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장흥과 제주에서 기상열화된 목조건축물 목재 부재에서 발생한 변색균 동정

        윤정희 ( Hee Chang Shin ),신희창 ( Won Joung Hwang ),황원중 ( Sae-min Yoon ),윤새민 ( Jeonghee Yun ),김영숙 ( Yeong-suk Kim ) 한국목재공학회 2020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1

        전라남도 장흥(1개소, #13) 및 제주도(2개소, #31, & #33)에서 사용 중인 목조건축물의 목재부재 표면에서 변색균의 오염으로 추정되는 목재편 샘플을 채취한 배양시험에서 미생물 증식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여 순수분리하고 균동정을 실시하였다. 목재편 샘플로부터 단일 균주를 얻기 위하여 여러 분리 단계를 거쳐 순수분리하였고, 순수분리된 균의 genomic DNA 추출 및 PCR을 실시하였다. PCR을 통해서 확보한 ITS 부위의 염기서열을 확인하기 위해서 DNA sequncing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NCBI(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BLAST 프로그램(nucleotide blast)을 이용하여 상동성 검색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라남도 장흥의 목조건축물 #13에서 채취된 균은, Aureobasidium mangnorium과 상동성 99.83%로 밝혀졌다. 제주도(2개소)의 목조건축물 #31(제주도)에서는, 장흥에서 분리된 균종과 동일한 Aureobasidium mangnorium과 상동성 100%로 밝혀졌으며, 목조건축물 #33(제주도) 채취 균의 경우 Aureobasidium pullulans와 99.83% 상동성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제주도 #33건물에서 발생한 Aureobasidium pullulans는 실제로 자외선에 의한 기상열화 목재에서 흔히 보고되는 균종이다. 이와 또 다른 Aureobasidium mangnorium은 종전에는 Aureobasidium pullulans로 분류되었으나 최근 유전자 시퀀스가 일부 다르다는 것이 밝혀진 균주로서 국내에 Aureobasidium pullulans과 공존하는 것으로 밝혀져 국내 목재 기상열화에서 나타나는 가해균주에 대한 더 많은 동정 연구의 필요성이 시사되었다.

      • KCI등재

        멀티미디어 데이터 특성을 고려한 동적 큐 관리 알고리즘 연구

        김지원(Jiwon Kim),윤정희(Jeonghee Yun),장은미(Eunmee Jang),최상방(Sangbang Choi) 大韓電子工學會 2011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48 No.6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많은 대역폭과 실시간 처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지연과 손실에 민감한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네트워크의 혼잡상황으로 인한 데이터의 손실은 사용자에게 QoS를 보장해주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의 혼잡상황과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우수한 품질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알고리즘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지국의 큐 혼잡정도에 따라 패킷을 확률적으로 제거하는 APQM(Adaptive Priority Queue Management)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기존의 알고리즘과의 비교를 통해 제안한 알고리즘이 네트워크의 혼잡상황을 줄이고 중요도가 높은 패킷을 많이 수신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품질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ultimedia streaming service is susceptible to loss and delay of data as it requires high bandwidth and real time processing. Therefore QoS cannot be guaranteed due to data loss caused by heavy network traffic. To deal with these problems a study on algorithm that can provide high quality multimedia service by considering both network congestion and characteristics of multimedia data is required. In this paper we propose APQM algorithm which probabilistically removes packet by the congestion level of the queue in wireless station. The comparison with other existing scheduling algorithms shows tht congestion in the network is reduced and multimedia service quality of the proposed algorithm is improved.

      • KCI등재

        QoS 보장을 위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큐 관리 알고리즘 연구

        김지원(Jiwon Kim),윤정희(Jeonghee Yun),장은미(Eunmee Jang),최상방(Sangbang Choi) 한국정보과학회 2011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8 No.3

        최근 들어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사용자 증가와 기술의 발달로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사용자 증가로 인한 트래픽 증가는 네트워크의 혼잡 상황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네트워크의 혼잡 상황은 큐잉 지연을 초래하고, 이것이 지속되면 패킷 손실이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QoS를 보장해주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시간에 민감하고 프레임 유형별로 중요도가 다른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성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의 품질을 개선하는 알고리즘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지국의 큐 상태에 따라 패킷을 확률적으로 제거하는 PQM(Priority Queue Management)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기존의 알고리즘과의 비교를 통해 제안한 알고리즘이 전체 트래픽 양을 감소시켜 네트워크의 혼잡 상황을 줄이고, 중요도가 높은 패킷을 많이 수신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품질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demand for real-time multimedia services is increasing as multimedia service users grow and technology advances. The growth of traffic due to these user growth leads to network congestion. Network congestion makes queueing delay, and therefore QoS cannot be guaranteed due to packet loss caused by queueing delay. To solve these problems studies about algorithms which improve the multimedia service quality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which multimedia streams have. In this paper, PQM(Priority Queue Management) algorithm is proposed which removes the packet probabilistically according to the queue status of base station. The comparison with other existing scheduling algorithms shows tht congestion in the network is reduced and multimedia service quality of the proposed algorithm is improved.

      • KCI등재

        구글 음성인식기를 활용한 한국 초등학생들의 영어 단어 발음인식감도 조사

        박향숙(Hyangsook Park),윤정희(Jeonghee Yun),이예식(Yaesheik Lee) 현대문법학회 2018 현대문법연구 Vol.97 No.-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well Google Voice Actions, an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system, recognizes Korean young English learners’ pronunciation of English words. To achieve this aim, the current study arranged for 18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pronounce 219 English words and recorded their pronunciation. Then, the intelligibility of their pronunciation was measured using Google Voice Actions. The current study analyzed the measured intelligibility of Google Voice Actions in terms of the phonemic difficulty and familiarity the learners have with the words. The phonemic difficulty of each word was labelled as Group 1 to 5, depending on the number of difficult phonemic elements it contains. The familiarity of each word was also measured through a questionnaire.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accuracy in Google Voice Actions’ recognition was closely related to the students’the phonemic difficulties and familiarity of the words. Interestingly, the pronunciation of words in Group 5 gained the highest recognition scores and that of Group 1 the second highest scores. Those of Group 2, 3, and 4 recorded lower recognition scores than the two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ore phonemic information the pronunciation of a word provides, the more relevant clues would be available for Google Voice Actions. This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successful search from the speech database.

      • KCI등재

        매립지 메탄 저감을 위한 바이오커버의 현장 적용 평가

        정혜경 ( Hyekyeng Jung ),윤정희 ( Jeonghee Yun ),오경철 ( Kyung Cheol Oh ),전준민 ( Jun-min Jeon ),류희욱 ( Hee-wook Ryu ),조경숙 ( Kyung-suk Cho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7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5 No.4

        본 연구에서는 생활 폐기물 매립지 현장에 파일럿 규모의 바이오커버(pilot-scale biocover, PBC) 2기를 설치하고, 240일동안 메탄 제거 효율을 모니터링하였다. 또한, 바이오커버 충전 소재를 채취하여 혈청병에서 잠재 메탄 산화능을 평가하였다. 바이오커버로 유입되는 메탄 농도는 23.7-47.9%(평균값 = 41.3%, 중간값 = 42.6%) 수준이었다. 토양, 지렁이 분변토 및 퇴비 혼합물(7:2:1, v/v)을 충전 소재로 구축한 PBC1의 메탄 제거 효율은 60.7-85.5%이었다. 토양, 지렁이 분변토, perlite 및 퇴비 혼합물(4:2:3:1, v/v)을 충전 소재로 구축한 PBC2의 표메탄 제거 효율은 29.2-78.5%이었다. 그러나, 바이오커버의 충전 소재 자체의 메탄 잠재 산화 능력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평균메탄산화속도 = 180-199 μg CH<sub>4</sub>· g packing material<sup>-1</sup>· h<sup>-1</sup>), 충전 소재의 다짐현상과 채널링이 발생하면 PBC1과 PBC2의 메탄 제거 효율은 0-30%로 저하되었다. 한편, 바이오커버의 메탄 제거 효율은 계절(외부 기온)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로부터 도출된 결과는 향후 매립지 현장에 실규모의 메탄 저감용 바이오커버를 설계하고 운전 조건을 구축하는데 유용하게 활용 가능하다. Two pilot-scale biocovers (PBCs) were installed in a landfill, and the methane (CH<sub>4</sub>) concentrations at their inlets and outlets were monitored for 240 days to evaluate the methane removability. Consequently, the packing materials were sampled from the PBCs, and their potential CH<sub>4</sub> oxidizing abilities were evaluated in serum vials. The CH<sub>4</sub> concentration at the inlet of the biocovers was observed to be in the range of 23.7- 47.9% (average = 41.3%, median = 42.6%). In PBC1, where a mixture of soil, earthworm cast, and compost (7:2:1, v/v) was employed as the packing material, the CH<sub>4</sub> removal efficiency was evaluated to be between 60.7-85.5%. In PBC2, which was filled with a mixture of soil, earthworm cast, perlite, and compost (4:2:3:1, v/v), the removal efficiency was evaluated to be between 29.2-78.5%. Although the packing materials had an excellent CH<sub>4</sub> oxidizing potential (average oxidation rate for CH<sub>4</sub> = 180-199 μg CH<sub>4</sub>·g packing material<sup>-1</sup>·h<sup>-1</sup>), CH<sub>4</sub> removal efficiency in PBC1 and PBC2 decreased to the range of 0-30% once the packing materials in the PBCs were clogged and channeled. Furthermore, seasonal effects exhibi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sub>4</sub> removal efficiency of the biocov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esign and operate real-scale biocovers in landfills to mitigate CH<sub>4</sub> buildup.

      • Biochar가 Trichoderma속의 cellul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명성우 ( Seongwoo Myeong ),최우석 ( Woosuk Choi ),윤정희 ( Jeonghee Yun ) 한국목재공학회 2022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2 No.1

        바이오차(Biochar)는 산소가 없는 조건에서 바이오매스의 열분해로 만들어진 숯과 바이오매스의 중간 성질을 나타내는 물질로 탄소격리, 농업 생산성 개선, 환경복원 등의 관점에서 주목을 받아 다양한 연구가 되어 왔다. 바이오차는 토양개량 측면에서의 중요성으로 토양내 미생물의 생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나, 생물학적 공정에의 활용 측면에서의 보고는 아직까지는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미생물을 이용한 고활성의 cellulase 생산에 있어, 바이오리액터에서의 효소활성은 온도, pH, 산소 공급, 교반 속도 등의 다양한 인자들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므로 이에 대한 안정적 효소생산 확보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안정적인 cellulase 생산을 위한 바이오차의 미생물 고정화담체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cellulase 활성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다. Cellulase 활성 평가를 위한 공시균주는 lignocellulolytic enzyme 생산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Trichoderma sp. 균주를 사용하였다. Cellulase 활성 평가는 Endoglucanase(endo-1,4-β-d-glucanase EG, EC 3.2.1.4)와 β-glucosidase(1,4-β-d-glucosidase, BGL, EC 3.2.1.21), Cellobiohydrolase(CBH, EC 3.2.1.91)를 배양시간에 따라 각각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바이오차를 첨가한 실험군에서 세 효소 모두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cellulase를 생산하는 미생물 배양에 바이오차를 적용함으로서 미생물 생장과 cellulase 활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소포제 첨가에 따른 Trichoderma sp.의 cellulase 활성 변화

        최은지 ( Eunji Choi ),김영숙 ( Yeong-suk Kim ),윤정희 ( Jeonghee Yun ) 한국목재공학회 2021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2

        Trichoderma sp. is a widely used fungal strain that produces lignocellulolytic enzymes. During the incubation in bioreactor, there are significant physical parameters such as temperature, pH and gas flow rate and they can affect enzyme production. The intense aeration and stirring in the process of bioreactor can cause the formation of foam. Foam can negatively affect cells and proteins and excessive foam on surface not only leads to reduction of oxygen transfer, but can also overflow the bioreactor and cause safety issues during operation. These problems can result in decreased process productivity, therefore antifoaming agents are crucial to preventing the formation of foam. In present study, Cellulase activity during incubation of Trichoderma sp. in lab scale bioreactor was monitored dependent on types of antifoaming agent. Endoglucanase(endo-1,4-β-d-glucanase EG, EC 3.2.1.4) and β-glucosidase(1,4-β-d-glucosidase, BGL, EC 3.2.1.21) activity were periodically measured. At the maximum enzyme activity, it was observed that Trichoderma sp. incubated with antifoaming agents increased EG and BGL activity by 4-fold and 3-fold, respectively after 15days of incub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antifoaming agents is essential for incubation and may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increase in fungal growth and cellulase production.

      • Trichoderma sp. 유래 섬유소분해효소를 이용한 섬유가공 적용가능성

        안채영 ( Chaeyoung An ),윤새민 ( Sae-min Yoon ),윤정희 ( Jeonghee Yun ),김영숙 ( Yeong-suk Kim ) 한국목재공학회 2020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1

        개발효소인 Trichoderma sp. 셀룰레이즈를 섬유가공산업, biopolishing 가공에 적용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공시효소는 Trichoderma sp. 균주의 최적화된 공정으로 생산된 효소를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으로 상용효소인 Reference Ⅱ (Novozyme, Cellusoft 2500L)를 사용하였다. 공시섬유로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서 제공한 100% 면, Suncion Crimson 섬유(15.5g ± 0.7)를 사용하였다. 그 효과는 셀룰레이즈 처리 후, 감량률, 인장강도, 표면 색 및 색 강도 (K/S) 측정, Pilling 측정, 표면형태 관찰, 세탁/일광/마찰 견뢰도 시험을 통하여 섬유의 가공결과를 평가하였다. Trichoderma sp. 유래 셀룰레이즈를 면섬유에 처리했을 때, 현미경에 의한 현미경적 관찰 결과에서 biopolishing효과가 상용효소와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특히 효소처리에 의한 면섬유의 감량율이 적으면서 색강도나 표면색은 상용효소 처리보다 선명하고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일반적으로 셀룰레이즈 효소처리에 의해 인장강도 감소가 발생하는 것에 비하여, 상용효소 및 Trichoderma sp. 개발효소 모두 효소처리에 의해 섬유의 인장강도가 다소 증가하여 섬유의 강도적 물성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외 Pilling 이나 세탁/일광/마찰 견뢰도에도 퇴색되거나 약해지지 않는 성능을 유지하는 우수한 효소로 평가되었다.

      • 국내 주요 목재의 단기적 기상열화에 의한 목재표면의 색상 변화

        신희창 ( Hee Chang Shin ),윤새민 ( Won Joung Hwang ),황원중 ( Sae-min Yoon ),윤정희 ( Jeonghee Yun ),김영숙 ( Yeong-suk Kim ) 한국목재공학회 2020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1

        서울 및 제주도 지역에서 2종의 국산재와 4종의 수입목재를 대상으로 자연내후성시험(KS M ISO 16053: 2010) 후 1개월, 3개월, 6개월 및 12개월 경과 후, 기상열화된 공시목재의 표면에 발생한 색상변화에 대해 육안 관찰 및 CIE L*a*b* 에 의한 색상변화 패턴을 조사하였다. 육안관찰결과는 대부분의 공시수종에서 자연에 노출한 기간이 길어질수록 목재 고유의 색상이 퇴색되거나 진하게 변색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특히 대부분의 공시 수종에서 노출 후 3개월이 경과한 다음부터는 고유의 재색이 점차 짙은 재색으로 변화하고, 6개월 정도에는 현저하게 짙은 회색으로 변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노출 기간에 따른 CIE L*a*b*값 변화에 대한 분석은 변색균 등에 영향이 없는 심재 기준으로 고찰하였다. 밝기를 나타내는 L*값의 경우, 햄록, 뉴송, 낙엽송 등의 수종에서 1 및 3개월 노출 보다 6개월 경과했을 때는 L*값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이 시점에 재색이 심하게 어두워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미송과 멀바우 등의 L*값 변화는 1, 3, 6 및 12개월이 경과하면서 서서히 어두워지는 경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a* 및 b*값 변화율은 미송을 제외한 대부분의 수종에서 1개월에서 3개월 및 6개월로 경과하면서 급진적인 변화를 보였다. 종합적인 색차(△E)변화율에서는, 햄록, 미송 및 낙엽송 등은 1개월 및 3개월까지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6개월에서는 색차가 보다 큰 폭의 변화가 나타냈다. 자연노출 12개월에서, 낙엽송은 색차가 미세하게 증가하였으나 햄록, 미송 등은 색차값이 보다 크게 증가한 경향을 보였다. 서울지역보다 제주도의 경우 더 많은 색상변화가 발생했고, 미생물에 의한 변색도 더 현저하게 많이 나타나는 현상을 보여 지역별로 기상열화에 대한 적절한 유지관리의 필요성이 시사되었다.

      • 국내 자생 목재부후균의 Alkaline Copper Quat(ACQ-2)에 대한 내성 특성

        윤새민 ( Sae-min Yoon ),박용건 ( Yonggun Park ),황원중 ( Won-joung Hwang ),윤정희 ( Jeonghee Yun ),김영숙 ( Yeong-suk Kim ) 한국목재공학회 2021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1

        일부 목재부후균은 구리에 대한 내성을 갖고 있어서 대부분 구리 기반 목재보존제를 사용하고 있는 국내 목재 산업에서 매우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국내 자생 미생물과 그들이 나타내는 구리 내성 특성 및 기작의 구명은 매우 중요한 과제로서 연구의 필요성이 크지만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구리계 목재보존제인 ACQ-2를 처리한 목재에서 나타나는 국내 자생 목재부후균(갈색부후균 7종, 백색부후균 12종)의 구리 내성을 평가하고자 목재 부후균에 노출된 ACQ-2처리 목재의 질량 감소율과 옥살산 생산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부후력이 크게 나타난 4종의 갈색부후균 중, F. pinicola와 F. palustris가 구리에 내성이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부후력이 있다고 판단된 9종의 백색부후균 중, C. lacerata와 T. versicolor가 구리에 내성이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실험을 통해서 국내에 많이 분포하고 있지만 지금까지 구리 내성에 관해서 알려지지 않았던 F. pinicola와 C. lacerata가 추후 국내의 구리계 목재보존제의 내성 연구에 고려되어야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갈색부후균과 백색부후균의 옥살산 생산량 측정을 통해서 구리 적응을 위한 과량의 옥살산 분비는 갈색부후균 뿐 아니라 백색부후균에서도 나타나는 특성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