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등교 확대 정책의 쟁점 및 개선 과제 연구

        이덕난,유지연 대한교육법학회 2022 敎育 法學 硏究 Vol.34 No.2

        This study reviews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the gradual reopening of schools in July–August 2021, a year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and analyzes the gradual school-reopening measures and related regulations at that time in South Korea. Based on the analysis, legislative and policy measures for improvement are suggested. Even though a year has now passed, the situation facing our schools has not significantly changed. Thus, this study is meaningful even now because policies to resolve the existing problems have not yet been clearly presented. The background to the gradual school-reopening measures is as follows. First, it is perceived that schools are relatively safe from the risk of spreading infectious diseases. Second, achievement gaps have deepened due to the increase in online learning. Third, disadvantaged students, such as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ve even more difficulties than other students because of online learning. Finally, the proportion of students who do not have basic academic skills has increased greatly. The issues raised include insufficient measures and standards for overcrowded classes and a lack of policies to support the learning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school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legislative and policy measures: establishment of feasible measures to increase the number of classrooms and teachers to resolve overcrowded classes, implementation of a legal basis for overcrowded classes standards and resolution, and promotion of special learning support policies and legisl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schools. 이 연구에서는 2021년 7-8월 코로나19 이후 혼란한 시기에 국내ㆍ외에서 등교 확대 정책을 추진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고, 당시 우리의 등교 확대 정책 및 관련 법령을 분석하여 정책적ㆍ법적 개선 과제를 제시하였다. 1년이 지난 2022년에도 우리 학교가 직면하고 있는 상황이 크게 변화하지 않았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을 아직 명확히 제시하지 못한 상황이기 때문에 상당한 의미가 있다. 등교 확대의 배경으로는 감염병 확산 위험으로부터 학교가 상대적으로 안전하다는 인식, 원격수업 증가로 인해 심화된 학습격차, 장애학생 등 취약계층 학생의 원격수업 어려움 가중,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 증가 등이 제기되었다. 등교 확대 정책의 쟁점으로는 과대·과밀학급 대책 및 기준 미흡, 일반학교 장애학생 학습지원 정책 부족 등이 제기되었다. 이에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과밀학급 해소를 위한 실용적인 교실ㆍ교원 확충 대책 수립, 과밀학급 기준 및 해소에 관한 법적 근거 마련, 일반학교 장애학생에 대한 별도의 학습지원 정책ㆍ입법 추진 등을 제안하였다.

      • 국가수준 정치권력의 교육개입 분석

        이덕난 한국교육정치학회 2012 한국교육정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2 No.-

        교육에서 ‘非政治의 神話’는 사실(事實, fact)과 상관없이 특정 관점에서 교육(행정)과 정치의 관계, 나아가 교육부문의 정치적 이슈(issues)를 설명하려는 허구적 신념체계이다(김용일, 1995:79).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행정)과 정치를 분리하자는 식의 ‘비정치의 신화’ 에 입각한 교육정책이 추진되고 있고, 국가수준 정치권력의 교육개입에 관한 논란이 일고 있다. 국가수준 정치권력의 교육개입에 대해 ‘교육의 자주성ㆍ전문성ㆍ정치적 중립성을 훼손할 수 있기 때문에 경계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으나, ‘지역과 학교의 재원과 자율적 통제가 미흡하기 때문에 국가수준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개입 및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그러므로 현정부가 지금까지 추진한 주요 교육정책을 대상으로 국가수준 정치권력의 교육개입 실태를 분석하고, 적정한 교육개입의 방향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이명박 정부 대학규제 개혁정책의 성과 분석: 대학자율화정책을 대상으로

        이덕난,이일용 한국교육정치학회 2014 敎育政治學硏究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utcomes and problems of university autonomy policy as a representative case of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s innovative policy on university regulation and to suggest its improvements. This paper analyzed 70 autonomy tasks, which were conducted from 2008 to 2012, by utilizing the outcome evaluation frame. It would be necessary to set goals and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attributes of the regulation when processing university regulatory reform policy in the future. Additionally, it would be appropriate to carry out mitigation and abolition of restriction, and maintaining and consolidating regulation selectively. In addition, it would be essential to understand members’ requests accurately and to find out tasks in order to guarantee university members’ autonomy and academic freedom.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ban regulation using evaluation, official correspondence, and phone calls and also to conduct impact assessment analyzing the effects before and after legisl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이명박 정부 대학규제 개혁정책의 대표적인 사례인 대학자율화 정책의 추진 결과 및 성과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추진된 70개 자율화 과제를 대상으로 성과평가 분석틀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명박 정부 대학자율화 정책은 목표의 타당성과 성과가 일부 인정된다. 그러나 정책목표에 부합하는 정책내용이 발굴되지 못하였고, 평교원 및 학생ㆍ학부모의 의견수렴이 미흡하였다. 주로 대학 기관의 자율성에 초점을 맞추었고, 표면적으로는 규제개혁 중 규제완화에 치우쳤으며, 추진과정에서 법령 이외의 방법으로 자율성을 과도하게 제한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향후 대학규제 개혁정책을 추진할 때에는 규제의 속성에 따른 목표와 방향을 설정하고, 사안에 따라 규제완화·폐지와 규제유지·강화를 선택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리고 구성원의 요구를 제대로 파악하고, 대학 구성원의 자율성과 학문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한 과제를 발굴해야 한다. 특히, 평가·공문·전화 등을 이용한 규제를 금지하도록 조치하고, 규제에 따른 영향을 사전 및 사후적으로 분석하는 입법평가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자사고ㆍ외고ㆍ국제고 등 고교유형 개편의쟁점 및 과제 분석

        이덕난 대한교육법학회 2022 敎育 法學 硏究 Vol.34 No.3

        This study analyzes the purpose of autonomous private, foreign language & international high schools, current status, and related policies and laws. Based on the analysis, legislative and policy measures for improvement a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amendment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on February 28, 2020, all autonomous private, foreign language & international high schools will be converted to general high schools from March 1, 2025. The main issues are as follows: (A) Short-term increase in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and concentration in specific regions; (B) Excessive ratio of special purpose & gifted high schools and autonomous high schools compared to general high schools; (C) Whether autonomous private, foreign language & international high schools meet the purpose of designation; and (D) Political and legal stability issues of the high school type and insufficient public opinion collection. As a result, we propose the following legislative and policy measures to address the issues identified above. First,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that do not meet the purpose of designation need to be converted to general high schools. Second, if the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system is maintained, it is necessary to resolve the concentration in a specific region and increase the mandatory ratio of legal contributions of school juristic persons. Third, the types of high school need to be regulated by law to enhance legal stability. Fourth,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types of high schools that can improve both excellence and equality in education. 이 연구에서는 자사고 및 외고ㆍ국제고의 도입 목적, 현황, 개편 정책 등을 분석하여 정책적ㆍ법적 개선 과제를 제시하였다. 2020년 2월 28일 「초ㆍ중등교육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2025년 3월 1일부터 모든 자사고 및 외고ㆍ국제고는 일반고로 전환될 예정이다. 이에 대해서는 자사고의 단기간 급증 및 특정 지역 편중, 전체 특목고ㆍ영재학교 및 자율고 등의 일반고 대비 비율 과다, 자사고와 외고ㆍ국제고의 지정 목적 부합 여부, 고등학교 유형의 정책적ㆍ법적 안정성 및 국민 의견 수렴 미흡 등이 문제라고 인식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정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외고 등의 일반고 전환, 자사고 유지 시 특정지역 편중 해소 및 법인전입금 의무비율 상향, 고교 유형의 법률적 근거 마련을 통한 안정적 제도화, 고교 교육의 수월성과 평등성을 함께 제고할 수 있는 고교 유형 개편 필요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교권 보호 4법’ 개정의 의미와 교육활동 보호의 법적 과제 분석

        이덕난 대한교육법학회 2023 敎育 法學 硏究 Vol.35 No.3

        The revised “Four Laws on the Protection of Teachers' Education Rights” in September 2023 requi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due to the extensive changes in laws and provisions, often leaving field teachers, pre-service teachers, and parents unfamiliar with its content and significance. This paper elucidates the meaning of the revised acts, emphasizing the re-establishment of parental roles in the educational community, providing a legal foundation against malicious civil complaints, and enhancing protection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right to learn. To effectively implement the revised legislation and fortify the safeguarding of teachers' educational activities, key legislative and policy improvements are proposed. Firstly, the allocation of budget, manpower, and facilities should be supported for the efficient execution of the 'Four Laws on the Protection of Teachers' Rights' and the associated 'Notice on Teachers' Student Life Guidance.' Secondly, teaching qualifications should encompass educational laws and regulations necessary for effective teaching performance. This integration aims to empower teachers with a clear understanding of their authority and responsibilities, enabling them to protect themselves and respond adeptly to challenges in educational activities.

      • KCI등재
      • KCI등재

        국가교육위원회 출범의 의미와 법적ㆍ정책적 과제 분석

        이덕난,유지연 대한교육법학회 2022 敎育 法學 硏究 Vol.34 No.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stablishment, composition, and meaning of the launch of the National Education Commission and the arrangement of related laws. It reviews major issues and problems related to the Commission and presents future legislative and policy improvement tasks. The main issues include (a) duplication of functions with the Ministry of Education when developing educational plans, (b) limitations of the Commission as an administrative agency, its relatively small size given the heavy duties it has been tasked with, (c) lack of educational expertise and insufficient performance for local education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and (d) concerns about insufficient time to evaluate and decide on the 2022 revised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To resolve these problems,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National Education Commission Act to comply with the mid- to long-term N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Plan of the National Education Commission when the Ministry of Education creates its Five-year Basic or Comprehensive Plan. Second, the Decree on the Organization of the National Education Commission needs to be revised to recruit education experts and expand the organization and its scope. Third, the establishment of a clear system for the division of functions among educational administrative agencies is necessary. Fourth, alternative plans should be prepared for deliberation and decision on the new, revised curriculum. Finally, it suggests to increase the number of education experts in the research institu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such as Nat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이 연구는 국가교육위원회의 설립 배경 및 관련 법령 정비, 국교위 구성, 국교위 출범의 의미 등을 조사·분석하고, 국교위 관련 주요 쟁점 및 문제점을 검토하며, 향후 입법적·정책적 개선과제를 제시하였다. 국교위 출범의 의미로는 주요 교육정책 결정 시 사회적 합의 등의 중시, 교육과정의 기준을 정하는 권한을 국교위로 이관, 주요한 교육정책 결정과정에 국민의 직접 참여, 교육개혁 등에 대한 국회의 영향력과 책임 증대 등이다. 주요 쟁점으로는 교육계획 등의 수립 시 교육부와의 기능 중복, 행정기관으로 설치되는 위원회의 한계와 조직·정원의 부족, 교육 전문성 부족과 지방교육 자치분권에 대한 역할 수행 미흡, 새 교육과정의 미흡한 심의·의결 우려 등이 제기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육부의 5년 이내 기본(종합)계획 수립 시 국교위의 중장기 발전계획에 따르도록 「국가교육위원회법」 개정, 교육전문가 채용 및 정원·조직 확충을 위한 「국가교육위원회 직제」 개편, 교육행정기관 간의 기능 분담 체계의 명확한 정립, 국교위의 내실 있는 새 교육과정 심의·의결 방안 마련, 국회입법조사처 등 국회연구기관에 교육전문가 증원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주요 6개국의 학교 무상급식 지원 현황 및 시사점 분석: 미국과 영국, 독일, 일본, 스웨덴, 핀란드를 대상으로

        이덕난,한지호,김연경 국회입법조사처 2014 입법과 정책 Vol.6 No.2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for 7 countries, we draw some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Sweden and Finland which provide free school meals for all students have the most student support ratio for free school meals in elementary schools compared with 5 other countries. Among the 5 countries which provide free school meals for selected students, the USA provides the most support for school meal cost. In case of Korea, both free school meals for selected students and free school meals for all policies are implemented by local governments and educational stages. Secondly, when we compare school meal cost using PPP per dollar in these countries, Sweden and Germany pay the most, and Japan pays the most food cost per meal. In case of Korea, school meal cost per meal is higher than any other 6 countries in this study. Concerning food cost per meal, Korea pays the second most behind Japan. Thirdly, among the 5 countries, the USA and Germany have the most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support ratio for free school meals, which is 59-60%. Based on the conclusions from above, implications for free school meal policy in Korea are as follows. First, we should examine if supporting policies for free school meals importantly include the educational purposes to close the education gap and promote health. Secondly, we should consider widening support for eco-friendly school meals and view implementation of free school meals for all policy with a long-term perspective. Thirdly, in order to narrow the gap of financial support for school meals among local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be established.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과 영국, 독일, 일본, 스웨덴, 핀란드 등 주요 6개국의 학교급식 및 무상급식 현황을 분석하고, 한국의 무상급식 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있다.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의 무상급식 지원비율은 전체 무상급식을 실시하는 스웨덴과 핀란드가 가장 높고, 부분 무상급식을 실시하는 4개국 가운데 무상급식 지원비율이 높은 국가는 미국이다. 한국은 부분무상급식 국가인 동시에 전체무상 급식을 병행하고 있다. 둘째, 초등학생의 점심급식 경비를 PPP달러 기준으로 비교할 때, 1끼당 급식비는 스웨덴과 독일이 가장 높고, 1끼당 식품비는 일본이 가장 높다. 한국의 1끼당 급식비는 조사대상 6개국보다 높으며, 1끼당 식품비는 일본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셋째, 중앙정부 또는 지자체의 무상급식 지원이 많은 국가는 미국과 독일로 59~60% 수준이다. 한국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상급식 지원정책에 교육격차 해소, 건강 증진이라는 교육적 목적이 중요하게 포함되어 있는지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시·도교육청 및 일반 지자체의 재정 여건을 고려하여 무상급식 예산 지원을 급격하게 늘리지 않는 방향으로 재정계획을 재조정해야 할 것이다. 셋째, 지자체 간 급식비 지원의 격차를 보완하기 위한 중앙정부 차원의 경비지원 방안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