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역사적 외상의 재현 (불가능성) : 홀로코스트 담론에 대한 비판적 읽기

        이명호(Myungho Lee) 한국비평이론학회 2005 비평과이론 Vol.10 No.1

        The Holocaust has remained, in Western discourses, the event of limit defying representation and posing a serious challenge to the project of modern rationality. Various theoretical and ethical attempts to deal with it has led to the so-called "post" discourses, which share the task of reexamining and restructuring pre-existing concepts and frameworks of thought, despite their inner differences. This paper attempts to critically read recent approaches to the Holocaust in terms of psychoanalytic notion of trauma. "Trauma" means the sudden shattering of the protective shields of one's psyche or, by extension, a culture's symbolic system. In order to master its impact, one or a culture cannot but return to the past trauma, though repeating it is, in itself, painful. One can meet, through trauma, history beyond the pleasure principle and representational order. In order to properly deal with the Holocaust as a specific historical event, I proposes to distinguish historical trauma from structural trauma. The two concepts are distinct from, and irreducible to, each other, though having much in common. The former designates the trauma happening to specific individuals and groups in a specific historical context, and the latter the one happening to all people in all historical contexts. Cathy Caruth's and Shoshana Felman's responses to the Holocaust, I argue, fall into the trap of conflating the former with the latter. They symptomatically repeat Paul de Man's problematic response to Nazi Fascist regime, with which he collaborated during World War Two. Borrowing Freud's notion of "working through," which is neither compulsive return to nor evading of the trauma but overcoming it, I argue, we can move out of the vicious circle of traumatic repetition by changing the core of our being.

      • KCI등재

        법적 정의와 군주적 자비 :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베니스의 상인>

        이명호(Myungho Lee) 한국비평이론학회 2022 비평과이론 Vol.27 No.1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베니스의 상인􋺸은 세계문학사에 영원히 기록될 두 명의 흥미로운 인물을 창조했다. 유대 고리대금업자 ‘샤일록’과 기독교 귀족 여성 ‘포셔’ 가 그들이다. 법적 정의를 요구하는 샤일록과 자비의 필요성을 역설하면서도 법의 심판을 강행하는 포셔는 그들이 각기 대변하는 성적․종교적․인종적․계급적 차이와 함께 선명한 대조를 이루고 있다. 근대 전환기 베니스의 법정에서 두 사람이 벌이는 세기의 대결은 포셔의 현실적 승리로 귀결된다. 그러나 그녀의 판결이 남긴 여진은 어느 한쪽의 일방적 우위를 통해 해소할 수 없는 복잡한 문제를 안고 있다. 샤일록과 포셔가 각기 주장하는 ‘정의’와 ‘자비’는 유대교와 기독교의 대결을 함축할 뿐 아니라 두 범주 사이의 관계설정은 윤리학의 오랜 숙제이기도 하다. 셰익스피어는 이 윤리적 난제에 보통법과 형평법이라는 근대 영국법을 가져온다. 법적 관점에서 볼 때 􋺷베니스의 상인􋺸은 보통법에 대한 형평법의 승리를 함축하고 있으며, 윤리적 관점에서는 정의에 대한 자비의 우월성을 인정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보통법과 결합된 샤일록의 정의나 형평법과 결합된 포셔의 자비는 각기 도착적 측면을 노정한다. 1파운드의 살을 도려내겠다는 샤일록의 요구는 그가 기독교사회로 부터 받은 차별과 멸시를 되갚아주고 법 앞에서 동등한 개인으로 인정받겠다는 정당한 요구를 담고 있지만, 증서의 문자에 도착적으로 집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정의를 훼손한다. 포셔는 과도한 정의를 완화시키는 도덕적 가치로 자비를 설파하지만, 그녀가 법정에서 보여주는 모습은 자비의 이름으로 자비를 탈취하는 인종차별 주의에 지나지 않는다. 본 논문은 결론에서 데리다와 니체의 입장을 변용하여 인간의 취약성을 인정하는 정의의 자기지양으로서 자비를 주장한다. In The Merchant of Venice William Shakespeare created two interesting characters that will forever be recorded in the history of world literature. They are Jewish usurer Shylock and Christian noble woman Portia. Shylock who demands legal justice, and Portia who argues for the need of mercy, are in clear contrast with each other.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figures in the court of Venice seems to result in Portia’s victory. However, the after-shocks left by Portia’s verdict contain complex problems that cannot be solved by her one-sided victory. The “justice” and “mercy” that Shylock and Portia respectively claim imply a confrontation between Judaism and Christianity, and establishing a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has been a long-standing task of ethics. Shakespeare brings modern British law like common law and equity law to this ethical controversy. From a legal point of view, The Merchant of Venice implies the victory of equity over common law, and from an ethical point of view, the superiority of mercy on justice. However, Shylock’s insistence on justice with the common law and Portia pursuit of mercy with the equity law respectively reveal their perversive aspects. Shylock’s claim to cut out a pound of flesh contains a legitimate demands of paying back the discrimination and contempt he has suffered from Christian society and being recognized as an equal being before the law; however, it comes to undermine justice by overly sticking to the letter of the bond. Portia preaches mercy as a moral value mitigating excessive legal justice, but what she shows in the court scene is nothing other than anti-Semitic act that destroys mercy in the name of mercy. In the conclusion, this essay argues for mercy as a sublation of justice, revising Derrida’s and Nietzsche’s views and acknowledging vulnerability as a common condition of human beings.

      • KCI등재

        종말론 시대 유토피아 사유의 가능성: 코맥 맥카시의 『로드』

        이명호(Myungho Lee) 한국비평이론학회 2019 비평과이론 Vol.24 No.3

        현대는 유토피아 상상력을 대신하여 아포칼립스 상상력이 지배하는 시대이다. 근대를 지배했던 꿈을 깨뜨리는 것이 생존의 힘이자 윤리라고 인식하는 흐름이 비평적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 종말론 이후의 폐허가 인간이 직면해야 할 세계로 인식되고 있다. 이런 종말론의 세계에서 현재와 다른 질서, 다른 미래를 상상하는 유토피아 담론은 과격한 비판의 대상이 되거나 담론의 재조정을 요구받고 있다. 이 글은 종말론 담론의 압도적 위세 속에서 유토피아 담론이 종말론과 갖는 관계를 이론적으로 검토해보고, 이를 코맥 맥카시의 작품에서 구체적으로 점검한다. 맥카시의 『로드』는 생존과 선, 절망과 희망이 길항하는 소설이다. 『로드』는 비인간성의 한가운데서 인간이 되는 길을 선택하고, 인간과 세계의 질적 변화를 추구함으로써 미래를 열어놓는다. 이 글은 『로드』를 사로잡는 생존과 도덕, 파괴와 구원의 길항을 아포칼립스적 상상력과 유토피아적 상상력의 경합과 결합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함으로써 현대 문화의 지평에서 사라진 듯 보이는 유토피아 상상의 출현양상을 살펴본다. 이런 관점은 희망과 구원을 값싼 감상성이나 휴머니즘으로의 퇴행으로 읽어내는 주도적 비평흐름에 맞서 유토피아 상상을 복원하는 의미를 지닌다. 종말 이후의 동물화된 세계에 대한 사실주의적 기술과 아버지의 멜랑콜리적 시선, 부자가 나누는 베케트적 대화와 아들의 언어를 통해 드러나는 그의 윤리적 차이, 그리고 소설 말미에 덧붙여진 자연묘사는 작품에서 아포칼립스적 상상과 유토피아적 상상이 표현되는 특징적 양태이다. Contemporary world can be characterized by the dominance of apocalyptic imagination. Shattering modern utopian dreams is accepted both as a viable survival force and an ethical position, which are represented as apocalyptic narrative.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hip of utopian imagination with apocalyptic imagination in Cormac McCarthy’s The Road. The Road is a novel that tells a mythical story and touches contrasting yet opposite values, good and evil, hope and despair. This article discusses how McCarthy’s novel is playing with opposites as its discourse contains elements of utopia as well as apocalypse. Realistic descriptions of animal-like world after the unknown disaster and the father’s melancholic view, Beckettian dialogue between the father and the boy and the latter’s ethical difference through his verbal act and moral action, and nature poems in the epilogue are three distinctive modes through which apocalyptic imagination and utopian imagination are represented in the novel.

      • 자동화 기술의 발달에 따른 미래사회 시나리오

        이명호(Myungho Lee) 미래학회 2019 미래연구 Vol.4 No.1

        자동화와 지능화의 확대에 따른 산업과 일, 일자리의 변화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일자리 감소, 고용형태의 변화에 따른 복지정책과 사회 정책을 정비해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고 있다. 일자리의 감소와 양극화에 대비한 새로운 사회정책의 모색, 기본소득에 대한 논의가 대표적일 것이다. 우리는 지금 어떤 패러다임의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는 것인가? 디지털이라는 IT 기술, 특히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은 산업과 노동의 변화, 산업구조와 직업의 변화를 가져오고 이는 다시 조직 및 근무형태(일하는 방식)의 변화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고용계약 형태의 변화로 이어져 정규직과 비정규직, 임시직과 계약직, 독립노동자 등 노동의 유형이 분화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디지털, 특히 인공지능 기술에 의한 산업과 노동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특히 인공지능이 노동의 배제가 아닌 노동의 증강이 되기 위해서는 어떤 대응이 필요한지를 살펴보고, 복지 등 사회 체계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이끌어 내고자 한다. 지금까지의 복지가 근본적으로 산업시대의 기업 부담 재원에 근거하고 있다면 디지털 시대에는 새로운 사회 복지 시스템, 사회 부담 방식으로의 전면적 전환이 필요하다. 한편 인공지능 시대에 노동의 증강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평생학습이 필요한 이유를 살펴보았다. 미래 사회는 사회-기술적 환경 속에서 주체적 선택과 이행 전략을 통해 달라질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디지털이 가져오는 산업과 노동의 변화에 대한 전망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어떠한 대응이 필요 한지를 살펴보고, 앞으로 예상할 수 있는 미래 사회 시나리오를 도출하였다. 특히 인공지능이라는 지능화의 발달은 다양성이라는 사회 구조의 특성에 따라 다른 미래 사회가 펼쳐질 수 있다는 점을 시나리오로 도출하고, 바람직한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전략적 개입의 지점을 도출하여 미래 전략을 수립해 보고자 한다. Concerns about changes in industry, work, and jobs as a result of increased automation and intelligence are rapidly growing. In particular,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improvement of welfare policies and social policies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employment type and employment decrease. A new social policy to prepare for the decline and polarization of jobs and the discussion of basic income will be very important matters. What paradigm are we in transition now? The development of digital IT technology, especially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leads to changes in industry and labor, industrial structure and occupation, which in turn brings to changes in organization and working style. In addition, the changes in the form of employment are being divided in-to different types of labor such as, regular and irregular workers, temporary and contract workers, and independent workers. Therefore, this thesis examines the changes of industry and labor by digital, especially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seeks for countermeasures. Especially, we want to find out what kind of countermeasures are necessary for artificial intelligence to be an enhancement of labor, not exclusion of labor, and to bring up the argument that the social system such as welfare needs to be changed. If the welfare of the past is fundamentally based on the corporate burden of the industrial age, it is necessary to switch over to the new social welfare system and the social burden system in the digital age. On the other hand,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we looked at the reasons why lifelong learning is necessary to cope with the increase of labor enhancement. Future society can be changed through subjective choices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in the socio-technical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look at what kind of responses are needed to move toward a preferable society based on the prospects of changes in industry and labor brought by digital, and we derive future social scenarios that can be expected in the future.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ce as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be based on the scenarios that different future societies can be develop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tructure such as diversity, and to establish future strategy by deriving points of strategic intervention to advance into a preferable future.

      • KCI등재

        인류세의 성 정치학: 조에 평등주의와 페미니즘의 재구성

        이명호 ( Lee Myungho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21 비교문화연구 Vol.62 No.-

        이 논문은 사회구성주의에 기초한 기존 페미니즘의 이론적 전환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페미니즘의 공리적 명제로 작용하는 섹스/젠더구분과이 구분을 더욱 극단적으로 몰고 가 섹스를 젠더의 효과로 재배치하는 주디스버틀러의 푸코적 담론구성주의는 그 긍정적 측면에도 불구하고 자연과 물질과 신체를 담론 속으로 휘발시켜 버리는 문제점을 노정한다. 이런 문제점을 교정하려면 담론구성주의의 통찰력을 받아들이면서도 담론과 물질을 이분법적으로 대립시키지 않으면서 물질의 행위성과 활동성을 인정하는 사유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페미니즘과 관련하여 물질적 전환이라 부를 수 있는 새로운 사유의 가능성을 루스 이리가레의 성차이론과 그것을 다윈의 성선택과 연결시키는 엘리자베스 그로츠의 최근 논의에서 찾고자 한다. 이는 사회 구성주의적 시각에 매인 기존 페미니즘의 인간 중심주의적 한계를 돌파하여 생명의 본원적 힘과 만나는 포스트휴먼 페미니즘으로의 전환의 단초가 될 수 있다. 인간이 지구 생명의 절멸의 원인이 되는 이른바 인류세 시대에 페미니즘은 인간집단들 내부의 평등만이 아니라 생명 종들 사이의 평등한 관계 수립을 통해 지구 행성의 지속가능성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재구성될 필요가 있다. This essay starts by addressing the need for a theoretical transition of feminism based on social constructionism. Judith Butler’s Foucaudian discursive constructionism discloses the dangers of evaporating nature, material, and body into discourse by deconstructing the sex/gender distinction, and repositioning sex as the effects of gender. In order to correct this problem, I argue, we need to propose a new theoretical paradigm called, “material turn,” in which discourse and material are not opposed, and the agency and activity of material are acknowledged without sacrificing the insights of discursive constructionism. This paper finds the existence of this possibility in Luce Irigaray’s conception of sexual difference, and Elizabeth Grosz’s innovative combination of Irigaray’s theory with Charles Darwin’s conception of sexual selection. These two arguments can serve as powerful theoretical supports for the transition to a posthuman feminism that goes beyond humanism tied to social constructionism. In the so-called Anthropocene era, where the human is seen to be the cause of the extinction of all lives on the Earth, feminism needs to reformulate itself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survival and sustainability of the Earth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equal relationships among all life species as well as within human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