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자기주도학습 능력 진단검사 도구의 구성요인 탐색

        이다현(LEE Da?Hyun) 한국글로벌문화학회 2017 글로벌문화연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자기주도학습능력 진단검사 도구의 구성요인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동기조절, 인지조절, 행동조절 영역의 세부 구성요인은 무엇인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세 영역의 하위요인을 추출하기 위해 관련 문헌고찰 및 사례분석을 하였다. 특히 약 8,000명 이상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온 숭실대학교 SMMIS 모형기반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의 내용과 적용 결과를 분석하여 일차적인 구성요인을 추출한 뒤, 전문가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하여 이를 수정, 보완하고 최종적으로 13개의 요인을 선정하였다. 동기조절 영역에서 자기효능감, 귀인성향, 학습의 목표성향, 자기결정성을, 인지조절 영역에서 인지전략으로 시연, 정교화, 조직화, 상위인지전략으로 계획, 점검, 조절을, 행동조절 영역에서 행동통제, 시간/환경관리, 도움추구를 자기주도학습능력 진단검사 도구의 최종 구성요인으로 결정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measurement scale for K-12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Korea.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What are the components of motivation regulation factor of K-12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2) What are the components of cognition regulation factor of K-12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3) What are the components of behavior regulation factor of K-12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research method were literature review, case analyses, and focus group interview. Thirteen components were identified after literature review and analyses of content and results from 8,000 cases of Soongsil University’s SMMIS-based SDL program applied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focus group interview with nine educational exper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elf-efficacy, attribution type, goal orientation style, self-determination in the motivation regulation factor; rehearsal, elaboration, organization of the cognitive strategy and planning, review, control of the meta-cognitive strategy in the cognition regulation factor; behavior control, time/environment management, help seeking in the behavior regulation factor.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브랜디드 콘텐츠 기반의 디지털 광고가 고객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연구

        이다현 ( Lee¸ Da-hyun ),김성훈 ( Kim¸ Sung-hoo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7 No.-

        디지털 중심의 미디어 매체 다변화로 인해 미디어 소비 환경과 함께 마케팅 방식도 변화하게 되었다. 소비자의 광고회피 현상과 광고 없이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의 등장으로 소비자가 광고를 선택하는 시대가 되었으며 이에 대응할 방안 중 하나로 브랜디드 콘텐츠는 브랜드를 콘텐츠에 자연스럽게 녹여내어 브랜드 메시지 전달에 있어 거부감이 적다. 이렇듯 기업이 고객에게 효과적으로 브랜드 가치와 브랜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고객 로열티를 구축하고 강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러한 고객 로열티를 구축하기 위해 고객 인게이지먼트를 활용한 디지털 마케팅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브랜디드 콘텐츠 기반의 디지털 광고의 발전 방안으로 고객의 로열티를 강화할 수 있는 고객 인게이지먼트의 개념을 통해 브랜디드 콘텐츠를 분석하고 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브랜디드 콘텐츠에 대한 개념과 특성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콘텐츠 마케팅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또한, 고객 인게이지먼트의 전반적인 이론에 대해 살펴본 후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인게이지먼트 요소를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차원에 따라 사례 분석 모형을 도출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해 공통으로 도출된 요소를 바탕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브랜디드 콘텐츠 광고의 모든 사례에서 인지적 차원의 요소인 '내러티브(스토리텔링)'과 '몰입성'이 공통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정서적 차원의 ‘신뢰성’ 요소는 전체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기업은 고객에게 브랜드에 대한 신뢰성을 제공하여 적극적인 참여를 도모하고 상호작용한다면 효과적으로 고객 로열티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고객과의 관계를 강화할 수 있도록 브랜드에 대한 신뢰를 유발할 수 있는 광고 콘텐츠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며 효과적인 고객 인게이지먼트를 통한 고객과의 관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디지털 마케팅의 수단인 브랜디드 콘텐츠 활성화 방안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e marketing method as well as the media consumption environment have been changed due to the diversification of digital-centered media sources. The phenomenon of consumer’s avoidance of advertising and the emergence of services that can use content without advertising have resulted in an era in which consumers choose advertising, and branded content, which is one of the measures to respond to such a situation, has a characteristic that the brand is naturally integrated into the content, so that there is little resistance to delivering a message about the brand. Thus, building and strengthening customer loyalty is key in order for companies to effectively deliver their brand value and message to customers. In fact, it is required to activate digital marketing using customer engagement to build that customer loyalty.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branded content and suggest its direction through the concept of customer engagement that can strengthen customer loyalty as a development plan for branded content-based digital advertising. First of all, it consider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branded content and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ontent marketing. In addition, it derived a case analysis model from the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levels of engagement factors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after examining the overall theory of customer engagement. The study results were derived based on factors commonly derived through the case analysi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in all cases of branded content advertising, ‘narrative (storytelling)’ and immersion’, the factors of the cognitive level,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in common, while ‘reliability’, the factor of the emotional level was found to be the lowest. If a company provides its customers with brand credibility to encourage their active participation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it will be possible to effectively build customer loyalty.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advertising content that can induce brand credibility to strengthen the relationship with customers in the future, and studies on methods to activate branded content, one of the means of digital marketing, should be carried out so that it is available to build relationships with customers through effective customer engagement.

      • KCI등재

        그래픽디자인 보호를 위한 디자인보호법 문헌연구 - 성립요건과 등록요건을 중심으로 -

        이다현 ( Lee Da Hyun ),이연준 ( Lee Youn Joon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7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6 No.2

        본 논문은 현재 디자인권의 `디자인 정의`가 그래픽디자인의 `디자인 정의`를 포괄하지 못하여 괴리가 있다고 판단하였으며, 디자인 전공자의 관점으로 디자인보호법에 의견을 제시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문헌과 판례 연구를 통해 실질적인 그래픽 디자인과 재판적용상의 디자인 정의에 대한 차이를 살피고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들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그래픽디자인의 정의를 구성하는 요소는 지난 5년간의 그래픽 디자인 관련 문헌을 대상으로 질적연구의 부호화 방법으로 도출 하였다. 총 7개의 요소로, 내용분석에 이용할 그래픽디자인 정의 요소 프레임에 적용하였다. 내용 분석의 대상은 2차원 그래픽디자인과 관련된 총 34건 판결을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가 인터뷰를 통하여 연구의 내용과 분석 결과에 대한 의견을 들었다. 본 연구를 통해 디자인권의 `디자인 정의`는 그래픽디자인의 ``기능성`과 `전문성`을 포괄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그래픽디자인은 적용된 물품에 기능이 한정되지 않으며 그 자체로 정보를 전달하고 표현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보호받아야 한다는 인식과 독립된 하나의 디자인 전문 분야라는 것에 대한 인식제고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In this study, it is determined that the `design definition` of the design field does not include the design definition of graphic design. From a design specialist`s perspective, it seeks ways to add opinions to the Design Protection Act. Through the research on literature studies and precedents, the goal of this study is drawing a conclus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actual graphic design and `design definition` in terms of application at a trial, as well as proposing what elements need to be considered. Firstly, to do so, elements that compose of the definition of graphic design are reasoned out through the coding for qualitative research on the last five years of graphic design related literatures. Seven elements in total are applied to the frame that defines graphic design is structured. The subject of content analysis is 34 cases related to two dimensional graphic design. Lastly, interviews that deal with experts` views on the content of the study and the outcome of analysis is conducted. Through the analysis of this study, it is found that the `design definition`` of the design field does not include `functionality` and `professionality.` In other words, the following awareness needs to be raised: (1) graphic design is not limited to products by which it is applied, and (2) it is one independent professional filed of design.

      • KCI등재

        한국 성인에서 수면시간과 영구치 우식증 및 치주질환과의 관련성: 2013∼2014 국민건강영양조사

        이다현 ( Da-hyun Lee ),이영훈 ( Young-hoon Lee ) 한국치위생과학회 2017 치위생과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는 수면시간에 따른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의 관련성을 평가하였다. 2013∼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최종 8,35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수면시간에 따른 치아우식증 유병률은 U자형 곡선 모양이었으며, 수면시간에 따라 치아우식증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20). 특히, 수면시간 7시간 그룹의 치아우식증 유병률이 28.4%로 가장 낮은 반면, 수면시간 5시간 이하 그룹의 유병률은 33.4%, 수면시간 9시간 이상 그룹의 유병률은 31.8%로 높았다. 모형 1과 모형 2 및 모든 변수를 보정한 모형 3의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수면시간 7시간 기준으로 수면시간 5시간 이하의 OR이 유의하게 높았다(모형 3: OR, 1.23; 95% CI, 1.06∼1.43). 한편, 수면시간에 따른 치주질환 유병률은 U자형 곡선 모양이었으며, 수면시간에 따라 치주질환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수면시간 7시간 그룹의 치주질환 유병률이 28.1%로 가장 낮은 반면, 수면시간 5시간 이하 그룹의 유병률은 34.4%, 수면시간 9시간 이상 그룹의 유병률은 32.5%로 높았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수면시간 7시간을 기준으로 수면시간 9시간 이상의 OR이 모형 1 (OR, 1.25; 95% CI, 1.00∼1.56)과 모형 2 (OR, 1.27; 95% CI, 1.01∼1.59)에서 유의하게 높았지만, 모든 변수를 보정한 모형 3에서는 수면시간과 치주질환의 관련성은 더 이상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서 수면시간이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과 유의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적정시간의 수면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We evalu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dental caries, and periodontitis by using representative nationwide data. We examined 8,356 subjects aged ≥19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4). Sleep duration were grouped into ≤5, 6, 7, 8, and ≥9 hours. Presence of dental caries was defined as caries in ≥1 permanent tooth on dental examination. Periodontal status was assessed by using the community periodontal index (CPI), and a CPI code of ≥3 was defined as periodontitis. A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determine statistical significance. Model 1 was adjusted for age and sex, model 2 for household income, educational level, and marital status plus model 1, and model 3 for smoking status, alcohol consumption, blood pressure level, fasting blood glucose level, total cholesterol level, and body mass index plus model 2. The prevalence of dental caries according to sleep duration showed a U-shaped curve of 33.4%, 29.4%, 28.4%, 29.4%, and 31.8% with ≤5, 6, 7, 8, and ≥9 hours of sleep, respectively. In the fully adjusted model 3, the risk of developing dental caries was significantly higher with ≤5 than with 7 hours of sleep (odds ratio, 1.23; 95% confidence interval, 1.06∼1.43). The prevalence of periodontitis according to sleep duration showed a U-shaped curve of 34.4%, 28.6%, 28.1%, 31.3%, and 32.5%, respectively. The risk of periodontitis was significantly higher with ≥9 than with 7 hours of sleep in models 1 and 2, whereas the significant association disappeared in model 3. I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sleep dura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ntal caries formation and weakly associated with periodontitis. Adequate sleep is required to prevent oral diseases such as dental caries and periodontitis.

      • 회화기법(painting theory)에 근거한 영상번역 지침도 활용 결과 고찰

        이다현(Lee, Da Hyun) 한국영어교육연구학회 2017 영어교육연구 Vol.- No.48

        1) It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curriculum guidelines when using the translation guide and models based on the Painting Theory. 2) As already argued in theory of literature, Cezanne’s techniques, such as the use of basic geometric or cone-cylinder-sphere patterns, his sine qua non, and seeing things from various points of view, influenced Picasso in his creation of Cubism painting. 3) Cezanne and Picasso influenced Stein in her experimental writings such as the techniques of basic attributes, repetition, image words, simple sentences, plastic art, portraiture, collage writing, equality, or sameness etc. 4) Cezanne and Picasso and Stein influenced Hemingway in the creation of his unique Iceberg Theory. 5) This study will adapt this theory to screen-translation theory and suggest a practical method for increasing the receptability of screen translation and then analyze it through the translation guide and models that attempt to communicate based upon their technique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영상언어 관점에서의 텍스트적 등가; 유표적 언어기호의 등가

        이다현 ( Lee Da-hyun ) 대한영어영문학회 2009 영어영문학연구 Vol.35 No.4

        Screen language is an information dissemination media for screen semiotics(SS) that is formed according to the supplementation and the clarification of the signal phenomenon and pictures. Screen transla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salient ‘aspect’, as the first contact in the source language to offer a combination of mark-induced media has become an important practice. Screen translation is the process of fixing and supplementing signs into a target screen text by the phenomena of the semiotics. As for how to translate the screen language, seeing from the methodology, the first contact(translator) and the other contacts(spectator) to receive the image of language there is disparity between the starting points on the significance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critical language semiotics of the screen language. Therefore, the investigation into the view of the original text is necessary. (Baek Seok Arts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