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석기시대 석기·골각기의 연구 현황과 과제

        윤정국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5 고고학지 Vol.21 No.-

        This paper has arranged research on stone tools and bone implements of the Neolithic Age and reviewed the necessary steps to take in order to further the analyses. Research on stone tools carried out before the 1970s was focused on simple introductions and general explanations. In the 1980s, morphological research commenced on the types of stone tools. In the 1990s, studies came to focus on livelihood-based reviews and comparisons of the historic sites, their chronological changes, as well as the usage of the stone tools. In the 2000s, researchers analyzed stone tool production techniques and the traces of their utilization. In the 2010s, the precision and content of the analyses were reinforced based on reviews of the existing interpretation and added materials. Research was also carried out on their production and functions. Researchers saw the need for widening the spatial range; spatial analysis of relics; research on chipped stone tools; the production of stone tools and their functions; stone tool formation and precision of livelihood; research on exchanges and distribution; and review of the early stone tool culture were also relevant. As for research on bone implements, it started in North Korea in the 1950s and continued until the 1970s with the focus on simple suppositions on animal bones. During the 1980s, thorough research was carried out, including the classification of bone implements in each historic site and a review of production techniques or the traces of cutting. In the 1990s, research was made with the focus on reviewing the bone implements used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in addition to the inquiry of temporospatial changes linked to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2000s, new research made inroads on individual types and livelihood. In the 2010s, research on bone implements started with the focus on their status and is proceeding in the direction of studying the Neolithic livelihoods. The tasks to be done include establishing a criteria for the classification and standardization of bone implements, review of their usage and methods of use, a comprehensive comparison and review of the bone implements-related culture, and continued professional education. 본고는 신석기시대 석기와 골각기의 연구현황(논문)을 정리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70년대 이전의 석기연구는 단순한 소개와 개괄적인 설명이 중심을 이루었고, 80년대에는 석기 기종에 대한 형태학적인 연구가 시작되었다. 그리고 90년대에는 유적에 대한 생업 검토와 비교, 유적의 성격과 시기적인 변천, 내륙지역 출토 석기의 용도와 사용방식, 농경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였다. 2000년대에는 석기와 관련된 논문 수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연구주제도 다양해졌다. 석기제작수법과 사용흔 분석, 석재 원산지와 교류 연구가 새롭게 시작되었지만 석기조성과 기종별 석기연구가 중심을 이루었다. 2010년대에는 기존의 해석을 검토하고 추가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의 정밀성과 내용이 보강되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다루었던 제작, 기능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였다. 그리고 석기연구의 현황을 통해 해결해야 할 과제도 있었다. 공간적 범위의 광역화, 유물의 공간분석, 타제석기에 대한 연구, 석기제작과 기능, 석기조성과 생업의 정밀화, 교환과 유통에 대한 연구, 초창기 석기문화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골각기의 연구는 50년대에 북한에서부터 시작된 이래 60년대 까지 동물 뼈에 대한 동정과 단순한 추론이 이어졌다. 70년대에는 남한에서도 자료를 소개하거나 비교하는 연구가 나타났다. 80년대에는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유적 단위로 골각기를 분류하거나 제작기법, 자른 흔적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졌다. 90년대에는 선사시대부터 역사시대까지 전시기를 망라하여 골각기를 검토하고 환경적인 요인과 접목시켜서 시공간적인 변화상을 살피는 연구가 중심을 이루었다. 2000년대에는 기존의 연구경향을 포함하여 개별기종과 생업에 대한 연구가 새롭게 추가되었다. 2010년대에는 연구의 수량이 많지 않고 대체로 이전 연대의 연구경향이 지속되고 있다. 이처럼 골각기 연구는 동정에서 시작하여 생업에 대한 연구로 나아가고 있지만 골각기의 분류에 대한 기준과 통일성, 용도와 사용방식의 검토, 골각기문화의 종합적인 비교 검토, 전문숙련자의 교육 등이 앞으로 해결할 과제로 볼 수 있었다.

      • KCI등재

        석기조성으로 본 신석기시대 생업경제의 변동과 의미

        윤정국 호남고고학회 2022 湖南考古學報 Vol.70 No.-

        본고에서는 한국 신석기시대 생업경제의 양상과 변화상을 검토하였다. 먼저 유적에서 출토된 석기를 분류하고, 시기적으로 도구 현황과 석기 조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신석기시대 생업경제는 크게 3단계로 구분되었다. 1단계에는 초창기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면서 수렵과 채집을 통해 자연에서 식료를 획득하였다. 즉 홀로세 기후환경 변화에 맞추어 ‘수렵채집경제 : 새로운 획득경제의 적응’으로 나아갔다. 2단계는 조~전기로 이전 시기의 수렵과 채집에 초기농경과 어로가 추가된 혼합경제가 이루어졌다. 세부적으로 지역 환경과 시기에 따라 수렵과 채집, 어로와 농경 등의 생업 비중 차이가 나타났지만, 전반적인 생업 양상은 서로 보완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그래서 이 단계는 낮은 수준의 식료생산경제로의 변화를 가지는 ‘혼합경제Ⅰ: 혼합경제의 도입과 적응’이라 할 수 있다. 3단계는 중서부지역에 자리한 집단의 확산이 이루어지는 시기인 중기와 확산 이후 사회 전반에 잡곡농경이 정착화되고 지역성이 생성되는 후기이다. 생업경제는 잡곡농경을 기본으로 하고 어로와 채집, 수렵이 보조하는 ‘혼합경제Ⅱ : 혼합경제의 확산(남하)과 고착화’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신석기시대의 생업경제의 현상과 변화의 동인은 기후 변동 및 초기농경이라는 외부적 요인과 인구증감에 따른 공간점유압박(전염병 등) 및 내부결속도 등 다양한 가능성을 들 수 있었다.

      • KCI등재

        한반도 중동부지역 신석기시대 생계유형의 검토 - 석기 분석을 중심으로 -

        윤정국 한국신석기학회 2016 한국신석기연구 Vol.- No.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livelihood in the middle eastern region and changes to them by reviewing stoneware excavated in the region. For that purpose, the investigator first categorized the relics by time and space and examined the amounts of stoneware. After categorizing the stoneware by type, it was analyzed by use to figure out its chang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types of livelihood underwent three stages of patterns and changes in the middle eastern region. Stage 1 (the early and former period) had hunting and fishing at the center. The early relics were confirmed in the East Coastal areas, but there were changes to the geography and environment with the rising sea level. The relics were dominated by fishing tools including fishing gear. Relics scattered around the caves in the central inland areas during the former period. The stoneware composition was characterized by a high percentage of hunting tools. There were combination-type fishing hooks and shells excavated in the cave relics, which leads to an estimation that the central inland areas formed a network with the East Coastal areas. Stage 2 (the middle period) witnessed the introduction of mixed grain farming. In the central inland areas, the relics were scattered around the riverside alluvial sites with the increase of gathering and farming tools and food processing tools. There was an inflow of Chimseonmungye pottery and new stoneware into the East Coastal areas, but the rising number of fishing net weights was clearer than that of gathering and farming tools. It is, of course, evident that they started to grow mixed grains according to their short-term adjustment strategy since there were farming artifacts excavated in the Munam-ri relic with increasing plant remains including millet and panicum in the pottery impressions. The changes to the stoneware composition including a rising percentage of fishing net weights, however, indicates that mixed grain farming did not hold a large portion in their livelihood. That is, they made an attempt at diversifying their modes of livelihood including mixed grain farming in addition to fishing and hunting at the stage. Stage 3 (the latter period) saw different changes to the types of livelihood according to the areas. The distribution of relics broadened in the central inland areas. The gathering and farming tools increased in frequency even though the stoneware composition went through no changes from the previous stage, which suggests that the percentage of mixed grain farming was kept at a certain level. In the East Coastal areas, the distribution and number of relics made a dramatic decrease with fishing net weights and processing tools taking the central position in stoneware composition. It is estimated that they must have taken a wrong adjustment strategy to mixed grain farming due to certain reasons (colder climate) and thus maintained their hunting and gathering economy based on fishing. In short, the types of livelihood changed in three chronological stages in the middle eastern region during the Neolithic Age, and they were the product of Neolithic people selectively accepting and adjusting themselves to the types of livelihood according to the regional environments.

      • KCI등재

        한국 신석기시대 조기의 석기제작에 대한 연구

        윤정국 한국신석기학회 2017 한국신석기연구 Vol.- No.3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firm the production of stone tool excavated at the early stage of Neolithic Age. The subjects Jukbyeon-ri site and DongSamdong site were selected. As a result, At the early stage, 13 production methods were confirmed in three production systems. Early stone tool was identified as pebble-core technology, flake technology, flat stone technology. and A total of 13 methods were identified for each stone tool type. Half of the 13 were made with pebble-core technology. And the rest was used to produce certain stone tool and small stone tool. There are three characteristics of early stage stone tool production. First, the application of technology to natural stone materials becomes diverse. and New types of stone tools are identified. Secondly, the manufacturing process using blade material disappears. and New flat stone technology is utilized. Finally, the frequency of making stone toole increases through the use of marble technology. These results are probably due to changes in sea level and natural environment. In other words, as the livelihood style chang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environment, the form and production method of stone tool have changed.

      • KCI등재

        신석기시대 굴지구의 변천과 의미

        윤정국 호남고고학회 2020 湖南考古學報 Vol.65 No.-

        본고는 한국 신석기시대 굴지구의 시기적, 지역적인 변화를 살펴보고, 그 변화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단일기종으로 굴지구 만을 대상으로 자료를 취합하고, 굴지구의 분포, 크기와 무게 및 암질, 형식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굴지구의 분포는 조기단계에 동·남해안에서 먼저 출현한다. 전기단계에서는 중서부지역에서 침선문계 토기 집단이 새롭게 등장한 이래 중후기단계에는 점차 남해안과 내륙 쪽으로 분포범위가 확산된다. 그리고 굴지구는 이른 시기에 비해 늦은 시기로 갈수록 점차 크기가 규격화(規格化)를 갖추어 간다. 또한 암질(석재)의 다양화가 나타나고 있어 지역 환경에 적합한 암질을 선택하고 있다. 즉 굴지구의 수량증가와 확산은 크기의 규격화와 지역적 환경(암질)의 차이를 해결(또는 적응)하는 제작기술의 발달이 이루어지고 있다. 굴지구의 형식적인 변화는 전체 굴지구의 81%를 차지하는 B·C·D식 굴지구의 변화상에서 관찰된다. 굴지구의 형식은 생계 양식과 더불어 시기적으로 변화되었다. 조기단계에는 굴지(掘地)를 목적으로 하는 토굴구로서 C식 굴지구가 주로 이용되었다. 전기단계에는 초기농경이 정착되면서 D식 굴지구가 활용되다가, 중기단계에서는 초기농경의 확산과 더불어 기경구(起耕具)로서 D식 굴지구의 수량이 증가하고 확산되었다. 그리고 후기단계에서는 D식 굴지구가 여전히 높은 비중을 가지고 있지만, 지역별로 굴지구의 형식에 대한 선호도 차이가 나고 있어 굴지구가 지역별로 토착화되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정리하면 굴지구는 한반도 신석기시대 네트워크의 변동과 초기농경과의 관계 속에서 변화되었다. 굴지구는 이른 시기에 땅을 굴착하는 용도(토굴구)로서 활용되다가 초기농경의 등장과 함께 기경구로서 굴지구의 수량이 증가한다. 이후 지역으로 확산하면서 지역화되는 양상으로 변화되었다.

      • 아플라톡신 B1 섭취가 위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

        윤정국,강종원,김헌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3 忠北醫大學術誌 Vol.13 No.2

        연구목적: 콩과류 식물에서 많이 생성되는 아플라톡신 B1은 강력한 발암물질로서 간암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여러 연구에서 아플라톡신 B1이 폐암이나 위암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는 보고가 있으나 음식물을 통한 아플라톡신 B1의 섭취와 위암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위암발생률이 높은 우리 나라에서도 아직까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아플라톡신 B1 섭취가 간조직의 p53과 Ki-ras 유전자의 특정 돌연변이를 일으킨다는 연구가 있으나,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연구가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식물을 통한 아플라톡신 B1 섭취와 한국인 위암과의 관련성과 아플라톡신 B1 섭취와 p53 유전자 및 Ki-ras 유전자 돌연변이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위암 환자 214명과, 이들과 성별과 나이를 짝지은 대조군 214명을 이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반정량적 설문을 이용하여 89개 식이항목에 해당하는 음식 섭취량을 직접면접을 통해 측정하였고, 이들 식이항목을 수집하여 경쟁적 효소면역반응법(competitive ELISA)으로 음식물에 함유된 아플라톡신 B1의 양을 정량화 하였다. 이 결과를 이용하여 대상자들의 아플라톡신 B1 섭취량을 추정하고 위암 환자군과 대조군 사이에 아플라톡신 B1 섭취량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였다. 또한, 위암환자의 종양조직에서 추출한 RNA를 이용하여 RT-PCR을 시행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p53와 Ki-ras 돌연변이를 검출하고, 아플라톡신 B1 섭취량에 따른 이들 유전자 돌연변이의 차이 여부도 조사하였다. 결과: 칼로리를 보정한 주당 총 아플라톡신 B1 평균 섭취량은 위암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각각 6,714.08ng과 6,312.65ng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09). 주당 아플라톡신 B1 섭취량을 저섭취군과 고섭취군의 2단계로 나누어 OR을 산출한 결과 아플라톡신 B1 고섭취량군의 OR(95% CI)이 1.54(1.05-2.58)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환자군을 대상으로 p53과 Ki-ras 유전자 돌연변이와 아플라톡신 B1 섭취량의 관계를 검정한 결과 아플라톡신 B1 섭취정도에 따라 두 유전자의 돌연변이 빈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아플라톡신 B1의 섭취가 위암의 위험인자임을 시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아플라톡신 B1 섭취가 p53이나 Ki-ras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Puorpose: Aflatoxin B1, which is toxic, mutagenic and carcinogenic has been suspected of contributing to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In recent researches aflatoxin B1 intake have been reported to be related with lung cancer and stomach cancer. However, studies on the associations between dietary intake of aflatoxin B1 and stomach cancer risk are scarce. We have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intake of aflatoxin B1 and the risk of stomach cancer in Koreans. Materials and Methods: Two hundred fourteen pathologically-proven stomach cancer patients and 214 age-matched controls were included as the study subjects. Information about food item and dietary intake was collected by direct interview. Level of aflatoxin B1 was determined in 89 Korean food items using competitive ELISA. Intake amount of aflatoxin B1 was estimated by multiplying intake amount of food items and average concentration of aflatoxin B1 in the food items. Detection of p53 and Ki-ras gene mutation using RT-PCR direct sequencing. Results: The mean aflatoxin B1 intake amou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tomach cancer patients than in controls(OR:1.54 95% CI: 1.05, 2.28). p53 and Ki-ras gene mutations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calorie-adjusted intake amount of aflatoxin B1. Conclusion: It is suggest that dietary intake of aflatoxin B1 would be a risk factor for stomach cancer in Koreans and low level aflatoxin intake would not induce p53 or Ki-ras mutation in stomach tissue.

      • KCI등재

        신석기시대 호남지역의 바다경관과 변동 연구

        윤정국 호남사학회 2023 역사학연구 Vol.92 No.-

        본 논문은 신석기시대 호남지역의 바다자원의 경관 모습과 시기적 변화를 살펴보왔다. 신석기시대 호남지역 바닷가에 자리한 많은 유적들의 자연경관과 이에 적응하는 인문환경의 적응전략과 변화상을 복원하는데 일조하였다. 이를 위해 바다와 해안에 자리한 유적들을 입지에 따라 외해도서권, 연안도서권, 하구내만권, 내륙연안권 등 4개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각 유적의 자리한 환경적인 특징을 살펴보았다. 외해도서권의 어민들은 어로에 집중한 삶으로 광범위 네트워크를 가지고 계절적인 이동을 하였다. 연안도서권의 어민들은 육지와 섬이라는 환경을 적절하게 이동하는 생업전략으로 현재의 어촌과 같은 연안 어업과 수렵, 채집 등을 영위하다가 이후 잡곡농경이 혼합된 생업경제를 가졌다고 보았다. 하구내만권과 내륙연안권은 주로 후기단계 형성되는데 바다자원과 육상자원을 번갈아 활용하는 근거지 또는 중간지대, 병참기지로서 혼합경제를 영위하였다. 그리고 시기적으로 유적의 분포와 변화를 검토하였다. 2가지의 시나리오를 제시하면서 시기적인 생업경제의 변화와 연계되어 유적 분포를 해석하였다. 초창기, 조전기는 바다자원을 활용한 어민들이 생업전략에 따른 입지를 선택하고, 수렵과 채집, 어로를 하였지만, 중기에 이르면 유적이 급감(미발견)하면서 내륙강가에 유적이 등장한다. 이후 후기에는 입지의 다양성과 함께 바다자원을 이용하는 생업전략이 다시 등장하면서 바다자원을 활용한다. 마지막으로 호남지역 신석기시대 유적분포와 생업경제의 변화 동인(動因)은 홀로세 기후변화, 잡곡농경의 유입과 정착, 인구증감 및 이주 등으로 해석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landscape and temporal changes in marine resources in the Honam region during the Neolithic Age. Therefore, we reviewed the natural scenery of many sites located on the islands and coastal coasts of the Honam region during the Neolithic Age. And it helped restore the adaptation strategies and changes in the humanities environment that adapt to this. For this purpose, it was classified into four areas according to location: outer coastal area, coastal island area, estuary inland bay area, and coastal area. And the author looked at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each site. Fishermen in the offshore coastal area moved seasonally with an extensive network based on the fishing economy. Fishermen in the coastal island area are part of a subsistence economy that moves between land and islands. Like today's fishing villages, they engaged in coastal fishing, hunting, and gathering. And later, a subsistence economy mixed with grain farming was added. The estuarine bay zone and coastal zone were mainly formed in the later stages. They alternately utilized sea and land resources. Therefore, it operated a mixed economy as a base, intermediate zone, or logistics base. And the distribution and changes of the site over time were reviewed. And two scenarios were presented. The scenario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sites in connection with changes in the livelihood economy over time. In early times, fishermen chose locations to utilize sea resources. And they engaged in a hunting, gathering, and fishing economy. However, in the middle period, the number of sites in the sea, islands, and coasts decreases sharply(currently not discovered), but sites appear along inland rivers. In the latter period, location types become more diverse. And as livelihood strategies using sea resources reemerge, the number of sites increases along the coast and on islands. Lastly, the distribution of Neolithic sites and changes in the livelihood economy were interpreted in terms of Holocene climate change, the introduction and settlement of mixed grain farming, population increase and decrease, and mig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