 감성을 표현할 수 있는 있는 현대적인 시각의 독창적인 패션디자인을 창출하는데 의의가 있다. 패션과 클로드 모네 회화의 결합은 감성 시대에 고감각을 지닌 소비자의 수요에 맞게 클로드 모네 회화가 주는 감각과 감성을 패션에 담아내는 작업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인상주의와 클로드 모네 회화에 관련된 국·내외 문헌, 선행 연구 자료, 단행본, 패션 잡지, 회화 작품, 인터넷 자료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현대 패션디자인의 실증분석을 위하여 2000년 F/W 컬렉션부터 2015년 F/W 컬렉션까지 국·내외 컬렉션에 발표된 작품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클로드 모네 회화를 응용한 독창적인 패션디자인 작품 6점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전개 되었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의의, 연구 방법과 내용에 대해 논하였다. 2장에서는 첫째, 인상주의의 문헌 조사를 통해 인상주의의 정의와 개념, 형성배경을 조사하고, 인상주의 회화의 내용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둘째, 클로드 모네의 생애와 작품세계를 조사하고, 모네가 머무르며 작품을 진행했던 장소에 따라 아르장퇴유(Argenteuil), 베퇴유(Vétheuil), 지베르니(Giverny)의 세 시기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클로드 모네 회화가 가지고 있는 특성 및 표현기법을 특성과 표현기법으로 분류하여 클로드 모네 회화의 조형성을 알아보았다. 3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클로드 모네 회화의 특성 및 표현기법이 현대 패션디자인으로 표현됨에 있어 나타나는 특성을 순간성의 표현, 인상에 따른 색채 표현, 대기의 표현, 병치혼합의 효과 표현으로 도출하였다. 그리고 클로드 모네 회화를 응용한 현대 패션디자인의 실증 사례분석을 위하여 클로드 모네 회화를 응용한 패션디자이너들의 작품을 위에서 도출한 패션디자인 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분석함으로써 패션과 클로드 모네 회화의 결합에 대한 가치를 조명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2015년 국·내외 컬렉션에 나타난 작품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클로드 모네의 회화를 모티프로 사용하고 모네 회화의 특성 및 표현기법에서 도출한 패션디자인 특성을 활용하여 현대 패션디자인 작품 6점을 제작하였다. 5장 결론에서는 위와 같이 분석한 클로드 모네 회화에서 도출한 패션디자인 특성을 정리하고 급변하는 시대적 흐름에 맞는 독창적인 디자인 연구 및 개발과 클로드 모네 회화의 예술성을 확장하여 이를 응용한 현대 패션의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클로드 모네 회화의 특성 및 표현기법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네 가지 패션디자인 특성이 도출되었다. 첫째, 클로드 모네 회화에서 나타나는 특성 중 순간성은 자연현상의 변화를 순간적으로 포착하여 작품화 한 것으로 연작 시리즈가 대표적인 예이며 본 연구에서는 이를 순간성의 표현으로 특성화 하였다. 둘째, 대상의 상식적 형태나 색채를 거부하고 인상에 따른 색채를 중요시 한 회화의 특성에 기초하여 인상에 따른 색채 표현이라는 패션디자인 특성을 도출하였다. 셋째,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달라지는 빛의 변화와 그에 따른 대기의 상태를 표현한 특징은 대기의 표현이라는 패션디자인 특성으로 귀결했다. 넷째, 클로드 모네 회화의 표현기법에서는 모네가 최대한 짧은 시간 내에 그림을 그려야 했기 때문에 나타난 모네의 빠른 붓놀림과 무수한 붓 터치, 시각적 혼합 방식을 이용한 색채분할 또는 필촉분할이라고 하는 회화적 기법에서 병치혼합의 효과 표현이라는 패션디자인 특성을 도출하였다. 클로드 모네 회화의 특성 및 표현기법에서 도출한 네 가지 패션디자인 특성이 현대 패션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2000년~2015년 국·내외 컬렉션에 발표된 패션 디자이너들 작품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순간성의 표현은 모네가 중요시 했던 빛을 상기시키듯 광택이 나는 소재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움직임과 빛에 따른 반사로 인해 순간적으로 변화하는 모습으로 나타냈고 또한, 아코디언 플리츠를 사용하여 장식적인 효과를 내는 동시에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플리츠가 변형하는 모습을 통하여 순간성을 표현했다. 둘째, 인상에 따른 색채 표현은 모네 회화에서 받은 인상을 다양한 색상을 사용해 프리 핸드 페인팅 하거나 컴퓨터 그래픽 작업을 통해 이미지를 제작하고 프린팅하여 표현하였다. 모네의 회화 중 <수련>연작이나 꽃을 주제로 한 회화에서 영감을 받아 진행한 사례가 다수였다. 모네 회화의 이미지를 차용한 듯 모네 회화와 거의 유사한 이미지를 제작하여 모네 회화가 가진 독특한 감성을 그대로 표현한 사례와 모네 회화에서 느낀 인상을 디자이너의 감각으로 재해석하여 그림 및 사진으로 재구성한 사례가 있었다. 또한 회화의 전체적인 색채에서 영감을 받아 회화에서 대표적으로 사용한 색상을 추출하여 디자인한 작품을 볼 수 있었다. 셋째, 대기의 표현은 오간자 위에 <수련>연작을 모티프로 삼아 자수를 놓고 솔리드 소재 위에 겹치거나 모네 회화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한 프린팅 소재 위에 한 번 더 동일한 이미지를 튤, 오간자, 시폰 등의 얇고 투명한 소재에 프린팅하여 중첩시켜 스크린과 같은 효과를 주어 표현하였다. 움직임에 따라 프린팅 된 소재끼리 서로 겹쳐지고 분리되며 은은하고 신비로운 효과를 냈다. 넷째, 병치혼합의 효과 표현은 모네 회화에서 나타난 색채를 사용하여 붓으로 점을 찍은 것처럼 보이는 텍스타일을 개발하거나 모네의 붓 터치를 표현 한듯 좁은 폭의 주름 장식을 겹쳐 요철이 느껴지도록 표현하였다. 색을 혼합해서 사용하기보다 각기 다른 색을 서로 인접하게 배치하여 여러 가지 색상의 작은 원단이나, 시퀸, 비즈 등을 이어 붙이거나, 따로 모양을 내서 누비는 등 입체감을 통한 병치 혼합의 효과를 나타냈다. 클로드 모네 회화에서 도출한 패션디자인 특성과 모네 회화의 장점을 바탕으로 오늘날 소비자들의 미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독창적이고 예술적인 패션디자인 작품 6점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 결과 클로드 모네의 회화를 그대로 의상에 도입하는 방법에서 더 나아가 모네 회화의 특성 및 표현기법에서 도출한 패션디자인 특성에 다양한 기법을 가미하여 클로드 모네가 주는 감성을 유지하면서도 현대적인 시각과 차별화된 감각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클로드 모네 회화의 활용 가능성에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인다면 향후 디자인연구 및 현대 패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후속 연구에서 클로드 모네 회화를 응용한 패션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앞으로도 활발하게 이루어져 패션디자인 분야에서 새로운 발전 가능성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