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8·15 해방 후 신문의 문화적 기능과 신문소설 - 식민유산의 해체와 전환을 중심으로

        이봉범 ( Lee Bong-beom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2 한국문학연구 Vol.0 No.42

        한국의 근대신문은 신문 그 이상의 미디어로 기능했다. 구국운동과 대중계몽의 기관으로, 민중의 대변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가운데 신문에 대한 특유의 관념을 생산해내 신문은 사회의 목탁이고 신문주체들은 지사로 인식되었으며 대중들의 신문에 대한 역할기대는 과도하리만큼 컸다. 식민지하 언론의 특수성을 반영하고 있는 이 같은 사회적 통념은 신문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변용과정을 거치지만, 신문의 공공성/기업성에 대한 대립적 인식태도가 배태된 가운데 해방 후에까지 지속된다. 문화적 측면에서도 신문, 특히 1920~30년대 민간지는 조선에서의 새로운 문학과 문단의 형성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쳤다. 그 전통은 해방후에도 계승되어 신문의 공공성/기업성, 신문문예의 문화성/상업성의 모순된 양면성이 시대 변화와 대응해 조정·발현되는 가운데 신문은 과거에 못지않은 문화적 기능을 발휘했다. 그 과정에서 신문/문학의 결합에 의해 생산된 유산들과 이로부터 파생된 관행과 내면화된 관념이 해체·변형된다. 이런 면모를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 장편연재소설이다. 권력, 신문, 문학의 관계는 시기별로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정론성의 점진적 약화와 상업성의 비등으로 요약할 수 있으며, 이에 상응해 신문의 문학전략도 상업주의의 극단화로 나타난다. 그러한 신문/문학의 관계 조정에 의해 신문에서의 문학의 비중이 현저히 약화되었고, 신문이 문학(인)에 대한 압도적인 주도권이 강화되면서 문학은 상품에 불과하며 문인은 상품공급자의 위치로 전락한다. 그것은 신문에 있어 문학의 전략적 중요성과 문학배치에서뿐 아니라 학예면으로 대표되는 신문과 문단(학)의 긴밀한 네트워크, 문인기자의 존재, 문학담론의 생산과 형성의 거점, 신문과 집필자의 배타적 섹트화와 집필도덕 등의 유산이 해체되는 과정을 수반한다. 그럼에도 연재소설만큼은 과거에 비해 더욱 중시된다. 상품성을 기준으로 한 선택/집중의 문학전략의 결과였다. 식민지시기에는 연재소설 중 장편연재의 비중이 50%정도였으나 해방30년 동안에는 약 95%를 차지했다. 장편연재소설이 신문이라는 제도적 토대 품안에서 무한성장을 하게 된 것이다. 그로 인해 작가들은 신문선택적 글쓰기가 불가피해졌고, 과거와 다른 차원의 연재소설의 통속성이 강화되었으며, 문단의 상품성과 문학성에 대한 상호배제적 인식이 극단화되기에 이른다. 아울러 정치권력, 신문자본, 민간자율기구, 독자 등으로 다변화된 검열이 신문소설의 소재, 주제, 형상화방식에까지 규정력을 발휘한다. 그런 악조건 속에서도 신문연재소설은 신문자본의 후원에다 독자들의 높은 열독률과 선호도 그리고 대중성에 대한 문단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면서 적어도 1970년대까지 문학의 대표자라는 상징권력을 부여받게 된다. 요컨대 신문/권력/문학(단)/독자의 상호관련성 속에서 해방 후 신문소설의 존재양상에 대한 좀 더 심층적 분석이 이루어졌을 때 신문소설에 대한 온전한 평가가 가능하리라 본다. 본고는 이 작업의 작은 초석일 뿐이다. Korean modern newspaper had been functioned more than as a media. While it was performing as an organization for a ‘save-the-nation movement’ and the public enlightenment, it made a peculiar concept of the newspaper. So, the public expected the role of a newspaper a lot. The public recognized that it should lead them and the nucleus of a newspaper was a patriot. In the aspect of culture, especially privatelymanaged newspaper from the 1920s to the 1930s exerted a strong influence on a new literature and literary circles in Joseon. This feature had influenced after Korean Liberation. So, the contradictory doublesideness of publics and marketability of newspaper, and culture and marketability of the newspaper literature coped with and adjusted to changes of the times. Meanwhile, the newspaper functioned as a culture and it was no less than the past. In this process, the inheritance produced by combining with newspaper and literature, the custom derived from them, and internalized ideology were demolished and changed. In aspect of the newspaper, not only the importance of literary strategies and the literature arrangement, but also the intimate network between the literary circles and the newspaper representing arts and science, the being of literary journalist, the base of the production and formation of the literary discussion and exclusive sectarianism between newspaper and journalists were demolished. It is a serial story in a newspaper that exposes these aspects most. It is esteemed highly comparing to the past because of the selection and concentration of the literary strategy which has a standard on the merchantable quality. During the colonial era, a long serial story made up only 50 percent in a serial newspaper. However, for 30 years after Korean Liberation, it made up 95 percent in it. That is, the long serial story had infinite growth in the systematic boundary called ‘newspaper’. So, the writers had to write focusing on newspaper choice. Also, the popularity of a serial story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past was strengthened and the mutual exclusive notion to culture and popularity proceeded to extremes. Also, because of political authority, newspaper capital, Self-Regulatory Organization and readers, the diversified censorship affects on the rules from writing materials, topics to the way of imagery. In this unfavorable condition, there were many changes. They were the supports from newspaper capital, high editorial readership and the changed positive notion of the literary circles to popularity. So, a serial story in a newspaper achieved a symbol authority as a representation of the literature at least until 1970s.

      • KCI등재

        1960년대 검열체재와 민간검열기구

        이봉범 ( Bong Beom Lee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1 大東文化硏究 Vol.75 No.-

        1960년대 검열체재는 이전과 다른 몇 가지 중요한 특징을 보인다. 첫째 민간자율기구인 각종 윤리위원회의 자율심의가 보편화된 가운데 관권검열을 능가하는 검열이 시행되었다. 둘째 박정희정권은 상대적으로 뛰어난 검열기예, 즉 사상검열을 독점화한 상태에서 풍속검열을 민간에게 대폭 위임하고 관리하는 이원적 통제시스템, 분할통치에 의한 언론통제, 테스트케이스전략 등을 갖추고 구사했다. 셋째, 국가권력의 억압적 통제에 대한 反面的 지향이 그에 비례해 고조되는 것과 더불어 피검열자들의 대응방식에 분열 양상이 가시화된다. 검열형태의 이원화, 검열 작동방식의 다변화, 검열주체의 다원화와 피검열자의 분화가 상호 길항하면서 1960년대 특유의 검열체재가 동태적으로 형성되었던 것이다. 본고는 이 같은 구조적 역학의 중심에 놓여있던 민간자율기구의 존재를 그 실태, 제도적 위상, 기능에 초점을 맞춰 재구성 하는데 주력했다. 민간자율기구는 4·19혁명과 5·16쿠데타가 역학적 동인으로 작용한 가운데 국가권력의 對사회문화적 통제력의 극대화전략과 사회문화세력들의 독자적 권역확보의 이해관계가 조정되는 지점에서 탄생한 제도적 산물이었다. 그것이 6·3사태와 언론윤리위원회법 파동을 거치면서 기존의 신문·방송윤리위원회는 자율심의가 강화되는 한편 잡지, 예술, 주간신문, 출판 분야의 윤리위원회가 새롭게 발족돼 민간검열이 일반화되기에 이른다. 관권검열과 민간검열이 각기 독자의 영역을 갖고 제도적으로 검열이 시행되는 최초의 국면이 도래한 것이다. 민간자율기구는 조직체계와 실행력을 갖춘 명실상부한 검열기관으로서의 위상과 권한을 지녔다. 설치·운영의 자율성, 윤리강령과 그 요강에 입각한 심의방식의 다양화와 심의권역의 점진적 확대, 제재 규정의 강화를 통한 내부통제력 확보 등은 우리 윤리위원회만이 지닌 독특한 특징이었다. 민간자율기구는 국가권력에 포획된 또는 자발적 복종의 형식적 기구가 아니었던 것이다. 물론 윤리위원회의 심의결정이 법적 구속력을 지니지 못했기 때문에 그 권능이 제한된 측면이 없지 않았다. 그러나 윤리위원회의 직접적 결정조치와 이와 별도 차원의 영향력, 즉 심의를 둘러싼 관련주체들의 갈등·분열의 효과까지 감안하면 민간검열의 권능은 관권검열에 버금가는 수준이었다. 민간검열로 문학은 소재의 자유조차 간섭받는 위기에 봉착했다. 이렇듯 1960년대 신문, 방송, 출판, 잡지, 주간신문, 예술 등 언론문화 전반은 외적 관권검열과 내적 민간검열의 이중적 규율장치의 형식을 조건으로 성립될 수 있었던 것이다. 그 틀은 확장·변형돼 1970년대에도 유지되었다. 각 윤리위원회의 심의백서인 『決定』의 집적과 분석을 통해 민간검열의 위상과 의의에 대한 정치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Censorship format in 1960s has several significant characters that hadn`t appeared before. First, Review Board from various Ethics Committees, Self Regulatory Organizations, became common and censorship which was more powerful than government authority censorship enforced. Second, there were great censorship crafts in president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and they consisted of test case strategy, gag rule by divide-and-rule, and dualistic control system, which entrusted customs censorship to people while ideology censorship was monopolized. Third, due to the suppressed controls by the government, the innate respect of the opposite side had been highly raised. Also, the disruption of the people who needed their document to be corrected had become plain according to the way to cope with the situation. The specific censorship format in 1960s established while there was contention among the duality of censorship format, the diversification of censorship processing and corrector, and the disruptions of the people who needed their document to be corrected. This thesis focuses on reorganizing the being of Civilian Self Regulatory Organization which was in structural dynamics. Also, this process revolved around the institutional status, actual conditions, and functions. Civilian Self Regulatory Organization was the institutional creature from 4.19 revolution and 5.16 coup as the dynamic causes. This Organization had been formed while adjusting the interest between the maximized strategy of anti-social and cultural government controls and securement of the independent power among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 While it was struggling with 6.3 strife and Media Ethics Committee, Review Board in the existing press and broadcasting ethics committee had intensified. However, Civilian Censorship had become common because Ethics Committees in magazines, arts, weekly newspaper, and publication established. Government authority censorship and civilian censorship had their own lines and began to inspect institutionally. Also, Civilian censorship had its own authority and status as the censorship organization with schematism and executive ability. Ethics Committee had its own four special characters which were autonomy in establishment and operation, diversification of deliberation processes accordance with ethics, expansion of the deliberation area, and internal control with intensified the rules. Because of civilian censorship, it interfered with free materials of the literature. So, Journalism in 1960s in the press, broadcasting, magazines, weekly newspapers, and arts was impossible to set up on terms of the dualistic regulations, the external government authority censorship and internal civilian censorship.

      • KCI등재

        특집논문 : 일본, 적대와 연대의 이중주 -1950년대 한국지식인들의 대일인식과 한국문화(학)

        이봉범 ( Bong Beom Lee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5

        동북아 패러독스 현상의 심화는 현 한일관계의 구조적 기원인 1965년 한일국교수립을 다시금 주목 · 성찰하게끔 만든다. 한일국교정상화는 8 · 15해방 후 한일관계의 원점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이 논문은 65년체제를 한일관계의 결절로 간주할 때 그 이전 즉, 1950년대의 한일관계에 주목해 원점의 기원을 추적하고자 했다. 1950년대 지식인들의 대일인식의 기조와 논리가 어떻게 형성 · 전개되었는지, 또 이승만정권의 반일주의정책과 지식인들의 대일인식의 길항이 문화적으로 어떻게 구현되어 나타났는가를 중심으로 1950년대 일본적인 것의 존재를 탐구하는 것이다. 지식인들의 대일인식이 체계와 규모를 갖추고 대두된 것은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에 의한 일본의 독립과 그에 따라 한일회담이 추진된 전후부터이다. 한국지식인들의 대일인식의 기조는 일본배제론과 일본경계론이 지배적이었는데, 이승만정권의 전략적 반일정책과 공명하면서도 상호 균열, 충돌하는 모순성을 지닌다. 한일회담의 중요 의제에 대한 것과 이승만정권의 대일정책에 대한 대응 두 차원에서 옹호/비판의 다기한 양상이 드러나는데, 대일재산권청구, 구보타 망언, 태평양동맹구상의 일환으로 결성된 아시아민족반공연맹의 발족, 평화선, 재일조선인문제 및 북송 등에 대한 반일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아시아민족반공연맹과 동아시아반공연대 결성에 있어 일본배제론/참여론으로 갈리기도 하고, 정경분리원칙, 정치/문화 분리원칙을 제기하는 등 불협화음이 여러 지점에서 노출되었다. 전체적으로 1950년대 지식인들의 대일인식은 한일관계의 역사성, 특수성, 현재성 등을 바탕으로 일본경제론 · 배제론과 현실론 · 운명론이 교차 · 길항하는 가운데 전반적으로 반일이데올로기가 심화되는 추세였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이 전적으로 식민지적 멘탈리티에서 기인한 것이라기보다는 한일회담의 개최, 교착, 중단, 재개의 반복과정에서 일본이 보여준 대한 정책 및 인식태도에 의해 과정적으로 구성되고 심화된 면이 매우 컸다. 지식인들에게 있어 1950년대 일본은 군국주의의 일본, 좌익적 일본일 뿐이었고, 따라서 일본은 대결적, 적대적, 침략적 존재이지 결코 공존적, 협조적 존재가 아니라는 사실을 다시금 ‘경험적으로’ 확인하는 시간이었다. 단순한 감정적 반일이데올로기의 찌꺼기가 아니었던 것이다. 8 · 15해방 후 탈식민의 작업은 반민특위의 해체를 계기로 파행, 왜곡의 길로 들어서는데, 1950년대 일제잔재청산의 탈식민작업도 이 자장 안에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1950년대는 일본적인 것에 대한 극단적인 배제 · 차별에도 불구하고 일본화 현상이 만연했고 그 추세가 가속된다. 왜색일소운동을 비롯해 관급적 반일국민운동을 통해 일본을 부정적 타자로 한 내셔널리즘의 재흥하나 반일주의의 기저에 존재했던 거부 · 증오/모방 · 추격의 이중적 존재로서의 일본에 대한 심리적 메커니즘으로 인해 일본화는 필연적일 수밖에 없었다. 일본이 밀고 들어온 것이 아니라 우리가 끌고 들어온 혐의가 짙다. 일본문화에 대한 검열은 이 · 수입의 봉쇄뿐만 아니라 비공식적으로 도입된 일본물에 대한 행정적 단속의 일상화 등 두 차원이 병존했고, 불온과 저속(외설)의 논리가 작동되었다. 그렇지만 과도한 통제는 오히려 일본적인 것의 가치를 역설적으로 증대시키는 부정적 결과를 초래한다. 아울러 검열로 말미암아 문화적 기형성을 배태 · 조장했다. 1950년대 친일문제는 학 · 예술원의 설립과정에 촉발되어 공론화된 가운데 친일경력의 각계 전문가 지식인들의 제도적 복권을 촉진시키는 계기가 된다. 반일정서의 고조와 친일문학인의 복권, 이 극명한 대비가 1950년대 지식인들의 두 개의 일본에 대한 인식과 대응의 정직한 풍경이다. 1950년대는 ‘경험된’ 반공과 ‘경험된’반일에 갇힌 시대였다고 할 수 있다. Northeast Asian Paradox Phenomenon makes people focus on the Korea-Japan Normalization Treaty which is the origin of current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The Korea-Japan Normalization Treaty acquires starting point meaning since the 8.15 liberation movement. This thesis has tried to find out the origin, considering 65system as a kno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This thesis mainly explores two things. First, how 1950s`` perception of Japan has been made and spread out. Second, how Syngman Rhee government``s anti-Japanism and Korean intellectuals perception of Japan to cultural aspect has been realized. Korean intellectuals`` perception of Japan based on historicity, distinctiveness and newness in 1950s. And its anti-Japanism spread out through economic, exclusive theory, realism and fatalism. It is from not the colonizing mentality but the holding, mixing, interruption of a Korean-Japanese Conference. For the intellectuals, it was the time when they were ‘empirically’ confirmed that Japan was merely an invasive, aggressive or incursive counterpart, not a cooperative one because Japan was only of militarism or left wing in 1950s. Decolonizing of Japanese imperialism was achieved under the dissolution of SCAA. In 1950s’, Japanism was prevalent and even accelerated despite of extreme exclusion of Japanese style. Japanism was inevitable due to the psychological mechanism against Japan as a two-fold existence of denial, hatred/ imitation, chase, under anti-Japanism, even though they had tried to plant negative images through government supply including clean sweep of Japanese style exercise. It was not Japan, but ourselves that caused it. Censorship over Japan culture leads to not only abolishment of import but also crackdown on the introduced Japanese culture. And the logic of danger and pornography works. However; excessive regulation makes this situation worse. It proves the Japanese value more. The censorship encouraged the cultural tartaric. Pro-Japanese problem in 1950s had become public as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art academy. Pro-Japanese problem promoted Korean intellectuals`` institutional reinstatement. Elevation of emotion for anti-Japanism and pro-Japanese literature reinstatement are contrasted with each other. And this is the intellectuals`` recognition of Japan in 1950s’. This period was the period when we were locked in ‘empirical’ anti-communism and ‘empirical’ anti-Japanism.

      • KCI등재

        8,15해방~1950년대 문화기구와 문학 -문화관련 법제를 중심으로-

        이봉범 ( Bong Beom Lee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1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4

        이 글은 문학관련 법제를 중심으로 8·15해방~1950년대 문화기구와 문학의 상관성을 살펴 이 시기 문학(인)의 역사적 존재방식을 거시적으로 탐색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8·15해방을 기점으로 획기적으로 변환되는 문화기구는 문학의 조건과 위상의 변화와 접점을 이루며 문학(인)의 현존을 거시적으로 규정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법제는 검열, 매체, 학술, 번역, 문단 등 문화제도로서의 기구의 성립·작동과 불가분의 관계를 지닐 뿐만 아니라 문학텍스트의 사회적 소통과 직접 관련된 작가, 독자, 텍스트의 존재방식에도 일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중요 기제였다. 해방 후 법제는 반(反)식민 의제의 근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청산의 불완전성과 시대적실성을 갖춘 새로운 법 제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대중들은 여전히 신민의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된다. 문화관련 법제도 마찬가지여서 식민지시기에 제정된 법제가 효력을 유지하게 되고 따라서 문화의 전 부분은 일정기간 동안 식민지법제의 규제 속에서 탈식민의 과제를 수행할 수밖에 없었다. 언론출판법제는 신문지법이 1952.3 공식 폐지되나 미군정법령 제88호가 존속하고 아울러 신문지법의 대체 법안인 출판물법안의 제정이 몇 차례 불발되면서 국가권력이 표현의 가이드라인을 장악·관장하게 됨으로써 언론출판기구는 만성적인 불안정상태에 처하게 된다. 이러한 조건은 집필자들에게 심리적 위협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문학의 위축과 부진의 요인이 된다. 문화보호법에 의한 학·예술원의 설립은 문화와 언론출판, 학술과 예술의 제도적 분화를 촉진시키는 동시에 전문성의 강조에 따른 학·예술 관련 친일인사의 복권을 제도적으로 승인해주는 계기로 작용한다. 따라서 학·예술원의 설립은 국가권력에 의한 학·예술의 장악이라는 것 이상의 문화사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었다. 저작권법은 저작권(판권)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제고시키는 계기였을 뿐 더러 출판계의 구조변동을 추동하는 가운데 출판계의 식민지적 유제를 해소시키는 긍정적인 변화를 야기했다. 요컨대 법제상으로 볼 때 8·15해방~1950년대는 식민지유제의 청산과 새로운 질서에의 모색과 생성이 부단하게 전개되면서 새로운 문학기구가 제도적으로 정착되는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Focusing on the legal system, this thesis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ulture apparatus and the literature from Korean Liberation to the 1950s and its aim is to seek the historical existence way of the culture in this era. Culture apparatus which has been remarkably changed from 8·15, Korean Liberation as the starting point has a function to regulate comprehensively the existing literatures and literary men, interfacing between the condition and changing status of the literature. Especially, not only did the legal system have the inseparable relation with the formation and functioning of the apparatus as the literature institution for censorship, media, translation, academy and literary world, but it also had influence on writers who were related to social communication with literature context, readers, and the existence ways of the texts. Although legal system was based on anti-colonial agenda after Korean Liberation, the new legal system which was supposed to contain the solutions for the imperfection and the legitimate legal of the times wasn`t established smoothly, which made people remain as objects in that time. Because the legal system of the culture was made in the same way, the legal system which was established in colonial period still had validity. So the de-colonial culture couldn`t help being conducted in the culture by the regulation of colonial legislation in certain period. Although Pess Law was abolished in March, 1952, the legislation of Publication Act which substituted Press Law couldn`t enact several times. So the state power secured the guide line of the expression, which made the press organizations fall into the chronic unstable situation. With these conditions, the authors were under psychological stress, which was the main reason for the contraction of the literature.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and the Art Academy by Law for the protection of culture promoted institutional specialization of the culture, press and art. Also, it had function to approve reinstatement for pro-Japanese collaborators who were related to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and the Art Academy because of the emphasis on Specificity at the same time. Thus, the establishment of Academy implied more cultural meanings than that of the rein of Academy by the state power. Not only did Copyright Law raise the social understanding for copyright, but it also caused the positive change to resolve colonial existing systems of the press while it was creating the organizational changes of the press.

      • KCI등재

        잡지미디어, 불온, 대중교양

        이봉범(Lee, Bong Beom) 한국근대문학회 2013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4 No.1

        1930년대 신문잡지전성시대를 선도했던 『신동아』가 ‘일장기말소사건’으로 폐간된 지 28년 만에 1964년 9월 정식 복간된다. 『신동아』의 복간은 잡지사적으로 신문잡지의 복원과 함께 제2신문잡지시대를 견인해내는 선구적인 역할을 하는 가운데 1960~70년대 잡지계 재편의 기폭제 역할을 하는 의의를 지닌다. 어찌 보면 1930년대의 재현이라 할 수 있다. 복간 『신동아』의 편집체재는 중점주의와 다양성을 겸비한 망라주의로 종합지편집의 일반성을 지니지만 과거와 달리 문학중점주의에서 탈피한 특징을 보인다. 이는 종합지의 새로운 변화를 암시하는 동시에 1960년대 사회 변동에 대응한 매체전략이었다. 복간 『신동아』의 중점주의편집의 독보적 특징은 서민주체의 수기를 위주로 한 논픽션, 르포르타주와 백서이다. 1960~70년대 복간 『신동아』소재 100여 편의 수기에 나타난 서민 주체적 글쓰기는 대중이 말할 수 있는 권리를 잡지미디어를 통해 구현한 민권신장의 한 징표이다. 급격한 사회변화로 야기된 병리적 현상의 다양한 이면을 고발하는 것에서부터 공론의 장에서 쟁점이 된 공공의 문제를 심층 취재한 르포와 1960년대 개발의 연대의 모순과 병폐를 주로 정경연합의 지배체제의 모순과 비리에 초점을 맞춘 다룬 종합보고서인 백서는 편집체재상 상호보완적 관계를 지니는 가운데 당대 지배권력 구조 안팎의 모순과 비리를 적발ㆍ비판하는 기능을 한다. 이 모든 것은 복간 『신동아』 기획력, 취재력, 정보력을 잘 보여주는 것으로 신문잡지로서의 장점을 극대화한 산물이다. 복간 『신동아』의 매체전략은 시사성을 중심으로 한 정론성과 대중성이 상호 결합된 체계를 지닌다. 시사성을 매개로 한 정론, 특히 발전주의이데올로기에 대한 지속적 문제제기와 비판은 1968년 ‘신동아 필화사건’이 반증하듯 복간 『신동아』의 정론성이 불온한 것이었으며 아울러 그 매체전략이 종합지의 새로운 차원을 개척한 것이라는 점을 잘 보여준다. 시사성에 바탕을 둔 대중성은 안정적인 발간, 높은 발행부수, 다양한 세대에게 인정받은 권위, 다양한 독서대중에게 수용되는 특징을 감안할 때 당대 교양의 지평을 넓힌 가운데 대중들의 교양 함양에 크게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당시 문학중심의 속물교양에서 시사교양으로의 확대의 중심에 복간 『신동아』가 위치한다. 복간 『신동아』가 본지와의 분업적 관계 때문에 편집의 중점에서 문학을 배제했으나 문학후원자로서의 역할을 방기한 것은 아니다. 지면의 제한을 주지 않았고 장편연재를 무한정으로 보장한 것은 문학지에 비해 오히려 긍정적인 배려라 할 수 있다. 복간 『신동아』와 문학의 관계에서 주목할 것은 복간 『신동아』소재 수기의 문학적 가능성과 『소설 조선총독부』를 비롯한 고증 중시의 근대사관련 장편연재가 갖는 의미를 분석적으로 고찰하는 일이다.

      • KCI등재

        해방10년, 보수주의문학의 역사와 논리

        이봉범(Lee Bong-beom) 한국근대문학회 2010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1 No.2

        This thesis aims to go to the bottom of the history and the theology of liberation decade - conservatism literature from the point of institutional history. The year, 1996 is the inflection point about understanding history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which is the point of view has been changed or intersected from empirical liberation to historical liberation. That’s why the liberation decade has been set as the unit. History and argument about 8.15liberation on journalism generally have a character to introspect liberation decade history as deformed and failure liberation and try to find out the second liberation. Regarding the point of literature, the Korean Writer Association Orthodox which led literary circles after liberation with this was agitated to monopolize the history of the liberation decade literature, which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rapture on submitted literary history as this production. This rapture was collected as the crisis of pure literature. Liberation decade conservatism literature has been bisected with converted place as its starting point. The literary history as conversion has four meanings. First, it was the innovative point to complete literary subjugation, forcing acculturation of literary subjects institutionally. Second, it caused literary dynamic structural changes. Third, it detonated the hegemony combat of the conservative powers which have cultural leadership complicatedly. Fourth, decisively, literary core subjects which were placed after liberation were distorted and collapsed. While conservatism literature, especially Korea Writer Association Orthodox was holding the power for all the literature, this process aimed to confirm the justice and power of its literature line, pure literature. After that, the history of conservative literature was the endless continuity of building boundary and expanding the territories. Literature / non- literature, that is the way to preserve the justice of pure literature, dividing into pure literature (right literature) and non-pure literature (wrong literature). Therefore, it had created non-pure literature endlessly, which was the way to adhere to pure literature through excluding the objection. 이 논문은 제도사의 관점에서 해방10년 보수주의문학의 역사와 논리를 규명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해방10년을 단위로 설정한 것은 1955년이 해방 및 해방 후 역사에 대한 인식의 한 변곡점, 즉 경험으로서의 해방에서 역사로서의 해방으로 그 관점이 교차 내지 전환되었기 때문이다. 저널리즘의 8·15해방에 대한 역사화와 논조는 대체로 해방10년사를 불구의 해방, 실패한 해방으로 성찰하고 제2의 해방을 모색하는 특징을 보인다. 문학의 차원에서는 이와 더불어 해방 후 문단을 주도해온 문단주체세력(문협정통파)이 해방10년 문학사를 전유하고자 한 욕망이 비등했는데, 그 산물로 제출된 해방10년 문단사에는 많이 차이와 균열이 나타난다. 그 균열은 순수문학론의 위기로 수렴된다. 해방10년 보수주의문학의 역사는 전향공간을 기점으로 양분된다. 전향의 문학사적 의미는 첫째, 문학주체의 변용을 제도적으로 강제함으로써 문학적 사상 평정이 완성되는 결정적 계기였고 둘째, 문학적 역학의 구조변동을 야기했으며 셋째, 문화 주도권을 둘러싼 보수주의세력의 헤게모니투쟁을 복잡다단하게 촉발시켰으며 넷째, 해방 후 제기되었던 문학의 핵심 의제들이 결정적으로 왜곡, 와해된다. 그 과정은 보수주의문학, 특히 문협정통파가 문학 장 전반을 장악하는 가운데 그들의 문학노선인 순수문학론의 문학적 정당성과 권위를 확증하는 것이었다. 이후 보수주의문학의 역사는 끊임없는 ‘경계 짓고 영토화하기’의 연속이었다. 문학/비문학, 즉 순수문학(옳은 문학)/비순수문학(틀린 문학)으로 분할해 순수문학의 정당성을 보존하는 방식이었다. 따라서 그것은 비순수문학이란 타자를 끊임없이 창출해내고 이의 배제를 통해 순수문학의 원칙을 고수하는 과정일 수밖에 없었다. 순수문학/통속문학(1950년대), 순수문학/참여문학(1960년대), 순수문학/민족(민중)문학 및 상업주의문학(1970년대) 등 적어도 1970년대까지 보수주의문학은 이전략으로 일관한다. 그것은 다양한 문학적 가능성을 억제하고 스스로를 순수문학의 성채에 가둔 왜곡의 역사였다. 중요한 것은 그 역사의 마디마디에 첨예한 쟁점을 담고 있었던 순수문학과 결부된 논쟁들의 합리적 핵심을 파악해 의미화 하는 작업일 것이다.

      • KCI등재

        냉전과 원조, 원조시대 냉전문화 구축의 역동성-1950~60년대 미국 민간재단의 원조와 한국문화-

        이봉범 ( Lee Bong-beom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0 No.39

        아시아재단을 비롯해 민간재단의 존재는 냉전과 불가분의 관계를 지닌다. 따라서 민간재단의 원조와 한국의 냉전문화 구축의 상관성을 고찰하기 위해서는 양자 사이에 놓여 있는 여러 매개요소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본고는 그 중 (경제)원조를 중요 변수로 설정했다. 원조가 냉전체제의 범세계성을 가장 잘 함축한 키워드이며 동시에 한국의 냉전문화 축조의 핵심 동력으로 판단하기 때문이다. 원조는 냉전의 본질적 요소로서 냉전체제를 현상 유지시킨 기본적인 수단이었다. 냉전체제 전 시기를 일관해 확대/축소재생산의 형태로 이루어진 미소의 군사적·경제적 원조경쟁은 양국의 전략적 이해관계를 관철시키기 위한 유력한 방편으로 작용하면서 양국의 지속적인 대립 및 긴장 완화의 요인이 되었고, 나아가 미소관계를 넘어서는 또 다른 갈등, 특히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등 냉전의 주변부를 냉전의 격전장을 흡인해내면서 냉전을 세계적인 차원으로 격상시킨 주된 요인이었다. 특히 1950년대는 냉전이 유럽적인 현상에서 세계적으로 파급·확산되어 국제적인 신체제로서의 성격을 갖게 되는데, 원조전 또는 경제냉전이라 일컫는 미소의 본격적인 원조경쟁이 이를 더욱 추동했다. 그로 인해 냉전은 미소의 세계패권 경쟁뿐만 아니라 주변부국가들의 탈식민의 과제와도 밀접하게 내접될 수밖에 없었다. 냉전의 초점이 주변부로 다변화됨에 따라 경쟁적으로 시행된 원조는 그러나 경제 원조조차 군사적 성격을 농후하게 지녔던 관계로 경제적 후진성, 사회문화적 낙후성 극복 등 주변부국가의 탈식민과제에 대한 기여가 미미했다. 이런 조건에서 민간재단의 원조가 상당한 효력을 갖게 된다. 미국의 대한원조도 동일한 맥락에서 축소재생산의 형태로 지속되는데, 특히 정부·민간원조를 통틀어 일본을 중심으로 한 미국의 아시아지역통합 전략의 기조에 따라 제공됨으로써 군사적 성격이 더욱 강했으며 원조집행의 자주성, 특히 원조물자의 대일구매와 바이아메리칸정책을 둘러싼 첨예한 갈등으로 원조의 효과를 약화시켰다. 이렇듯 미국의 대한원조의 전체적 구성과 내용의 특성상 민간재단 원조가 중요한 위상을 부여받을 수 있었고 그 효과가 배가될 수 있었던 것이다. 이 같은 정부 간 원조와 민간재단 원조의 구조적 역학관계 외에도 민간재단의 한국원조를 제대로 살피기 위해서는 아시아재단, 한미재단, 포드재단, 록펠러재단 등 민간재단 전체를 포괄적으로 균형 있게 다뤄야 한다. 민간재단별 서로 다른 특화된 원조영역이 존재할 뿐 아니라 한국원조의 영역 또한 상당부분 겹치기 때문이다. 또 민간재단 원조가 한국에서 실행되는 제반 조건 및 주체적 대응도 중요하게 검토되어야 한다. 민간원조의 규모, 지원 대상, 운영 절차 등 원조의 형식은 물론이고 원조의 효력, 즉 냉전문화 구축의 실질을 규정하는 요소였기 때문이다. 이 같은 문제의식과 구도 아래 아시아재단과 포드재단의 한국원조의 조건과 논리 그리고 그 효과를 사례 분석해보았다. 아시아재단의 자유문학상 원조를 통해 아시아재단이 주목한 한국의 냉전적 가치와 문학을 체제 경쟁의 가장 매력적인 무대로 활용한 점을 파악했으며, 포드재단의 아세아문제연구소에 대한 집중적 원조가 데탕트 추세 속에서 국가권력-학계-포드재단의 공조관계에 의해 이루어진 가운데 외원에 의한 한국학 정립이라는 냉전(학술)문화 형성의 한 전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민간재단의 주요 문서들이 공개됨으로써 냉전문화 연구의 여러 가설수준의 설명이 입증가능한 단계로 진전되고 있다. 입수한 스탠포드대 후버아카이브에 소장되어 있는 아시아재단, 한미재단 등의 자료 분석을 거쳐 본고의 미진했던 부분을 발전적으로 확산시킬 예정이다. The existence of the private foundations including Asia Foundation and the Cold War are indivisible relation. This paper, focusing (economic) aid which is the best keyword implying the globality of the Cold War system,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id from private foundations and the construction of Korean Cold War Culture. In 1950’s the Cold War system spread worldwide in the form of the aid war or the economic war. However, even the economic aid did scarcely contribute to postcolonial projects of fringe nations, for it had deeply military characteristics. In the same way America’s aid to Korea maintained as the reproduction on a regressive scale, which is especially supplied with the keynote of America’s strategy of Asia regional integration so that it has strong military characteristic. The private aid was able to raise its status and also the effect of it could be increased, due to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America’s aid to Korea. This paper analyzed the examples of the conditions, the logic, and the effects of the aid to Korea of Asia Foundation and Ford Foundation under this theme. It can figure out the aid to freedom award literature of Asia Foundation that parlay Korea’s value in cold war system and the literature into the stage of system competition. And it can be checked that Ford Foundation’s intensive aid to Asiatic Research Institute was the typical model of cold war academy of Koreanology built by Foreign aid as which was carried out by the cooperation among the government power, the academy, and Ford Foundation in detente.

      • KCI등재

        한미재단(American Korean Foundation), 냉전과 한미 하방연대

        이봉범 ( Lee Bong-beom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0 No.43

        한미재단은 냉전기 한미관계의 동태적 변모를 잘 드러내주는 미국의 민간재단이다. 비정치, 비영리, 비종교를 표방한 가운데 아이젠하워/이승만정부의 정권적 이해가 부합된 냉전정책의 산물로 1952년 8월 백악관에서 발족된 한미재단은 25년(1952~76년) 동안 약 5천만 달러를 한국에 원조함으로써 한국의 전후재건과 근대화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 리틀 타이거들을 대상으로 한 뉴스보이콘테스트는 한미양국 정부의 국내·외적 냉전정책이 한미재단을 매개로 어떻게 결합하여 선전전으로 활용되었는지를 드러내준 전형적인 사례이다. 한미재단은 아시아재단, 포드재단, 록펠러재단 등 미국의 유력한 민간재단의 한국원조와 여러 점에서 구별되는 특징을 보여준다. 첫째, 냉전기 한미관계의 특수성이 집중적으로 반영된 태생적 본질로 인해 조직 구성과 원조사업 전반이 한미관계의 변동에 직결될 수밖에 없었다. 이 점이 한미 간 갈등이 고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한미재단의 사업을 촉진시키는 역설적 결과를 초치한 가운데 한국원조가 성공적으로 결실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으로 작용했다. 둘째, 한국정부와의 긴밀한 협력관계 속에 원조사업이 실행됨으로써 반관반민의 성격을 농후한 지녔으되 원조사업의 유효적절성을 제고시킬 수 있었다. 셋째, 공적원조뿐만 아니라 타 민간재단과의 다층적 협력채널을 바탕으로 대한원조의 선택/집중의 전략을 구사할 수 있었다. 넷째, 원조의 규모와 사업 영역이 방대했다. 그중 보건의료, 4-H클럽, 지역사회개발, 교육, 사회복지, 주택 등 6개 분야가 핵심프로젝트였다. 다섯째, 한국현지화에 심혈을 기울여 원조의 효과와 영향력을 배가시켰다. 특히 1953년 두 차례의 사절단 파견과 그 결과보고서를 바탕으로 대한원조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입각한 장기지속적인 원조를 시행함으로써 한미연대의 새로운 차원을 개척하기에 이른다. 여섯째, 미국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제고에 다대한 기여를 하면서 민간차원의 양국우호관계를 증진시키는 동시에 공적 원조를 둘러싼 양국의 첨예한 갈등을 완화시키는데도 이바지했다. 이 같은 냉전기 한미 하방연대(下方連帶)의 긍정적 면모를 가장 잘 보여주는 사업이 4-H지원 사업이다. 한미재단은 1953~79년 막대한 재정 및 기술 원조뿐만 아니라 미국적 민주주의를 전파함으로써 4-H클럽을 농촌지역사회개발과 농촌근대화의 전위대가 되도록 만들었다. 특히 1964년 소사4-H훈련농장설립을 계기로 강화된 농촌지도훈련프로그램이 미국적 가치와 이념의 유력한 전파통로였다. 한국4-H클럽 운동은 비자생성과 비자주성을 지녔으나, 미국적 모델이 이식된 가운데 자생성을 추동했으며 한미재단을 주축으로 한국정부, 미국4-H클럽의 유기적인 협력관계로 한국4-H클럽이 단기간에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었다. 1960년대 후반 세계2위 규모로 성장한 4-H클럽은 조직적, 인적 차원에서 1970년대 새마을운동의 중요한 물질적 기반이 되었다. 한미재단의 4-H클럽지원은 (절차적)민주주의의 전파와 확산에 상당한 기여를 했으며 ‘소리 없는’ 미국화를 추동했다. 그러나 전근대적 사고방식과 가부장적 권위주의가 온존한 당대 한국농촌사회의 구조적 조건과 농촌사회의 점진적 붕괴에 따른 4-H클럽의 자기확장성과 인적재생산메커니즘이 봉쇄됨으로써 민주주의 전파 및 미국화가 농촌사회 전체로 확산될 수 없었다. 엘리트 집단보다는 뭇 대중들과 교집합을 형성하며 장기지속적인 대한원조를 시행한 한미재단은 냉전기 한미관계의 복잡성과 공적·비공식적 대한원조의 상호결합 관계를 파악하는데 유리한 존재이다. It can be revealed by focusing American Korean Foundation(AKF, American private foundation) that dynamic movements of relations between Korea and U.S. during the Cold War. In August 1952, claiming to be nonprofit, nonpolitical, non-religious, AKF started at the White House, which was a result of Cold War policies that were relevant to interests of Eisenhower and Syngman Rhee administration. AKF contributed $50m to South Korea from 1952 to 1976 and helped its postwar rehabilitation and modernization. It can be explained by typical example of the news-boy contest among ‘Little Tigers’ that the Cold War policies of Korea and U.S. government with AKF were used in propaganda war. AKF is distinguished from other aid or assistance by other American regnant private foundations in several points. First, because of the inherent feature of AKF that the Cold War Korea-U.S. relations were intensively reflected, the composition of organization and aid projects of AKF were directly influenced by changes in the relations. Second, despite its semi-governmental management, AKF could improve effectiveness of assistant projects with close cooperation to Korean administration. Third, AKF was able to use strategy of choice and concentration to Korea that was based on assistance by cooperation with other private foundations as well as the official aid. Fourth, the fields of assistant projects by AKF were vast in scale. Especially six core projects by AKF were Health care medical services, 4-H agricultural activities,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s, Education programs, Social welfare programs, Housing projects. Fifth, AKF devoted itself into localization in Korea, as the result of that, the effect and influence of its assistance increased. Sixth, AKF helped America to improve its image, and to cement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U.S. in private sector. At the same time AKF also contributed to toning the conflict about official aid between Korea and U.S. down. It can be shown by the supporting 4-H club project that such as above positive aspects of downward solidarity of Korea-U.S. during the Cold War. AKF made 4-H club become the spearhead of rural community development and rural modernization during 1953~1979 not only by huge economic and technological assistance but also by spreading American democracy. Korean 4-H club had not had autonomy, but after importing American model, became autonomous and growed as second largest scale worldwide in late 1960s. 4-H club formed a material basis of Saemaeul Movement in 1970s with its organization and human resources. Supporting 4-H club project by AKF contribute to spreading procedural democracy and ‘soundless’ Americanization. However, spreading democracy and Americanization in Korea were not success because of structural condition of Korean rural community where there were premodern ways of thinking and patriarchal authoritarianism in that times. Korean rural communities, in addition, declined gradually and 4-H club also could not maintain its self-expandability and reproduction of human resources.

      • KCI등재

        냉전과 북한연구, 1960년대 북한학 성립의 안팎

        이봉범 ( Lee Bong-beom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0 No.56

        이 논문은 냉전지역학으로서 북한연구가 일정한 규모와 체계를 갖추고 등장한 1960년대 북한학 성립의 안팎을 고찰하고 있다. 북한학은 북한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지역연구이며, 분단과 통일 그리고 향후 남북통합의 한반도 전체를 아우르는 실천적 통일학이자 미래학으로서의 학문적 위상과 가치를 지닌다. 1960년대 북한연구에 주목하는 이유는 북한학이 냉전에 의해 탄생했고 냉전을 동력으로 하여 한국학의 중심 영역으로 부상했으며, 이때 주조된 북한 연구의 인식론적 틀과 범주가 지금까지도 장기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1960년대 북한학의 출현은 냉전질서의 변동에 따른 미국의 민간재단, 박정희정권, 학술계의 목표와 이해관계가 결합되어 가능했다. 이 과정에서 북한연구의 최대 관건이던 이데올로기적 제약과 자료 문제가 획기적으로 개선됨으로써 북한연구가 본격화될 수 있었다. 포드재단의 아세아문제연구소에 대한 집중적 원조는 북한에 대한 정보 수집과 비판적 분석을 통해서 냉전체제의 대결논리를 강화하는데 있었다. 박정희정권은 반공개발동원 및 심리전 전략, 남북한 적대적 의존관계의 파열/봉합에 따른 북한 및 통일연구의 시대적 요구에 따라 북한학을 헤게모니적 지배의 유용한 전략으로 채택하였다. 민간학술계 또한 근대화와 통일문제를 결합시켜 인식하는 가운데 북한연구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었다. 이러한 구조적 맥락 속에서 북한학은 냉전지역학으로서의 학문적 정체성을 태생적으로 지닌 가운데 학문적 외연을 확장해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1960년대 북한연구는 크게 보아 두 방향으로 전개된다. 첫째, 북한에 관한 정보 및 자료의 생산, 배포를 독점화하여 위로부터의 북한연구를 촉성하는 동시에 이를 대내외적 심리전으로 활용하여 냉전적 남북 체제경쟁과 반공개발동원 체제를 확대 강화시키는 이념적 도구화이다. 이 과정에서 언론, 방송, 종교, 민간반공단체 등이 심리전의 하위파트너로 포섭, 배치된다. 이들 대내외 심리전의 하위파트너들이 북한을 특정 이미지화 한 크렘리놀리지를 대거 양산, 전파함으로써 냉전적 북한 이해가 전 사회적으로 부식되기에 이른다. 둘째, 일정한 학문적 체계를 구비한 북한학이 아세아문제연구소에 의해 추동되었다. 북한을 독자적 연구대상으로 설정하고 실증적, 비교방법론에 입각한 아세아문제연구소의 북한연구는 북한학의 학문적 위상 정립과 아울러 북한연구의 외연 확대와 전문성 제고를 바탕으로 북한학의 성격과 방향을 정초하는데 다대한 기여를 했다. 특히 아세아문제연구소의 북한학은 미국 냉전 지역학과의 인적, 학술적 네트워크와 긴밀하게 접속, 교류함으로써 당대 북한연구가 동아시아 및 세계적 지평을 획득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요약하건대 1960년대 북한학은 냉전적 지식-권력체계를 본질로 하는 학문적 정체성을 지니며 등장했으며, 이 같은 이데올로기적 학문이라는 특수성은 또 다른 이데올로기성을 수반하며 오늘의 북한학으로 연결되고 있다. 1960년대 북한학은 북한을 타자화한 기존 북한학의 남북 통합적 한반도학으로의 지양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참조가 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establishment of North Korean studies in the 1960s, when North Korean studies emerged with a certain scale and system as Cold War regionalism. North Korean Studies is a regional study targeting the North Korean region, and it has the academic status and value as a practical unification and future science covering the whole Korean peninsula of division, unification, and future inter-Korean integration. The reason for paying attention to North Korean research in the 1960s was that it was born out of the Cold War and emerged as a central area of Korean studies, driven by the Cold War. The emergence of North Korean studies in the 1960s was possible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goals and interests of the United States’ private foundation,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and the academic community. In this process, the ideological constraints and data problems, which were the key to the study of North Korea, have been drastically improved. Intensive assistance to the Ford Foundation’s Asiatic Research Institute was to strengthen the logic of the Cold War confrontation through collecting information and critical analysis of North Korea.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adopted North Korean Studies as a useful strategy for hegemony domination in response to anti-communist development mobilization and psychological warfare strategies, and the demands of North Korea and unification research due to the rupture / sealing of hostile dependences. The private academia was also reducing the need for North Korean studies while recognizing the combination of modernization and unification. In this structural context, North Korean studies were able to expand their academic ambitions with their academic identity as Cold War regionalism. In the 1960s, North Korean studies appeared in two directions. First, it is an ideological tool that monopolizes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information and data on North Korea to promote North Korean research from above, and uses this as internal and external psychological warfare to expand and strengthen the Cold War inter-Korean competition and anti-communist development mobilization system. In the process, media, broadcasting, religion, and civilian anti-communist organizations are included as subpartners of the psychological warfare. The sub-partners of these internal and external psychological warfare mass-produced and propagated the Kremlinology that imaged North Korea in particular, leading to the erosion of Cold War’s interests in society. Second, North Korean studies with a certain academic system was driven by the Asia Research Institute. North Korea’s research at the Asiatic Research Institute, which set North Korea as an independent research subject and based on empirical and comparative methodologies, is very helpful in establishing the nature and direction of North Korean studies based on the establishment of academic status in North Korean studies, and the expansion of North Korean studies and enhancement of expertise. Made a contribution. In particular, the North Korean Studies of the Asia Research Institute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North Korean studies at the present time acquire East Asian and global horizons by closely connecting and interacting with the US Cold War region and human and academic networks. In summary, in the 1960s, North Korean studies emerged with an academic identity based on the Cold War knowledge-power system, and this particular ideological discipline is accompanied by another ideology, leading to today’s North Korean studies. In the 1960s, North Korean studies would be a useful reference for exploring North Korea’s diversification of North Korea into an integrated Korean peninsu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