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전통 기와 문양을 활용한 초등미술 지도 방안 : 6학년을 중심으로

        이복자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는 문화의 시대이다. 과학의 발달로 홍수처럼 밀려오는 다양한 외래 문화의 확산으로 아동들의 생활문화를 잠식해 나가고 있다. 우리 문화의 단절을 극복하고 민족의 주체성을 확립하는 교육은 어릴 때부터 자연스럽게 획득, 훈련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미술교육의 방향 중 하나는 문화교육으로서 전통 미술 교육의 강조를 들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어린이들에게 주변 문화재에서 볼 수 있는 해학과 우아함, 그리고 질박함으로 이루어진 전통적인 한국 문양 자료 중에서 한국 전통 기와 문양을 학습의 장으로 끌어 들여 그 속에서 전통미에 대한 이해와 우리 것의 소중함을 깨닫게 하고, 자부심과 긍지를 느끼며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의지와 생활에 적용하고자 하는 태도를 기르고자 한다. 따라서 한국 전통 기와 문양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도과정을 통해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창의적으로 계승 발전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의 내용으로 첫째, 전통미술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전통미술의 의미와 시대적 특징, 전통미술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제7차 교육과정의 3,4,5,6학년 미술 교과서에서 전통미술 교육 내용을 분석하여 전통미술 지도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셋째, 한국 전통 기와의 이해에 대한 이론적 배경으로 기와의 종류, 기와의 시대적 특징, 기와 문양을 종류와 의미를 살펴보았다. 넷째, 문헌연구와 전통 기와 문양의 미술 교육적 가치를 생각해 보고 이를 토대로 전통 기와 문양 지도의 기본방향을 설정하여 효과적인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한국 전통 기와 문양 활용한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설문지와 작품 분석으로 그 결과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우리 전통 기와 문양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전통 기와 문양이 어떤 것인지 구별하고 친근감을 갖게 되었다. 둘째, 박물관이나 문화 유적지 등을 방문할 때 무심코 지나치지 않고, 전통 기와 문양에 관심을 갖고 접근하여 조형적 아름다움을 느끼고 감상하려는 태도를 갖게 되었다. 셋째, 한국 전통 기와 문양을 활용하여 자신의 작품을 현대 감각에 맞게 창의적으로 제작함으로써 우리 생활에서 전통문화를 창조적으로 계승 발전시킬 수 있음을 알았다. 넷째, 미적체험과 감상, 표현의 유기적인 통합을 강조한 학습에서 어린이들은 자기평가, 상호평가를 통하여 미적안목을 높이고, 자기 작품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갖고 친구들의 작품에 대한 분석능력을 키워 비평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었다. 다섯째, 한국 전통 기와 문양을 친근감 있게 접근하여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여주고 앞으로 전통문화에 관심을 갖고 자긍심을 갖게 계기가 되었다. 우리 문화교육으로서 전통미술을 강조하는 시점에서 지속적인 연구가 더욱 확산되어 새로운 발전의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The 21st century is said to be the "era of culture." In this age of cultural pluralism, i.e., when cultural borders are being eliminated, the revolutionary wave of foreign culture took place in our contemporary life-style, following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as we could later see, graphically reflected in the education. Education should not only succeed traditional culture but should also establish national identity and be applied as naturally accustomed to our cultural heritage in elementary schools. Here, therefore, we must let ourselves refer to culture education that would instill value-consciousness of traditional art in our students. Subsequently what I will propose here is the way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about cultural heritage, thereby keeping within students the importance of preserving traditional culture by adhering to their real lives. For the same reason, this study will go far towards developing creativity through this teaching program, applying the patterns of GIWA(Korean traditional roofing tile), which is one of the elegant and humorous Korean traditional patterns, to the art classes. In attempting to put into question these traits of the traditional GIWA patterns and applying them to art classes, this study examined: 1. The aesthetics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our cultural heritage as to better understand it through exploring the references of traditional art. 2. The necessity of the thorough traditional art education by analyzing the curriculum of traditional art in the art texts of the 3rd, 4th, 5th and 6th grade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a. 3. The historical characters and kinds of GIWA(Korean traditional roofing tile) patterns to underst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4. The outlined teaching model, which applies the patterns of GIWA(Korean traditional roofing tile) on the basis of the validity of the traditional culture, with the references to teach effectively. 5. The analysis of the questionaries and students' articles regarding the art class which applied this model with sample masterpieces of GIWA(Korean traditional roofing tile) patterns. A series of classes, which applied the patterns of GIWA as a cultural reference, was conducted several times. Thus, with rudimentary aesthetic insight or at least without granting any pertinence to it, students could appreciate how beautiful our traditional culture is. What, therefore, are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on culture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we could conjecture that the students hold in high esteem our cultural heritage and are, unlikely before, interested in the patterns of GIWA, and acquired an appreciation for traditional culture. In conclusion, this study, when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is being emphasized, I wish, would give an opportunity for researchers to develop a better method of instilling pride of Korea's traditional culture.

      • 한국과 중국의 국어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이복자 충북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在国际上,韩国的地位逐渐上升,韩国文化传播于世界各国,所以韩国语不仅在韩国,乃至在世界都有着重大意义。特别是韩国和中国,由于在地理上、历史上、文化上都有着密不可分的联系,因此研究两国的语文教育尤为有意义。对此本文研究的着重点放在通过两国语文教育课程的历史演变,比较和分析两国语文教育课程,进而调查、比较和分析语文教育课程的实践主题——教师对语文教育课程的认识。旨在正确理解两国的语文教育现状,明确两国教育课程之间的共同点和区别点。相信本研究对韩中两国语文教育课程的制定及修改会有所裨益。 本文首先从韩中两国语文教育课程的发展变化中,寻找其共同点和区别点。其共同点是韩中两国对其教育课程修改的次数及时间都相差不多,并都受其国家的政治、经济、社会的影响。从历史角度上看,两国都强调了其语文课的工具性,同时都为提升学生的语文应用能力而努力。其主要区别点 : 首先,教育课程名称上有区别; 其次,在期限上有差异; 第三,教育理念上有差异; 第四,所追求的人本目标上有差异; 第五,其建构体系和内容,对题材的重视程度上有差异。从教育课程的发展变化上看,韩国的语文教育课程虽受政治上的影响,但未停滞过,可是中国的语文教育课程有过两次停滞的历史。 下面对韩中两国现行的教育课程,从体制、性质和目标、内容、方法、评价等五个方面进行比较和分析。 从构建体系上看,韩国十年制国民教育和中国九年义务教育在其教育时间上差别不大,但其教育课程的构建体系不同。中国的教育课程有着“教育课程资源开发和利用”这一内容和附加着“附录”部分。 从性质和目标上看,两国都强调了其语文的思想性、文化性、时代性。总体上看,韩国的语文侧重点在强调其创造性,中国的语文侧重点在强调融合性和协同性。 从内容上看,两国语文教育虽然都重视听、说、读、写和语法、文学等方面,但韩国的语文教育在各环节之间的连贯性的强化上更加显明,而中国则相对薄弱一些。中国的语文在体裁方面的具体要求上有着明确的要求,韩国则虽然提倡各种体裁,但缺乏一贯性。 从方法上看,两国的语文教育都强调其主动性和创造性,主张启发式、讨论式教学,强调师生互动的作用。韩国对其分层次教学有着详细的要求,也强调了多学科和学科内整合。中国则强调其实践性,重视其情感、人生观、价值观的形成。 从评价上看,两国都认为评价的目的在于促进学生的发展,主张综合评价,进行质和量的并行评价。韩国语文教育不仅评价语文应用能力,对其学习资料、评价工具也进行评价。中国语文教育把评价结果活用到教育课程修改上,但韩国却没有这方面的做法。 通过对以上文献研究,分析和研究教师对其教育课程的认识,旨在对教育课程实践给一些帮助。本文的比较标准为 : 教育课程的关心程度、教育课程的体系及目标、教育课程内容领域、教育课程方法和评价等四个方面。 从教育课程中的问题上看,韩国对教学方法和学习方法方面的内容指出得多一些,中国则指出了教育课程和教材的连贯性问题。在内容上韩国则重视文学方面,中国则重视阅读理解和写作方面。 从教育课程方法方面的调查结果上看,认为教育课程方法的现实性不强的意见,韩国比中国少一些。 从教育课程的方法活用于教育实际方面上看,中国比韩国好一些,但未达到满意的程度。对教育过程评价的认识方面的调查结果从统计上看,中国略高一些。在评价目的和活用方面两国都比较满意。 从两国中学语文教育课程上看,韩国的教育课程比较体系化、具体化,相反,中国的语文教育课程虽然经过多次的修改,比前一段有着飞跃的发展,但仍需完整。教育课程本身随着时代的变化而变化、修改并完善,所以应从国际化角度广泛展开与各国间的比较研究。 Korea’s national prestige has been soaring in the age of globalization. Thus Korean language is not only a national language in Korea but a kind of way to spread Korean culture around the world. Korea and China are particularly closely related in terms of geography, history, and culture, so the comparative study of both national language curricula is meaningful. In this paper, the historical change of national language in Korea and China was studied. The researcher studied a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national language curricula. The researcher tried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 of each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by asking teachers how they understand it. In addition, the researcher clarified the common point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national language curricula. This study can be helpful in establishing and revising both countries’ national language curricula. Firstly, the researcher tried to find the common point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national language curricula in terms of their historical changes. One of the common points is the number of revisions and when these revisions took place. Both were affected by politics, economics, and society. Historically, both countries made an effort to improve national language ability for students using a textbook as the main material. There are five main differences: the first is the terminology for the educational curriculum; the second is the difference in duration of existence; the third is the difference in educational ideology; the fourth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human characteristics each system finds desirable, and therefore uses as an educational objective; the fifth difference concerns structure and contents, and how much importance is attached to each topic. In the process of `historical change of the educational curricula, the Korean curriculum was affected by politics but not stopped; in contrast, the educational curriculum in China had two periods of inactivity. Secondly, the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 educational courses in reference to the educational system, characteristics and purpose,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 Korea has a ten-year compulsory education system and similarly, China's lasts nine years. The systems, however, are different. In the Chinese system, there is a supplement called "The resourc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system and usage." In character and purpose, both countries stress ideology, culture, and the spirit of the times in national language education. Generally, creativity is emphasized in Korea, but acceptance and cooperative spirit are more important in China. In contents, both countries stress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grammar, and literature. The relation among the subjects is emphasized in the Korean curriculum, but it is not adequately emphasized in the Chinese curriculum. There is a demand for specific literary styles and definite works in the Chinese curriculum; however, the Korean curriculum shows diverse literary style, but there is no consistency. In methods, both countries stress leadership and creativity. Each system insists on discussion classes and reciprocal 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Korea shows the formation of classes based upon students’ abilities. It also insists on its usage and the unity of subjects. China insists on practice, emotion, a view of life, and a formation of personal values. Concerning evaluation, the purpose of evaluation is to improve students’ ability in both countries. They both insist on overall evaluation, wherei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s are done side by side. Korea uses not only Korean language ability but also class material as an evaluation tool. China, however, evaluates only students and teachers. China uses the result in the revision of the education curriculum, but there are no references to that in Korea. Based on the study of literature, the researcher investigated and analyzed teachers’ awareness and recognition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as this type of analysis helps the practice of education. The comparative standards are interest, structure, purpose,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 The problems in the educational curricula are teaching and study methods in Korea and educational processes and the relation among textbooks. In contents, Korea emphasizes literature whereas China emphasizes reading and writing essays. In investigation of methods, the actualization of educational methods in Korea is higher than China. The degree of usage of educational methods is higher in China but it is not enough. The result of cognitive investigation about educational curriculum is higher in China statistically. But both countries are relatively satisfied with the results. Comparing both countries’educational curricula, the one in Korea is comparatively systemized and concretized. On the other hand, China has revised its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several times, and has had rapid progress. Still it is necessary for it to compensate for defects. The educational curriculum has changed and been revised in accordance with the times.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educational curricula of many countries must be developed with worldwide perspective more vigorously. 세계화 시대에서 한국의 위상이 높아가고 있고 한국 문화가 세계 각국으로 전파되어 가고 있는 현실에서 한국의 ‘국어’는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차원에서도 그 의미가 크다. 특히 한국과 중국은 지리적, 역사적, 문화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므로 두 나라의 국어과 교육과정을 비교․연구하는 것은 두 나라의 국어교육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국어과 교육과정의 역사적 변천을 살펴보고, 국가 수준의 국어과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두 나라 국어교육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국어과 교육과정의 실행 주체인 교사들이 국어과 교육과정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조사해서 비교․분석하여 두 나라 국어교육의 실태를 정확히 이해하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앞으로 두 나라 국어과 교육과정을 개정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는 먼저 한국과 중국의 국어과 교육과정 변천을 살펴보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보았다. 공통점으로는 두 나라 모두 교육과정이 개정된 차수와 시기가 비슷하고, 정치․경제․사회적 영향을 많이 받았다는 점이다. 역사적으로 두 나라 모두 국어교과의 도구적 성격을 강조하였고 학생들에게 국어사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했다는 점이다. 중요한 차이점은 첫째, 교육과정의 명칭이다. 둘째, 실존 기간의 차이이다. 셋째, 교육 이념의 차이이다. 넷째, 목표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의 차이 이다. 다섯째, 구성 체제와 내용 영역도 차이가 있으며, 제재에 대한 중시도 차이가 있다. 교육과정의 변천을 보면, 한국의 국어과 교육과정은 정치적 영향을 받았어도 맥이 끊기지는 않았지만 중국의 국어과 교육과정은 두 차례 정지된 시기가 있었다. 다음으로 현행 한국과 중국의 교육과정을 체제, 성격과 목표, 내용, 방법, 평가 등 다섯 가지 기준에서 비교․분석하였다. 체제 면에서는 한국의 10년 국민 공통 기본 기간이나 중국의 9년 의무교육 기간은 비슷하나 교육과정 구성 체제는 다르다. 중국의 교육과정에는 ‘교육과정 자원 개발과 이용’이란 영역과 ‘부록’이 첨가되어 있어 한국과 다르다. 성격 및 목표 면에서는 두 나라 모두 국어과의 사상성, 문화성, 시대성을 강조하였다. 총체적으로 볼 때, 한국은 창의성을 강조하고 중국은 수용성과 협동성이 강조되었다는 점이 차이가 난다. 내용 면에서는 두 나라 모두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 문학 등 영역을 중시하고 있지만 한국은 각 영역 간의 연관성을 강조하였으나 중국은 연관성의 강조가 다소미흡하다. 중국은 문체와 구체적인 글의 요구가 제시되어 있으나 한국은 다양한 문체를 제시하면서도 문체의 일관성은 없다. 방법 면에서는 두 나라 모두 주동성과 창조성을 강조했고, 토론식 수업을 주장했으며, 교사와 학생의 상호 작용을 강조했으나 한국은 수준별 수업의 운용에 대해 자세히 제시하였고, 각 영역 간, 영역 내의 통합을 강조하였다. 중국은 실천성을 강조하였고, 정감, 인생관, 가치관 형성을 중시하였다. 평가 면에서는 두 나라 모두 평가의 목적이 학생의 발전에 있음을 강조하였고, 전면적인 평가를 주장하고, 질적 평가와 양적 평가를 병행하였다. 한국은 학생의 국어 사용능력, 학습 자료, 평가 도구도 평가하지만 중국은 학생과 교사만 평가한다. 중국은 평가 결과를 교육과정 개선에 활용하지만 한국은 그런 언급은 없다. 이상의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에 대한 두 나라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분석함으로써 앞으로 교육과정이 개정되고 시행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비교는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 교육과정 체제 및 목표, 교육과정 내용 영역, 교육과정 방법과 평가 등 네 가지 영역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교육과정의 문제점에 대한 지적으로 한국의 교사들은 교수․학습 방법을 많이 지적했고, 중국의 교사들은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관성을 많이 지적했다. 내용 영역에서 한국의 교사들은 문학 영역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국의 교사들은 독해 및 글짓기 영역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 방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한국이 교육과정 방법의 현실성이 미흡하다는 의견이 중국보다 낮게 나타났다. 교육과정의 방법을 교육현장에 활용하는 정도는 중국이 한국보다 좀 높게 나타났으나 매우 만족할 정도는 아니다. 교육과정 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결과는 통계적으로는 중국이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두 나라 다 평가의 목적이나 평가의 활용 면에서 비교적 만족한다고 나타났다. 양국의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을 비교해 보면 한국의 교육과정은 비교적 체계화, 구체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중국의 국어과 교육과정은 수차례의 수정을 거쳐서 전 단계에 비하면 비약적인 발전을 가져왔으나 더 보완할 필요성이 있다. 교육과정은 시대에 변화에 따라 끊임없이 개정되게 마련이다. 교육과정이 보다 바람직하게 개정되기 위해서는 세계적인 안목으로 여러 나라들과의 비교 연구가 더 활발히 전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헤어피스를 활용한 짧은 머리 업스타일 연구

        이복자 영산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For hairdressers who have difficulty in short hair up-style, various types of hairpins can be manufactured for each length, and using this, the method of designing a short hair up-styl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basis can be provided to the hairdressers providing basic data.  First, in order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this paper, the theories and concepts about the formality, design technique and hairpiece notion of upstyle were made through previous research papers, monographs, and web searches, searching the Art Nouveau pattern based on a motif of the style in the form of nature.  Secondly, the hair pieces for short hair-style design were made with lengths of 5, 10, 15, and 20 cm. I set the shape which can be easily produced according to each length in the motif of natural form and organic line. Thus, 5 cm is made of C-curl, 10 cm of C-curl and cylindrical, 15 cm of S-curl and 20 cm of braid piece.  Third, we analyzed the up-style design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head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up-style procedure according to the base position, texture, direction of the side hair combing, angle of backcomb, amount and composition. The location of the basis was divided into Nape Point (N.P), Back Point (B.P), and Golden Point (G.P). The texture was divided into inactive texture and active texture, and I looked that active texture expression was applied using twine, braid, and wave technique. The direction of combing of the side hair was examined in directions of N.P, B.P, and G.P, and backcomb analyzed the degree of volume according to the angles of 45, 90, and 135 degrees. In the case of small amount of crowns or nape, I used hairpins to study how to up-style. The composition of triangle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basis.  Fourth, based on the length of the hair piece and the condition of the head, we made short hair up-style that can be easily applied on the spot. The basic short hair was divided into layer style and graduation style and applied to the foundation of N.P, B.P, G.P. Based on the pattern of the Art Nouveau, total of 30 pieces of mannequin was made using 5cm of C-curl piece, 10cm of C-curl piece and cylindrical piece, 15cm of S-curl piece and 20cm of braid piece.  Fifth, based on the work produced through mannequins, I applied it to real models. For the two models of layer style and graduation style, 24 pieces were made using 10cm for C curl and cylindrical shape, 15cm for S curl, 20cm for braid piece by N.P, B.P, G.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hair pieces made by length by using human hair could be made into various shapes such as C-curled, cylindrical, S-curled and braid hair pieces according to their length. And the shape of the hairpiece symbolizes the organic line and form of nature with the motif of nature.  Second, hair pieces using human hair are easy to make and have a merit of naturally matching with existing hair.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f the number of hair-pieces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r design in the model, various kinds of upstyle can be completed efficiently in a short period of time.  Third, it was found that even if the same human piece is used, the image of up-style can be produc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ba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of designing a short hair up-styl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oundation by making various types of hair pieces for the hairdressers who have difficulty in short hair up-style. I also hope that it will be helpful for hairdressers practicing in the spot as basic data for short hair up-style.  In subsequent studies, if there is a creation of a hairpiece that uses a variety of locations, lengths, and forms, or a variety of hairpiece to present various types of up-style designs, many of the hairdressers I hope it will help. 짧은 머리 업스타일에 어려움을 느끼는 미용인들을 위해 길이별로 다양한 형태의 헤어피스를 제작하고 이를 활용하여 토대의 위치에 따른 짧은 머리 업스타일 디자인 방법을 제시하여 미용인들에게 짧은 머리 업스타일 시술시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 및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첫째, 본 논문의 기초를 이루기 위하여 선행 연구논문, 단행본, 웹 검색 등을 통하여 업스타일에 대한 조형성과 디자인 기법, 헤어피스의 개념과 종류에 대한 이론과 개념정리를 하였고, 스타일의 모티브로 자연의 형태를 바탕으로 한 아르누보 문양에 대해 알아보았다. 둘째, 짧은 머리 업스타일 디자인을 위한 헤어피스를 5, 10, 15, 20cm의 길이로 제작하였다. 각 길이에 따라서 쉽게 제작할 수 있는 형태를 설정하였는데 자연의 형태와 유기적인 선을 모티브로 하였다. 그리하여 5cm는 C컬, 10cm는 C컬과 원통형, 15cm는 S컬, 20cm는 브레이드 피스를 제작하였다. 셋째, 업스타일 시술시 중요한 요인으로 두상의 조건에 따른 업스타일 디자인을 토대 위치, 질감, 옆머리 빗질방향, 백콤의 각도, 모량, 구도에 따라 분석해 보았다. 토대의 위치는 Nape Point(N.P), Back Point(B.P), Golden Point(G.P) 로 나누어 보았고, 질감은 비활동적인 질감과 활동적인 질감으로 나누어 활동적인 질감표현은 꼬기, 땋기, 웨이브 기법을 활용한 것을 살펴보았다. 옆머리 빗질의 방향은 N.P, B.P, G.P으로의 빗질의 방향을 살펴보았고, 백콤은 45, 90, 135도의 각도에 따른 볼륨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모량은 크라운 부분이나 네이프 부분에 모량이 적은 경우 헤어피스를 활용하여 업스타일 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고, 구도는 토대의 위치에 따라 삼각형 구도가 형성되는 것을 분석하였다. 넷째, 길이별 헤어피스와 두상의 조건에 따른 업스타일을 바탕으로 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짧은 머리 업스타일을 제작하였다. 기초가 되는 짧은 머리는 레이어 스타일과 그래쥬에이션 스타일로 나누어 N.P, B.P, G.P의 토대에 적용하였다. 디자인 모티브는 아르누보의 문양을 바탕으로 하여 마네킹에 5cm는 C컬 피스, 10cm는 C컬 피스와 원통형 피스, 15cm는 S컬 피스, 20cm는 브레이드 피스를 활용하여 총 30작품을 제작하였다. 다섯째, 마네킹을 통해 제작한 작품을 바탕으로 실제 모델에게 적용해 보았다. 레이어 스타일과 그래쥬에이션 스타일의 2명의 모델에게 10cm는 C컬과 원통형, 15cm는 S컬, 20cm는 브레이드 피스를 N.P, B.P, G.P의 토대별로 활용하여 24작품을 제작하였다. 위와 같이 연구한 결과는 첫째, 인모를 사용하여 길이별로 제작한 헤어피스는 길이에 따라 C컬, 원통형, S컬, 브레이드 헤어피스로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었다. 그리고 헤어피스의 형태는 자연을 모티브로 하여 자연의 유기적인 선과 형태를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 둘째, 인모를 이용한 헤어피스는 그 제작 과정이 간편하며, 기존의 모발과 자연스럽게 어울린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모델에 상황이나 디자인에 맞추어 헤어피스의 개수를 달리하면 빠른 시간에 효율적으로 다양한 스타일의 업스타일을 완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같은 인모피스를 활용하더라도 토대의 위치에 따라 업스타일의 이미지가 다양하게 연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짧은 머리 업스타일에 어려움을 느끼는 미용인들을 위해 길이별로 다양한 형태의 헤어피스를 제작하고 이를 활용하여 토대의 위치에 따른 짧은 머리 업스타일 디자인 방법을 제시함에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미용인들에게 짧은 머리 업스타일의 기초자료가 되어 현장에서 업스타일 실무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차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토대의 위치, 여러 길이와 형태를 활용한 헤어피스를 제작하거나 많은 수의 헤어피스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업스타일 디자인을 제시한다면 현장에서 짧은 머리 업스타일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많은 미용인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금오신화」의 우의성 연구

        이복자 경성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investigate how Kim Si-seup(金時習)'s Geumosinhwa(金鼇新話) reflects his contemporary reality considering the close relation of literature to society. King Sejong asks him to remain faithful to both King Munjong and King Danjong, and so he, as an outsider, preserves his loyalty to them for his life. His works show the didactic view of literature, the spirit of criticism, the spirit of satire, and the spirit of resistance. Allegory in literature is a technique expressing in a roundabout way the meanings the author attempts to reveal, setting fantastic space, and using a dream, an unrealistic event, and a narrative. It is, therefore, more important to understand the hidden meaning than the superficial. In Manboksajeopogi(萬福寺猪浦記), it is thought that Japanese pirate raiders' invasion reveals allegorically Geyujeongnan(癸酉靖難), and that a woman ghost, Yang Saeng, and Eun Hwan respectively correspond to King Danjong, Won Ho, and Eeom Hong-do. The wedding and its feast in the neighborhood in an inserted poem suggest a feast held in celebration of the success of Geyujeongnan. Also, Namwon, Gaeryeong-dong, and Boryeonsa present allegorically Namsongchon, Yeongwol, and Mohyeonsa. In Isaenggyujangjeon(李生窺墻博), it seems that Choerang's death by Honggeonjeok's Rebellion allegorizes the historical event of King Danjong's restoration. Choerang and Isaeng plainly mean King Danjong and Kim Si-seop. Considering that King Gongmin goes down to Bokju, and that King Danjong to Yeongwol, it can be inferred that Bokju suggests Yeongwol; that Ogwansan a mountain having buried five coffins; and that parents of two families Sayuksin(死六臣). An inserted poem can be read as indicating a process from the plotting of King Danjong's restoration to both Geumseongdaegun's and King Danjong's death. Chwiyububyeokjeonggi(醉遊浮碧亭記) deals with a story that Hong Saeng meets Gissinyeo(箕氏女), reciting a poem and hearing the origin and history of her family. In view of contrasting the history of Gojoseon with that of Joseon, it appears that Hong Saeng, Pyeongyang, and Daedonggan respectively indicate Kim Si-seop, Hanyang, and Donggang. Isaeng, also, allegorizes Hyoryeongdaegun. Hong Saeng deplores the history of his perished homeland at Bubyeokjeong. It follows from this that an inserted poem shows Kim Si-seop's brokenheartedness of the history of homeland slipping people's mind, his longing for King Sejong's grace, and his fidelity to King Danjong. Namyeombujuji(南炎浮洲志) describes a story that Bak Saeng meets the King of Hell(閻王) in hell called Namyeonbuju, asking him some questions and taking over the throne from the King. It seems that Bak Saeng, a man of letters, suggests Kim Si-seop; that the King of Hell Seong Sam-mun; that people in Yeombuju King Sejo's powerful subjects. Through the King's words, the author points out various mistakes of Buddhism. Yonggungbuyeonrok(龍宮赴宴錄) states a story that Han Saeng attends the Sea King(龍王)'s feast. In an inserted poem, we can read the Sea King as King Sejo, Jogangsin as Anpyeongdaegun, Nakhasin as Geumseongdaegun, and Byeokransin as King Danjong. We seem to be able to read other characters as ghosts with a grudge against King Sejo in Geyujeongnan and a campaign for King Danjong's restoration. Such characters as Noegong(雷公), Usa(雨師), Pungbek(風伯) locked up in a prison appear to suggest King Sejo's powerful subjects. The author intends to vent off his grudge through this work. The meanings of allegory in each part of Geumosinhwa are connected with historical events. In Manboksajeopogi, Japanese pirate raiders' invasion means Geyujeongnan. In Isaenggyujangjeon, Honggeonjeok's Rebellion implies the failure of a campaign for King Dang's restoration. Chwiyububyeokjeonggi deplores that the history of homeland grows buried in oblivion after Gisinyeo's death. Namyeombujuji expresses the judge by the King of Hell. In Yonggungbuyeonrok intends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through the Sea King's feast. It can be inferred from the order of historical events that Geumosinhwa forms five parts by their creation year. Geumosinhwa expresses the meanings of allegory through fantastic space, unrealistic events, poems, nature, and daily goods. It is, also, a work following a tradition of allegory and fable in Silra, Goryeo and Joseon Period, such as Hwawanggye(花王戒). All parts of Geumosinhwa have three levels of plots: 'before meeting - meeting - after meeting'. They take on complex aspects by the insertion of poems representing historical events. They have important meanings aesthetically. They have the dual structure of space in common: real and surreal, human and unhuman, secular and divine. They also have various fantastic elements: the encounter with man and ghost, the other worlds such as paradise, hell, and the Palace of the Sea King, supernatural beings such as Buddha, the Sea King, and the King of Hell. These dual structures of space and fantastic experiences make events strange, awaken readers' consciousness, make them realize the objects critically, and contribute to their intellectual desire and feeling of pleasure. There are two different points of view in interpreting Geumosinhwa. One reads its content as it is, and the other reads it from a viewpoint of allegory. From the latter's angle, we are able to read the double, or many-sided meanings. Through Geumosinhwa, the author shows the consciousness of venting his grudge, of mercy, of forgiveness, of reconciliation, of Buddhism such as affinity(karma), punitive justice, and transmigrationism, and national subjectivity. He also reveals the idea of Confucian rule of right, the consciousness of fidelity and honor based on the three basic principles and th five moral rules in human relations(三綱五倫), and the transcendentalism rising above death. In conclusion, it is thought that Geumosinhwa is a work following a tradition of allegory and fable and developing it. Second, it reveals the development from a form of a tale into that of literature. Therefore, it shows that history can become literature. Third, it gives the fantastic quality to the classical novel through setting the space of the world of a dream and of the world beyond. Fourth, it presents a clue of the framework-story. Fifth, it presents tragic beauty by representing historical events allegorically, especially through inserted poems. Finally, it is an important literary work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novel in a sense that it follows a tradition of our literature, developing from the myth through the old novel into the modern.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와 말하기에 나타난 복잡성, 정확성, 유창성의 역동적 발달 연구

        이복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역동 체계 이론((Dynamic Systems Theory)의 관점에서 1년 2개월 동안 세 명의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와 말하기에 나타난 복잡성, 정확성, 유창성의 변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개별 학습자의 역동적 발달 경로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2014년 6월부터 2015년 8월까지 언어적 자원이 상이한 세 명의 한국어 학습자(중국인(A), 싱가포르인(B), 러시아인(C))를 대상으로 이들의 발달 과정을 탐구하기 위해 2주반에서 3주 간격으로 쓰기와 말하기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쓰기와 말하기를 구분하여 이루어졌다. 쓰기에서는 유창성을 복잡성에 통합시켜 복잡성과 정확성의 발달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문장 단위를 기본 단위로 설정하고 복잡성과 정확성의 하위 요인에 대한 비율과 빈도를 측정하였다. 말하기에서는 AS-단위를 기본 단위로 설정하고 복잡성, 정확성, 유창성의 하위 요인에 대한 비율과 빈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각 구인에 따른 내용 분석을 보충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찰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 명의 학습자들은 쓰기의 복잡성과 정확성의 발달에서 자신의 제한된 자원 하에서 독특한 개별 발달 경로를 나타내었다. 먼저 외적 언어 접촉이 높은 학습자 A는 복잡성에서 4급 이후 안정적인 상태로 전환되는 발달적 상승을 나타냈으며 어휘 사용에서도 숙달도에 따른 고른 분포를 보였다. 정확성에서는 4급 초반까지 오류율이 증가되었으나 4급 중반부터 안정성을 찾는 전환을 보였다. 따라서 복잡성과 정확성은 초급과 중급에서 경쟁적인 관계를 보였으나 5급에서 지지적 관계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6급에서 오류가 다시 증가되어 지속적인 동반 성장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의미 전달에 집중된 학습자 B는 복잡성의 확장이 5급에서 나타나는 더딘 발달 양상을 보였으며 어휘 사용에서도 숙달도에 따른 고른 분포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또한 정확성에서도 4급 중반 이후 오류율이 더욱 가중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에 복잡성과 정확성은 2급부터 강한 경쟁적 관계를 나타냈다. 명시적 지식에 의존도가 높은 학습자 C는 복잡성에서 숙달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향상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어휘 사용은 초급 위주의 어휘에 머물러 있었으며 정확성에서도 4급부터 오류율이 급속히 상승되어 퇴행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에 복잡성과 정확성은 3급까지는 지지적 관계를 나타내다가 4급부터 경쟁적인 관계로 전환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말하기에 나타난 복잡성, 정확성, 유창성의 발달에서도 학습자마다 비선형성을 보이며 역동적인 발달 패턴을 보였다. 학습자 A는 복잡성이 4급부터 단계적으로 상승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어휘 사용에서는 고급 어휘의 빈도가 낮아 고른 향상을 이루지 못하였다. 또한 정확성에서도 5급에서 오류율이 감소되었으나 이후 다시 상승되면서 정확성이 확립되지 못하는 양상을 보였다. 유창성에서는 5급 이후 발화 속도가 떨어지고 휴지 길이가 길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이에 복잡성과 정확성은 경쟁적 관계를, 정확성과 유창성은 지지적 관계를, 유창성과 복잡성은 경쟁적 관계를 나타내는 다차원적 관계를 나타냈다. 학습자 B는 복잡성이 4급부터 확장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어휘 사용에서 고급 어휘 빈도가 낮아 고른 발달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또한 정확성에서도 4급 중반 이후 오류율이 더욱 가중되는 양상을 보였다. 반면, 유창성에서는 5급 이후 발화 속도가 증가되고 휴지 길이가 줄어들면서 향상을 나타냈다. 이에 정확성과 복잡성, 정확성과 유창성에서는 경쟁적 관계를 보였지만 유창성과 복잡성에서는 지지적 관계를 나타내었다. 학습자 C는 복잡성이 숙달도에 따라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어휘 사용에서는 전반적으로 초급 어휘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정확성에서는 3급부터 단계적으로 오류율이 상승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유창성에서도 전체적으로 현저히 낮은 속도와 긴 휴지를 나타냈다. 이에 정확성과 복잡성, 정확성과 유창성은 초반의 지지적 관계가 3급부터 경쟁적 관계로 전환되었으며 유창성과 복잡성에서는 지지적 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세 명의 학습자들은 복잡성, 정확성, 유창성의 발달에서 상승과 하락, 진보와 퇴행, 하위 요인들 간의 복합적인 상호관계를 보이며 독특한 개별 발달 양상을 보였다. 이는 언어 발달은 복합적이고 역동적 과정으로 발달 과정에서 고정된 패턴이 없음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 나타난 이러한 결과는 미세발생적 시각에서 중간 언어 발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중간 언어 구축에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ynamic development path of individual learners by reviewing the processes of change in complexity, accuracy, and fluency of three Korean learners’ writing and speak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ynamic Systems Theory. The study was conducted for fourteen months from June 2014 to August 2015 on three Korean learners with different language backgrounds (Chinese:A, Singaporean:B, Russian:C). The subjects’ speaking and writing samples were collected in 2.5 to 3 week-intervals. The writing and speaking data were analyzed separately. For writing, we examined the development of complexity and accuracy by combining fluency with complexity. Thus, the basic unit was set to a sentence to measure the ratio and frequency of sub factors of complexity and accuracy. For speaking, we set AS-unit as the basic unit to measure the ratio and frequency of sub factors of complexity, accuracy, and fluency. Then we presented supplementary analysis about each sub factor.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ach of the three learners demonstrated a unique developmental path for complexity and accuracy in writing under their own limited resources. Learner A, who had much language contact outside of class, showed a developmental increase in terms of complexity, showing a stable development of complexity from level 4. Learner A also showed an even distribution according to proficiency in terms of vocabulary usage. In terms of accuracy, learner A showed increased error until the beginning of level 4, but showed stability from mid-level 4. Hence, the complexity and accuracy had a competitive relationship in the beginning and intermediate levels, but was transitioned to a supportive relationship from level 5. However, error increased again in level 6, failing to demonstrate a continuous equivalent growth. Learner B, who focused on meaning, showed a slow development in which the expansion of complexity was shown in level 5. Learner B also did not show an even distribution according to proficiency in terms of vocabulary usage. Moreover, learner B showed increased error since mid-level 4. Thus, complexity and accuracy exhibited a competitive relationship since the beginning level. Learner C, who relied heavily on explicit knowledge, showed an incremental improvement of complexity in accordance with proficiency. However, learner C’s vocabulary usage was confined to the beginner’s level, and accuracy regressed as error rapidly increased since level 4. Thus, complexity and accuracy exhibited a supportive relationship until level 3 and transitioned into a competitive relationship since level 4. Second, each of the three learners also showed a dynamic, nonlinear development pattern in the development of complexity, accuracy, and fluency in speaking. Learner A showed an incremental development of complexity since level 4. However, learner A showed a low ratio of advanced vocabulary, thereby showing an uneven distribution of vocabulary usage. Moreover, accuracy was not established as error was only temporarily reduced in level 5. In terms of fluency, the speed of speech was reduced and pauses were lengthened in the advanced level. Therefore, there was a multi-dimensional relationship paradigm among the three factors; complexity and accuracy exhibited a competitive relationship, accuracy and fluency exhibited a supportive relationship, and fluency and complexity exhibited a competitive relationship. Learner B demonstrated an expansion of complexity since level 4. However, learner B also showed a low proportion of advanced vocabulary, resulting in an uneven distribution of vocabulary usage. Moreover, error increased from mid-level 4.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n improvement of fluency from level 5, with increased speech speed and shortened pauses. Theref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accuracy and complexity, and between accuracy and fluency were competitive while that between fluency and complexity was supportive. Learner C demonstrated an increase of complexity in accordance with proficiency. However, learner C’s vocabulary was limited to the beginning level. Learner C’s accuracy also regressed over time. Hence, accuracy and complexity as well as accuracy and fluency exhibited a supportive relationship until level 2, after which both were transitioned to a competitive relationship. Fluency and complexity exhibited a supportive relationship. As shown here, the three learners demonstrated an interaction among sub-factors including increasing and decreasing as well as advancing and regressing in a nonlinear, dynamic development of complexity, accuracy and fluency. In addition, three learners showed different aspects of language development on each case. In other words, it showed that the development of language is dynamic and complex and it has no fixed pattern in the processing of language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new implications regarding the establishment of interlanguage by presenting information about the changes of interlanguage development.

      • 노인의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정보화인식과 인터넷활용을 중심으로

        이복자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논 문 개 요 본 논문은 노인의 정보화인식과 인터넷활용이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컴퓨터를 학습하고 난 후 달라진 노인의 사회관계망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문헌자료․정보화교육 강사인터뷰․설문지를 이용한 양적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론적․실증적 선행연구 논의를 통해 정보화인식과 인터넷활용 및 노인의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에 관한 개념을 정립하고, 정보화인식과 인터넷활용이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간의 가설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실증적인 분석을 위해 전국에서 정보화교육을 수강하고 있는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16개 광역시도에 총 144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958(66.5%)부를 회수하였으며, 920(63.8%)부의 자료를 SPSS Statistics 17.0 프로그램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60세 이상의 노인은 정보화 사회에 대하여 매우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나 취업의 기회가 확대될 것이라는 항목에 있어서는 다른 항목에 비하여 다소 부정적인 인식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누출 현상이 심해진다거나 사생활의 침해가 우려된다는 의견에서도 과반수의 노인이 정보사회에 대하여 불안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령이 낮고 학력이 높으며 가구의 월평균소득이 많고 배우자와 함께 생활하고 있는 노인층에서 정보화 사회에 대하여 좀 더 관심을 갖고 있었으며 건강상태가 좋고 종교를 가지고 있는 노인의 정보화인식이 더욱 긍정적이었다. 둘째, 전국에 거주하는 노인의 인터넷활용 현황을 보면 각종 생활정보를 검색하고 국내․외 뉴스를 파악한다거나 복지기관 웹사이트에 방문하여 정보를 취득하며 온라인으로 실행하는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인터넷을 자주 활용하고 있었다. 이메일/채팅․인터넷게임을 애용하는 노인과 온라인 카페/동호회에 참여하여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노인의 수도 50%가 넘어섰다. ‘실용성’ 측면의 인터넷활용은 연령․학력수준․월평균소득이 높은 노인층에서 이용이 활발하였고, 건강상태가 좋고 종교가 있는 노인이 일상생활에서 실용적인 인터넷의 활용을 더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편의성’이 강조되는 항목에 있어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그리고 연령이 높을수록 인터넷을 좀 더 활용하고 있었으며, 월평균소득이 높고 배우자가 있는 노인과 건강상태가 좋은 노인일수록 편의성 항목의 인터넷이용을 즐기고 있었다. 셋째, 현재 전국에서 컴퓨터의 사용기술을 습득하고 있는 노인은 사적 네트워크의 경우 가족/친구/이웃의 전화번호를 보관하고 있거나 친구들과 전화/이메일/만남 등의 횟수가 증가하여 모임에 더 많이 참여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공적 네트워크의 경우는 반상회/공적모임에 참여한다든지 지역행사에 적극 참여하는 일, 정부기관에 방문하여 의견을 제시하는 일, 공공기관이나 공공시설을 부담 없이 자유롭게 이용하는 일, 지역에서 봉사활동을 하는 일 등에서 사적 네트워크에 비하여 네트워크의 형성도가 미약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정당에 가입하여 활동을 하고 싶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노인은 ‘그렇지않다’와 ‘전혀그렇지않다’에 집중되어 정치활동에 대한 노인의 부정적인 인식을 대변하고 있었다. 넷째, 본 연구에서 노인의 정보화인식은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에 양(+)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제하였는데 실제로 두 변수의 상관관계를 확인해본 결과 노인의 정보화인식은 공적․사적인 네트워크 모두에서 깊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정보화인식은 노인의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에 유의(+)하여 사적․공적인 네트워크의 범위가 넓어지므로 일상생활 속에서 가족/친지/친구/이웃/지역사회/공공기관/정당활동과 관련된 사회관계망이 확장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활용의 ‘실용성’과 ‘편의성’ 또한 사회적 네트워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하였는데, 편의성 항목은 공적네트워크에 P < .001의 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실용성 항목은 P < .001의 수준에서 네트워크의 형성에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인터넷활용은 사적 네트워크에도 편의성(P< .01), 실용성(P< .001)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노인의 정보화인식과 인터넷활용이 사적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은 학력․월평균소득이 높을수록 그리고 종교 활동을 할수록 연관성이 깊었고, 여자노인과 모든 연령층에서 친구/친척/이웃과 관련된 네트워크가 잘 형성되어 있었다. 반면에 공적 네트워크의 경우 월평균소득이 높고 건강한 노인에게서 좀 더 확장되어 있으며, 종교생활이 노인의 공공활동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정보화 사회에서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정보격차’의 한 중심에 있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정보화인식과 인터넷활용이라는 변수를 이용하여 정보화의 효과성을 측정하였다. 즉, 노인이 인터넷을 활용하면서부터 변화된 정보화 사회에서의 대인관계망․사회적 관계망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노인의 사회적 네트워크’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또한 인터넷활용이 노인의 삶에 미치는 효과성을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적인 측면에서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통해 형성되는 자원으로서 의미를 부여하였고, 빠르게 압축 성장을 하고 있는 정보화 사회에 대응할 노인정보화정책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담보할 수 있는 전략적 추진체계로서 ‘네트워크’를 지목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와 같이 논의의 쟁점을 사회자본의 한 축을 차지하고 있는 ‘네트워크’에서 찾았다는 것은 매우 가치 있는 일이다. 전국노인을 표본으로 노인복지분야에서 정보화로 인한 사회적 관계성의 측면을 다루었다는 것은 기존의 선행연구 분야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관점에서의 시도이기 때문이다. 현재, 노인의 정보화인식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인터넷활용의 행태는 어느 정도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사회의 관계망 형성은 어떤 양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정보화교육을 받고 인터넷을 활용하는 것이 과연 사회적 네트워크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 이러한 의문을 가지고 시작된 본 연구의 결과는, 정보화인식과 인터넷활용이 노인의 사회관계망 형성에 어떤 작용을 하는지 검증하여 노인의 정보화정책 제고에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 노인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확장되는 초석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주요어 : 노인의 정보화인식, 인터넷활용, 사회적 네트워크, 노인정보화정책

      • 음악적 개념형성에 필요한 음악놀이에 대한 연구 : 피아노학원에서 적용할 수 있는 음악놀이중심으로

        이복자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악교육이 성격과 인격형성에 많은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 생활수준의 향상과 아울러 풍요로운 삶을 선택하기 위한 방안으로 많은 어린이들이 음악을 배우고 있다. 그런데 사실상 많은 어린이들이 학교에서도 음악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예체능교육의 첫걸음으로 사설학원인 피아노학원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논리적 사고력이 부족하고, 신체발달상 집중력이 짧고 움직이거나 활동적인 것을 좋아하는 어린이들에게 기능습득 위주의 피아노실기수업과 인지적인 딱딱한 이론수업으로는 아이들에게 음악의 즐거움을 느끼게 하기엔 역부족이다. 따라서 교사의 강요나 지시가 아닌 어린이 스스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수업을 하기위한 자발적이고 창조적인 음악활동을 유발시킬 수 있는 음악놀이 프로그램 학습개발이 요구되므로 어린이들이 자발적으로 흥미를 느끼는 효율적 교육방법으로 놀이를 통한 음악 프로그램 중에서 피아노학원에서 활용 가능한 다양한 음악놀이 프로그램을 수집, 개발, 변형해서 피아노학원에 적용할 수 있는 음악놀이 방법을 제시하였다. 현실적으로 피아노학원에서는 유치부, 초등학생이 대부분인 점을 감안하여본 연구는 유치부, 초등부학생 어린이들이 학습해야 할 음악적 개념과 피아노이론수업에 필요한 다양한 음악놀이 프로그램을 수집, 개발, 변형한 음악 지도방법을 제시하고 가능한 피아노학원 특강수업에 활용하도록 했다. 첫째, 이론노래 부르기 수업은 노래를 부르며 어린이들이 어려워하는 이론을 자연스럽게 가창능력과 함께 쉽게 습득하는 시도를 하여 음악적 개념을 노래를 통해 즐겁게 습득하도록 하였다. 둘째, 이론놀이는 노래로서 이해한 이론을 놀이를 통하여 반복 학습효과를 경험하고 그러한 놀이과정을 통해 선의의 경쟁심을 불러일으키는 자극을 주어 음악적 개념을 더욱 확실하게 다지도록 했다. 셋째, 리듬치기에서는 추상적인 리듬의 개념을 구체적인 언어로 접목시켜 리듬을 몸으로 익히게 하는 리듬놀이를 통해 재미있게 리듬을 몸으로 느끼도록하여 악기연주에 도움을 주도록 했다. 넷째, 가락놀이에서는 가락을 구성하는 음들을 이해하고 가락의 흐름을 느끼고 이해하도록 했다. 다섯째, 셈여림놀이와 빠르기말 놀이를 통해 셈여림과 빠르기의 개념형성에 도움을 주도록 했다. 여섯째, 민요노래를 통해 우리나라 국악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했다. 일곱째, 음악 감상을 통해 여러 가지 악기에 대해 배우고 이해하고 그 악기의 소리를 구분할 수 있도록 했다. 최근에는 음악놀이의 중요성이 인식됨에 따라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학교 음악수업에서는 부분적으로 음악놀이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 피아노학원에서는 보편화되지는 않아 음악학원에서 활용 가능한 음악놀이학습의 개발이 요구된다. 앞으로 음악교육 활동의 발전을 위해서는 유치부에서 고학년에 이르기까지 음악적 개념 형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아동의 흥미와 수준에 맞는 놀이 활동을 통하여 잠재되어 있는 음악적 소질을 살리는데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실제 음악교육현장인 피아노학원 수업에 실제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음악놀이의 교육적 효과에 대해 많은 검증과 인식이 필요하다. Musical education has a great influence in building the personality and character. Many children learn music as a way to have high standard of living and to choose the abundant life. Although many children receive musical education from schools, they tend to choose private piano institutes for their first education in art. This study shows the skill-centered piano lessons and cognitive theoretical class lacks pleasure of learning music for active children, who lack logical thinking and concentrations due to physical development, and like to move around. Therefore, as the development of musical program is needed to entice children to engage in voluntary and creative musical activities, and actively participate in interesting class rather than taking orders by teachers, this research offers the methods of musical plays that are applicable at piano institutes after collecting, developing and changing a variety of musical plays as a effective educational way to let children have fun voluntarily. In consideration of the reality that the most piano institutes are filled with kindergartener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udy provides musical guidance with various collected, developed and changed musical programs that are needed for musical concept and piano theory class which kindergartener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required to learn, and also allows utilizing special class at piano institutes if possible. First, Theory-singing class is designed for children to accept theories easily with more fun, which they find difficulties in, as they sing together and learn musical concept. Second, Theory play attempts to allow students experience learning effects by repeating the theories they learn from singing, and the playing process would encourage them to compete each other, and build musical concept more firmly. Third, Beating rhythm is a musical play that is transformed abstract concept of rhythm into specific language and lets children to feel the rhythm with their bodies and help to play instruments. Forth, Tone play is designed to help understanding the notes that compose for a tone, and also the flow of the tones. Fifth, Dynamics and tempo play assists children to form the concepts of dynamics and tempos. Sixth, Singing folk songs helps to understand Korean traditional and classical music. Seventh, Through music appreciations, children are encouraged to learn and understand various instruments and how to differentiate the sounds of each instrument. As the importance of musical play has been recognized, the musical play class is held at kindergartens, nurseries, and schools as part of music education, except at piano institutes, so that the development of musical play programs is needed to be used at the institutes. To develop musical educational activities in the future, the musical concept shall be built systematically from kindergarteners until higher graders, and especially more researches shall be conducted to create plays that entice interests of children encourage their potential musical ability. Also more examination and recognition in educational effectives of musical plays are essential in order to practically utilize them during piano lessons at the institutes.

      • IPI모형을 적용한 웹기반 학습 및 평가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중학교 컴퓨터 과목 중심으로

        이복자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기존의 웹기반에서의 문제은행 시스템원리인 '학습내용전개→문제제공→평가결과'를 제시하는 수준에서 탈피한 IPI(Individually Prescribed Instruction:개별처방식 수업)를 적용한 개별완전학습의 설계, 구현을 목표로 한다. 개별완전학습을 하기 위하여 선수학습의 진단평가가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학생들 각자에 맞는 학습을 하게 된다. 학생들마다 수업 목표에 도달하는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하나의 단원을 완전학습하기 전에는 다음 단원으로 학습이 진행될 수 없다. 각 단원의 학습 뒤에 평가가 이루어지며 평가결과 80%이상의 성취수준을 보이면 다음 단원의 학습으로 계속 진행이 이루어지고, 80%이상의 성취수준을 보이지 못하면 개인별 보충학습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보충학습은 학습자가 완전히 학습하지 못한 학습에 대한 수준별 처방 학습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별처방식 수업의 완전학습에 그 목표를 두고 선수학습 결손을 방지하고 개인적 능력에 따라 피드백 학습을 하여 완전학습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This study is planed to design and implement individual whole learning system through integrating with IPI(Individually Prescribed Instruction)model. It has its characteristics on casting off the current web based learning with an item pool system that follows the sequence of instructing contents → providing problems → presenting the result of evaluating. For the activation of the Individual Whole Learning, prior lessons are done before evaluating students' level of performance, and the students will lear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In individual whole learning system, it is acknowledged that period and a pace to complete each task will differ from students to students, and until they complete the whole unit, they cannot move onto the next unit. After completing each unit, there will be a process of evaluating students'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show the correct completion of 80% of the content on the evaluation to move onto next step; for those who are evaluated as inadequate to move on, an individual supplementary instruction will be provided. The individual supplementary instructions here mean intensive instructions that the components which individual students have not be considered completed will be focused.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Individual Whole Learning based on IPI model, which prevents the deficit of prior learning, and provides feedbacks regarding individual's learning ability so that the goal of Individual Whole Learning could be accomplis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