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엘렌 화이트의 루터 이해

        이국헌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8 문학과종교 Vol.23 No.2

        본 연구는 종교개혁의 신앙전통의 계승을 강조하고 있는 재림교회의 설립자 중 한 사람인 엘렌 화이트의 루터 이해를 역사신학적 관점에서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화이트의 루터 이해는 그녀의 대표작인 『대쟁투』 시리즈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화이트의 루터에 대한 연구는 루터 탄생 400주년인 1883 년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1884년부터 1888년까지 이어진 『각 시대의 대쟁투』에서 루터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특별히 루터에 대한 그녀의 글들은 메를 도비녜와 같은 19세기 교회사가들의 글들을 인용하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그녀는 루터를 선악의 대쟁투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로 소개하고 있다. 이런 목적에 따라서 그녀는 루터를 위대한 개혁자로 소개하면서 루터의 전기 작가들의 영향을 받아서 루터에 대한 역사적 오해들을 반복한다. 아울러 루터의 인간적인 면모들, 즉 결혼 이슈, 농민운동에 대한 부정적 평가, 반유대주의적 행동 등 역사학적 이슈들은 다루지 않았다. 이처럼 화이트의 루터 이해는 대쟁투적 관점에서 종교개혁을 완성시킨 인물됨을 부각시키려는 기록 의도와 더불어서 평가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understanding of Luther by Ellen Whit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he wrote a record of Luther in the Great Controversy from 1884 to 1888. In particular, her writings about Luther were made by quoting the writings of 19th century church historians such as Merle D’Aubigne. She introduces Luther as a man who had a great influence in the history of the great controversy between good and evil. According to this purpose, she introduces Luther as a great reformer, but reiterates historical misunderstandings about him under the influence of his biographer. Nor did she deal with some important historical issues or Luther’s personal aspects, such as marriage issues, negative assessments of German peasant movements, and anti-Semitic behavior. As such, White’s understanding of Luther should be evaluated in parallel with her record intention to highlight the human image that completed the reform of religion from a historical view of the Great Controversy.

      • KCI등재

        테리 이글턴의 “무신론 비판”에 대한 신학적 평가

        이국헌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5 신학사상 Vol.0 No.169

        탈근대 사회에 들어서서 신 무신론자들의 등장에 따른 신학적 대응이요구되는 때에 마르크스주의 문학 비평학자인 테리 이글턴의 “무신론 비판”이 학문적 주목을 끌었다. 이에 본 연구는 예일대학교의 테리 강연으로 소개된 이글턴의 “무신론 비판”에 대한 신학적 평가를 시도하였다. 이글턴은 현대 자유주의적 합리주의자들의 무분별한 기독교 비판을 환원주의적 관점으로 치부하면서 세 가지 논법으로 무신론자들을 비판한다. 그 세 가지 논법은 각각 자유주의적 인본주의 비판, 낙관적 인간 이해와 진보주의 비판, 이성과 신앙의 이분법 비판으로 정리된다. 이글턴은 이 세 가지 논법 을 토대로 계몽주의 이후에 등장한 자유주의, 합리주의, 인본주의, 세속적 과학주의와 자본주의가 인류 해방을 위한 진정한 희망의 원리가 아님을 지적함으로써 무신론적 사유를 반박한다. 대신에 타락한 이성으로부터의 해 방을 통한 하나님 나라의 실현을 희망의 원리로 추구하는 기독교 신앙이 훨씬 더 가치가 있음을 입증한다. 이런 이글턴의 무신론 비판 논법에는 몇가지 신학적 성찰을 요청하는 요소가 있다. 그의 기독교 옹호는 신학적 정통에 대한 주관적 이해와 기독교와 마르크스주의의 연대를 추구하는 신학적 과제가 있다. 아울러 이해를 추구하는 믿음에 기초한 자연신학적 테제의 한계를 공유하고 있다. 이런 신학적 과제에도 불구하고 그의 무신론 비판 논법은 탈근대 시대에 기독교 옹호의 한 지성적 담론으로 제시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evaluate the Eagleton’s criticism of new atheism from the theological perspective. Because he is a well-known Marxist as well as a modern literary critic, his criticism of atheism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for Christian theology to evaluate his argument for criticism of atheism. Eagleton has criticized the atheists with three reasonings, such as the criticism of liberal humanism, criticism of the optimistic understanding of human and progressive thinking, criticism of the dichotomy between reason and faith. Based on these three reasonings, Eagleton points out that the atheists have wrong reasoning. Liberal Humanism, including liberalism, rationalism, humanism, secular scientism, and modern capitalism, has had no solution about the contemporary social problems. The humanism which is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atheists did not work on the principle of hope for the liberation of human society. On the other hand, Christian faith has more ideological value than secular humanism, since the Christianity is seeking the kingdom of God as a principle of hope. Eagleton’s critical theory of atheism is developed in the context of the Christian advocacy. However, his theory is causing the post-modern discourse. Eagleton’s understanding of Christian theology has provided controversy for theological orthodoxy. His position of Orthodox theology is different from general Christian theology. In addition, Eagleton is pursuing a romance between Christianity and Marxism. It is required to reflect theologically on the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He also has a premise of the natural theology in order to prove God’s exist. It is another theological issue. We know that the natural theology, that is, faith seeking understanding has both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Nevertheless, he has expanded his argument into the post-modern thought about philosophical axiology. Eagleton’s criticism of atheism is worth consider

      • KCI등재

        1960년대 서울위생병원의 상황 및 사회봉사 활동에 대한 연구

        이국헌 연세대학교 의학사연구소 2022 연세의사학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istorically summarize the social welfare activities of the Seoul Adventist Hospital in the 1960s. During this period, the hospital had only a 125-bed capacity, despite the growing number of patients, and accordingly, a new hospital was urgently requested. For various reasons, however, the hospital was forced to handle the growing medical conditions in a cramped medical facility built in 1947. The Seoul Adventist Hospital promoted the construction of a new building in the 1960s, but the new building was not completed until 1976. Despite this poor situation, the hospital actively participated in social welfare activities in response to the needs of Korean society. In particular, the 1960s was the time when the Seoul Adventist Hospital expanded the affiliated orphanage project, promoted free medical treatment projects by the medical mission team, and dispatched health nurses. The orphanage, which began in 1951, grew in the 1960s and developed into a welfare institution that cared for 885 children in 1967. In the free medical treatment project, medical service teams were active nationwide for a total of eight times from 1957 to 1962. In addition, the health nurses project was developed in Cheongju, Gwangju, Wonju, Daejeon, Incheon, Gwangcheon, and Ulleungdo from 1960 to 1967. The Seoul Adventist Hospital pursued these social welfare projects because the unsanitary reality of Korean society in the 1960s was well-suited to be addressed by its vision as a missionary hospital.

      • KCI등재

        발리바르의 “반폭력” 개념에 나타난 기독교 정치학적 함의

        이국헌 한국교회사학회 2014 韓國敎會史學會誌 Vol.39 No.-

        본 연구는 발리바르의 반폭력 개념에 나타난 기독교정치학적 함의를 다룬다. 후기 - 마르크스사상가로서 에티엔 발리바르는 탈근대사회에서 혁명적 폭력 이론이 가지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반폭력” 개념을 주창했으며, 그 실천과제로 “시빌리테의 정치”를 제시하였다. 이런 발리바르의 반폭력 개념은 비폭력과 대항폭력의 변증법적 대립 속에서 새로운 탈근대 정치를 모색하는 기독교 정치학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비폭력과 대항폭력의 중간 개념으로서 반폭력과 시민인륜을 앞세운 적극적 정치참여로서 시빌리테의 정치는 기독교가 평화주의를 추구하면서도 현실 사회 문제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해주는 이론적 가치가 있다. 특별히 극단화된 폭력에 맞서기 위한 기독교 정치학적 전략으로서 주목할 요소가 있다. 그의 정치학은 존 하워드 요더와 같은 기존의 평화주의자의 입장을 넘어서서 탈근대적 기독교 정치학의 가능성을 암시해 준다. 아나뱁티스트 현실주의를 강조한 “기독교 정치학”에서 존 레데콥은 교회와 국가와의 관계에 대한 유연한 사고 속에서 제자도의 신념을 가지고 시민불복종과 같은 적극적인 정치 참여를 강조함으로써 기독교적 반폭력 개념의 이론적 사례를 제시해 준다. 반폭력 개념은 비폭력 무저항주의의 한계를 넘어서 기독교의 사회참여를 긍정할 대안 논리로 작동할 수 있으며, 포스트모던사회에서 교회와 국가와의 관계를 재조명해준다. 새로운 시대적 변화에 맞선 시민윤리를 기독교 윤리학에 접목시킬 수 있어 공적신학의 개념을 강화시켜 주는 정치학적 함의가 있다. 다만 반폭력이 마르크스 사회정치학적 개념이기 때문에 기독교 사상에 직접적으로 수용하는 데 있어서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개념에 포함된 정치학적 전략은 기독교 정치학에서도 연구할 가치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nnotations of Christian politics in Étienne Baribar’s concept of anti-violence. As one of the post-Marxist political thinkers, Baribar puts forward “anti-violence” and “the politics of civilite” as resolutions for the problems of the theory of politics of resistance—the theories of non-violence and against-violence proposed for post-modern society. The concept of anti-violence of Balibar has implications for Christian politics. The concept provides the value of the theory of anti-violence instead of non-violence or against-violence as a politics of resistance. The politics of civilite gives some suggestions for Christian politics. Until now Christian politics has had a dichotomous understanding of the politics of resistance, non-violence or against-violence. However this theory of anti-violence opens an alternative possibility for a new theoretical option for Christian politics in this world. In particular, John Redekop, who is an Anabaptist theologian and Christian political thinker, advocates a new concept of the Christian politics in his book Politics under God. Even though he doesn’t use the Baribarian term anti-violence, his political view is similar in concept. In this paper, I analyze the Baribar’s concept of anti-violence and evaluate Redekop’s understanding of politics. Through this study, we can get a new perspective for Christian political ethics. Although the theory of anti-violence is not entirely appropriate for Christian politics, it can enhance the development of a new theory of Christian politics.

      • KCI등재후보

        지적설계로 본 해부생리학적 인체 구조 및 기능 연구

        이국헌,정현철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4

        지적 설계론은 우주와 자연 속에서 설계의 증거들을 제시함으로써 우주와 만물의 기원을 설계자에 의한 창조론적 개념으로 설명하는 학문 영역이다. 본 연구는 해부생리학 교실에서 다뤄지는 여러 인체의 골격 및 구조 등의 사례에서 설계의 근거들을 발견하고자 한다. 인체의 보호 기능에서는 단단한 뇌 골격과 연골로 마무리된 갈비뼈, 뇌척수액의 완충작용이나 탄력성 있는 혈관 등을 통해서, 인체의 지지 기능에서는 뼈의 구조와 척추의 구조와 발바닥의 구조 등을 통해서 과학적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또 인체의 안전 기능을 드러내 주고 있는 여러 마찰 방지 액체, 동맥과 정맥의 위치, 식도의 구조, 후두 덮개, 심장 판막 등의 기능 등을 통해서 지적설계의 증거들을 발견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눈의 수정체, 폐포 속의 계면 활성제나 모세혈관 등은 인체가 효율적으로 설계되었는지를 잘 보여준다. 이런 다양한 인체의 구조와 기능들은 해부생리학 교실에서 학생들을 가르칠 때에 지적 설계를 가르칠 수 있는 주요한 자료들로 제공될 수 있다. Intelligent Design is an academic discipline that describes the origin of universe and all creation in terms of the notion - ‘theory of creation’. The The design also utilizes the layouts of universe and nature as an evidence. The study desires to discover intelligent design with the use of cases where human body’s frame work and organ structure is handled in Anatomy Physiology Classroom. Among human being’s protective function, ribs completed with solid brain skull and cartilage, cerebrospinal fluid(CSF)’s buffer action, and highly elastic vessel help’s one to identify the scientific theory and norm. Moreover, Among human being’s support function, the bone, vertebral curve, and foot arch also helped one to identify the scientific theory and norm. Also the proofs of intelligent design were discovered in liquids that protects frictions showing safety functions of human being, location of artery and vein, structure of esophagus, epiglottis, and heart valve. Furthermore, lens, surfactant inside alveolar, and capillary showed how efficiently human body is well structured. In conclusion, all these aforementioned structure and functions of human being can be well applied as an important in-class material in Anatomy Physiology Classroom when teaching intelligent design to students.

      • KCI등재

        제닝스의 “무법적 정의”에 기초한 바울과 로마서 이해

        이국헌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9 신학사상 Vol.0 No.185

        This study analyzes Theodore W. Jennings’ understanding of Paul and Romans based on his idea of “outlaw justice” to evaluate his theological–hermeneutical issues. Jennings intends to understand Paul politically and philosophically within the realm of theology. In particular, he constructs his hermeneutical position by interpreting the Epistle to the Romans, written by Paul, as the framework of Messianic politics. This “outlaw justice,” which is the basis of Jennings’ understanding of Paul, is also defined as “justice outside the law,” based on Derrida’s deconstructive method of thinking that genuine justice is beyond the law. The divine justice that Paul emphasized in Romans is an extra-legal justice, not a legal justice, and the Messianic community established by God must pursue Messianic politics—the politics of hospitality—for the realization of outlaw justice. Jennings’ understanding of Romans based on Messianic politics is the result of a completely different interpretation from that of traditional theology. Jennings analyzes Paul’s letter to the Romans in five major parts: first, as a critique of a social order of injustice; second, as a Messianic justice manifested in a society of injustice; third, as a transition from injustice to justice through the Messiah; fourth, as faithfulness based on the faithfulness of divine promises; and fifth, as collective ways of life that realize this outlaw justice. Jennings’ interpretation of Romans is right to highlight the political agenda of Christianity, but it also has a theological difficulty. In particular, his understanding of Romans hermeneutically lacks the universal dimension of salvation through Christ’s crucifixion and resurrection, which is emphasized in Paul’s message. Jennings’ understanding of Romans and Paul’s thought needs to be synthesized in terms of a divine justice that integrates divine universal justice with socio-ethical justice, personal justification, and social justice. 본 연구는 테드 제닝스의 바울과 로마서 이해를 그의 “무법적 정의” 사상에 기초해서 분석하고, 그의 신학적 문제를 평가하는 것이다. 테드 제닝스는 신학의 영역에서 바울을 정치 철학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특별히 바울이 기록한 로마서를 메시아 정치의 틀로 해석함으로써 자신의 해석학적 입장을 견고하게 구축한다. 제닝스의 바울 이해에 있어서 사상적 기초가 된 “무법적 정의”는 “법 밖의 정의”로도 규정되는데, 이는 진정한 정의는 법 너머에 있다는 데리다의 해체적 사유 방식에 기반한 것이다. 바울이 로마서에서 강조한 신적 정의는 법적 정의가 아닌 무법적 정의이며, 하나님에 의해 세워진 메시아적 공동체는 그 무법적 정의의 실현을 위해 메시아 정치, 곧 환대의 정치를 추구해야 한다. 이런 메시아 정치에 기반한 제닝스의 로마서 이해는 기존과는 전혀 다른 차원의 해석의 결과이다. 제닝스는 바울의 로마서를 크게 다섯 부분, 즉 첫째, 부정의한 사회 질서에 대한 비판, 둘째, 부정의한 사회에 드러난 메시아적 정의, 셋째, 메시아를 통한 부정의에서 정의로의 이행, 넷째, 신적 약속의 신실성에 기초한 충실함, 다섯째, 무법적 정의를 구현하는 집합적 삶의 방식들로 분석한다. 이런 제닝스의 로마서 주해는 그리스도교의 정치적 의제를 선도하는 측면에서 강점이 있지만, 신학적 쟁점도 만만치 않다. 특별히 바울의 기별에서 강조되고 있는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을 통해 이룬 구원의 우주적 차원이 해석학적으로 결여되어 있다. 제닝스의 사상에서 나타난 바울의 로마서 이해는 신적 우주적 정의와 사회 윤리적 정의, 개인적 칭의론과 사회적 정의론을 통합하는 신적 정의의 차원에서 종합을 이루어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19세기 “문화-프로테스탄티즘”의 낙관적 종말론에 대한 역사신학적 평가

        이국헌 한국교회사학회 2017 韓國敎會史學會誌 Vol.46 No.-

        본 연구는 19세기 문화-프로테스탄티즘의 낙관적 종말론을 기독교사상 사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자유주의 신학의 다른 이름인 문화-프로테스탄 티즘은 기독교 신학을 철학화하여 정통주의의 안티테제로 등장한 신학사 조를 말한다. 계몽주의의 영향으로 등장한 합리적 회의주의로 인해 기독교 신앙이 도전을 받게 되자 그에 대한 학문적 응전이 필요했는데, 문화-프로 테스탄트 신학자들은 칸트와 헤겔의 인식론에 기초해서 그 과제를 해결하 려 했다. 특별히 인간의 선의지로 실현할 윤리적 하나님 나라에 기초해 종 말론을 내재적, 낙관적으로 이해하는 측면에서 문화-프로테스탄티즘은 근 대 이성철학의 낙관주의와 맥을 같이하고 있다. 문화-프로테스탄티즘의 주 요 학자인 슐라이에르마허와 리츨과 하르낙은 하나님 나라를 역사와 문화 속에 내재하는 것으로 해석하여 낙관적 종말론을 확립하였다. 이와 함께 근대 진보적 낙관주의에 영향을 받아 세속적 유토피아의 실현을 하나님 나 라와 일치시킴으로써 기독교 종말론의 낙관적 이해를 확립하였다. 이와 같 이 종말론에 대한 낙관적 이해는 재림의 지연에 따른 성서적 종말론의 딜 레마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신학적 원리를 제공해 주었다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가 있다. 그러나 이성철학에 기초한 근대 계몽주의적 진보주의가 실패 한 상황에서 문화-프로테스탄티즘의 낙관적 종말론 역시 사상적으로 도전 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20세기 기독교는 문화프로테스탄티즘이 실패한 자 리에서 새로운 신학적 종말론을 모색하면서 다양한 이해를 발전시켰다. 결 과적으로 19세기 문화-프로테스탄티즘의 낙관적 종말론은 변증법적으로 기독교 종말론을 발전시키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 This paper evaluates from a historical viewpoint the optimistic eschatology of the “Culture-Protestantism” in the 19th Century. The Culture-Protestantism, a term for Liberal Theology, was a specific theological zeitgeist which emerged as an antithesis of theological orthodoxy. In the 19th century, Christianity faced a challenge of rationalism under the influence of the Enlightenment. Christianity responded to the challenge with Culture-Protestantism on the basis of Hegelian and Kantian epistemology. In particular, the culture-protestantism stands in line with the optimism of the modern rational philosophy which views the ethical Kingdom of God as realized by the good will of humanity. Friedrich Schleiermacher, Albrecht Ritschl, and Adolf von Harnack constructed the optimistic eschatology by interpreting that the Kingdom of God exists in the history and culture of humanity. This optimistic understanding of the Christian eschatology emphasized by the culture-protestantism has a historical value since it has provided a theological principle to solve the dilemma of a biblical eschatology caused by the delay of the second coming of Jesus Christ. However, the optimistic eschatology of the Culture-Protestantism was challenged in the 20th century by reason that the modern progressive ideas have failed. Upon the Culture-Protestantism’s failure, Christian theologians were able to develop various understanding of the biblical eschatology through seeking new theological eschatology. As a result, the optimistic eschatology of the Culture-Protestantism laid a foundation, from which to formulate Christian eschatology in historical-dialectical ways.

      • KCI등재

        호모 데우스 시대에 신학적 인간학을 향하여

        이국헌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20 문학과종교 Vol.25 No.4

        탈근대 시대 이후에 호모 데우스 시대가 도래하면 신학적 인간학은 어떤 담 론을 모색할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유발 하라리가 전 망한 호모 데우스 시대와 그 시대의 인간 이해를 분석하였다. 첨단기술의 발전으로 도래할 호모 데우스 시대는 소수의 엘리트들이 업그레이드된 초인간적 존재가 되어 불멸과 행복과 신성을 획득하는 시대이며, 더 나아가 유기적 알고리즘인 인간이 비의식적 알고리즘의 지배를 받는 묵시적 기술종교의 시대로 전망 된다. 따라서 이 시대에 근대적, 탈근대적 인간 이해는 해체되고, 인간은 첨단기술로 업그레이드되어 호모 데우스로 진보되거나, 만물인터넷에 흡수되는 존재로 전락할 것이다. 이런 전망은 신학적 인간학에 커다란 도전이 될 것이므로, 이 도전적인 전망에 대한 응전으로 신학적 인간학을 탐구해 보았다. 하라리의 전망에 나타난 인간 이해의 담론을 분석해 볼 때, 기독교는 거대 담론으로서 목적론적 인간학, 환원론을 극복할 바이오 로고스적 존재론, 그리고 신율에 기초 한 호모 렐리기오수스로서의 인간 이해를 강조함으로써 신학적 인간학 담론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담론들은 호모 데우스 시대에도 신학적 인간학을 여전히 유효하게 해 줄 것이다. If the Homo Deus era arrives after the Postmodern times, to what discourse can theological anthropology seek?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study analyzed the Homo Deus era predicted by Yuval Harari. The Homo Deus era is expected to be an era in which a small number of elites become superhuman beings and acquire immortality, happiness and divinity, and an era of an apocalyptic religion of technology in which humans, organic algorithms, will be dominated by unconscious algorithms. Thus, modern and postmodern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will be deconstructed in this era. And human beings will be upgraded to high-tech and developed into Homo Deus, or reduced to being absorbed by the Internet-of-All-Things. This prospect will be a great challenge to theological anthropology, so I explored theological anthropology in response to this challenging prospect. Analyzing the discourse of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in Harari’s outlook, Christianity could seek to do the discourse of theological anthropology by emphasizing objectivism anthropology as a grand récit, bio-logos existentialism to overcome the reductionism, and an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s a Homo Religiosus based on the theonomy.

      • KCI등재

        신수도원주의의 기독교 영성에 대한 평가와 전망

        이국헌 한국교회사학회 2011 韓國敎會史學會誌 Vol.29 No.-

        On the occasion of 21st century, christian spiritualism has a big challenge from secular world. Even though the 20th century’s christian theology emphasized the theology of hope, which were promoted by Moltmann and Pannenberg, it seems that there is still no hope in the contemporary christianity. Christianity don’t have any solution of the contemporary issues, such as environmental destruction, economic polarization, world conflict, cultural divergence, destruction of social security, even moral hazard. It is required for christianity to be a religion of hope again in these situations. One of the responses of this requirement is the necessity of an alternative christian movement, the new monasticism is one of the movement. The new monasticism was organized in 2004 by some certain christian communities, such as the Simple Way, Rutba House, Camden Community, the Psalters, etc. They have agreed with the “12 Marks of New Monasticism” in order to make an alternative christian community of communities. Instead of the formal evangelicalism, they would like to pursue the counter cultural christian life and new spirituality. Because of the ethos, the new monasticism has been paid attention to the church in terms of christian spirituality. First, it is oriented communitarianism to overcome the problem of the individualism which prevails in modern society. Second, the new monasticism is oriented simple life and sharing their possessions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 of capitalism. Third, it seeks to realize the ethical praxis with emphasizing social justice and positive community involvement in order to solve the issues of modern society. Fourth, the new monasticism seeks to expand the Kingdom of God through practicing the counter-culturalism, the non-imperialism, and nonviolent pacifism. Fifth, it conducts the new christian movement with making a community of communities which has accepted the interdenominational diversity. Even though there are some significances in the new monasticism, we can discuss some limitations of it too. Firstly, the new monasticism cannot perfectly be a alternative christian movement, since it has some radical aspects to solve the contemporary issues. Secondly, the new monasticism has a certain theological limitation, because it only emphasizes the practical elements of faith rather than all biblical dogma. Thirdly, this movement cannot realize the culture command of God in this world because it infers to the counter-culture, such as non-individualism and non-consumerism, to overcome the problem of contemporary capitalism. And lastly, the new monasticism has the limitation which is related to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because it has some weak points, such as absence of the systematic mission strategy, flexible solidarity between the communities, inclusive interdenominational mind. It’s very clear that the new monasticism has some limitations, Nevertheless, it proposes to the contemporary christian society an important solution of the issue of the christian spirituality. Through the emergence of the movement we are able to think of the christian spirituality as well. Holistic spirituality should be the most important element which we have to pursue to recover the religious authority nowadays. The new monasticism is one of the movement which we have to regard as an alternative christian spirituality.

      • KCI등재

        19세기 미국의 초절주의와 기독교 사회개혁운동

        이국헌 한국교회사학회 2015 韓國敎會史學會誌 Vol.41 No.-

        본 연구는 미국의 기독교 사회개혁운동을 초절주의 운동의 영향 아래서 분석한 것이다. 19세기 미국사회에서는 이상사회 실현을 위한 사회개혁운동이 활발하게 추진되었다. 이 개혁 운동에 가장 앞장선 것은 기독교 지도자들이었다. 특별히 기독교 사회개혁가들은 초절주의 사상가들로부터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개혁운동을 이끌었다. 초절주의자들은 계몽주의적 자연주의와 유럽의 낭만주의로부터 영향을 받아 진보적 이상사회 건설에 대한 꿈을 가지고 사회개혁운동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직접적인 사회구조 개혁보다는 개인의 도덕개혁에 초점을 맞춘 사회개혁운동을 전개하였다. 이에 비해 기독교 사회개혁운동은 사회지향적 성격이 강했다. 기독교 사회개혁운동은 남북전쟁 이전에는 건강한 생활습관 정착을 위한 생활개혁운동, 노예제도 폐지와 인종평등과 같은 구조개혁 운동, 도덕적 자기개혁운동을 전개하였다. 남북전쟁 이후에는 노예제도가 폐지됨에 따라서 금주운동과 여권신장운동으로 방향이 전환되었다. 남북전쟁 이후에 기독교 사회개혁운동에 영향을 끼친 사상으로는 사회진화론, 사회복음주의, 전천년주의 등이 있었다. 특별히 초절주의 운동의 영향으로 도덕적 자기개혁을 강조한 것 또한 19세기 후반의 기독교 사회개혁운동의 방향으로 볼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19세기 미국에서의 기독교 사회개혁운동의 성격과 방향을 초절주의와 연계하여 분석 평가할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o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ocial Reform movement in American transcendentalism and Christianity. The 19th century was the time when the social reform movement was vigorously promoted in America. In particular, Protestant reformers led the American social reforms in mutual relationship with American transcendentalists. The transcendentalists those who were affected by European romanticism took part in the social reform movement with the vision for building a social utopia in America. They believed in the naturalistic transcendentalism, accepting the new views in order to escape the religious formalism of Unitarianists. As the group which was seeking an alternative spirituality, transcendentalism was sincerely promoted the social reforms to overcome the evils of capitalism. The direct concern of transcendentalists, however, focused on the personal moral-reform rather than the reform of soci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moral reform oriented, they have developed the moral reform movement and self-reform movement. In contrast, Christian social reform movement has had a strong social-oriented feature.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antebellum and postbellum in the Christian social reform movement. In the period of antebellum, they actively promoted the social reform based on the post-millennialism. The main contents of the reform movement were such as Health Living Reform, Emancipation, Racial Equality, Moral Self-Reform, etc. In the period of postbellum, the protestant social reform movement in America changed into a new direction due to abolish the slavery. At this time, the main contents of the social reform movement were Temperance movement and Women’s suffrage. The new thoughts which affected to the reform movement were such as Social Darwinism, Social gospel, and Pre-millennialism, etc. Above all, Christian reformers were influenced by the transcendentalism. Then, they emphasized the moral self-reform as an urgent social reform agenda. But they did not back down the reform of social structure, such as Women’s suffrage unlike the transcendentalism. Through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 and direction of Christian social reform movement have been evaluated in conjunction with the transcendent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