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흡입용 천식 치료제 사용후 발생한 역설적 기관지 수축에 미치는 Benzalkonium Choloride 의 영향

        이영진(Young Jin Lee),오지섭(Ji Sub Oh),정종원(Jong Won Jung),차혜리(Hye Ri Cha),윤운기(Un Ki Yoon)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1997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7 No.1

        목 적 : 최근 들어 기관지천식 환아들의 치료에 흔히 사용되는 흡입용 천식 치료제의 홉입후 역설적으로 기관지 수축이 일어나서 천식 중상이 악화되는 예들이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이 역설적인 기관지 수축의 원인이 흡입 치료제에 들어 있는 첨가 보존제인 benzalkonium chloride에 의한 것이라는 가설 하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현재 왈레스 기념 침례병원의 알레르기 클리닉에서 추적 관리 중인 만 4세 이상의 안정된 기관지천식 환아 30명을 대상으로 benzalkonium chloride가 포함된 salbutamol 제제인 Ventolin과 benzalkonium chloride가 포함되지 않은 salbutamol 제제인 Respolin autohaler를 흡입하고 각각 흡입 전과 흡입 후의 FEV_1(% Predicted)을 상호 비교하였다. 결 과: 1) 안정 상태에서 기초 검사로써 시행한 폐기능 검사치는 Ventolin 흡입군에서 FEV_1이 73±10(% predicted), Respolin autohaler 흡입군이 74±10(% predicted)으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Ventolin 흡입군에서는 대상 30명중 9명(30%)에서 FEV_1의 감소를 보였으며 Respolin autohaler 흡입군에서는 30명중 1명(3.3%)에서 FEV_1의 감소를 보여, FEV_1의 감소를 보인 비율은 Ventolin 흡입군에서 Respolin autohaler 흡입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05, 단측검종). 3) Ventolin과 Respolin autohaler 흡입후 기초 검사시보다 FEV_1이 감소하거나 변화가 없었던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 경우에서 FEV_1의 증가 정도는 Ventolin 흡입군에서 9±7(% predicted), Respolin autohaler 흡입군에서 7±5(% predicted)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Ventolin에 의한 증상 유발은 FEV_1 10(% predicted) 이상 감소한 4명(13.3%)에서 기침 둥의 중상이 유발되었으나 이들은 자연 소실되었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기관지천식 환자에서 Ventolin 분무액 흡입시 나타나는 역설적인 기관지 수축 현상의 원인은 benzalkonium chloride에 기인한다고 생각되며, 이러한 기관지 수축 현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benzalkonium chloride가 첨가되지 않은 제제를 사용하거나 또는 benzalkonium chloride가 포함된 제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깊은 주의를 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Recently, some cases of paradoxical bronchoconstriction with the use of nebulized antiasthmatic respirator solutions have been reporte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benzalkonium chloride, contained in several antiasthmatic respirator solutions as a preservative, may cause paradoxical bronchoconstriction. This was accomplished by comparing the FEV1 change after Ventolin (benzalkonium containing salbutamol) nebulization with the FEV1 change after Respolin autohaler (benzalkonium free salbutamol) inhalation within the same patient. This study consisted thirty patients with stable asthma who regularly attend the allergy clinic at Wallace Memorial Baptist Hospital. Patients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if they had respiratory disease or were taking any other medica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baseline FEV1 in the Ventolin group was 73±10(% predicted) and 74 10(% predicted) in the Respolin autohaler group, showing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baseline FEV1 between the two groups. 2) FEV1 was decreased in 9 subjects(30%) after Ventolin nebulization and in 1 subject(3.3%) after Respolin autohaler inhalation, showing that the incidence of FEV 1 fall was higher in the Ventolin group than in the Respolin autohaler group(p<0.005, one-tailed t-test). 3) Considering the cases with increased FEV1 after inhalation, FEV1 was increased by 9±7 (% predicted) in the Ventolin group and 7±5(% predicted) in the Respolin autohaler group, suggesting that bronchodilator effects of both medications are similar. 4) Mild coughing occurred in 4 subjects(13.3%), and mild chest tightness in 1 subject(3.3%) in the Ventolin group. These symptoms resolved without any treatment. No side effects were reported by subjects in the Respolin autohaler group.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the paradoxical bronchoconstriction occurring with nebulized antiasthmatic respirator solutions is due to the ingredient benzalkonium chloride. Therefore, we recommend that a benzalkonium free salbutamol product should be used for asthmatic patients, or if a product such as Ventolin which contains benzalkonium chloride must be used, we recommend that it should be administered cautiously.

      • 소아 알레르기 자반증에 대한 임상적 고찰

        정선희,정종원,윤운기,오지섭 대한알레르기학회 1998 천식 및 알레르기 Vol.18 No.4

        Background and objective: The clinical manifestation of Henoch-Schonlein purpura and existance of renal involvement may influence on its course and prognosis. To verify prevention with early administration of steroid, we studied the efficacy of corticosteroid treatment. Material and method: We analysed 65 children under 15 years of age with Henoch-Scho nlein purpura according to their age, sex, and seasonal incidence. Forty children showed typical skin lesions, arthralgia and abdominal pain. We have divided them two groups. Group A consisted of 20 children who received 1 mg/kg of prednisolone/perday for 2 weeks and group B did not. We carried out their physical examination and urinalysis monthly for a year. Result: The main clinical manifestations were skin rash(100% ), abdominal symptoms(41.5 %), joint symptoms (49.2%), and renal involvement(34%). As for gastrointestinal symptoms, abdominal pain(66.7% ) was most commonly observed one and others were nausea or vomiting (44.7%) and melena(25.9%). The joint involvement was observed mostly in knee(56.3%) and ankle joint(31.3% ), Hematuria was observed in all cases with renal involvement and proteinuria, in 28% of them. The improvement of renal manifestations were noted in 84.2% of them within 4 months. Mild elevation of IgA was more frequently observed in renal involvement group than non-involved group (p$lt; 0.0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monologic parameters such as IgG, IgM, IgE, duration of the acute phase and severity of cutaneous symptoms between two growps. None of steroid treated growp showed progression of nephropathy. Of the 20 non-steroid treated growp, 2(10%) developed nephropathy. Conclusion We may suggest that existance of renal involvement in Henoch-Schonlein purpura influences its course and prognosis.

      • 아토피 피부염에서 감마 인터페론의 치료효과

        정선희,오수경,윤운기,오지섭 대한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1999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9 No.2

        목 적 : 아토피 피부염은 소아의 약 10%에서 발생하는 유병율이 높은 질환으로서 만성적 경과를 취하며 극심한 소양증과 알레르기 질환에서 보이는 면역학적인 이상을 특징으로 한다 최근에는 아로피 피부염의 치료로 여러 가지 부작용을 보이는 스테로이드 등의 기존 치료제 보다 면역학적 이상을 교정해주는 치료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으며 이중 하나가 감마 인터페론의 사용이다. 아토피 피부염은 Th2 세포에서 생성되는 IL-4와 IL-5가 증가되어 있으므로, Th1 세포에서 생성되는 감마 인터페론이 IL-4와 IL-5 mRNA 발현을 억제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호전시키리라 생각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아토피 피부염 환아에게서 감마 인터페론의 치료 효과와 치료 후의 재발율을 조사하여, 감마 인터페론의 치료율 및 치료 지속효과를 보았다. 또한 치료 전후에 혈중 총 백혈구 수, 혈중 총 호산구 수, 백혈구에서 호산구가 차지하늘 비율 및 IgE 농도를 측정하여 치료 및 재발에 영향을 미치는 객관적인 지표를 관찰하였다. 방 법 : 최소 일년 이상의 만성적인 경과를 보이며, 6개월 이상 항히스타민제재 및 스테로이드로 간헐적인 치료를 하였으나 증상 호전이 없었던 12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각 환아는 치료 전, 치료 2주, 치료 12주, 치료종료 12주 후에 일반 혈액검사와 IgE농도를 측정하였다. 감마 인터페론은 총 12주 동안 체표면적당 200만 단위로 총 25회 피하주사하였으며, 첫째 주는 5일간 매일 주사하였으나, 그후 투여간격을 점차 늘여 마지막 4주는 주 1회 투여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 12명 모두에게서 치료 효과가 있었으며 치료 기간 중 투여간격을 늘리는 동안에도 임상증상의 악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치료 종료 4주 후에도 재발 환아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치료 종료 12주 후의 추적검사 상 총 5명의 환아에게서 임상증상의 악화가 관찰되었다. 혈액학적 검사상 혈색소, 헤마토크리트, 백혈구 수, 혈소판 수 백혈구에서 호중구의 구성비율 및 IgE는 치료 전후에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혈중 총 호산구의 수 및 백혈구에서 호산구가 차지하는 구성 비율은 치료 시작 후 감소되었으며, 치료 종료 12주 후의 추적검사 상, 재발군에서 총 호산구의 수 및 백혈구에서 호산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다시 의미있게 중가하였다. 그러나 계발유무를 치료 시작 전에 미리 예측할 수 있는 임상 및 혈액학적 지표는 없었다. 결 론 : 감마 인터페론은 기존의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아토피 피부염 환아에게서는 좋은 치료 결과를 보였으며, 특별한 부작용도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치료 종료 12주에 총 5명의 환아가 재발하여 약 40%의 높은 재발율을 보였다. 혈중 호산구 수 및 백혈구에서 호산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감마 인터페론 치료 후 의미 있게 감소하였으며, 계발 환아에게서 다시 의미 있게 증가하여 치료 효과 및 재발을 알 수 있는 의미 있는 지표로 생각되어진다. 만성적인 계발 환아를 위한 치료로는 장기간의 감마 인터페론 사용을 생각해 볼 수 있으며, 장기간 치료 시 투여 간격 및 부작용에 대한 더 않은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 Atopic dermatitis is a chronic, inflammatory skin disease characterized by intense pruritus and an immunologic profile consistent with allergic disease. It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eosinophil and IgE level and decreased INF-γ production. We describe the result of a treatment with INF-γ and assess the clinical, immunologic, and laboratory data of 12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Methods : Twelve patients were treated for 12 weeks with 2×10 exp (6) units/㎡ INF-γ by subcutaneous injection. General hematologic tests were done, and total eosinophil counts, eosinophil fractions, neutrophil fractions, and IgE levels were measured before the treatment, 2 weeks after the treatment, 12 weeks after the treatment serially. We also followed up the patients for 12 weeks after discontinuing INF-γ therapy. Results : All patients showed clin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12 weeks of the systemic INF-γ therapy. There was no clinical aggravation during the therapy period and the follow-up 4 weeks without the therapy. But the recurrence rate in the 12 weeks after discontinuing the therapy was about 40%. Eosinophil counts and eosinophil fraction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therapy. And, eosinophil counts and eosinophil fractions were increased in clinically aggravated patients during the 12 weeks of off-therapy. Conclusion : We conclude that INF-γ is an effective therapy in atopic dermatitis without significant side effects. The eosinophil counts and eosinophil fractions were decreased during the INF-γ therapy, and increased in clinically aggravated patients after the off-therapy. There was no aggravation during the therapy. But 5 patients were clinically aggravated during the 12 weeks of off-therapy. Further studies for a long-term maintenance therapy and its side effect might be needed in chronic atopic dermatit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