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V 루버 시스템 자체 음영이 연간 발전량에 미치는 영향 평가 연구

        김환호 한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건축물의 에너지소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적용에 관한 관심과 설치가 증가하고 있다. 건물에 적용 가능한 신재생에너지 설비 중 태양광 시스템은 비교적 설치가 용이해 적용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빌딩 통합형 태양광(BIPV) 시스템은 건물의 에너지 효율 증대와 온실가스 배출량 저감 달성 방안으로 전 세계적으로 주목 받고 있다. BIPV 기술은 발전용 전기와 건축자재의 다른 기능을 결합해 현장 전기를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학적이고 현대적인 외간을 줄 수 있다. 건물 외벽, 지붕, 창문, 블라인드, 루버 등 건물 면과 PV 시스템을 통합하기 위한 다양한 부분이 있다. BIPV 프로젝트를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응용을 위한 많은 고려사항이 실용적으로 점검되어야 한다. 주요 고려사항 중 하나는 특히 루버에 BIPV 설계를 적용할 때 음영 효과를 피하는 것이다. 루버는 여름철 냉방부하를 줄이기 위해 직사광선을 차단이 주요 목적 중 하나이다. 따라서 직사광선을 차단하도록 PV 루버 각도를 조정하면 PV 루버 표면에 부분 음영이 발생하여 PV 모듈의 전력 생산이 감소한다. 루버의 PV 모듈에 더 많은 음영 효과를 줄수록 루버 PV 모듈의 에너지 효율은 줄어든다. 많은 연구가 PV 모듈에 전력 효율성의 음영 효과를 수행했지만, 외부 루버가 있는 BIPV 잠재적 음영 효과에 관한 연구는 충분히 탐구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 실측 실험을 기반으로 PV 루버의 상부슬랫에 의한 음영을 평가를 통해 PV 루버 설치 시 생기는 자체 음영의 영향을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현장 실험은 (1) PV 루버의 자체 음영의 영향으로 생기는 발전 성능 평가하는 실험과 (2) PV 루버 확산광에 발전성능을 평가하는 시험 등 2단계로 진행된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음영이 없는 모듈(상부슬랫)과 음영이 있는 모듈(하부슬랫)의 발전성능 차이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실시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루버 슬랫의 높이에 따른 음영 패턴이 PV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는 분석이 실시한다. 시뮬레이션 해석은 실측 실험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뮬레이션 데이터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시뮬레이션된 모델을 활용하여 PV 루버 설치 시 자체 음영이 발전량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발전량 손실을 최소화하는 설치 면적을 비교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V 루버 설치시 음영 유무와 슬랫 각도에 따른 월별 누적 Yield값의 감소 비율을 분석한 결과 음영 발생시, 수평면(90°) 설치 57% 감소, 경사면(50°) 설치 49% 감소, 수직면(0°) 설치의 경우 음영이 발생하지 않아 0%의 감소 비율을 보였다. 2. PV 루버의 슬랫의 각도를 경사면(50°)으로 고정했을 때의 음영 유무에 따른 동절기, 하절기 감소 비율을 분석한 결과 음영 발생시, 동절기 10% 감소, 하절기 124% 감소 비율을 보였다. 3. PV 루버 시스템 구성에 따른 월별 누적 Yield값 분석을 위해 창문 16m x 12m인 곳에 루버의 길이를 1.6m 고정하고 폭 설정 조건을 0.05m, 0.1m, 0.2m, 0.4m 설치 조건과 비교시, 폭이 짧을수록 큰 감소를 보였으며 폭 0.4m 기준으로 감소 비율을 분석한 결과 수평면(90°) 설치 5%, 8%, 10% 감소, 경사면(50°) 설치 5%, 8%, 10%의 감소를 보였으며 수직면(0°) 설치의 경우 음영이 발생하지 않아 0%의 감소 비율을 보였다. 4. PV 루버의 슬랫의 각도를 경사면(50°)으로 고정했을 때의 시스템 구성별 동절기, 하절기 감소 비율을 분석한 결과, 폭이 짧을수록 큰 감소를 보였으며 폭 0.4m 기준으로 감소 비율을 분석한 결과 동절기 1%, 2%, 2% 감소, 하절기 11%, 17%, 21%의 감소 비율을 보였다. 5. PV 루버 시스템 구성에 따른 슬랫의 각도를 월별 최적 운영 각도로 제어해 분석한 결과, 폭 0.4m, 폭 0.2m, 남향 BIPV, 폭 0.1m, 폭 0.05m 순서로 Yield값이 높았으며 폭 0.4m 기준으로 감소 비율은 3%, 4%, 5%, 5%의 감소 비율을 보였다. 6. 하부 슬랫의 PV 설치 면적을 90%로 설치 시 수직면(0°)의 Yield값 보다 높아지는 각도가 생기고 PV 설치면적을 40%로 줄이면 수평면(90°) 제외한 모든 각도에서 수직면(0°) 설치보다 높은 Yield값을 갖는다. 최소 설치면적인 10%까지 설치면적을 줄이면 수직면(0°)에서 가장 낮은 Yield값을 갖는다. 7. PV 설치 면적을 전체 설치한 슬랫의 연간 Yield값을 기준으로 설치 면적을 줄인 만큼의 면적 비율을 곱한 값과 실제 연간 Yield값의 출력 비율을 비교 시 PV를 50% 설치했을 때의 값이 큰 값을 갖는다. 일반적인 설치 방식과 PV를 50% 설치했을때의 각도에 따른 연간 누적 Yield값 비교 결과, 수직면(0°)의 각도를 제외하고 평균 15%의 성능 차이를 보인다. 8. 일반적인 PV 루버와 PV 50% 설치 루버의 방위별 연간 Yield 값은 북향이 가장 낮은 값을 갖고, 남향이 가장 높은 값을 갖고, PV 루버 설치 면적을 줄여 50% 줄여 월별 최적 운영각도로 제어시 남향의 Yield값이 가장 높은 17%의 상승, 북향의 값이 가장 낮은 7% 상승을 갖고 동향과 서향은 동일한 14%의 상승 값을 갖는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를 통해 일반적인 PV 루버와 음영의 영역을 고려해 설치한 PV 루버의 연간 발전량을 중심으로 비교 평가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PV 루버 설치 시 음영의 영향을 고려한 PV 설치 면적에 대한 가이드 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다.

      • 노년층을 위한 키오스크 교육용 소프트웨어 UX 디자인

        윤예진 한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최근 무인주문결제 키오스크의 도입과 확산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무인화 운영률이 높아지면서 디지털 사회화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과정에서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노년층의 경우 키오스크와 같은 디지털 기기를 능숙하게 활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면서 기본적 삶의 질 저하, 사회적 소외감 등을 경험하고 있다. 이런 현상은 점차 사회 전반에 확대되고 있으며 노년층의 디지털 소외 측면에서 심각한 사회 문제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는 이런 노인층의 디지털 소외 문제를 개선하고 사회적·제도적 포용을 이루기 위해 키오스크와 관련한 다양한 교육 및 정책을 통해 디지털 포용의 환경을 마련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노년층의 원활한 키오스크 이용을 돕기 위한 교육의 효용은 미비하며, UX 분야에서도 키오스크 사용과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즉시 적용 가능한 키오스크와 정보화 교육 관련 연구에 대한 비중은 낮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년층의 원활한 키오스크 이용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육적 지원에 주목하고, 그 중 현재 제공하는 다양한 교육 유형이 대부분 교육용 서비스를 활용하여 진행된다는 점에서 교육용 서비스 개발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였다. 이에 노년층의 원활한 키오스크 이용에 도움을 주기 위해 교육용 소프트웨어 UX 디자인을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제안하였다.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노년층의 디지털 격차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 관점을 검토하고 분석하여 키오스크 교육용 서비스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일반화에 용이한 프랜차이즈 매장 키오스크를 선정하여 휴리스틱 평가 및 실 사용성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노년층의 키오스크 이용과 관련한 실제적 문제점 파악하였다. 셋째, 일반화에 용이한 다수의 프랜차이즈 매장 내 적용 중인 키오스크 소프트웨어 UX 디자인을 중심으로 주요 태스크 시나리오를 분석하고 연구의 가설을 수립하였다. 넷째, 분석 및 평가를 통해 도출한 인사이트를 기반으로 노년층을 위한 효과적인 키오스크 교육용 소프트웨어 UX를 설계하였다. 다섯째, 제안한 키오스크 교육용 소프트웨어 UX에 대한 사용성과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대상 사용자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용성 평가 결과를 통해 도출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최종 서비스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키오스크 교육용 소프트웨어 UX 디자인은 노년층의 실질적 교육의 효용을 고려하여 향후 개선되어야 할 키오스크 교육의 방향성을 확립하는데 기여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일반적 키오스크 사용 교육으로의 확장에 있어 유용한 가능성을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한국형 포장관리시스템을 활용한 국도포장 유지보수 공법의 경제성 분석

        최승현 한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최근, 국토교통부에서는 국내 실정에 적합한 포장관리 시스템 개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경제성 분석을 기본 개념으로 하는 한국형 포장관리시스템(KoPMS:Korean Pavement Management System) S/W를 개발하였다. 현재까지도 일반국도의 포장관리를 위해 HDM-4가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입력 변수의 과다, 모형의 블랙박스(black-box)화와 같이 소프트웨어의 전문가 이외에는 접근하기가 매우 어려운 구조로 되어있다. 하지만 최근에 개발된 한국형 포장관리시스템의 경우 전문가를 포함하여 일반인들도 쉽게 접근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어 있어 향후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포장관리시스템을 활용한 응용 연구의 일환으로 일반국도 포장구간에 대한 경제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반적으로 유지보수 빈도가 높은 네 가지 공법에 대하여 장래 교통수요를 고려할 경우의 최적 유지보수 시기 및 공법을 결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장래 교통량이 매년 2% 증가한다고 가정할 경우 모든 구간에서 이용자 비용 및 편익은 교통량의 증가로 인해 크게 증가하며 각 구간별로 교통량이 증가하지 않은 경우와 동일하게 5AC 공법이 최적대안으로 선정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해당 구간의 교통량이 증가하여 악화 속도가 변화할 경우 구간의 유지보수 시기, 비용, 공법 선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따라서, 포장관리시스템에서는 장래의 교통량 변화를 고려하는 것이 분석의 정확도를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FDM 타입 보급형 3D프린터의 직육면체 형태 출력물 품질 향상을 위한 최적 제어 파라미터 분석

        이서진 한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3D 프린팅 기술을 발달로 인하여 비전문가 일반 사용자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타입의 보급형 3D프린터가 많이 상용화되었다. 이에 따라 산업현장 뿐만 아니라 가정이나 학교와 같은 공간에서 쉽게 3D프린터를 사용하여 맞춤형 제품을 생산 할 수 있게 되었다. 기존 산업용 3D프린터의 출력물은 기계 부품이나 건설자제의 용도로 사용되어 고강도와 높은 수준의 정밀도를 필수적으로 요구한다. 하지만 일반 소비자가 3D프린터를 사용할 때는 출력물을 주로 장난감이나 생활용품 같은 용도로 사용하기 때문에 산업용 3D프린터의 출력물과 같은 수준의 강도나 정밀도는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되는 재료도 산업용 FDM 타입의 3D프린터는 금속이나 콘크리트 등이 주를 이루지만, 보급형 3D프린터는 플라스틱이 대중적으로 사용된다. 다시 말해 보급형 3D프린터의 출력물과 산업용 3D프린터의 출력물은 사용하는 용도, 재료, 대상 소비자가 다르기 때문에 고품질에 대한 기준이 상이하다. 따라서, 산업용 3D 프린터에서 생성되는 제품과는 다른 보급형 3D 프린터 출력물에 대한 품질 측정이 필요하다. 또한 보급형 3D프린터는 산업용 3D프린터와는 탑재된 옵션이나 시스템의 제어 가능 범위가 다르기 때문에 보급형 3D프린터의 최적 제어 변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에게 어떤 품질요소가 가장 중요한지 KANO 모델 기반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고자 한다. 중요한 품질 요소를 결정한 후,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보급형 3D프린터의 최적 출력 제어변수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 보급형 3D프린터 사용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품질 요소는 각 변의 길이 오차, 강도, 표면의 거칠기, 프린팅 시간, 무게 순서로 정리되었다. 이 중 각 변의 길이 오차와 표면의 거칠기를 고려하여 보급형 3D프린터의 최적 제어 파라미터를 통계 분석한 결과 내부밀도는 30%, 레이어의 높이는 0.1㎜, 외벽 라인의 수는 2개인 경우 가장 좋은 품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히팅베드는 추가되는 경우 더 좋은 품질을 나타냈지만, 챔버는 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못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비전문가 일반 사용자도 원하는 수준 이상의 품질을 보다 쉽게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일반 사용자가 3D프린터 구매 시 옵션 선택에 도움을 줘 보다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의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품질요소의 우선순위가 보급형 3D프린터 제작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Due to the development of 3D printing technology, many entry-level 3D printers with FDM (Fused Deposition Modeling) types can be simply used by non-professional general users, and thus they have been popularly commercializ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produce customized products using 3D printers not only in industrial sites but also in personal spaces such as home and school. The outputs of existing industrial 3D printers are usually used for mechanical parts and building materials, and therefore high strength and precision are essentially required. However, when ordinary consumers use 3D printers, printing results are mainly used for toys or household goods. That is, the same level of strength or precision as those made by industrial 3D printers is not required. In addition, industrial FDM-type 3D printers are used with various materials, such as metal and concrete, but major materials for low-cost 3D printers are plastic. In other words, the outputs of entry-level 3D printers and industrial 3D printers should have different standards for high quality because the uses, materials, and target consumers are different. Therefore, we need a measurement standard for output quality of entry-level 3D printers different from industrial 3D printers. In order to increase accessibility 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 of the printers, general entry-level 3D printers exclude various options for controlling a quality of output precisely, and consequently it make fine adjustments difficult. For example, most industrial FDM-type 3D printers basically have heating bed and chamber options, but many entry-level 3D printers doe not have those options. Therefore, in this paper, we intend to determine priorities by deriving which quality factors are most important to users through KANO model based surveys. After determining the most important quality factors in entry-level 3D printers, we also investigate the optimal control parameter which showed significant effects to the quality of outputs generated by FDM printers. As a result of the above mentioned survey analysis, the most important quality factors in using entry-level FDM type 3D printers were summarized in the order of length error of each side, strength, surface roughness, printing time, and weight. Among them, we selected two important quality factors (i.e., length error of each side and surface roughness) to design the experiments for investigating optimal control parameters of entry-level 3D printers and conducted statistical inferences between five control parameters and two quality factors.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rnal density was 30%, the height of the layer was 0.1㎜, and the number of outer wall lines was 2. In addition, the heating bed showed better a output quality when added, but the chamber did not significantly affects the quality. Using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non-professional users are able to more easily obtain high quality above the desired level. In addition, it will help general users to choose appropriate options when purchasing FDM type 3D printers, and then they can make more effective decisions. Lastly, in the case of 3D printer manufacturing companies, the proposed priority of quality factors and control parameters can contribute to the efficient production of entry-level FDM 3D printers.

      • 심전도와 심음을 측정하기 위한 무선 전자 심전도-심음 측정 장치 개발

        조한석 한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논문에서는 심전도와 심음을 청진하는 동시에 무선으로 연결된 PC 화면으로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무선 전자 청진기를 제안한다. 기존에 개발했던 가로 97 mm, 세로 90 mm, 높이 45 mm의 심전도 측정 장치에 마이크 센서를 추가하여 심음을 같이 측정할 수 있도록 했다. 심음 측정 시 주변 소음을 차단하고 심음을 모아줄 수 있도록 일반 청진기와 비슷한 모양의 체스트피스 구조를 디자인하고 3D 프린터로 제작했으며, 기존 전자청진기의 체스트피스의 크기인 약 50mm보다 작은 직경 약 23 mm 사이즈로 제작했다. 체스트피스는 사람의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인체에 좀 더 친화적이며 생체적합성이 높은 실리콘 재질로 제작하였다. 심전도 측정을 위한 회로는 버퍼, 오른다리구동(DRL) 회로, 계측증폭기, 대역 통과 필터 등으로 구성하였으며, 심음 측정을 위한 회로는 비반전 증폭기, Sallen-key 2차 필터, MCU, 블루투스 등으로 구성하였다. 필터 회로에서 심전도 전극을 통해 들어온 신호는 심전도에 관련된 주파수 대역인 0.01-100 Hz 범위만 통과시키고, 마이크 센서를 통해 들어온 신호는 심음과 심잡음에 관련된 주파수 대역인 20-250 Hz 범위만 통과시킬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심전도와 심음 측정 회로는 4층 PCB로 제작했고, 제작된 PCB에 대한 외곽은 3D 프린터로 제작하였다. 개발된 무선 전자 심전도-심음 측정 장치는 심음에 대한 청진을 하며,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동시에 심전도와 심음 신호에 대한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모니터링 된 심전도 신호에서 P-QRS-T 파형이 모두 뚜렷하게 보이며, 심음 신호는 신호 대 잡음비가 약 26 dB로 제1심음(S1)과 제2심음(S2)가 모두 뚜렷하게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장치는 심전도와 심음에 대한 경험이 부족한 사용자에게도 심장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데 충분한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ODA 연구 동향 분석

        박설애 한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연구는, 국내외 ODA 연구동향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으로 처음으로 동시에 비교하여 국내외 ODA 전반의 연구 동향의 특성을 파악하고, 국내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부족한 연구 분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2002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20여년간 발표된 ODA 관련 국내 논문, 해외논문을 수집하여 단어 출현 빈도 분석과 네트워크분석, CONCOR분석을 진행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추이에 있어서 안정적으로 우상향적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국외 논문에 비해, 국내논문은 2007년부터 논문의 수가 점진적 증가를 하였으나 2017년을 기점으로 절반수준으로 하락하여 정체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주제에 있어서, 국내외 모두, 아프리카 지역의 개발협력과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논의가 주로 이뤄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국내 논문에서는 일본, 독일 등 타 공여국 사례 연구, 그리고 및 개발협력 전략 연구, 개발행위자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뤄온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지역적으로는 아프리카, 아시아 지역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뤘다. 시기별로는 MDGs 시기에는, 아프리카 지역, 타 공여국에 대한 연구, 그리고 새마을운동, 과학기술·ICT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SDGs 시기에는 공여국으로는 미국, 그리고 베트남 등 아시아 지역, 교육 분야, 그리고 성과에 대한 연구가 증가했다. 국외 논문에서는 지역적으로는 아프리카, 중국, 인도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뤘다. 시기에 상관없이 아프리카, 보건 및 교육분야, 사회 관련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MDGs 시기에는 빈곤, 여성, 시민사회, 환경, 수자원(식수)에 대한 연구가 활발했다면, SDGs 시기에는 개발목표의 영향을 평가하는 연구가 더 확대되었다. 또한, 기후, 파트너십에 대한 연구도 대폭 증가하였다. 해외 ODA 연구 동향과 비교하여 향후 국내 개발협력 학계의 연구의 방향성은 다음과 같다고 제언한다. 여성 역량강화와 참여 등 여성 대상 개발 분야, 그리고 시민사회와 파트너십, 기후와 환경 분야이다. 그리고, 데이터 기반의, 그리고 체계적인 프레임워크를 기반의 보다 심층적이고 발전적인 성과향상을 위한 연구를 추진하는 것이다.

      • 한국 드라마 시청률 영향요인 분석 및 예측 : 프로그램 편성전략을 중심으로

        신민정 한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15

        한국 드라마는 한류의 핵심적 문화 상품으로서, 아시아 시장에서 높은 인기를 끌고 있다. 최근 다매체 다채널 시대가 되면서 제한된 시청자 시장의 규모를 세분화하여 몫을 챙겨야 하기 때문에 방송사 간 시청률 경쟁은 커질 수밖에 없다. 시청률 경쟁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수단은 시청자들에게 시청 습관을 형성하게 하는 방송사의 편성 전략이다. 그러므로 방송 전 편성 전략을 포함한 여러 정보를 통한 드라마 시청률 예측과 영향요인 분석은 방송사, 제작사, 광고주에게 높은 관심의 대상이 된다. 본 연구는 편성전략에 따른 한국 드라마 시청률 영향 요인 분석 및 예측을 목적으로 한다. 2009년부터 2017년까지 방송했던 총 573개의 드라마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편성전략을 방영한 변수를 생성하기 위해 세 가지 측면에서의 영향을 중점으로 살펴보았다. 처음으로 같은 채널, 이전 시간에 방송했던 이전 작품의 영향을 보았다. 두 번째, 해당 드라마 선행, 후속 프로그램의 영향인 인접 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같은 시간, 다른 채널에서 방송하는 경쟁 드라마의 특성인 경쟁 상황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생성한 다양한 변수를 특성에 맞게 분류하여 Multiple Linear Regression(MLR)을 통해 드라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다양한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예측 모형을 수립하였다. 마지막으로 성능을 높이기 위해 드라마를 유형별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변수 그룹별 영향력을 비교하기 위해 추정한 결과, 모든 그룹을 모함한 모델의 추정 기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요일 유형별로 드라마를 나누어 분석했을 때 Neural Network(NN) 알고리즘의 성능이 가장 좋았다. 그리고 대부분의 알고리즘에서 전체 드라마보다 요일 유형별로 나누었을 때 성능이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청률 영향요인 분석 결과, 전체 드라마와 유형별 드라마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이 대부분 다르게 나타났다. 그중에서 이전 작품 최고 시청률이 가장 두드러진 영향을 보였으며 그 외에도 인접 효과와 경쟁 상황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형별로 k-fold cross validation을 사용하여 예측 모형을 수립하였다. 유형별로 나누었을 때 일일 드라마의 성능은 눈에 띄게 좋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모든 유형에서 Support Vector Machine(SVM) 알고리즘의 예측 성능이 안정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전략은 드라마 제작 시기와 편성전략을 수립하는데 반영이 가능할 것이다. 드라마 유형에 따라 선행, 후속 시간 어떤 프로그램을 배치하는 것이 도움이 되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경쟁작의 특성을 고려했을 때 해당 작품이 어떤 전략을 수립하면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지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드라마 시장뿐만 아니라 다른 포화시장에서도 확장해서 마케팅 전략, 판매 전략 등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사, 제작사, 광고주의 드라마 선택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조세회피와 기업가치간의 관련성 분석 : 중국 자본시장을 중심으로

        WUQIANRONG 한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15

        기업의 최종목표는 주가로 대변되는 기업가치의 극대화이며, 기업가치에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가치요인은 회계이익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회계이익 감소하는 주요한 요인은 비용의 지출 때문이며, 이러한 비용에는 조세가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회계이익이 높을수록 조세비용이 함께 커지게 되는데, 이러한 조세비용의 지출은 의심할 여지 없이 기업가치를 크게 감소시키게 되므로 기업은 기업가치 극대화를 위해 조세회피행위를 시도할 충분한 동기를 가지게 된다.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 중 세후 순이익은 가장 직접적인 요인이다. 일반적으로 기업의 회계이익이 높을수록 조세비용의 지출이 많고 세후 순이익이 작을수록 기업가치는 낮아진다. 조세회피 행위는 기업의 납세의무를 효과적으로 회피하고 조세 지출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은 충분한 조세회피 동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세후 현금흐름을 증가시키고 기업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조세회피 계획을 논의하게 된다. 즉 기업의 핵심 목표는 기업가치를 극대화하는 것이며, 회계이익과 현금흐름을 증가시키기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조세회피 행위는 기업들에 의해 널리 채택되고 있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조세회피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두 가지 관점에서 정리가 된다.

      • 자동차 타이어 메쉬 생성 프로그램 개발

        양세준 한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15

        타이어는 자동차 주행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성능이 좋은 타이어를 개발하는 것은 자동차 산업에서 매우 중요하다. 최근 성능이 좋은 타이어를 개발하기 위해 설계할 때 유한요소해석을 많이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복잡한 타이어의 형상을 다 표현한 유한요소 메쉬를 생성하지는 못 하고 있으며, 특히 타이어의 성능에 큰 영향을 주면서도 형상이 복잡한 트레드 패턴의 형상을 반영하지 못 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 실제 형상대로 메쉬를 생성하지 못 하고 간략화 된 형상으로 메쉬를 생성하고 있어 해석 수행 시 그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트레드 패턴의 실제 형상을 해석에 필요한 만큼 최대함으로 반영하여 메쉬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OS가 Windows 7인 PC를 사용하였으며, NX, NX OPEN, Visual Studio 2010 C++ 을 사용하여 타이어 3D 메쉬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 때 트레드의 실제 형상을 반영하여 메쉬를 생성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에서 타이어 단면과 트레드 패턴의 형상은 CATIA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전달 받으며, 트레드 패턴의 2D 메쉬는 ABAQUS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전달 받았다. CATIA 데이터는 DXF 포맷으로 입력 받고, ABAQUS 데이터는 INP 포맷으로 입력 받도록 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타이어의 3D 메쉬 데이터는 자동차 유한요소해석에 많이 사용되는 ABAQUS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INP 포맷으로 생성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3 가지 데이터의 형상을 표현하기 위해서 NX OPEN을 이용한 그래픽 화면을 개발하였다. With the development of automotive industry, the importance of tires has been increased. In order to make good tires, finite element analysis was used in design stage. But the shape of tires are not simple, so currently most CAE engineer simplify the shape of tires to generate meshes for analysis. In this study, we researched how to generate the 3D meshes of tires reflecting the accurate shape of tires. In this study, Windows 7, CAD, NX OPEN and other programming tools were used to cooperate with Visual Studio 2010 C# programming language for developing tire mesh generation software, which can accurately reflect the shape of tires. The software is divided into four modules: the importing the tire cross-section and tread pattern generated in CATIA, 2D meshes of tread pattern generated in ABAQUS. Finally, the 3D meshes were made by these three data in the developed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