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초등학교 국어교과서를 활용한 여성결혼이민자 한국어교육 방안
임경화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본 연구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 및 한국말과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자녀 교육에 도움이 되고자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활용한 교육 방안을 제시함에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본 연구를 위한 기초적인 작업으로서 초등학교 국어교육과정 전반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고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중점 내용, 국어 교육의 목표와 내용 체계를 살펴 국어 교과서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둘째, 현재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로 최근 국립국어원에서 발간된 「여성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 1, 2, 3, 4」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주제, 기능(문법과 표현), 문화 항목으로 한정하여 주제와 의사소통기능, 문법 항목과 난이도, 문화 범위를 파악하고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자료 선정 시에 참고하였다. 셋째, 한국어교육에 관한 요구 조사 연구에 관한 문헌 분석과 동시에 여성결혼이민자들과 한국어 강사들의 심층면담을 통해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교육에 적합한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텍스트 선정 기준을 마련하였다. 넷째,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능력, 이해, 인지 수준을 고려하여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기본 목표로 그들의 지적, 사회, 문화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교육 내용을 추출하고 실제 한국어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기존 교과서를 재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시네틱스를 활용한 포스터 디자인 교육 연구 : 중등 미술 교과 과정을 중심으로
김한나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They say that the current education needs change and many changes have been tried. But we can find indoctrination is still being done at school. The Commission on the 18th Presidential Transition pushed ahead not unilateral schooling but 'the education to cultivate visions and talents' and, at the same time, suggested a direction of 'education for invention and upright character'. Therefore, to meet the demand of the day, school should reject uniform education and try changes constantly to enable students' self directed learning and active study through inventive and free thoughts. In this point of view, design education is very meaningful. Because creativity and free thoughts can be developed through the education of design that makes and expresses ideas. In particular, poster design, which has the longest history in graphic design, is the typical and familiar area to middle school students. To them who have competed in many various poster contests since elementary school, poster design is the familiar one in which they can express creatively the message to deliver. In this sense, many specific studies are needed for more systematic poster design educa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creative methods of solving problems by getting ideas or hints from a variety of analogy, using Synectics method, in relation to the poster design education in the secondary art curriculum. To do this, first, I would like to examine the concepts, the feature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s, and the importances of Synectics and poster design,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previous theses analyses. Second, to inspect the current state of poster education in the secondary art, I examine the present middle school art curriculum and determine the situation and the problems of the current poster design education based on the textbook. Third,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previous chapters, I suggest the applicability of Synectics to design education. I apply poster design using Synectics to actual class according to educational aim and plan, and verify and evaluate the results of class. I want to prov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poster design instructional method through this study analysis. I expect the educational value to be realized when students express their thoughts in various and free ways, by overcoming the limit of the existing middle school poster design education and enabling more systematic education. We see the positive schooling effect when learners can think independently, derive ideas voluntarily and positively, and solve problems by experiencing fresh educational process.
2007개정 교육과정에서 8학년 과학 교과서 ‘물질’ 영역의 비교·분석
예태미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은 학생이 경험하는 총체 또는 학교가 제공하는 경험의 총체라는 광의로 정의해볼 수 있다. 또한 보다 협의의 의미에서 교육과정은 의도적이고 계획적인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도적이고 계획적인 행위는 달성하고자 하는 교육목적 및 목표가 존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교육과정은 학교의 교육목적 및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여 실천하고 평가하는 제 행위를 가리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도적이고 계획적인 학교 교육에 적응하고자 하는 교육과정은 ‘교육목표와 내용, 방법, 평가를 체계적으로 조직한 교육계획’으로 정의할 수 있다. (교육과학기술부 2009) 1945년 이후 유리나라의 교육과정은 일곱 번 개정되었다. 1997년 12월 30일 개정 고시되어 지난 2000년부터 적용되어온 ‘제7차 교육과정’은 미래 지식 기반 사회에서 요구되는 과학적 소양을 지닌 인간을 양성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제7차 교육과정의 기본 철학을 유지하면서 그 동안의 사회•문화적 시대 상황을 반영하여 고시되었다. (교육과학기술부 2007) 제7차 교육과정은 21세기의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을 육성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 학습자 중심의 다양하고 특성화된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교원 수, 학교시설 등 현실적인 제반 여건이 교육과정 운영을 충분히 뒷받침해 주지 못하면서 교사들의 부담이 증가하게 되었고, 교육철학을 뒤따라가지 못하는 사회의 인식과 현실의 문제 등이 도출되면서 도입과 적용 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교육과학기술부 2007) 그로 인해 과학과 교육과정의 개발이 요구되었고, 교육과학기술부는 2007년 2월 28일, 2007개정 교육과정을 발표하였다. 2007개정 교육과정은 제7차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을 따르되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강조하였다. (교육과학기술부 2007) 교수•학습 과정과 내용은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교과서는 교육과정을 토대로 만들어지므로 2007개정 교육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개정된 교과서의 분석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는 교과서를 자율적으로 채택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고, 다양한 교과서 중 한 가지를 선택해야 하는 교사들의 역할이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교과서를 선정하는 교사들의 여건 문제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고, 교과서 선정을 지원할 제도적 장치 또한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교과서 분석 연구는 교과서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여러 가지 기준으로 비교한 결과를 중학교 2학년 ‘화학’ 영역을 중심으로 제시하고, 최종적으로는 교과서 선정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상현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Abstract Analysis and Improvement of Localized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Lee Sang-hyeon Major in Social Studie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ukyong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Lee Dae-hee Social studies is a subject focusing on fostering capability to respond to new changes in society actively and right qualification as democratic citizens who can make reasonable decisions. For such purpose, social studies have textbooks localized for each region. Localization of textbooks enables fresh materials directly met in daily life to be used in classes, thus increasing learning effects, deepening understanding of locality, and promoting love of one's home. Such localization has been discussed since the beginning of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in particular, the 7th Curriculum enabled localized textbooks of social studies for the third grades to be published by local education offices freely and as for the fourth grades, local textbooks were published as approved books for relevant cities and provinces. The localized textbooks are sufficiently helpful in that efforts and burdens of re-structuring curriculum for localized learning are resolved and that localization of curriculum can be practically conducted in the education fields. However, although localized textbooks have been developed to reflect local properties and desires of learners and local society according to the localization logic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ir status has not been established sufficiently as the localized textbooks fail to function as aid textbooks for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field. Also, such textbooks have not met the purpose of the localization because of lack of teachers' understanding of localization, immaturity of conditions, and difficulty in publishing localized textbooks and materials. In this context, it is needed for the textbooks to be structured to function for the purpose of the development in the field. The authors in this study present directions to enhance efficiency and consistent development of the localized curriculum based on analysis of textbooks and questionnaires. First, various materials including photos, pictures, maps, graphs, and tables have been presented to enhance learning efficiency in the localized textbooks. In addition to it, it is needed to provide learning materials with sense of reality by development of multimedia materials though they are not possible to be included in the textbooks. Second, although the existing localized textbooks present sufficient materials, photo materials sometimes fail to fulfill the function due to limitations in paper textbooks, and as shown in the questionnaires, students rather than teachers do not have interest in the localized textbooks. It is needed to enlarge the size of the textbooks and to present color materials so that students have spontaneous interest. Third, visiting and learning from voluntary figures who have knowledge and experience in the relevant local is particular effective in the localized learning, but as shown in the questionnaires, this method is the most one in learning. Although it is hard to resolve the problem in the near future in reality, it may be favorable method that personnel infrastructure for localized learning per regions or school districts is organized and supported systematically as a future-oriented measure. Conclusively, as in all the subject learning, it is hard to resolve insufficiency in localized learning in a short time, but the localized learning may be better in process of finding and resolving existing problems gradually.
김영안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영어교육 실태와 활성화 방안 영어교육전공 김 영 안 지도교수 손 달 례 이 논문은 현 전문계 고등학교의 영어 교육의 실태를 알아보고 그 문제점을 파악하여 전문계 고등학교에 맞는 효율적인 영어교육을 위한 개선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의 제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제한점에 대해 살펴보고 제2장에서는 본 연구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한 전문계 고등학교 영어 교육의 현황과 특수 목적의 영어(ESP)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전문계 고등학교의 영어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부산시내 소재 D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 300명에게 영어 교육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그 문제점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설문조사를 토대로 파악한 영어 교육의 실태를 근거로 효과적인 실업계 고등학교 영어 교육을 위한 활성화방안을 학습자, 교과서, 영어교사, 학교 환경 요인별로 제시해 보았다. 이상에서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전문계 고등학교에서 효과적인 전문계 고등학교 영어교육을 위한 활성화 방안을 다섯 가지 측면에서 제시해 보았다. 첫째, 현재의 전문계 고등학교 영어 교육과정 및 교육 목표의 세분화, 구체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학습자에 대한 활성화 방안이다.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에게는 교과내용의 수업보다는 학습에 대한 동기를 부여해주는 정의적인 측면의 교육이 수업에 우선시 되어야 한다. 셋째, 교과서에 대한 활성화 방안이다. 우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구성과 체제를 갖추고 기초학력이 낮은 학생들의 수준에 맞춰야 한다. 난이도를 조절하고 졸업 후 취업 현장에서 쓰일 수 있는 실용적인 영어회화, 해외여행 시 꼭 필요한 여행영어(Travel English) 위주로 교과서를 개편해야 한다. 실제로 작년 2학기부터 여행영어를 활용해 본 연구자가 근무하는 전문계 고등학교에서 수업시간에 가르치고 있는데, 출. 입국 시나, 호텔예약, 물건을 살 때, 사용할 수 있는 간단한 묻고 답하기 정도는 힘이 들지만 여러 번 반복학습을 통하여 서로 역할극을 담당해 발표하게 하고, 또 익힐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넷째, 교사에 대한 활성화 방안이다. 교사는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준에 맞도록 교과 내용과 어휘의 난이도를 조절하여 교과서를 재구성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기초 학력 수준이 낮은 학생들을 가르치는 만큼 학생들이 영어 수업에 부담을 덜 느끼도록 편안하고 안락한 분위기에서 수업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할 것이다. 또 이를 위하여 근본적으로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을 가르치는 영어교사는 같은 내용이라도 쉽게 표현해 주고, 천천히 설명하며 자존심이 상하지 않게 주의하면서 쉬운 질문과 성취감을 맛보게 하기 등을 통해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끄는 수업을 해야 한다. 다섯째로 정책적인 문제를 보면 사회 전반에 깔려 있는 대학 선호 사상과 직업에 대한 편견, 직장 내에서의 불충분한 대우 등의 요인으로 대부분의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학 진학이 쉬운 인문계 고등학교를 선호하며, 그 나머지의 학생들이 전문계 고등학교를 선택하는 풍조가 정착되어 있다. 전문계 고등학교에 입학하는 학생들은 해마다 줄어들고 있으며 학교 현장에서도 감축으로 인한 교원 인원 조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고 전문계 고등학교는 정부의 정책 결정에 따른 인문계 고등학교 입학 정원 조정으로 인해 겨우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책 당국이나 교육부에서 전문계 고등학교의 교육정책 입안 시 더욱더 관심을 기울이고 신중히 미래 우리나라를 짊어지고 나아갈 일꾼들을 잘 길러 나가야 할 것이다.
부산 시내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생명공학에 대한 인식 비교
이정미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In the twenty-first century, Biotechnology has emerged as a new field of science that is rapidly advancing. Because of the rapid advancement, students need to develop the ability to understand how to treat great change caused by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Youn-hi Jo 1995). Thus I have to know whether they recognize biotech correctly or not. In previous studies, biotech was used just to analyze high school courses and research student's recognition. However, in this study I researched which factor affects discrepancy most in recognition. I developed a questionnaire containing clauses from textbook and biotechnology information. Also I have studied these things to relieve school education and better inform the biotechnology. We will now analyze the five areas I researched. 1. I researched how many high school students knew biotech, how much they knew about it, and what the differences were according to age, sex and department. 2. I researched how many undergraduates knew the biotech, how much they knew about it, and what the differences were according to age, sex and department. 3. I researched the differences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and undergraduate students. 4. I inter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biotechnology. 5. I the source of issues about biotech and reliable informer. This questionnaire was based on 389 high school students and 134 undergraduates in Pusan. The questions are made up of six clauses about clone, gene manipulated foods, the human genome project, artificial insemination, embryo identification, and stem cells. Each again was divided into 3-6 subsidiary clauses including 107 questions and finding informer. This is for research about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n biotechnology. For the result of research, High school students has showed the most difference between each distinction of sex about the meaning of recognition ability(p<0.001) and college students showed the most meaningful difference about the recognition ability between each department(p<0.01). Consequently, distinction of sex was the most difference factor for highschool students's recognition ability (p<0.001), and it had the most difference between departments to college students. (p<0.001) The mutual relation of recognition standard is highest in embryos identifi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is highest in the human genome project, stem cells and gene manipulation foods for undergraduate. The study for finding out the most popular biotech-informer is most high in TV. Then comes internet, newspaper and school in the order. Dependence on school is higher in high school student than undergraduate. The reliable informers for high school students are organ expressions, governmental educational institution, non government organization and school. The reliable informer for undergraduate comes governmental educational institution, organ expressions and that order in school. Consequently, undergraduate has much more confidence in school. 21세기에 들어 생명공학은 핵심 과학 분야로 부상하고 있으며,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므로 생명공학의 시대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과학과 기술의 발달로 야기되는 급격한 변화에 대한 기본적 이해와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줘야 한다(조윤희, 2003). 이에 따라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이 생명공학을 어떻게 인지하고 인식하는지를 아는 것은 중요하다. 이전까지 생명공학과 관련된 교육연구는 중,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중, 고등학생의 이해도와 인식을 알아보았으며 인식조사에 있어서 찬성의 정도만을 알아보는데 그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에 제시된 생명공학과 관련된 문항과 최근 사용되고 있는 생명공학 기술이 포함되는 설문지를 개발하고 부산 지방의 고등학교와 대학교에서 설문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생명공학에 대한 인지도와 동의도, 위험도, 유용도, 의향도로 나누어 인식을 조사, 비교하고 어떠한 변인(성, 계열, 학년)이 인식의 차이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생명공학에 대한 정보원을 조사함으로써 생명공학에 대한 학교 교육의 필요성을 부각시키고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생명공학과 관련된 수업의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는 다섯 가지의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생명공학에 대한 인지도와 인식도를 알아보고 학년별, 계열별,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둘째, 대학생의 생명공학에 대한 인지도와 인식도를 알아보고 계열별,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셋째, 생명공학의 인식에 있어서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넷째, 생명공학에 대한 인식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다. 다섯째, 생명공학에 관련된 문제를 들어본 곳과 신뢰할 수 있는 정보원을 알아본다. 설문은 부산에 시내의 인문계 고등학교 4개교와 대학교 3개교에서 이루어졌으며 고등학생은 성별, 계열별, 학년별로 나누어 389명, 대학생은 성별, 계열별로 나누어 134명이 대상이 되었다. 설문문항은 생물복제, 유전자 조작식품, 인간게놈 프로젝트, 인공수정, 태아검진, 줄기세포의 6항목으로 나누고 각각 3~6개의 하위문항을 만들어 인지도와 인식도를 알아보는 107개의 문항과 정보원을 알아보는 2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고등학생은 성별에 따른 인지도가 가장 큰 유의미한 차이(p<0.001)를 보였으며 대학생은 계열에 따른 인지도가 가장 큰 유의미한 차이(p<0.01)를 나타냈다. 인식도에 있어서는 고등학생은 성별에 따른 차이(p<0.001)가, 대학생은 계열에 따른 차이(p<0.01)가 각각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인식의 차이는 인공수정에 대한 항목에서 가장 큰 차이가(p<0.001)나타났다. 인식도의 상관관계는 고등학생은 태아검진의 항목에서 상관도가 가장 컸으며 대학생은 인간게놈 프로젝트, 줄기세포, 유전자 조작식품의 항목에서 상관도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생명공학에 대한 정보원을 알아보는 연구에서는 TV, 인터넷, 신문, 학교 순이었으며 고등학생보다 대학생이 학교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다. 신뢰하는 정보원은 고등학생은 언론매체, 정부교육기관, 시민단체, 학교순이였으며, 대학생은 정보교육기관, 언론매체, 학교순으로 대학생이 학교를 신뢰하는 비율이 더 크게 나타났다.
e-러닝 환경에서의 고전시가 스마트 교육 : 고려속요 <동동>을 중심으로 한 스마트 수업 모형
박가율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Smart education is emerging as a new educational paradigm throughout the world including Korea. Korea is aggressively adopting smart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mart education promotion strategy'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2011, and research on smart education is briskly in progress. For the time being, it seems necessary to try smart education for the subject of Korean language, too. Smart education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extbooks composed of text only and enables actual context and experience in literary works. As a consequence, knowledge does not remain just as knowledge but functions as a cultural experience for learners. Among the various sub-areas in the subject of Korean language, classic poetry and its properties as a composite art can be enhanced in terms of educational effect by taking advantage of smart education. So, smart education shall be applied in the class of a Koryeosokyo, <DongDong>, which has strong artistic features as a composite art. To this end, what should be decided first in order to achieve the learning objective on <DongDong> is how smart education will be applied in class. This will be done in the 'smart education contents design' phase. In this phase,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 which is emphasized in smart education, should be properly reflected along with the learning objective. Then, based on the designed contents, lesson plans for smart education on <DongDong> will be prepared. With regard to smart education discussed in this paper, a little more emphasis will be put on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which emphasizes communicative class, compared with the 'smart' that emphasizes utilization of the device. Therefore, the smart device will be used entirely as a tool for learners to find a clue to problem solving for themselves and at the same time as a pathway between learners for a smooth communication. And, by way of ensuring that each class activity is followed by a discussion activity, a teaching plan will be prepared so as to effectively implement 'human-centered learning based on people and contents', which is highlighted in smart education.
유아영어교육을 위한 부모지원 프로그램 개발 : :델파이 방법을 활용하여
최경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본 연구는 유아영어에 관심이 높은 부모들에게 유아영어교육의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가정에서 교육기관에서의 영어교육과 연계하여 일관성있게 영어교육을 지원할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델파이 조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델파이 조사를 위해 교사, 원장 및 원감, 교수 등 3개의 집단으로 전문가 그룹(패널)을 구성하여 3차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실태 및 현황 조사(김해겸, 차호순, 1997: 양옥승, 김진영, 김현희,김영실,2001:우남희,1995: 천희영, 최미현, 좌승화, 서현아, 2002)) 연구와 인식에 대한 연구(김은아, 1996: 김정애, 2004)를 조사하였으며 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3차례의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설문조사는 개방형과 폐쇄형 설문을 혼합하여 만들어졌으며 패널들은 프로그램의 목표, 내용, 방법, 실시횟수, 평가에 대한 각자의 의견을 서술형으로 기록하거나 선택하도록 고안되어졌다. 2차 설문 조사는 1차 조사의 응답을 분석하여 응답사례를 유목화하여 89개의 항목으로 구성하여 5단계 척도로 평정하도록 하였다. 응답결과 중 평균이 4.0 이상이며 왜도가 음의 값을 가지는 항목 32개를 다시 선정하여 3차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3차 설문지는 2차 응답 결과 적절하다고 선정된 32개의 항목과 부모의 자기평가에 관한 항목 2개, 마지막에는 부모지원프로그램 운영계획에 대한 항목 11개를 첨가하여 총 45개의 항목에 대해 5단계 척도로 평정하도록 하였다.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 목표의 적절성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유아가 영어에 흥미를 갖도록 돕는 것’은 2차와 3차에 걸쳐 가장 높은 평균점을 받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영어교육에 관심을 가지는 것’과 ‘바람직한 부모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이 선정되었다. 이는 배주은(2007)의 논문에서 델파이조사 결과 저학년 영어교육에서 가장 중요시되어야할 교육목표가 ‘영어에 흥미와 관심을 가진다.’ 인 것과 같은 맥락으로 보여진다. 즉, 부모지원 프로그램에서는 직접 유아에게 영어를 가르쳐 당장 효과를 보는 것이 아니라 무엇보다 유아가 자연스럽게 영어에 흥미를 가지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내용의 적절성에 대한 결과에서는 2차, 3차 모두 유아들이 가장 선호하는 교수 방법인 ‘게임, 챈트, 노래를 활용하는 방법’의 평균이 가장 높았고 ‘유아영어교육의 목적 및 필요성’과 ‘문학작품을 활용한 영어교육활동’이 그 다음이었다. 선행연구에서도 최영희(2006)는 유아영어교육의 교수법 중 동요와 챈트, 동화를 통한 수업이 효과적이라고 하였으며, 김윤아(2001)는 노래와 챈트를 활용한 듣기, 말하기 수업모형이 학습자의 흥미, 발음, 말하기 측면에서 일반 수업 모형보다 재미있고 발음 오류를 감소시키며 자신감을 준다고 하였다. 그리고 영어동화에 관한 조경숙(2005)의 논문에 의하면 유아들은 동화, 동시 등을 재미있게 읽음으로써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 등을 동시에 배울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따라서 부모지원 프로그램의 내용에는 게임, 챈트, 노래, 문학작품을 활용하여 유아들에게 영어지도를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적절하다. 셋째, 교육방법의 적절성에서는 워크샾, 소그룹토론, 강의, 부모참관/참여수업의 형태를 선호하였다. 교육부(1999)에서는 부모교육의 유형을 3가지로 설명하고 있는데, 강연회, 토론회, 좌담, 독서토론회, 실습 및 워크샾과 같이 집단으로 실시하는 것, 면담, 가정방문 같은 개별적인 부모교육, 인쇄자료, 전화, 컴퓨터통신과 같이 통신을 이용하는 부모교육이다. 전계순(2006년)의 논문에서는 부모교육의 방법 중 교사와 학부모는 가정통신문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아 선행연구와는 다른 결과를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최근의 많은 부모교육 관련 연구에서는 대규모의 대상에게 일괄적으로 실시하는 부모교육보다는 소집단 내지는 개별화된 교육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들이 대두하고 있어(이숙영, 이윤주, 정혜선, 2002) 워크샾, 소그룹토론, 강의, 부모참관/참여수업의 형태를 교육 내용에 따라 적절히 병행하면 효과적이라고 본다. 넷째, 평가의 적절성에서 패널들은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 평가가 가장 중요하다고 하였으며 다음으로 ‘유아교육기관의 자체 운영’ 평가를 선택하였다. 평가 방법으로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종료 후나 수시로 하는 것을 선택하였다. 부모지원 프로그램의 마지막 단계는 프로그램 평가로 평가는 학습결과를 확인하는 것 뿐 아니라 부모교육을 계획하고,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의 정책을 결정하고, 프로그램을 개정하며, 프로그램의 정당성 및 책무성을 확인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하기 때문에 본질적이고 필수적인 과정이다(한국교육개발원, 1984 : Medway, 1989). 그러므로 프로그램 실행과정 중에도 부모의 요구나 만족도를 조사하여 프로그램의 개발과정에 반영하도록 하며, 프로그램 실시 후에도 만족도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3차에 걸친 전문가들의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유아가 영어에 흥미를 갖도록 돕고 부모가 유아영어교육에 관심을 가지도록 하고 부모가 유아영어교육을 위한 바람직한 역할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 8회의 유아영어교육을 위한 부모지원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었다.(부록 마지막에 있는 <유아영어교육을 위한 부모지원프로그램 운영계획>참고) 향후에는 이상의 내용을 실제 유치원에 프로그램화 하여 적용한 후 그 효과를 분석하여 유아영어교육을 위한 부모지원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는 것이 과제로 남아 있다. As importance of English ability which is a worldwide language to communicate in 21C, is being recognized, it is hard to live these days only with their mother's tongue. So, necessity of being bilingual and demand for bilingual education are getting higher, and many early childhood education academies are teaching English to children. However, the system is incomplete and professional teachers are in short. The development of an organized system that provides right information about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to parents who have lots of interest, and support the consistent home English education related to the academy's education will maximize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This paper tried to develop a program that systematically perform the parent- supporting program about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to parents for certain period of time by English teacher or trained teacher. This program was developed by using the Delphi method, which reaches an agreement by sending questions three times to 27 panels (teachers, principals, vice-principals, professors). By evaluating the appropriateness of items based on the purpose, contents, method, and evaluation of the program, at the end, eight-times of parent supporting program for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was developed. Academy will now actually use this program, and supplement and correction of this program will be discussed.
Bookinship을 통한 내용중심 교수법이 교육 복지투자 연계학교 아동에 미치는 영향 - 6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
황한주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본 연구는 내용중심 교수법을 중심으로 교육 복지투자 연계학교 6학년 학생들에게 과학교과에서 영어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내용을 다양한 영어 읽기 자료와 내용중심 교수법 수업 적용하였을 때, 학습자들의 인지적 영역 변화를 살펴보고, 학습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학습자들의 참여도와 흥미도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내용중심 교수법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고 부산광역시 교육청의 Science English 교재를 본교 학생의 특성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으며, 학년별 지도 단원과 관련된 다양한 영어 읽기 자료를 선정하여 이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 교육 복지투자 우선지역의 소규모 학교의 6학년 학생 35명이며, 연구 기간은 2011년 1월부터 2011년 11월까지이고, 측정도구는 연구대상의 정의적 영역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사전, 사후 설문지, 연구 기간동안 관찰한 내용을 기술한 자료(관찰일지)와 주요 학생의 구조적 면담자료(면담 질문지), 학생의 인지적 변화를 측정할 TOSEL평가지를 활용하였다. 사후 검사는 마지막 수업이 끝난 후 사후 설문결과와 인터뷰, 관찰일지, 그리고 TOSEL평가지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이 소규모인 관계로 모든 자료는 기술 통계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Bookinship 내용중심 영어교수법은 교육력 제고 학교 아동들의 영어수업에 대한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준 반면 주의력에서는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즉, 학생들로 하여금 영어 수업에 대한 높은 만족감을 바탕으로 영어를 예전보다 잘하게 되었다는 자신감을 가지게 하였지만 영어학습에 부담감을 주어 영어 수업에 대한 주의력을 향상시키는 못하였다. 둘째, Bookinship 내용중심 영어교수법은 교육력 제고 학교 아동들의 영어실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는 Bookinship 내용중심 영어교수법 적용을 통해 학생들에게 지속적인 영어 노출의 기회를 제공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와 같은 EFL환경에서, 특히 환경이 열약한 교육 복지투자 연계학교의 학습자들에게 영어 노출기회를 확대하여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시사점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