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07개정 교육과정에서 8학년 과학 교과서 ‘물질’ 영역의 비교·분석

        예태미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은 학생이 경험하는 총체 또는 학교가 제공하는 경험의 총체라는 광의로 정의해볼 수 있다. 또한 보다 협의의 의미에서 교육과정은 의도적이고 계획적인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도적이고 계획적인 행위는 달성하고자 하는 교육목적 및 목표가 존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교육과정은 학교의 교육목적 및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여 실천하고 평가하는 제 행위를 가리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도적이고 계획적인 학교 교육에 적응하고자 하는 교육과정은 ‘교육목표와 내용, 방법, 평가를 체계적으로 조직한 교육계획’으로 정의할 수 있다. (교육과학기술부 2009) 1945년 이후 유리나라의 교육과정은 일곱 번 개정되었다. 1997년 12월 30일 개정 고시되어 지난 2000년부터 적용되어온 ‘제7차 교육과정’은 미래 지식 기반 사회에서 요구되는 과학적 소양을 지닌 인간을 양성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제7차 교육과정의 기본 철학을 유지하면서 그 동안의 사회•문화적 시대 상황을 반영하여 고시되었다. (교육과학기술부 2007) 제7차 교육과정은 21세기의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을 육성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 학습자 중심의 다양하고 특성화된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교원 수, 학교시설 등 현실적인 제반 여건이 교육과정 운영을 충분히 뒷받침해 주지 못하면서 교사들의 부담이 증가하게 되었고, 교육철학을 뒤따라가지 못하는 사회의 인식과 현실의 문제 등이 도출되면서 도입과 적용 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교육과학기술부 2007) 그로 인해 과학과 교육과정의 개발이 요구되었고, 교육과학기술부는 2007년 2월 28일, 2007개정 교육과정을 발표하였다. 2007개정 교육과정은 제7차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을 따르되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강조하였다. (교육과학기술부 2007) 교수•학습 과정과 내용은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교과서는 교육과정을 토대로 만들어지므로 2007개정 교육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개정된 교과서의 분석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는 교과서를 자율적으로 채택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고, 다양한 교과서 중 한 가지를 선택해야 하는 교사들의 역할이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교과서를 선정하는 교사들의 여건 문제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고, 교과서 선정을 지원할 제도적 장치 또한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교과서 분석 연구는 교과서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여러 가지 기준으로 비교한 결과를 중학교 2학년 ‘화학’ 영역을 중심으로 제시하고, 최종적으로는 교과서 선정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영어교육 실태와 활성화 방안

        김영안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영어교육 실태와 활성화 방안 영어교육전공 김 영 안 지도교수 손 달 례 이 논문은 현 전문계 고등학교의 영어 교육의 실태를 알아보고 그 문제점을 파악하여 전문계 고등학교에 맞는 효율적인 영어교육을 위한 개선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의 제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제한점에 대해 살펴보고 제2장에서는 본 연구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한 전문계 고등학교 영어 교육의 현황과 특수 목적의 영어(ESP)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전문계 고등학교의 영어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부산시내 소재 D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 300명에게 영어 교육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그 문제점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설문조사를 토대로 파악한 영어 교육의 실태를 근거로 효과적인 실업계 고등학교 영어 교육을 위한 활성화방안을 학습자, 교과서, 영어교사, 학교 환경 요인별로 제시해 보았다. 이상에서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전문계 고등학교에서 효과적인 전문계 고등학교 영어교육을 위한 활성화 방안을 다섯 가지 측면에서 제시해 보았다. 첫째, 현재의 전문계 고등학교 영어 교육과정 및 교육 목표의 세분화, 구체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학습자에 대한 활성화 방안이다.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에게는 교과내용의 수업보다는 학습에 대한 동기를 부여해주는 정의적인 측면의 교육이 수업에 우선시 되어야 한다. 셋째, 교과서에 대한 활성화 방안이다. 우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구성과 체제를 갖추고 기초학력이 낮은 학생들의 수준에 맞춰야 한다. 난이도를 조절하고 졸업 후 취업 현장에서 쓰일 수 있는 실용적인 영어회화, 해외여행 시 꼭 필요한 여행영어(Travel English) 위주로 교과서를 개편해야 한다. 실제로 작년 2학기부터 여행영어를 활용해 본 연구자가 근무하는 전문계 고등학교에서 수업시간에 가르치고 있는데, 출. 입국 시나, 호텔예약, 물건을 살 때, 사용할 수 있는 간단한 묻고 답하기 정도는 힘이 들지만 여러 번 반복학습을 통하여 서로 역할극을 담당해 발표하게 하고, 또 익힐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넷째, 교사에 대한 활성화 방안이다. 교사는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준에 맞도록 교과 내용과 어휘의 난이도를 조절하여 교과서를 재구성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기초 학력 수준이 낮은 학생들을 가르치는 만큼 학생들이 영어 수업에 부담을 덜 느끼도록 편안하고 안락한 분위기에서 수업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할 것이다. 또 이를 위하여 근본적으로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을 가르치는 영어교사는 같은 내용이라도 쉽게 표현해 주고, 천천히 설명하며 자존심이 상하지 않게 주의하면서 쉬운 질문과 성취감을 맛보게 하기 등을 통해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끄는 수업을 해야 한다. 다섯째로 정책적인 문제를 보면 사회 전반에 깔려 있는 대학 선호 사상과 직업에 대한 편견, 직장 내에서의 불충분한 대우 등의 요인으로 대부분의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학 진학이 쉬운 인문계 고등학교를 선호하며, 그 나머지의 학생들이 전문계 고등학교를 선택하는 풍조가 정착되어 있다. 전문계 고등학교에 입학하는 학생들은 해마다 줄어들고 있으며 학교 현장에서도 감축으로 인한 교원 인원 조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고 전문계 고등학교는 정부의 정책 결정에 따른 인문계 고등학교 입학 정원 조정으로 인해 겨우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책 당국이나 교육부에서 전문계 고등학교의 교육정책 입안 시 더욱더 관심을 기울이고 신중히 미래 우리나라를 짊어지고 나아갈 일꾼들을 잘 길러 나가야 할 것이다.

      • e-러닝 환경에서의 고전시가 스마트 교육 : 고려속요 <동동>을 중심으로 한 스마트 수업 모형

        박가율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Smart education is emerging as a new educational paradigm throughout the world including Korea. Korea is aggressively adopting smart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mart education promotion strategy'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2011, and research on smart education is briskly in progress. For the time being, it seems necessary to try smart education for the subject of Korean language, too. Smart education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extbooks composed of text only and enables actual context and experience in literary works. As a consequence, knowledge does not remain just as knowledge but functions as a cultural experience for learners. Among the various sub-areas in the subject of Korean language, classic poetry and its properties as a composite art can be enhanced in terms of educational effect by taking advantage of smart education. So, smart education shall be applied in the class of a Koryeosokyo, <DongDong>, which has strong artistic features as a composite art. To this end, what should be decided first in order to achieve the learning objective on <DongDong> is how smart education will be applied in class. This will be done in the 'smart education contents design' phase. In this phase,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 which is emphasized in smart education, should be properly reflected along with the learning objective. Then, based on the designed contents, lesson plans for smart education on <DongDong> will be prepared. With regard to smart education discussed in this paper, a little more emphasis will be put on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which emphasizes communicative class, compared with the 'smart' that emphasizes utilization of the device. Therefore, the smart device will be used entirely as a tool for learners to find a clue to problem solving for themselves and at the same time as a pathway between learners for a smooth communication. And, by way of ensuring that each class activity is followed by a discussion activity, a teaching plan will be prepared so as to effectively implement 'human-centered learning based on people and contents', which is highlighted in smart education.

      • 결혼이민자 대상 자녀 학습지도를 위한 한국어 교육 자료 연구 :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김유정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Married immigrant parents did not receive Korean Institutional Education. The learning background is different. Thus they feel the linguistic difference between school education received in their home country and Korean school education. And they talk about the difficulties of how to help their children with their learning guidanc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rospective parents or lower-grade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vagueness due to a lack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hool leads to concerns about their children's adaptation to school. Married immigrants with children entering school age have a relatively long period of living in Korea. So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Korean used in everyday life. However,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of Korean related to school life and Korean related to learning guidance for children entering school age. For this reason, there is a nee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learn vocabulary related to school life and vocabulary related to school subject learning, not vocabulary in daily lif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pare Korean language education materials for parents in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o know what vocabulary their children learn in school is related to curriculum learning. Currently,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has a program called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ildren's Learning Guidance’, This is for marriage immigrants, to teach them about information related to school life that prospective parents or first-year elementary school parents should basically know. The subject of the contents of the class consists of preparation for school entrance, school events, school newsletters, types of tests conducted by the school, and notification tables. These topics allow prospective parents to learn the information they need to know at the beginning of admission, so they are very useful information. However, since there are few topics directly related to subject learning, it is regrettable that there are not many topics related to school subjects that parents of marriage immigrants who did not spend their elementary school days in Korea are curious about. This study focuses on expanding the exis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ildren's Learning Guidance" educational materials to strengthen the ability of married immigrant parents attending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s school curriculum helpers. First, to review the validity of this study, previous studies on how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arriage immigrants with school-age children is progressing were examined. Second, the teaching points and content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ildren's Learning Guidance, a Korean program conducted by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were analyzed and described. Third,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curriculum learning in the existing educational materials, vocabulary and activity instruction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ere analyzed and the educational materials was prepared. Fourth, a pilot class was conducted by producing a class plan with the educational materials presented in this study. In additi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study was reviewed through a survey of participants.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hich are the core elemen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focusing on vocabulary and activity instructions. As analysized in data, a total of nine textbooks for the first semester were used from 1-1 (A) to 3-1 (B) of elementary school in 2021. First, analysis of the activity instructions was conducted and topics that are important for each grade were selected. In the first grade, rather than emphasizing the learning academic part, the picture diary in the last unit of the first semester of the first grade, which is the basis of writing, was selected as one of the teaching points. This is organized so that parents can directly carry out activity instructions in textbooks so that they can guide their children with a picture diary that makes good use of the subject. As a result of analyzing second-grade textbooks, there were many classes where pair activities were necessary, so the subjects related to the other person's mind were judged to be appropriate, and the body and activity instructions of the unit that could read the text. In the third-grade textbook, there were many units to understand in the context of every text. It was composed of materials by extracting units that can infer sensory expressions in the story, units that learn how to guess unknown words, and units that can know and write causes and results. Also, the data composed of 12 sessions were specifically presented so that they could be applied directly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ildren Learning Guidance extended classes for marriage immigrants in the classroom. 결혼이민자로서의 학부모들은 한국의 제도권 교육을 받지 않았다. 한국에서 태어난 선주민과는 학습 배경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그들은 자신이 모국에서 받은 학교 교육과 한국 학교 교육의 언어적 차이를 느낌과 동시에 자녀 학습지도 시 무엇을 어떻게 도와줘야 할지에 대한 막연한 어려움을 토로한다. 특히, 예비 학부모 또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부모의 학교와 관련된 정보 부족으로 인한 막연함은 자녀의 학교 적응에 대한 걱정으로 이어진다. 학령기에 접어든 자녀를 둔 결혼이민자는 비교적 한국에 거주한 기간이 길어서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한국어에는 불편함이 없다. 하지만 학령기에 접어든 자녀의 학교생활과 관련된 한국어, 학습지도와 관련된 한국어의 이해에는 부족함이 많다고 느낀다. 이러한 이유로 일상생활 어휘가 아닌 학교생활과 관련된 어휘, 학교 교과 학습과 관련된 어휘를 학습할 수 있는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 결혼이민자 학부모들이 자녀가 학교에서 배우는 교과 학습과 관련된 어휘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에 대해 알 수 있는 한국어 교육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현재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는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자녀교육과 관련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인 ‘자녀 학습지도를 위한 한국어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해당 교육은 예비 학부모 또는 초등학교 1학년 학부모가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할 학교생활과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으므로 앞서 제기한 필요성에 부합하는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수업 내용의 주제는 입학준비물, 학교 행사, 가정통신문, 학교에서 실시하는 시험의 종류, 생활통지표 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주제를 통하여 입학 초기에 알아야 할 정보와 관련된 어휘를 학습할 수 있으므로 예비 학부모가 알아두면 매우 유용한 정보들이다. 하지만 교과 학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주제는 많지 않기 때문에 초등학교 시절을 한국에서 보내지 않은 결혼이민자 학부모들이 궁금해하는 학교 교과 관련 주제가 많지 않아 아쉬움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민자 학부모들의 자녀의 학교 교과 학습 관련 한국어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기존의 ‘자녀 학습지도를 위한 한국어 교육’ 교육 자료의 확장 방안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본 연구의 타당성 검토를 위하여 학령기 자녀를 둔 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 진행 상황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둘째,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진행하고 있는 한국어 프로그램인 ‘자녀 학습지도를 위한 한국어 교육’ 의 교수 요목과 교수 내용을 분석하여 기술하였다. 셋째, 기존 교육 자료에 교과 학습과 관련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 교과서의 어휘 및 활동 지시문을 분석하여 교육 자료의 실제를 마련하였다. 넷째,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교육 자료로 수업 모형을 제작하여 시범 수업을 진행하였다. 또한,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연구의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연구의 중심이 되는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 교과서는 어휘와 활동 지시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로는 2021년 초등학교 『국어1-1(가)』부터 『국어3-1(나)』까지 1학기 교과서 총 9권을 사용하였고 활동 지시문을 분석한 후 학년별로 중요시되는 주제를 선별하여 교수 요목에 적용하였다. 1학년에서는 특별히 학습적인 부분을 강조하기보다는 글쓰기의 기초가 되는 1학년 1학기 마지막 단원에 나오는 그림일기를 교수 요목 중 하나로 선정하였다. 가정에서도 학부모가 주제를 잘 살린 그림일기 작성법 등을 자녀에게 지도할 수 있도록 교과서에 나오는 활동 지시문을 직접 수행해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2학년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짝활동이 이루어지는 수업이 많았으므로 상대방의 마음과 관련된 주제가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마음을 표현하는 단원과 마음을 짐작하는 단원 그리고 글의 중요한 내용을 확인하며 읽을 수 있는 단원의 본문과 활동 지시문을 발췌하여 학습 자료로 구성하였다. 3학년 교과서에서는 글의 맥락을 이해하기 위한 단원이 많았다. 이야기에 나타난 감각적 표현을 유추할 수 있는 단원, 모르는 낱말을 짐작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단원, 원인과 결과를 알고 쓰기를 할 수 있는 단원을 발췌하여 자료로 구성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12차시 분량으로 구성된 자료는 수업 현장에서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기존의 ‘자녀 학습지도를 위한 한국어 교육’ 확장 수업에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교수 요목과 수업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음을 밝힌다.

      • 유아영어교육을 위한 부모지원 프로그램 개발 : :델파이 방법을 활용하여

        최경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유아영어에 관심이 높은 부모들에게 유아영어교육의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가정에서 교육기관에서의 영어교육과 연계하여 일관성있게 영어교육을 지원할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델파이 조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델파이 조사를 위해 교사, 원장 및 원감, 교수 등 3개의 집단으로 전문가 그룹(패널)을 구성하여 3차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실태 및 현황 조사(김해겸, 차호순, 1997: 양옥승, 김진영, 김현희,김영실,2001:우남희,1995: 천희영, 최미현, 좌승화, 서현아, 2002)) 연구와 인식에 대한 연구(김은아, 1996: 김정애, 2004)를 조사하였으며 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3차례의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설문조사는 개방형과 폐쇄형 설문을 혼합하여 만들어졌으며 패널들은 프로그램의 목표, 내용, 방법, 실시횟수, 평가에 대한 각자의 의견을 서술형으로 기록하거나 선택하도록 고안되어졌다. 2차 설문 조사는 1차 조사의 응답을 분석하여 응답사례를 유목화하여 89개의 항목으로 구성하여 5단계 척도로 평정하도록 하였다. 응답결과 중 평균이 4.0 이상이며 왜도가 음의 값을 가지는 항목 32개를 다시 선정하여 3차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3차 설문지는 2차 응답 결과 적절하다고 선정된 32개의 항목과 부모의 자기평가에 관한 항목 2개, 마지막에는 부모지원프로그램 운영계획에 대한 항목 11개를 첨가하여 총 45개의 항목에 대해 5단계 척도로 평정하도록 하였다.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 목표의 적절성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유아가 영어에 흥미를 갖도록 돕는 것’은 2차와 3차에 걸쳐 가장 높은 평균점을 받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영어교육에 관심을 가지는 것’과 ‘바람직한 부모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이 선정되었다. 이는 배주은(2007)의 논문에서 델파이조사 결과 저학년 영어교육에서 가장 중요시되어야할 교육목표가 ‘영어에 흥미와 관심을 가진다.’ 인 것과 같은 맥락으로 보여진다. 즉, 부모지원 프로그램에서는 직접 유아에게 영어를 가르쳐 당장 효과를 보는 것이 아니라 무엇보다 유아가 자연스럽게 영어에 흥미를 가지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내용의 적절성에 대한 결과에서는 2차, 3차 모두 유아들이 가장 선호하는 교수 방법인 ‘게임, 챈트, 노래를 활용하는 방법’의 평균이 가장 높았고 ‘유아영어교육의 목적 및 필요성’과 ‘문학작품을 활용한 영어교육활동’이 그 다음이었다. 선행연구에서도 최영희(2006)는 유아영어교육의 교수법 중 동요와 챈트, 동화를 통한 수업이 효과적이라고 하였으며, 김윤아(2001)는 노래와 챈트를 활용한 듣기, 말하기 수업모형이 학습자의 흥미, 발음, 말하기 측면에서 일반 수업 모형보다 재미있고 발음 오류를 감소시키며 자신감을 준다고 하였다. 그리고 영어동화에 관한 조경숙(2005)의 논문에 의하면 유아들은 동화, 동시 등을 재미있게 읽음으로써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 등을 동시에 배울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따라서 부모지원 프로그램의 내용에는 게임, 챈트, 노래, 문학작품을 활용하여 유아들에게 영어지도를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적절하다. 셋째, 교육방법의 적절성에서는 워크샾, 소그룹토론, 강의, 부모참관/참여수업의 형태를 선호하였다. 교육부(1999)에서는 부모교육의 유형을 3가지로 설명하고 있는데, 강연회, 토론회, 좌담, 독서토론회, 실습 및 워크샾과 같이 집단으로 실시하는 것, 면담, 가정방문 같은 개별적인 부모교육, 인쇄자료, 전화, 컴퓨터통신과 같이 통신을 이용하는 부모교육이다. 전계순(2006년)의 논문에서는 부모교육의 방법 중 교사와 학부모는 가정통신문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아 선행연구와는 다른 결과를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최근의 많은 부모교육 관련 연구에서는 대규모의 대상에게 일괄적으로 실시하는 부모교육보다는 소집단 내지는 개별화된 교육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들이 대두하고 있어(이숙영, 이윤주, 정혜선, 2002) 워크샾, 소그룹토론, 강의, 부모참관/참여수업의 형태를 교육 내용에 따라 적절히 병행하면 효과적이라고 본다. 넷째, 평가의 적절성에서 패널들은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 평가가 가장 중요하다고 하였으며 다음으로 ‘유아교육기관의 자체 운영’ 평가를 선택하였다. 평가 방법으로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종료 후나 수시로 하는 것을 선택하였다. 부모지원 프로그램의 마지막 단계는 프로그램 평가로 평가는 학습결과를 확인하는 것 뿐 아니라 부모교육을 계획하고,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의 정책을 결정하고, 프로그램을 개정하며, 프로그램의 정당성 및 책무성을 확인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하기 때문에 본질적이고 필수적인 과정이다(한국교육개발원, 1984 : Medway, 1989). 그러므로 프로그램 실행과정 중에도 부모의 요구나 만족도를 조사하여 프로그램의 개발과정에 반영하도록 하며, 프로그램 실시 후에도 만족도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3차에 걸친 전문가들의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유아가 영어에 흥미를 갖도록 돕고 부모가 유아영어교육에 관심을 가지도록 하고 부모가 유아영어교육을 위한 바람직한 역할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 8회의 유아영어교육을 위한 부모지원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었다.(부록 마지막에 있는 <유아영어교육을 위한 부모지원프로그램 운영계획>참고) 향후에는 이상의 내용을 실제 유치원에 프로그램화 하여 적용한 후 그 효과를 분석하여 유아영어교육을 위한 부모지원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는 것이 과제로 남아 있다. As importance of English ability which is a worldwide language to communicate in 21C, is being recognized, it is hard to live these days only with their mother's tongue. So, necessity of being bilingual and demand for bilingual education are getting higher, and many early childhood education academies are teaching English to children. However, the system is incomplete and professional teachers are in short. The development of an organized system that provides right information about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to parents who have lots of interest, and support the consistent home English education related to the academy's education will maximize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This paper tried to develop a program that systematically perform the parent- supporting program about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to parents for certain period of time by English teacher or trained teacher. This program was developed by using the Delphi method, which reaches an agreement by sending questions three times to 27 panels (teachers, principals, vice-principals, professors). By evaluating the appropriateness of items based on the purpose, contents, method, and evaluation of the program, at the end, eight-times of parent supporting program for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was developed. Academy will now actually use this program, and supplement and correction of this program will be discussed.

      • 경제소비자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경제기본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김선희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effect of the consumer economy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on durability of basic economic molding, provide basic data of a program helping children develop basic economy concepts in the children education spot, and to help children practice sound economic activities as consumers. Research problems was established as follows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1. What is the effect of the consumer economy education program on the basic economic concept molding of children? 2.. What is the effect of the consumer economy education program on the durability of basic economic concept molding of children? 3. What is the effect of the consumer economy education program on the basic economic concept molding of children in accordance with sex? 32 five-year-old children were selected from “I” kindergarten located in “H” ward, Busan City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other 32 five-year-old children were selected from the same kindergarten located for the comparative group. In order to know the effect, a spot-centered consumer economy education program was peformed twice a week for 11 weeks(from Mar 18, to May 31, 2013). The program for this study was performed by the homeroom teacher in charge, with assistance of the homeroom teacher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children of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the economy education activities related to living themes based on the NURI curriculum activity plan. After performing 18 times of experimental treatment, a posttest was performed from Jun 3 to 14 Jun, 2013 in order to know the difference of basic economic concept and a follow-up test was performed in 10 weeks(from Aug 26 to Sep 6, 2013) in order to know durability of the experimental effect. This study used a research tool of basic economy concept for children, a questionnaire composed of 31 questions developed by Mija Park(2008), in order to measure basic economy concepts of children. This study used SPSS 18.0 to perform statistical treatment of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nsumer economy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of basic economic concept of children. In the subcategories of basic economic concept, the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children were higher than those of comparative group children in 7 subcategories(scarcity & selection·chance cost, consumption, products & service, money, job & work, market, price & exchange), and it was shown that the consumer economy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improved basic economic concept. Second, the consumer economy education program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of durability of basic economic concept. In the follow-up test performed in 10 weeks, it was also shown that the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children were insistently higher than those of comparative group children in 7 subcategories. Third, effect of the consumer economy education program had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which had positive effect on girls rather than boys. Summing up the above results, the consumer economy education program had positive effect on the basic economic concept molding of children. And the program also had continuous effect on the basic economic concept of children.

      • u-러닝 환경에서 ARCS 동기이론을 이용한 정보기술기초교과의 교수· 학습 모형연구

        김소영 부경대학교 정보통신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기존의 강의중심의 교육형태에서 학생이 언제 어디서나 컴퓨터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필요한 자료를 찾아볼 수 있고, 시공간을 넘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또 실제 공간과 가상공간이 통합되어 다양한 학습형태를 통해 교육의 질과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u-러닝 환경에서 ARCS 동기이론을 적용한 실업계 고등학교 정보기술기초교과의 바람직한 교육환경을 제시하고, 효율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한다. 먼저 u-러닝 교육환경에서의 정보기술기초 교육의 개념과 교육과정을 조사한다. 그 후 u-러닝 환경에서 ARCS 이론을 활용한 정보기술기초 교과의 프로젝트 학습과 문제해결 학습지도안을 제안한다. 프로젝트 학습과 문제해결학습은 학습자 스스로 협동심과 분석력, 의사소통 능력, 창의력을 훈련시킬 수 있도록 팀 프로젝트 방식으로 진행한다. 본 학습 지도안은 정보통신 서비스의 종류와 특징을 학습자 중심으로 공부할 수 있도록 설계한 프로젝트 학습과 홈페이지 제작을 통한 문제해결에 중점을 두었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모형의 효율적인 검증을 위해 공업고등학교 전기과 2반을 대상으로 조사하고 그 결과를 통계적인 방법으로 분석한다. 실제 실험은 학생들을 실험반과 통제반으로 나누고 수업처치 전에 정보기술기초 과목에 대한 ARCS 동기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검사 후 실험반은 ARCS전략을 적용한 프로젝트학습과 문제해결학습을 실시하였고, 통제반은 전통적 수업방법을 실시한 후, ARCS 동기이론에 대한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동기유발의 향상된 정도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수?학습 방법은 완전한 u-러닝 환경은 아니지만 독립표본 t-검증한 결과, ARCS 각 요소들이 주의집중, 자신감, 만족감에서 실험반 학생들의 동기유발 정도가 통제반 학생들의 동기유발 정도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왔다. 전체 동기유발 전략에서도 실험반 학생들이 통제반 학생들보다 많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In ubiquitous environment, anyone can find learning materials by internet connection and make communication regardless of time and space. Moreover, combination of real and virtual space enables to improve the quality and effects of education through various learning models. In this study are suggested a desirabl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ffective teaching & learning models based on ARCS motivation theory in ubiquitous environment in Basic Informational Technology subject (later on BIT) in technical mechanical high school. The first step is to research the basic concept and curriculum of BIT in ubiquitous learning (later on U-learning) environment. After that, a new BIT lesson plan is suggested using project and problem-solving models utilizing ARCS theory in U-learning environment. In this lesson plan, students work in teams in project & problem solving models to enhance cooperation, creativity, power of analysis and communication skills by themselves. This lesson plan is focused on problem solving by making homepage and project learning designed for learners to study various kinds of informational communication services and their features. Lastly, for effective verification, a test was done to a class in electronics department of a technical mechanical high school and its result was analyzed by statistic method. In the test,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both groups took ARCS motivation test of BIT before the lesson. During the lesson, experiment group got a lesson in project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based on ARCS strategies, while control group got a traditional lesson. After the lesson, a test was given to find out if there was any change in those students in terms of motivat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learning-teaching method presented in this study enhances students' every aspect of motivation - Attention, Confidence, Satisfaction. Experiment group also showed greater improvement in overall motivation strategies than control group.

      • Bookinship을 통한 내용중심 교수법이 교육 복지투자 연계학교 아동에 미치는 영향 - 6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

        황한주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내용중심 교수법을 중심으로 교육 복지투자 연계학교 6학년 학생들에게 과학교과에서 영어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내용을 다양한 영어 읽기 자료와 내용중심 교수법 수업 적용하였을 때, 학습자들의 인지적 영역 변화를 살펴보고, 학습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학습자들의 참여도와 흥미도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내용중심 교수법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고 부산광역시 교육청의 Science English 교재를 본교 학생의 특성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으며, 학년별 지도 단원과 관련된 다양한 영어 읽기 자료를 선정하여 이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 교육 복지투자 우선지역의 소규모 학교의 6학년 학생 35명이며, 연구 기간은 2011년 1월부터 2011년 11월까지이고, 측정도구는 연구대상의 정의적 영역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사전, 사후 설문지, 연구 기간동안 관찰한 내용을 기술한 자료(관찰일지)와 주요 학생의 구조적 면담자료(면담 질문지), 학생의 인지적 변화를 측정할 TOSEL평가지를 활용하였다. 사후 검사는 마지막 수업이 끝난 후 사후 설문결과와 인터뷰, 관찰일지, 그리고 TOSEL평가지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이 소규모인 관계로 모든 자료는 기술 통계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Bookinship 내용중심 영어교수법은 교육력 제고 학교 아동들의 영어수업에 대한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준 반면 주의력에서는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즉, 학생들로 하여금 영어 수업에 대한 높은 만족감을 바탕으로 영어를 예전보다 잘하게 되었다는 자신감을 가지게 하였지만 영어학습에 부담감을 주어 영어 수업에 대한 주의력을 향상시키는 못하였다. 둘째, Bookinship 내용중심 영어교수법은 교육력 제고 학교 아동들의 영어실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는 Bookinship 내용중심 영어교수법 적용을 통해 학생들에게 지속적인 영어 노출의 기회를 제공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와 같은 EFL환경에서, 특히 환경이 열약한 교육 복지투자 연계학교의 학습자들에게 영어 노출기회를 확대하여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시사점이라고 할 수 있다.

      • 초등학교 국어교과서를 활용한 여성결혼이민자 한국어교육 방안

        임경화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 및 한국말과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자녀 교육에 도움이 되고자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활용한 교육 방안을 제시함에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본 연구를 위한 기초적인 작업으로서 초등학교 국어교육과정 전반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고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중점 내용, 국어 교육의 목표와 내용 체계를 살펴 국어 교과서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둘째, 현재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로 최근 국립국어원에서 발간된 「여성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 1, 2, 3, 4」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주제, 기능(문법과 표현), 문화 항목으로 한정하여 주제와 의사소통기능, 문법 항목과 난이도, 문화 범위를 파악하고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자료 선정 시에 참고하였다. 셋째, 한국어교육에 관한 요구 조사 연구에 관한 문헌 분석과 동시에 여성결혼이민자들과 한국어 강사들의 심층면담을 통해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교육에 적합한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텍스트 선정 기준을 마련하였다. 넷째,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능력, 이해, 인지 수준을 고려하여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기본 목표로 그들의 지적, 사회, 문화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교육 내용을 추출하고 실제 한국어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기존 교과서를 재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