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산업시설의 보전 및 활용 현황 연구 - 광업ㆍ제조업을 중심으로

        이길훈 한국도시설계학회 2023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4 No.2

        In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confirm when industrial facilities in Korea were recognized as objects of heritage, and to review and categorize the current status of industrial facilities being conserved and utilized.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servation and reuse of industrial facilities by 16 cities and provinces and what is the backgrou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use of industrial facilities, it was the most often converted to cultural facilities nationwide. Finally, as a result of reviewing whether or not the original use was reflected in the case of conversion to cultural facilities, the original use was not reflected in cases other than representative industries such as warehouse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reservation and reuse of industrial facilities in mining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nationwide, it was found that the policy role of each city and province and the efforts of the owners were important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industrial facilities. But the regional revitalization policy of each province and the regional representation of the industry were important for the reuse of original use.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산업시설이 언제부터 유산화의 대상으로 인식되어졌는지 확인하고, 현재 산업시설들이 보전 및 활용되는 현황을 검토하고 유형화하고자 한다. 16개 시도의 산업시설이 보전 및 활용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며 그 배경은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산업시설의 용도 유지 여부와 건축물의 보전 상태로 용도유지/보전, 용도유지/변경, 용도전환/보전, 용도전환/복원. 용도폐기/보전, 용도폐기/방치. 용도폐기/멸실유형의 7가지로 유형화하였다. 산업시설의 활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국적으로 문화시설로 전환된 경우가 가장 많으며, 원용도 반영 여부를 검토한 결과 창고와 같이 대표적인 산업이 아닌 경우 원용도를 반영하지 못하였으나, 그 지역의 대표적 산업인 경우에 원용도 반영도가 높았다. 전국적으로 광업ㆍ제조업의 산업시설의 보전 및 활용 현황을 살펴 본 결과 산업시설의 보전 및 관리 여부는 각 시도의 정책적 역할과 소유자의 노력이 중요하였으나 원용도 활용 여부는 각 시도의 지역활성화정책과 산업의 지역대표성이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 일본 고지도로 본 아키치(明地)

        이길훈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12 한국고지도연구 Vol.4 No.2

        This paper focuses on the open space from the historical cadastral maps and old maps. This paper consists of three analysis :1.the category of the open space,2. the use and the management of the open space,3.the changing of the open space.

      • KCI등재
      • 근세 에도 상점의 주택평면도로 살펴본 借家경영에 관한 연구

        이길훈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13 한국고지도연구 Vol.5 No.1

        본 연구에서는 근세 중기에 나타난 에도의 상점(大店)1)의 주택평면도(屋敷??)를 통하여 에도의 쵸의 성격의 변화와 차가 경영의 실태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니혼바시(日本橋) 일대에서 포목점을 경영했던 대형 상점인 토야마(富山), 미츠이(三井), 시로키야(白木屋), 반케(伴家)가 소유하고 있던 주택의 평면도(屋敷??)를 가지고 당시의 상점들의 공간구성과 사회구성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근세 에도 쵸치(町地)의 토지 이용에서 다양한 차가경영이 이루어지게 된 하나의 요인으로 쵸의 성격의 변화를 들 수 있겠다. 상인의 이익을 보호 유지하여 주는 공동체가 쵸에서 나까마로 변화하게 되면서 쵸의 의미가 상대화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부재 지누시 및 다나가리, 치가리가 증가하게 되며 상인들의 차가경영 또한 활성화 되었다.

      • KCI등재후보

        남소문동천의 복개과정에 따른 도시공간 변화 특성 연구

        이길훈,이경욱,양승우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9 서울학연구 Vol.- No.75

        This study analyzed the from geographic, social, and spatial aspects. The results of analyzing its natural geography centered on the entirety of Namsomundongcheon and its surrounding areas verified through GIS analysis that first, the natural geographic source and historical source presumed as the Doseongdaejido that was compiled in the 18th century were not ably similar. Second, through a GIS hydrological study and extracting from the original form of the natural geography of Namsomundongcheon and its basin, this study verified that they were similar to a shape presumed as the Doseongdaejido that was compiled in the18th century.Third,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watershed of the basin of the entirety of Namsomundongcheon partially coincided with administrative borders. Significant transformations in Namsomundongcheon and its roads took place while carrying out city and sewage system improvements, and this also resulted in transformations in traditional urban spaces. Namsomundongcheon utilized the basin’s vast geographic characteristics to improve roads around the stream, and covering was carried out relatively slowly. Differing from other tributaries, urbanization did not take place centered around places that were tributaries while main roads were made separate from waterways. 이 연구는 남소문동천을 지리적, 인문 사회적, 공간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남소문동천 일대와 주변 지역을 중심으로 자연지리에 대해 분석한 결과 첫째, GIS 분석을 통하여 자연 지리적 발원지와 18세기 작성된 도성대지도로 추정한역사적 발원지가 상당히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GIS 수리수문학 분석을통해 남소문동천의 자연 지리적 원형 형태와 유역을 추출하여 18세기 작성된 도성대지도로 추정한 형태가 유사하다는 것은 확인하였다. 셋째, 남소문동천 일대유역의 분수계는 행정경계와 일부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구개정사업과하수도개수사업 등이 진행되면서 남소문동천과 도로에 큰 변화가 일어났고 이는전통적 도시공간에도 변화를 초래하였다. 남소문동천은 폭과 유역이 넓은 지리적 특성을 이용하여 도로를 하천 주변으로 개수하여 사용되었고, 복개가 상대적으로 느리게 진행되었다. 다른 지천과 다르게 물길과 별도로 주요 도로가 만들어지면서 지천이었던 곳을 중심으로 도시화가 진행되지 않았다.

      • KCI등재

        계와 동으로 본 서린방의 공간과 사회

        이길훈,우동선,Lee, Kilhun,Woo, Don-Son 한국건축역사학회 2018 건축역사연구 Vol.27 No.2

        This study explores the space and society of Seorin-bang(瑞麟坊), using the Hanseong-bu family registry from the Gwangmu period to demonstrate the urban organizational units us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known as Seo(署)-Bang(坊)-Gye(契)-Dong(洞)-Tong(統)-Ho(戶). It seeks to examine how Seorin-bang's space and society changed with time. First, the study offers approximate demarcation for Gye and Dong through spatial verification of Bang-Gye-Dong-Tong-Ho of Seorin-bang in late Joseon Dynasty, whose precise locations were formerly undetermined. Second, it explores the relationships between Bang-Gye-Dong-Tong-Ho which has been widely understood to be hierarchical by previous studies, and classifies the relationship dynamics between Gye and Dong into four types. Third, the study finds that Seorin-bang retained much of its urban structure including roads, plots, and streams and maintained stable population distribution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continuously served as place of residency for many throughout the Gwangmu period. This study has major implications in that it illustrates space and society of Seorin-bang by converting the family registry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into spatial data, and observes its changes subsequent to the Japanese colonial rule.

      • KCI등재

        철도로 본 도쿄의 근대화

        이길훈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5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5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odernization of Tokyo by the railway. This study consists of two contents: 1. Considering about the station location and the meaning of Tokyo- Yokohama line, 2.Considering about changing the center of Tokyo by the construction of the new railway line. Government was planning a railway network across the country and decided the first route from Shinbashi (新橋) to Yokohama (横浜). At first, Shinbashi station was built at area of Shiodome in 1872. Tokyo was reorganized as the construction of Tokyo station in 191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