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각장애인을 위한 직업훈련 영역별 교수-학습 모형 개발

        윤중오,김민정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3 장애와 고용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각장애인 고용을 위한 직업훈련에 있어서 효과적인 기술습득을 돕기 위하여 직업훈련 영역별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 학습관련 선행연구에서 지원이론과 설계원리를 도출한 다음, 전문가 검토를 거쳐 1차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모형에 대해 1차 현장 적용을 거쳐 수정사항을 도출하였고 다시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여 2차 모형을 위한 설계원리를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2차 모형을 개발하고 2차 현장 적용 등을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최종 청각장애인을 위한 직업훈련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청각장애인의 직업훈련 영역별로 도출된 교수-학습 모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훈련에 있어 청각장애인의 부족한 기초학습능력의 향상을 영역으로 하는 교수-학습 모형이다. 둘째, 직업훈련의 기능숙련에 있어 이론능력 배양을 영역으로 하는 교수-학습 모형이 도출되었다. 셋째, 직업훈련의 기능숙련에 있어 실기능력 배양을 영역으로 하는 교수-학습 모형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체계적인 절차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다른 교수-학습모형과 차별성을 띤다. 또한,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 교수-학습 방법들의 제한점을 보완하고, 교수자들은 사용하기 편리하며, 청각장애인들에게는 효과적인 학습 방법으로 전문 기술을 습득하여 고용과 연계됨은 물론 고용 안정을 제공하는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마지막에는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로 이러한 모형들이 실제 청각장애인 직업훈련에 있어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검증 및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instructional models that vocational training objectives to improve the technical skill learning in vocational training for the deaf. For the purpose, this study employed design-based method. First of all, researcher extracted theories and design principles from precedent studies on the deaf and professional review in order to develop the initial instructional models. Then, the first instructional models with the design principles were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an actual classroom and the parts that need modifications were identified. Another professional review was done to develop the design principles for the second instructional models. Based on this design principles, the second instructional models were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the classroom again. Finally the final instructional models in vocational training for the deaf were developed. The instructional models based on vocational training objectives for the deaf are as follows. The first model was the instructional model with a objective of improving the basic learning ability for the deaf. The second model was the instructional model with an objective of cultivating theory ability for improvement of skills. The third model was the instructional model with a objective of cultivating practical skills. Based on the research, the developed models were effective in meeting the objectives of cultivating basic learning ability, theory reinforcement ability, and practical skills. Therefore, I expect this study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existing learning models for the deaf and provide instructors with convenient models and the deaf with opportunities for effective vocational training.

      • KCI등재

        학습자의 자기효능감과 동기가 인지부하에 미치는 영향

        윤중오,이은철,김민정 한국교육방법학회 2012 교육방법연구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motivation on cognitive load. For the purpose, study 1 and study 2 were conducted. The first study examined how cognitive load can be affected by learner's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efficacy in carrying out an unstructured task. The results showed that nothing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ive sub-variables of cognitive load. With the findings of the study 1, self-efficacy was converted into scientific self-efficacy and intrinsic motivation was converted into instruction material motivation, which is more closely related to the task in the study 2. As a result, scientific self-efficacy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erceived level of difficulty of task among sub-variables of cognitive load. And, instruction material motivation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ive sub-variables of cognitive load. The findings of these two studies indicate that intrinsic variables of learners related to cognitive load are task related self-efficacy and motivation rather than general self- efficacy and motivation. It implies that task-related self-efficacy and motiv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in instructional design to reduce cognitive load.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동기가 인지부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 1, 2를 수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비구조화된 과제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내적동기가 인지부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였다. 그 결과 두 독립변인 모두 인지부하의 다섯 가지 하위변인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의 결과 분석을 토대로 자기효능감을 과제 관련 효능감인 과학적 자기효능감으로 바꾸고, 내적동기도 과제동기에 초점을 두어 측정하였다. 그 결과 과학적 자기효능감은 인지부하의 하위요인 과제 난이도와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고, 과제동기는 인지부하의 다섯 하위 변인(육체적 노력, 정신적 노력, 지각된 과제난이도, 자기평가, 자료설계의 용이성)과 유의미관 관계를 보였다. 이 두 연구를 종합하면, 인지부하와 밀접하게 관련된 학습자 내적 변인은 일반적인 수준의 자기효능감과 내적동기라기 보다는 과제와 구체적으로 관련된 과제특수 자기효능감 및 과제동기임을 알 수 있다. 이는 학습자 내적 변인을 고려한 교수 설계를 할 때 과제 특수 자기효능감 및 과제 관련 동기의 고려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동기적 성향(성취목표 지향성)과 성격 유형(자존감)에 따른 위키 협력학습 참여유형 분석과 교수전략 개발

        이은철,윤중오,김민정 한국교육방법학회 2010 교육방법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학습자의 동기적 성향(성취목표 지향성)과 성격 유형(자존감)에 따른 위키 협력학습 참여 유형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위키 협력학습을 위한 교수 전략 개발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모 대학원에서 교육학을 전공하는 석, 박사 학생 32명이다. 연구를 위해 학습자의 성취목표 지향성(숙달목표 지향성, 수행접근목표 지향성, 수행회피목표 지향성)과 자존감을 학기가 시작하는 첫 주에 측정하고 14주 동안 위키를 사용하여 협력학습을 수행하였다. 위키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전반부를 제외하고 후반부 7주간의 팀별 활동을 9개의 참여 유형으로 구분하여 내용 분석을 수행하였다. 성취목표 지향성 및 자존감에 따른 위키 협력학습 참여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 및 단순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의 동기적 성향(성취목표 지향성)의 하위 구인인 숙달목표 지향성은 협력학습의 참여 유형 가운데 새로운 내용: 주제, 타인 글에 내용 추가, 본인 글에 내용 추가, 본인 글에 내용 수정, 새로운 내용: 의견 제시, 본인 글 교정에 정적 영향을 주었고, 수행접근목표 지향성은 본인 글에 내용 추가, 타인 글에 내용 수정, 타인 글에 내용 수정에 부적 영향을 주었고, 수행회피목표 지향성은 새로운 내용: 주제, 본인 글에 내용 추가에 부적 영향을 주었다. 성격 유형인 자존감은 본인 글에 내용 수정에는 정적 영향을 주었고, 타인 글에 내용 추가, 새로운 내용: 의견 제시에는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에서는 위키 협력학습을 위한 집단 구성 전략, 과제 유형 제시 전략, 안내 제시 전략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articipation types in wiki-based collaborative learning based on students’ goal orientation and self-esteem and to develop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wiki-based collaborative learning. For the purpose, 32 graduate students of two semesters participated in wiki-based collaborative learning tasks. At the beginning of each semester, students were asked to fill out the goal orientation survey and self-esteem scale. Students participated in wiki-based collaborative learning every week during each semester, but the later part(8-14th weeks)’s data were only used for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who have high mastery oriented learning goal was positively related to adding new contents, elaborating their own or other’s contents, correcting their own or other’s contents ,and suggesting ideas. The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who have high performance approach goal orienta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elaborating their own or other’s contents, and correcting other’s contents. The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who have high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adding new contents, and elaborating their own contents. Students’self-esteem influenced positively on the participation types of correcting their own contents, but it did negatively on those of elaborating other’s contents and suggesting ideas. Finally, there searchers suggested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wiki-based collaborative 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 직업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한선,강용주,윤중오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9 연구보고서 Vol.1 No.1

        This study is aimed at developing a comprehensive vocational trainingprogram, a necessity for those trainees of the Vocational CompetencyDevelopment Center(VCDC) in KEPAD who wish to obtain and retainrelevant employment. In order to retool a program as to better match theskills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with today's labor market, in-depthinterviews and surveys have been conducted by 10 evaluators, based on"the Study on the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Contents in VCDC(Hyo-sung Lee et al., 2008)."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program'scontents have also been evaluated and examined. Further referencesinclude the utilization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analysisand related literature. This, combined with the previous examination of theprogram's validity, allows for the development of a concretized programwith restructured contents. The previous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has been reorganized toinclude 6 modules : self-understanding, understanding of jobs, jobsearching skills,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ocial skills, personal financetraining, and laws and common knowledge - each containing 19 themes. Avariety of presentation methods including E-Learning, flash animation,quizzes, movies, text, subtitles and sign language movies for trainees withhearing impairments, and voice guidance for those with visual impairmentshave been developed for the on-line education program, to maximize the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delivery system.

      • KCI등재

        청각장애인 학습지원 몰입형 가상환경의 실제 적용을 위한 요구분석

        김민정(Kim, Minjeong),최동연(Choi, Dongyeon),윤중오(Yoon, Joon-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ctual needs of hearing-impaired learners on immersive virtual learning environment. For the purpose, first of all, 19 hearing-impaired learners experienced a prototype of immersive virtual learning environment about MCT. After the experience, the researcher collected the data for needs analysis through various ways(interviews, survey, test, and observation). Collecte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frame of Activity Theory. To validate the results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quantitative data were us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hearing-impaired learner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experience of immersive virtual learning environment. However, they indicated some important points that should be considered for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virtual learning environment: proper amount of information, and instructor or peer support during virtual learning. Finally, the study suggested future research based 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맥락을 고려한 학습시스템 내에서 몰입형 가상현실 적용을 위한 청각 장애인들의 요구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청각장애인 교육에서 가상현실 환경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구체적으로, 청각장애인에게 가상현실에 대한 학습경험을 가져보게 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향후 개발 가상 학습 환경에 대한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활동이론을 분석의 틀로 하여 질적 분석을 실시하고, 추가적인 양적자료 분석으로 질적자료 분석 결과를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청각장애 학습자들은 가상현실을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스스로 학습의 내용을 구성할 수 있는 신기하고 흥미로운 학습으로 보고 있으나, 청각장애 학습자로서 겪는 신체적·심리적 어려움을 고려한 실제 실행을 위해서는 청각장애 학습자에 적절하도록 학습 정보량의 조절, 텍스트보다는 그림위주의 가독성 뛰어난 콘텐츠의 개발 필요, 기존 학습과의 병행으로서의 가상학습 환경 개발 필요, 학습시 교수자 및 동료 학습자의 조력 가능한 환경 설계 등이 요구분석 결과로 나타났다. 연구의 말미에서는 본연구의 제한점에 기초한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