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우디와 훈데르트바서 작품에 나타난 유기적 건축 특성 연구

        김소연(제1저자) ( Soyeon Kim ),윤재은(교신저자) ( Jaeeun Yoon ),조경영(공동저자) ( Kyoungyoung Ch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6

        (연구배경 및 목적) 인간은 사물을 처음 만들기 시작하면서부터 자연의 재료와 형태에 영감을 받아 그 형상을 은유, 묘사, 모방하기 시작했다. 그 후에도 자연은 여러 디자인에 있어 중요한 모티브가 되었고, 건축에서도 유기적 건축이라 불리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유기적 건축이라는 개념은 과거의 여러 건축가들로 인해 꾸준히 발전되어 왔고, 현재까지도 그 중요성이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 두 작가를 연구하게된 목적은 안토니 가우디와 훈데르트바서는 각기 다른 자국인 스페인과 오스트리아로 풍토와 지역기후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데, 어린 시절 자신이 자라온 환경에 영향을 받고, 각자의 지역 전통방식을 반영한 건축물과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건축물에 있어서는 현대 건축보다는 근대기 유기적 건축인 자연 유기체의 형태적 표현을 모방하며, 주변 자연 환경과 건축의 관계를 불가분한 것으로 보았다. 또한 19세기 후반 아르누보 양식의 영향을 받아 식물형태와 강렬한 색채 사용 등을 기본에 둔 새로운 장식을 건축에 표현하였는데, 같은 기법이어도 두 작가가 초점을 맞추고 설계에 있어 중요시 하는 기준에서는 분명한 차이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슷하지만 서로 주장하는 바의 사상, 개념 해석력이 다른 점을 보이는 두 건축가를 각 작품에 나타나는 대표작을 통해 유기적 개념과 표현법을 분석함에 목적을 둔다. 이는 유기적 건축의 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와 선행연구를 통해 유기적 개념과 건축 특성을 알아보고, 두 건축가의 작품에 나타나는 유기적 건축 특성 및 조형성 등은 종합 사례 표를 제시하여 분석 한 뒤, 이를 통해 특성 및 해석에 대하여 타당성을 부여한다. (결과) 가우디는 카탈루냐 고딕이라는 지역 전통을 반영하고 자연에서 영감을 얻어 건축물과 자연이 일체 되는 것을 강조하였고, 나무나 뼈, 근육의 힘줄과 같은 구조로 조형물에 가까운 유기적 건축물을 표현하였다. 또한, 돌은 언제나 가우디가 원하는 형태로 만들어 주는 무궁할 가능성을 가진 재료로써, 쉽게 인지되지 않는 연속된 곡선을 사용하여 가우디만의 유기적 건축물을 만들어 냈다. 이에 훈데르트바서는 인간은 자연에 잠시 들린 손님이라며, 기본 이념이 인간이 거주하는 곳에 환경을 보호해야한다 생각했다. 또한, 인간과 자연에 손상을 입히는 건축을 반대했고 생태적, 친환경적의 중요성을 건축의 대지 경계를 무시하는 등 종합적으로 표현하였으며, 직선은 인간성의 상실로 이어지고, 무신론적 비도덕적 이라 생각하여 모든 건축물에 유기체 곡선과 나선을 사용하였다. 이 분석을 통해 결론적으로 두 건축가는 자연과의 조화를 중시하고, 자연의 선이라 믿는 곡선을 주로 사용했다는 점을 알 수 있었으며, 서로 다른 지역 환경에서 자신만의 유기적 건축을 해석하는 표현법 또한 볼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앞서 고찰한 두 건축가의 작품을 통해 유기적 건축의 의미를 모색하였는데, 이를 통해 유기적 건축이 현시대에 맞게 다시 한 번 재해석되어 건축물을 창조하는 데 있어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 할 수 있도록 이와 비슷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Once human create things first, they metaphor, they use metaphor, describes and imitate the shape of nature, inspired by material and shape of the nature. The nature has been a significant motive in many designs and in architecture, it is called organic architecture and playing an important role. A concept of organic architecture has been developed by various architectures in the past and still it draws attentions with its significance. The purpose to analyze Antoni Gaudi and Hundertwasser, who show a big difference based on the climatic and local characteristics of Spain and Austria, is that they were affected by the environments they grew in childhood and designed buildings and things, reflecting their own local tradition. They thought that nature and surrounding environment had an inseparable relation with the architecture, Imitating formal expression of the modern organic architecture than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constructions. In addition, in the late 19th century, they were affected by art nouveau style. When they expressed new ornaments based on plant motif and strong colors in constructions, they used same methods but showed a difference obviously with different standard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organic concept and expression in their representative works which show similar, but distinctively different interpretation of ideology and concept. It seems significant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organic architecture. (Method) Organic concept and architectur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ased on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advanced research and organic architecture characteristics and formativeness in works of two architects were analyzed with comprehensive case table. And then their characteristics and interpretation will have validity. (Results) Gaudi reflected local tradition, Catalan Gothic and emphasized harmony and unity between building and nature, inspired by the nature. And he expressed organic architect with wood, bones, muscle-tendon to look like organic constructions. In addition, stone has endless potential to make shape which Gaudi wanted. It has easily unperceived continuous curves to make his own architecture. However, Hundertwasser thought a man was a guest to visit the nature and his basic concept was to protect the environments where men stayed. He opposed architecture which damages human and nature and synthetically expressed the significance of ecological and eco-friendly architecture in architecture by ignoring the boundary of the site of construction. He used curves and spiral in every architecture, thinking that straight line was Godless and immoral to lose human nature.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wo architects valued harmony with nature and used curves mainly, thinking the curve was the line of nature. And they has their own expression to interpret organic constructions in different circumstances. (Conclusions) This study has sought meaning of organic architecture in works of two architects. It is important to continue similar studies to show new possibility to reinterpret organic architecture contemporarily and create new ones.

      • KCI등재

        부산 영화의 전당에 나타난 쿱 힘멜블라우 건축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최규혜(제1저자) ( Gyuhye Choi ),윤재은(교신저자) ( Jaeeun Yo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6

        (연구배경 및 목적)해체주의 건축가 쿱 힘멜블라우는 60년대 말 아키그램의 영향과 초현실주의적 경향으로 다른 해체주의 건축가들과 차별화된 그들만의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쿱 힘멜블라우가 설계한 부산 영화의 전당은 해체주의 공간 미학에 기초한 조형미가 우수한 건축물로 평가 받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해체주의 건축가 쿱 힘멜블라우의 공간 철학에 대한 관점을 연구 배경으로 하여 부산 영화의 전당에 나타난 공간적 특성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본 논문의 연구 방법은 첫째, 쿱 힘멜블라우의 해체주의 건축 철학에 대한 이론적 접근으로부터 시작한다. 쿱 힘멜블라우의 공간적 특성은 그들 특유의 해체주의 건축 이념에 의해 표현되어 왔다. 그러므로 부산 영화의 전당에 나타난 공간적 특성 역시 우선적으로 쿱 힘멜블라우의 건축 이념에 대한 이론적 접근으로부터 출발해야 할 것이다. 두 번째로는 부산 영화의 전당에 대한 실제적 현장 분석 방법이다. 본 연구자는 이를 위해 부산 영화의 전당에 나타난 쿱 힘멜블라우의 건축 이념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공간과 표현 기법에 대하여 현장 답사를 기초 자료로 작성하여 본 논문에 제시하고자 한다. (결과)본 논문에서 분석해본 결과 부산 영화의 전당에 나타난 쿱 힘멜블라우의 건축적 특성은 크게 5가지로 볼 수 있다. 첫 번째, 공간의 비정형성이다. 부산 영화의 전당은 기울어짐, 비틀림, 꿰뚫음, 갈라진 틈, 기하학적 충돌에 의해 비정형적인 공간을 구성한다. 비정형적 공간은 불안정감과 불균형을 통해 시각적 운동감과 긴장감을 유발하여 열린 공간을 표현한다. 두 번째, 공간의 비영역성이다. 부산 영화의 전당은 공간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사용되고 중첩되며 그 개념이 모호해진다. 모호해진 공간은 비영역성을 가지며 개방적이고 열린 공간이 된다. 세 번째, 공간의 투명성이다. 부산 영화의 전당은 유리와 선(line)적인 재료를 사용함으로서 투명한 건축으로 생성되었다. 투명한 건축은 내·외부 공간에 상호 관입을 가능케 하여 내부에서 외부로 공간이 확장되며 열린 공간을 추구하게 된다. 네 번째, 유기적인 건축이다. 빅루프와 스몰루프, 공중의 브리지는 반중력성과 역동성을 보여주며 환상적이고 공상적인 건축을 가능케 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반응하는 건축이다. 부산 영화의 전당은 새로운 형태와 공간을 창조함으로서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공간이 변하고 움직이는 사용자 중심의 미학적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본 논문에서는 부산 영화의 전당이 쿱 힘멜블라우의 건축에서 가장 중요시 하는 열린 공간의 성격이 잘 나타나있는 건축이라고 분석하였다. (결론)본 연구를 통해 부산 영화의 전당이 단순히 부산국제영화제 전용관으로서가 아니라 부산의 제2의 도약이자 지역기반산업인 관광산업의 활성화라는 정치적, 경제적 목적을 가지고 시작한 부산국제영화제의 효율적인 운영과 부산의 영상문화도시 이미지창출 및 정체성 획득을 위한 기념비적인 건축물이라는 건립 배경을 바탕으로 쿱 힘멜블라우의 건축철학이 담긴, 열린 공간의 미학이 잘 표현된 건축물로서 이해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The Busan Cinema Center, designed by Coop Himmelb(l)au, is considered a landmark building from the perspective of deconstructive spatial aesthetics. This study examin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Busan Cinema Center with Coop Himmelb(l)au`s spatial philosophy as the research background. (Research methods) This paper starts with a theoretical approach to Coop Himmelb(l)au`s philosophy of deconstruction architecture. The spatial domain has been described in Coop Himmelb(l)au`s unique philosophy of deconstruction architecture. Hence, firs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Busan Cinema Center are analyzed with a theoretical approach to the architectural philosophy of Coop Himme(l)blau. This is followed by a real-scene analysis of the Busan Cinema Center. To this end, this paper uses a field survey to analyze the spatial and expression techniques shown in the Busan Cinema Center representing the architectural philosophy of Coop Himmelb(l)au.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fiv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usan Cinema Center. First, the structure of the space is irregular. The Busan Cinema Center comprises an irregular space characterized by sloppiness, penetration, cleft, and geometrical conflict. Irregular space refers to an open space causing a visual sense of motion and a feeling of tension. Second, the space is non-territorial. The Busan Cinema Center uses spatial elements, which are overlapping and ambiguous, in a complex manner. The blurred space is converted into a non-territorial, open space. Third, the space is transparent. The Busan Cinema Center was formed as a transparent piece of architecture from glass and linear materials. Transparent architecture creates an open space by enabling the mutual intersec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Fourth, the architecture is organic. Big Roof and Small Roof, and Bridge in Air illustrate gravity-defying designs, dynamism, and fantastic, imaginary architecture. Lastly, the architecture changes per the users` needs. The Busan Cinema Center demonstrates new forms and spaces which have user-oriented aesthetic characteristics such that the spaces change and move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rchitecture of the Busan Cinema Center is characterized by an open space that is valued most highly in Coop Himmelb(l)au`s philosophy. (Conclus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elp people understand that the Busan Cinema Center is not only a theater dedicated to the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BIFF), but is also a monumental building that was constructed to promote th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BIFF. This festival began with the political and economic purposes of initiating the second take-off of Busan and launching the tourism industry, which is its foundation industry, as well as to create an identity of Busan as a city of visual culture. This background knowledge helps us understand that the Busan Cinema Center is an architectural work embodying the architectural philosophy of Coop Himmelb(l)au and the aesthetics of open space.

      • KCI등재

        유휴 산업시설을 활용한 국내 전시관의 재생사례 연구

        김인호 ( In Ho Kim ),윤재은(교신저자,교수) ( Jae Eun Yo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산업구조가 변화하면서 자연스럽게 유휴 산업시설이 생겨났고, 유휴 산업시설을 활용해 다양한 전시관 및 문화공간들이 생겨났다. 그것이 도시 재생으로 이어지고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국내에서도 유휴 산업시설의 재생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유휴 산업시설을 활용한 다양한 사례의 전시관들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휴 산업시설을 활용한 국내 전시관 사례분석을 통해 필요한 구성요소를 알아보고 앞으로 유휴 산업시설을 활용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유휴 산업시설 재생에 대한 개념과 특성 그리고 문화공간으로서의 가치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였다. 국내 사례 분석에 앞서 성공적인 해외사례지 바탕으로 한 선행논문분석을 통해 정체, 보존, 사회, 환경을 카테고리를 도출하였다. 또한 국내 사례지를 바탕으로 한 선행논문 분석을 통해 역사성, 상징성, 구조체보존, 재료보존, 참여성, 연계성, 접근성, 장소성 총 여덟 가지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앞서 나온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한 논문분석에서 나온 네 가지 카테고리와 국내사례를 중심으로 한 논문분석에서 나온 여덟 가지의 키워드를 재정리하여 국내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사례지를 선정한 기준은 지역재생 활성화의 거점의 공간으로 전시관으로 리노베이션이 되고, 지역적 특색이 명확하게 나타난 곳으로 분석의 대상으로서 유효한 가치가 있는 장소들이다. 이에 합당한 사례지는 정선 삼탄아트마인, 윤동주 문학관, 김중업 박물관, 광명 업사이클 아트센터, 인천 아트 플랫폼으로 다섯 곳으로 선정하였다. 앞서 추출한 각 4가지 분류와 총 8가지의 키워드로 분석의 틀을 설정하고 문헌연구와 현장조사를 통하여 국내의 유휴 산업시설을 활용한 전시관사례를 분석 하고자 한다. (결과) 이를 기반으로 정선 삼탄아트마인, 윤동주 문학관, 김중업 박물관, 광명 업사이클 아트센터, 인천 아트 플랫폼을 분석한 결과 정선 삼탄아트마인은 정체성과 보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윤동주 문학관에서는 전체적인보존 에서 재료 보존도를 제외하고 골고루 높은 것으로 보였고, 김중업 박물관에서는 사회분야와 환경분야 요소들이 집중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명 업사이클 아트센터에서는 사회분야에서 참여성과 연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인천 아트 플랫폼 에서는 사회분야에서는 연계성, 환경 분야에서는 두 가지 요소 모두 높은 것으로 나왔다. (결론)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휴 산업시설이 활용되는 전시관에서는 정체성은 보존도와 서로 연관이 있고, 환경 분야는 사회분야와 서로 영향을 주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보존도가 높은 전시관에서는 역사성 그 자체가 전시의 요소로 활용 되고 있다. 이러한 요소가 전시관의 강한 정체성을 구성하며 이로 인해 관람자가 이전에 쓰였던 공간의 역사와 상징을 알 수 있고 그것이 전시관을 구성하는 정체성을 이루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사회적 연계성과 지리적의 접근의 용이함이 지역적 활성화를 이끌어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시재생을 위한 기틀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reason why industrial structure is changing, arrived so many idle industrial facilities were created. This social phenomena makes to use idle industrial facilities as the Museum or cultural space. And then this kinds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can carry over Urban Renaissance and regional economic vitalization. Nowadays, South Korea also Recovery and change idle industrial facilities to play actively, besides, already many cases of culture spaces used to idle industrial facilities in Korea. Therefore, in this research, through the national pavilion of the case analysis utiliz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examine the necessary components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the idle industrial facilities, there is a purpose to prepare the future of basic data. (Method) In this study, we consider the theory of value as a concept and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space for the idle industrial facilities of playback. Before analyze Korean cases, we’d analyze international cases to got four categories, that is identity, conservativeness, society, environment. also we’d extract the keyword from previous research about the idle industrial facilities of playback. That keyword is historicity, symbolism, conservation structures, preservation material, community attribute, connectivity, placeless. We’ve use that analyzed four categories and eight keyword, to analyze South Korea’s cases. This chose areas are systematically related to municipality or renovated space. The identity-clear place that has regional characteristics also can be a chosen case areas. The chosen case areas are space that is valued as a subject of analysis. These five case areas Jeongseon Samtanartmine, Yoon-dong-ju literary house, Kim-jung-up museum, Gwangmyeong epicycle art center, Incheon art platform will be researched. Now, we begin to analyze gallery characteristics with 8 keyword that broken down from precede thesis’ four classifications. (Result) Through the study, we can know that Samtanartmine has the best condition of identity and preservation. Yoon-dong-ju literary house have a good balance except preservation of materials. Kim-jung-up museum have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tensively. Gwangmyeong upicycle art center have good at social connectivity and community attribute, Incheon Art platform have high quality at social connectivity and environment. (Conclusion) Therefore, in this study, in the exhibition hall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have been utilized, identity, are related to each other and the field of preservation, the environment,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that gives society in the field and each other to the impact It was analyzed. In the highly conserved Exhibition Hall, the historic property itself has been used as an element of the exhibition. These elements constitute a strong identity of exhibition hall, by which, onlookers can know the history a symbol of previously used space, it was found that forming the identity constituting the pavilion . Also, ease of social cooperation with geographic access local governments has been found to result in activation of the region. This was found to be the basis for urban regeneration.

      • KCI등재

        해체주의 관점에서 본 잉고 마우러 조명의 조형적 특성 연구

        홍지나 ( Ji Na Hong ),이지연 ( Jee Yeon Lee ),윤재은(교신저자) ( Jae Eun Y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현대공간에서 용도와 의도에 의해 구조와 형태가 결정지어지는 모더니즘의 조형적인 시각에서 벗어난 조명작업을 하고 있는 잉고 마우러의 조형 특성이 해체주의 관점에서 나타나는 조명의 조형적 핵심 특성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는 1960 년대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작품 중 잉고 마우러의 아이콘이라 할 수 있는 7 점의 조명작품을 토대로 사례 분석한다. 연구의 내용은 잉고 마우러의 작품의 배경과 조명의 특징을 고찰한 후 해체주의의 성립 배경 및 개념과 특성을 토대로 나타나는 디자인적 특성을 분석 정리한다. 또한 도출된 해체주의의 형상적 개념유형인 탈구성, 탈중심, 탈중력, 불연속성, 의미의 불확정성, 분리, 분열, 붕괴 그리고 흔적의 유형을 토대로 결과도출을 위한 분석틀을 마련한다. 마지막으로 해체주의의 관점으로 잉고 마우러 조명작품의 표현 및 조형 특성을 분석하여 결론으로 도출한다. 도출된 잉고 마우러 작품의 배경과 조명의 특징은, 첫째, 은유적 형태의 미학, 둘째, 산종(해체)의 재결합, 셋째, 첨가적 개념 변이, 넷째, 조명의 비경계화로 나타나고 있다. 잉고 마우러의 조명 작품은 새롭고 다양한 형태와 풍부한 사고로 자신의 조명 작품을 만들어나가고 있어 우리에게 폭넓은 시각의 원천이 되고 있다. 또한 미학적 탐구뿐만 아니라 기술의 발전에 맞게 선구적인 조명작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기존 사고의 틀을 깨는 파격적인 면을 보여주고 공간의 무한 표현가능성과 활용성을 제시하는 작가이다. Study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Ingo Maurer``s Lighting seen from the De-constructive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lighting shown from the de-constructive perspective of Ingo Maurer who is known for his lighting work deviating from the formative perspective of modernism in which structure and form are determined according to purpose and intention in modern space. As for the scope of study, case analysis will be conducted based on Ingo Maurer``s iconic seven pieces of lighting work among his works that have been crated since the 1960s. In regards to the contents, background of Ingo Maurer``s works and the characteristics of lighting will be examined. After that designs characteristics shown will be analyzed and summarized based on the foundational background,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de-constructivism. Furthermore, analytical framework for deducing results will be prepared based on the formative concept types of de-constructivism deduced, namely, decomposition, decentralization, de-gravity, discontinuity, uncertainty of meaning, separation, division, disintegration and trace. Lastly, conclusions will be deduced by analyzing the expression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Ingo Maurer``s lighting works based on the de-constructive perspective. Deduced conclusions are first, metaphorical form of esthetics, second, reunion of dissemination, third, additional concept modification and fourth, de-perimeterization of lighting. As Ingo Maurer``s lighting works are being created in new and various forms with exuberant ideas and thoughts, they become a source of broad views for us. He is an artist who is presenting pioneering lighting works according to technological advancement in addition to aesthetic exploration. Additionally, he presents the possibility infinite expressiveness of space and usefulness while also showing us an unprecedented aspect of breaking the framework of existing though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