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망의 통합보안관리를 위한 보안 에이전트 개발

        이도현,김현철,김점구,Lee, Do Hyeon,Kim, Hyun Cheol,Kim, Jeom Goo 한국융합보안학회 2015 융합보안 논문지 Vol.15 No.2

        Security infrastructure of Educational Network responds to threats by collecting and analyzing security events from various information protection system based on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Even if this system provides useful and detailed information to the administrator, there are some problems that this system does not provide effective response process and management systems for various threatening situations and the simultaneous threat processes.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nd develop security agents that enable the administrator to effectively manage integrated security for Educational Network. The proposed solution provides the administrator with efficient management techniques and process scheduling for various security events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response promptly to problems with the initial threat to Educational Network. 교육망의 보안 인프라는 통합관리시스템을 기준으로 다양한 정보보호시스템의 보안 이벤트를 수집하고 분석을 통하여 위협을 관리하고 대응한다. 이러한 체계는 관리자에게 유용하고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다양한 위협 상황과 동시 다발적인 위협에 대해서 효과적인 대응 프로세스와 관리체계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을 많이 가진 교육망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관리자에게 다양하고 세부적인 정보 제공보다는 관리자가 초기 위협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관리기술과 다양한 보안 이벤트들의 처리 스케줄링을 통해서 통합보안관리가 가능하도록 보안 에이전트를 제안 개발하였다.

      • KCI등재

        [최우수학술상] 함경도 퉁소 <신아우>와 <신방곡> 고찰 : 국립국악원 「민족유산DB」 소장 음원을 중심으로

        이도현(Lee Do Hyeon) 국립국악원 2022 국악원논문집 Vol.45 No.-

        오늘날 퉁소 음악은 함경도 북청사자놀음의 반주가 유일하다. 20세기까지 다양한 음악을 연주하던 퉁소는 거의 연주하지 않는 악기가 되어버렸고, 퉁소 음악 문화가 활발하였던 함경도 지역 이주민에 의해 명맥을 잇고 있다. 그런데 최근 국립국악원 국악자료실 개편과 함께 비공개 북한 채록 음악이 공개됨에 따라, 연구가 어려웠던 함경도 음악과 퉁소 음악 연구의 활성화 계기를 맞게 되었다. 한국에서 <신아우>와 <신방곡>은 모두 ‘시나위’의 별칭으로 이해되고 있는데, 이러한 사실과는 달리 국립국악원 소장 음원자료 「민족유산DB」에서는 두 곡이 별개 음악으로 기록하고 있어 주목된다. 이러한 사실은 북한 발간 잡지 및 단행 본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특히 북한의 현지조사 보고서에 ‘신아우…신방곡의 련쇄곡’과 같은 새로운 연주관행과 ‘신아우 류파’라는 연주집단에 관한 구술 자료가 있어 그동안 규정되었던 ‘시나위’ 정의에 대한 재고 뿐 아니라 함경도 퉁소 음악문화, 퉁소 <신아우>, <신방곡>의 존재 의의 고찰이라는 새로운 과제를 낳게 되었다. 본 연구는 「민족유산DB」 수록 <신아우>와 <신방곡>을 분석하고, 도출한 음악적 특징을 바탕으로 구술 자료를 통해 추정되는 두 곡 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민족유산DB」에 수록된 퉁소 <신아우>는 총 다섯 종이다. 음악의 리듬은 기본적으로 2소박 4박 리듬형이나, 예외적 으로 3소박 4박형 또는 불규칙 자유박형 악곡이 출현하여 리듬적 일관성을 포착하기는 어렵다. <신아우>의 선율상 토리 의 정체성은 모호하나, 인접음으로 순차 진행하는 경토리의 성격과 메나리토리의 특징적인 하행 선율형이 공존하는 혼합 토리 선율 정체성을 보인다. <신아우>의 악곡 구조는 두 종의 선율상 유사성을 갖는 악구 또는 단락이 출현하며, 그것이 교차 반복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일관성을 확인할 수 있다. 수록된 <신아우> 중 독자적인 특징을 가져 예외에 해당하는 악곡이 있었는데, 그 중 하나는 구술 자료에 언급되는 <나위뒤풀이> 연주관행을 추정케 하며, 다른 한 곡은 <신아우·신 방곡>이라는 이름으로 취입되어 있어 본 연구의 목적인 두 악곡의 밀접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곡이다. 「민족유산DB」 수록 퉁소 <신방곡> 계통 악곡은 다섯 종이나 동일 연주자 또는 중복되는 내용의 악곡을 제외하면 세종이다. <신방곡>은 3소박 4박 리듬형이 많으나, 2소박 4박 또는 불규칙 자유박이 일부 출현한다. 선율은 <신아우>에 비해 분명한 메나리토리 선율형을 보인다. 즉 <신아우>는 주로 2소박 4박형 리듬에 혼합 토리 선율형인 것에 비해 <신방곡>은 3소박 4박형 리듬에 메나리토리 선율형을 보인다는 점에서 구별 지을 수 있다. 다만 <신방곡> 역시 두 종의 악구가 교차 반복하는 구성으로, 이는 <신아우>의 구조와 유사하다. <신아우>와 <신방곡>은 모두 두 종의 선율적 유사성을 갖는 악구가 반복되어 출현하는데, 반복에 있어 변주가 발생하는 악구와 그렇지 않은 악구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두 악구는 항상 결합하여 출현하며, 이를 민요에서의 ‘절-후렴’과 같은 구조로 보았다. 즉 ‘절 악구’는 반복마다 변주가 발생하며, ‘후렴 악구’는 상대적으로 고정된 선율을 연주한다. 다섯 종 <신아우>와 <신방곡>의 개별 악곡에는 특정 선율형이 공통적으로 출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언급한 악곡 <신아우(신아우·신방곡)>를 구성하는 두 종의 악구가 각각 <신아우>와 <신방곡>의 상반되는 음악적 특징을 보이는 점에서 구체적으로 확인 가능하다. 나아가 두 악곡간 공유 선율형 양상은 북한에서 채보된 다른 <신방곡> 계통 악곡에서도 확인 가능하다. 즉 <신아우>와 <신방곡>은 구별 가능한 개별적 특징을 보이기는 하나, 동일한 구조적 특징을 보이며, 반복과 변주를 통한 선율 전개, 특정 선율형의 공유와 같은 측면에서 밀접한 상관관계를 추론케 한다. 이와 같은 음악적 특징은 현지 연주자들의 구술 자료에서 언급되던 두 악곡의 연주관행 또는 연주집단을 추정케 하는 음악적 근거로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Today, tungso music is only performed as the accompaniment at bukcheong sajanoreum (lion dance play) in Hamgyeong-do Province. Until the 20th century, tungso , which used to play a variety of music, became rarely played, and the tungso music culture is being maintained by migrants from Hamgyeong-do where it was prosperous. With the recent reorganization of the Gugak Archive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and the release of undisclosed transcriptions of North Korean music, the study of Hamgyeong-do music and tungso music, which was difficult to study, was activated. In Korea, both “Sinau ” and “Sinbanggok ” are generally understood as bynames for sinawi . Contrary to this fact, it is noteworthy that the two songs are recorded as separate songs in the National Heritage DB , a sound source material owned by the National Gugak Center. This fact can also be confirmed in magazines and books published in North Korea. According to the field report, there are oral data on new performance practices such as a series of Sinau and Sinbanggok and a performance group name called ‘sinau ryupa , which gives rise to a new task of examining the significance of the existence of Hamgyeong-do tungso music culture, and tungso “Sinau ” and sinbanggok as well as reconsidering the definition of ‘sinawi’ which has been defined so far. This study analyzes “Sinau ” and “Sinbanggok ” contained in the National Heritage DB and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songs estimated through oral data based on the derived musical characteristics. There are a total of five pieces of tungso “Sin’au included in the National Heritage DB. The rhythm of the music is basically a 4-beat rhythmic type with duple divisions, but as an exception, there are 4-beat rhythm with triple divisions or irregular free rhythm.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capture the rhythmic consistency. Although the identity of tori (Korean term for melodic mode) is ambiguous in terms of the melody of “Sin’au ”, it shows a melody identity of mixed tori in which the characteristic of gyeong-tori, which proceeds sequentially with adjacent notes, and the characteristic descending melody of menari-tori coexist. In the structure of “Sin’au”, phrases or paragraphs that show a similarity in two types of melody appear, and the consistency in the way they intersect or repeat can be noticeable. Among the recorded “Sin’au”, there is a pieces considered an exception because of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One of them is to estimate the performance practice of Nawidwipuri mentioned in oral materials; the other is the piece that can confirm the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pieces, which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because it is recorded by name as “Sin’au ·Sinbanggok ” . There are five types that belong to “Sinbanggok ” included in the National Heritage DB; except for the pieces with the same performer or overlapping content, there are three types. In “Sinbanggok ”, there are many 4-beat rhythmic types with triple divisions, but 4 beats with duple divisions and irregular free rhythm sometimes appear. The melody shows clear menari-tori melodic types compared to “Sin’au ”. In other words, it can be distinguished in that “Sin’au ” is primarily characterized by 4 beats with duple divisions and mixed tori melody, whereas “Sinbanggok ” shows a menari-tori melody and 4 beats with triple divisions. However, the structure of “Sinbanggok ” is similar to that of “Sin’au ” in that two types of phrases intersect and/or repeat. …

      • KCI등재

        다항식을 이용한 비행경로생성 및 추종제어에 관한 연구

        이도현(Do hyeon Lee),김창주(Chang-joo Kim),허성욱(Sung wook Hur),이성한(Seong han Lee)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8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24 No.11

        In this paper, we have studied on the flight path generation using polynomial and the flight path tracking control using guidance law, speed hold system, ACAH (Attitude Command Attitude Hold) system. The modeling section of the flight path is divided into five regions, and each region is modeled by a 7<SUP>th</SUP> order polynomial. The flight paths were defined as maneuver library. MTEs (Mission Task Elements) of aeronautical design standard (ADS)-33 have been used to construct the Maneuver library. The Line-of-Sight(LOS) method and classical control method were applied to design the guidance law, speed hold system, and ACAH system for tracking the flight path. Simulation was performed to show that it is possible to generate mission flight path by combining the maneuver libraries. Also, it is shown that the trajectory tracking control is possible. Therefore, s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enable the real-time trajectory generation and the tracking control, it will be useful to improve the probability of mission success and survivability of UAV (Unmanned Aerial Vehicle).

      • 분류 복잡도를 활용한 오버 샘플링 비율 산출 알고리즘 개발

        이도현 ( Do-hyeon Lee ),김경옥 ( Kyoungok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7 No.1

        불균형 데이터는 범주에 따른 데이터의 분포가 불균형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런 데이터를 활용해 기존 분류 알고리즘으로 분류기를 학습하면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오버 샘플링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법 중 하나로 수가 적은 범주[이하 소수 범주]에 속한 데이터 수를 임의로 증가시킨다. 기존 연구들에서는 수가 많은 범주[이하 다수 범주]에 속한 데이터 수와 동일한 크기만큼 증가시키는 경우가 많다. 이는 증가시키는 샘플의 수를 결정할 때 범주 간 데이터 수 비율만 고려한 것이다. 그런데 데이터가 동일한 수준의 불균형 정도를 갖더라도 범주별 데이터 분포에 따라서 분류 복잡도가 다르며, 경우에 따라 데이터 분포에서 존재하는 불균형 정도를 완전히 해소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본 논문은 분류 복잡도를 활용해 데이터 셋 별 적정 오버 샘플링 비율을 산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마늘, 양파 재배농가의 생산효율성 요인 분석

        이도현 ( Lee¸ Do-hyeon ),장민기 ( Jang¸ Min-ki ),유리나 ( Yoo¸ Li-na ) 한국식품유통학회 2021 한국식품유통학회 학술대회 Vol.- No.하계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필수 양념채소인 마늘(난지), 양파 재배농가의 생산효율성을 제고 시키기 위한 요인을 밝히고 있다. 자료포락분석 결과 마늘(난지), 양파 재배농가 모두 비효율의 원인이 순수 기술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효율 요인을 찾기 위해 실시한 Tobit 분석 결과에서 마늘 재배농가의 경우 농약비가, 양파 재배농가의 경우 수도광열비와 자가노동비가 생산효율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순수 기술효율성 제고를 위한 투입 요소의 전반적인 재점검이 필요한 시기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영상, 활동, 라이다 센서를 융합한 1인 가구 구성원 이상 징후 탐지 알고리즘

        이도현(Do-Hyeon Lee),안준호(Jun-Ho Ah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7 No.6

        최근 코로나 19가 유행하고 더불어 고령화 시대와 1인 가구 증가로 인해 가구 구성원이 집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며 머무는 시간이 매우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을 포함한 1인 가구의 구성원들의 이상 징후를 탐지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홈 CCTV를 통한 영상 센서 알고리즘, 스마트폰에 내장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활동 센서 알고리즘 및 2D LiDAR 센서 기반의 LiDAR 센서 알고리즘을 이용한 사람의 움직임 및 낙상 탐지 결과를 기반으로 이상 징후를 탐지하는 알고리즘들을 제안한다. 하지만, 각 단일 센서 기반 알고리즘은 센서가 가진 한계점으로 인해 특정 상황에서 이상징후를 탐지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에 따라 단일 센서 기반 알고리즘만을 사용한 것보다 다양한 상황에서 이상 징후를 탐지하기 위해 각 알고리즘을 결합하는 융합 방식을 제안한다. 우리는 각 센서로 수집한 데이터를 통해 알고리즘들의 성능을 평가하고, 특정 시나리오들을 통하여 알고리즘 하나만 사용하여 정확한 이상 징후를 탐지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융합 방식을 통해 서로 보완하여 정확한 이상 징후를 효율적으로 탐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Due to the recent outbreak of COVID-19 and an aging population and an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the amount of time that household members spend doing various activities at home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is study, we propose an algorithm for detecting anomalies in members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cluding the elderly, based on the results of human movement and fall detection using an image sensor algorithm through home CCTV, an activity sensor algorithm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built into a smartphone, and a 2D LiDAR sensor-based LiDAR sensor algorithm. However, each single sensor-based algorithm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detect anomalies in a specific situation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sensor. Accordingly, rather than using only a single sensor-based algorithm, we developed a fusion method that combines each algorithm to detect anomalies in various situations. We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algorithms through the data collected by each sensor, and show that even in situations where only one algorithm cannot be used to detect accurate anomaly event through certain scenarios we can complement each other to efficiently detect accurate anomaly event.

      • KCI등재

        철근콘크리트 공사 표준품셈의 현황 및 개선 방향

        이도현(Lee, Do-Hyeon),김경환(Kim, Kyung-Hwan) 대한건축학회 2016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32 No.10

        This study analyzes existing condition of standard estimating system in Korea and suggests improvement directions of it. In order to do it, a comparison for reinforced concrete work has been performed among standard estimating system, RSMeans, and real project data. Standard estimating system provides basic productivity data in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for public projects, and it shows labor quantity for each work item listed. Labor quantity is the basis for calculating construction cost and productivity in a construction project. However, standard estimating system’s labor quantity shows a large difference from the actual required. Furthermore, construction project requires categorized items for many works, but standard estimating system does not sufficiently provides them. Thus, for many items that are not on the standard estimating system list, one has to apply another rule that may not be standardized.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standard estimating system should reflect more categorized work items and realistic production r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