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지형을 중심으로 한 대전 지역의 이해

        기근도(Keun Doh Kee),이민호(Min Ho Lee) 한국지역지리학회 2002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8 No.2

        대전은 중·저산성 산지로 둘러싸인 사각형 모양의 분지에 입지한 도시이다. 분지 내에는 갑천과 그 주요 지류인 유동천·대전천이 흐른다. 분지 내 하천들 주위에는 비교적 넓은 저습지가 발달해 있으며, 이러한 저습지를 포함한 하곡들 사이에는 낮은 구릉들이 펼쳐져 있다. 이와 같이 대전 분지는 여러 개의 작은 분지 및 곡저 평야가 복합된 모습을 보인다. 한편, 대전 분지와 관련된 거주 공간 및 시가지 확산은 분지 언저리에서 시작하여 분지 내부의 갑천 지류주변의 저습지로 확산되었다. 그리고, 시가지화가 이곳에 이루어진 후에는 대전 분지 북부 대덕 지역의 구릉 및 갑천하곡으로 확산되었다. 그 후 대전의 시가지는 다시 분지 내 갑천의 저습지와 이에 인근한 분지 서남부에서 서북부에 이르는 산록대 소규모 분지들이 시가지화 하거나 또는 고밀도 거주단지로 바뀌고 있다. 이와 같이 대전 분지와 관련된 거주 공간 및 시가지 확산은 지형 환경을 밑그림으로 하여 살펴볼 때 더욱 잘 파악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 contribution to the geographical understanding of Daejeon Area, playing the role of principal center of Choongchong Province. This area has been urbanized associated with Daejeon Basin, an important natural unit tn the middle part of South Korea. In order to understand Daejoen Area in geographer`s view, it is necessary to elucidate geomorphological environment of Daejeon Basin and urban expansion pattern associating with it. Our research is converged into dual objectives : one, description and interpretation of basin`s landforms; other, urban expansion relating with geomorphological condition. Daejeon`s urban expansion has progressed from the border zone of Daejeon Basin toward into the basin, and then vice versa. Relating to rivers valleys in the basin, the urbanization in the basin has been extended from the river valleys of lower order toward those of higher order. Understanding of the geomorphological mosaique of Daejeon basin is an important base for that of urban mosaique of Daejeon Cit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전방 자유면의 암반 이동에 관한 연구

        이기근 ( Ki Keun Lee ),김갑수 ( Gab Soo Kim ),양국정 ( Kuk Jung Yang ),강대우 ( Dae Woo Kang ),허원호 ( Won Ho Hur ) 대한화약발파공학회 2012 화약발파 Vol.30 No.2

        발파 시 자유면의 이동은 대상암반의 역학적 특성 및 발파조건, 특히 암반의 불연속면 특성과 폭약의 종류, 장약량, 저항선, 공간격, 공간 또는 열간 기폭시차 및 전색상태 등 여러 가지 변수들에 의해 달라지며, 이는 발파진동의 크기, 폭음 및 파쇄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현재 국내 노천발파 현장의 발파설계는 대부분 인접 보안물건에 대한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으나 대규모 발파가 이루어지는 노천현장에서는 발파 시 자유면의 이동을 분석하여 진동을 제어하고 파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최적 조건의 발파 설계를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고속 디지털 동영상 분석을 통하여 발파 후 최초 자유면 암반의 움직임, 전색의 적정성, 발파암의 이동 궤적, 발파암의 이동방향과 속도, 최적의 기폭시스템 분석이 가능하다. 외국에서는 이와 같은 방법이 발파 설계 및 평가를 위한 유용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그 연구가 미미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 고속 동영상 분석에 의한 최적 발파설계 및 평가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셰일과 화강암으로 구성된 대규모 노천 발파현장 2개소에서 Emulsion과 ANFO 두 종류 폭약에 대한 암반 파쇄과정을 촬영한 디지털 고속 동영상을 분석하여 자유면 암반의 변위, 이동속도 등을 분석하고 2차원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인 AUTODYN을 사용하여 폭약의 폭굉압력, 폭굉 전달시간, 발파 후 최초로 암반에 변위가 발생되는 반응시간, 발파 후 자유면 암반의 이동형상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수치해석 및 디지털 고속 동영상을 분석한 결과, 암반의 종류에 관계없이 발파공 전면 자유면 암반의 이동형상은 주상 장약부의 중간 부근에서 변위 및 이동속도가 가장 크게 발생되어 가운데 부분이 활처럼 휘어진 형상을 나타내었다. 폭약의 폭굉압력, 폭굉 전달시간, 발파 후 최초로 자유면 암반에 변위가 발생되는 반응시간의 경우 Emulsion 폭약이 ANFO보다 폭굉압력 및 폭속이 크고 초기 변위 반응시간이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Variables influencing the free face movement due to rock blasting include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in particular the discontinuity characteristics, explosive type, charge weight, burden, blast-hole spacing, delay time between blast-holes or rows, stemming conditions. These variables also affects the blast vibration, air blast and size of fragmentation. For the design of surface blasting, the priority is given to the safety of nearby buildings. Therefore, blast vibration has to be controlled by analyzing the free face movement at the surface blasting sites and also blasting operation needs to be optimized to improve the fragmentation size. High-speed digital image analysis enables the analyses of the initial movement of free face of rock, stemming optimality, fragment trajectory, face movement direction and velocity as well as the optimal detonator initiation system. Even though The high-speed image analysis technique has been widely used in foreign countries, its applications can hardly be found in Korea. This thesis aims at carrying out a fundamental study for optimizing the blast design and evaluation using the high-speed digital image analysis. A series of experimentation were performed at two large surface blasting sites with the rock type of shale and granite, respectively. Emulsion and ANFO were the explosives used for the study. Based on the digital images analysis, displacement and velocity of the free face were scrutinized along with the analysis fragment size distribution. In addition, AUTODYN, 2-D FEM model, was applied to simulate detonation pressure, detonation velocity, response time for the initiation of the free face movement and face movement shape. The result show that regardless of the rock type, due to the displacement and the movement velocity have the maximum near the center of charged section the free face becomes curved like a bow. Compared with ANFO, the cases with Emulsion result in larger detonation pressure and velocity and faster reaction for the displacement initiation.

      • KCI등재

        한국 위기관리 연구경향 분석Ⅱ

        기근(Gi Geun Yang)(梁奇根),이주호(Ju Ho Lee)(李冑,浩),류상일(Sang Il Ryu)(柳賞溢),이민규(Min Kyu Lee)(李敏揆)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3 Crisisonomy Vol.9 No.10

        이 연구는 소방학의 학문적 정체성 확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소방학 내지 소방행정 연구가 증대되기 시작한 1990년부터 현재까지 소방학의 학문적 연구경향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90년부터 2013년까지 소방행정 관련 국내 석박사 논문을 대상으로 하여, 언어네트워크방법론을 이용하여, 소방행정연구의 연구경향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첫째, 1990년대에 비해 2000년대 들어서 소방행정 관련 석박사논문 수가 양적으로 급격히 증가된 것을 볼 수 있었고, 특히, 2005년 이후로 급격히 증대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반적으로 초창기 소방행정 관련 연구는 주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제도적 측면의 연구가 많고, 아울러 2000년 이후 소방공무원의 행태를 분석하는 연구가 많아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2000년을 기점으로 하여 그 이전에는 소방행정체제에 대한 연구 즉, 제도적 측면에서의 연구가 주를 이룬 반면, 2000년 이후에는 소방공무원에 대한 연구 즉, 행태적 측면에서의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1995-1999년 시기 연구는 소방행정에서 재난관리, 구급업무, 응급의료의 학문적 위치가 어느 정도 자리 잡아 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2000-2004년 시기는 의용소방대와 민간부분의 연구가 새롭게 부각되고 있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그간 공공부문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던 것에 비하면 소방행정 연구의 경향성이 더욱 다양화 되고, 세분화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소방행정 연구경향 역시 제도적 연구보다는 행태적 연구가 많았으나, 이전 시기에 비해 대국민 재난안전 인식이나 예방 인식 등에 관한 연구 등 더욱더 다변화된 연구주제들이 등장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the establishment of academic identity of Fire Science Technology. It analyzed the trend of studies in Fire Science Technology from 1990s when studies on firefighting administration were activated and increased up to now. In other words, we analyzed the trend of studies on firefighting administration using language network methodology on master and Ph.D degree theses in firefighting administration area from 1990 to 2013. From the study, the followings were found; first, there was rapid increase in quantity of theses related to firefighting administration in 2000s comparing to 1990s. They increased dramatically after 2005 specifically. Second, early studies in firefighting administration mainly focused on institutional studies inducing problems and improvements and after 2000 they mostly analyzed behaviors of firefighting public servants. Third, to make year 2000 as a starting point, the mainstream of studies was shifted from institutional studies(studies on firefighting administration system) to behavioral studies(studies on firefighting public servants). In particular, disaster management, first aid and emergency medical services came to be established to some extent between 1995 and 1999, and studies on volunteer fire department and civil sector emerged in the period of 2000 to 2004. It means the studies on firefighting administration became more diversified and segmented comparing to old trend which focused on public sector only. Additionally, between 2010 and 2013 more diversified research themes appeared such as disaster safety awareness of people and perception on prevention, although there were more behavioral studies than institutional studies just like the previous period.

      • KCI등재
      • KCI등재

        등방성 복사 특성을 가지는 U-형태의 RFID 태그 안테나

        이상운(Sangwoon Lee),조치현(Chihyun Cho),이기근(Keekeun Lee),추호성(Hosung Choo),박익모(Ikmo Park) 한국전자파학회 2008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9 No.5

        본 논문에서는 RFID 시스템의 안정적인 구동을 위하여 등방성 복사 특성을 가지는 U-형태의 RFID 태그 안테나를 제안하였다. 태그 안테나는 복사부에 해당하는 U-형태의 반파장 다이폴 본체와 사각 형태의 급전부가 결합된 구조이다. 태그 칩과의 공액 정합이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급전부 하단 중앙에 상용 태그 칩을 부착하여 U-형태의 본체에 연결하였다. 또한, U-형태의 태그 안테나의 본체 하단 중앙을 직사각형 슬릿을 만들어 이득 편차 특성을 개선하였다. 두 구조의 태그 안테나는 VSWR<2를 기준으로 국내에 할당된 UHF 주파수 대역인 908.5~914 ㎒를 수용하였으며, VSWR<2 대역폭 안에서 슬릿이 없는 경우 1.63 dB 이하의 이득 편차 특성을, 슬릿이 있는 경우에는 0.74 ㏈ 이하의 이득 편차 특성을 가졌다. 또한, VSWR<5.8 대역폭 안에서 슬릿이 없는 경우 3.8 ㏈ 이하의 이득 편차 특성을, 슬릿이 있는 경우에는 1.2 ㏈ 이하의 이득 편차 특성을 가졌다. In this paper, we proposed a U-shaped RFID tag antenna with isotropic radiation characteristic for the stable operation of RFID system. The proposed antenna is composed of a U-shaped half wavelength dipole and a rectangularshaped feed. In order to have good impedance matching with a tag chip, the commercial tag chip is attached to the lower center of the feed. A gain deviation characteristic of the U-shaped tag antenna can be further improved by inserting a rectangular slit in the lower center of the U-shaped antenna body. On the condition of VSWR<2, the tag antennas of two structures satisfy the Korea UHF RFID bandwidth and showed the gain deviation of less than 1.63 ㏈ and 0.74 ㏈ for without slit and with slit, respectively. On the condition of VSWR<5.8, the U-shaped tag antenna showed the gain deviation of less than 3.8 ㏈ and 1.2 ㏈ for without slit and with slit,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