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전담제 시행에 대비한 한국화 지도방안에 대한 연구

        윤쌍웅 한국조형교육학회 2004 造形敎育 Vol.0 No.24

        This study purposes to reveal the necessity of the operation of art subject teaching system of elementary school and to explore the methods of Korean painting education in the art teacher. First, this study discusses the difficulty of the teacher in Art-education, the consequent necessity of operating the art subject teaching system of Elementary School, the current situation of art subject teaching system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proposal for its improvement. Next, this study examines the in-service education program for the Art-education teachers in the different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Here, this study finds out the low rate of the Korean painting education in current in-service education program. Therefore, this study argues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systematic in-service education program for Korean painting education. Finally, this study explores the advisable direction of Korean paint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nd its practical teaching methods. Specially, this study presents the examples for its methods to lead the students to make good uses of Korean painting's materials and instruments, and to access to the creative expression.

      • 한국 기와 문양의 시대별 종류와 예술성에 관한 고찰

        윤쌍웅 동아대학교 조형연구소 1999 조형연구 Vol.- No.5

        We've so discussed “roof-brick” design focusing no national traditionalism and formative sense by type and period. Through this process we could find our national life and feeling, thought and artistic spirit and also examine not only our mental coherence but also the changes in art style. The characteristic of “roof-brick” design in our country can be clearly classified by period and region. Its special image, climatic characteristic and artistic spirit ane also found in the kinds and number of the design. As mentioned before, the kinds of “roof-brick” design in our formatve art can largely be classified into three. First one is a plant design such as Dongcho design, Bosnghwa design, Indong design and Yeonhwa design, Second one is a animal design such as Kragon design, Chinese phonenix design, Gwimeon design, Karumbin design, Inmeon design, Oktoseom design, Bicheon design, Lion design and Third one is geometry design such as charoon design, Kwajang design, “roof-brick” design, Sun and Mon design. By examining the changes and development process in kinds and number of design, we could find how active our formative art was. And, design native to Korea by being naturally united with our own climate and sense, Most design so far discussed are inclined to just decoratory factors. However, the right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 and meaning in our design leads us not only to be proud of traditional culture but also to recognize the national feeling and sense of beauty, which causes right understanding of real Korean beauty and art. Also, it is believed that to keep and venovate Korean beauty and art. Also, it is believed that to keep and venovate Korean beauty, we should ceaselessly find and hand down the internal value in our emakable design native to Korea.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을 위한 그림읽기 지도 연구

        윤쌍웅 한국예술경영학회 2014 예술경영연구 Vol.0 No.30

        Reading pictures is the first step to become familiar with art as well as thekey to successful art education, especially to fine art education in elementaryschools. Therefore, picture read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animportant issue to be studied, and relevant contents should be developed intime. Befo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visit an exhibition hall, they are usuallygiven lessons in the museum etiquette. In the same vein, before they appreciatepictures, they need to take pre-education for better appreciation; accordingly,for effective pre-education, applicable contents that can also work in schools aredemanded. Referring to Ryu Jae-man’s study on raising questions for art appreciation andcriticism (2004), this study found that the aspect of questions is a crucial factorfor art appreciation education. Then it made 12 questions from three aspects:semiotic, aesthetic, and socio-cultural aspects. Four questions selected from eachaspect, respectively, were asked to participants from Jinju Art Museum andSinan Elementary School, and then their answers were arranged and analyzedfor each question. The study showed that students were most active in the class where questionson picture reading were raised.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 more classes thestudents had the more active they became. Based on those results, this study aims to suggest teaching methods to improve art appreciation skills through analytic discussions developed in a logical order. 그림을 읽어낸다는 것은 예술과 친해지는 첫걸음이면서 예술교육의 기초적이고, 핵심적인 축이 된다. 이것은 참여 대상자가 작품을 감상하고 작품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해 낼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함을 말한다. 그러나 초등미술에서 그림읽기교육이 대상자의 내면화를 거쳐 능숙하게 재구성하여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까지 원활한 그림읽기 교육이 되지 않는 점에서 초등학생들의 그림읽기에 관한 다양한발문 개발이 필요하며 이것을 본 연구의 과제로 삼았다. 본 연구가 진행되고 있던 말미에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사립미술관협회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공동주관하는 <2014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미술감상교육 프로그램-거꾸로 보는 미술관> 사업이 2014년 3월부터 12월까지 전국 25개 등록사립 미술관에서 시행되며 이 중 한곳이 진주미술관이다. 이런 사업이 진행된다는것은 정부의 문화정책 방향을 알 수 있는 대목이며 본 연구의 방향과도 일치하는 부분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참여 대상자가 미술작품 앞에서 작품에 대한 정보를 주지 않고, 주제나상황에 대한 정답이 없는 질문과 대답을 활용하여 미술 작품을 감상하는 것이다. 참여 대상자가 예술가와 미술작품을 만나고, 미술관 안팎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경험을 통해 미술관을 삶의 일부로, 예술적 놀이터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진행하는그림읽기 프로그램으로 제시되는 발문을 활용하여 그림읽기가 진행되었다. 이러한방법을 한정된 장소에 국한하지 많고 지역 내 다른 미술관, 예술가 스튜디오와 연계하여 점차 확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참여 대상자의 미술 감상·비평 학습의 발문을 세 가지로 제시 하며,그림 읽기 교육은 어떤 관점에서 발문하는가의 문제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류재만, 2004). 발문은 기호학적 측면, 미학적 측면, 사회·문화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각4가지씩의 발문으로 구성하여 총 12개로 설정했다.그림읽기의 대상작품은 총 6점으로 한국화 3점, 서양화 3점이다. 제시된 6점의 작품을 기호학적, 미학적, 문화적 측면의 12가지의 그림읽기 발문을 제시하여 대상자가쉽게 답해 낼 수 있도록 했다. 학생 중심의 그림읽기 교육 방법을 제시하고, 세 가지관점의 각 발문들을 적용하여 그림읽기가 실행된 진주미술관의 초등학생 관람자 30명과 신안초등학교 6학년 학생 161명의 발문에 대한 대답을 정리 분석했으며, 연구의 결과가 예술현장에서 적극 사용될 수 있는 방안이 적극 모색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예술복지 활성화 방안연구 - 노인인구를 중심으로

        윤쌍웅 한국예술경영학회 2013 예술경영연구 Vol.0 No.25

        This research aims to find ways to enhance local community residents’ culture and art welfare by providing culture and art education for people that were isolated from culture and art, and seek ways to vitaliz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For a qualitative study,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carried out for the old people in Kyeongnam area in terms of the practice of cultural welfare. This study is a qualitative one in which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were planned and conducted for the educational target of the old, the neglected class in a culturally alienated region. As the result of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the program was modified for the physic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aged. Even though the goal of the classes was the same, it was observed to be more desirable to make a conclusion by considering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personal differences, and interaction between them. When the process and result of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as a qualitative study were analyzed, the ways to activate culture and art education have been deducted as follows. First, appropriate environments should be formed for it. Second,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fit for the features of the aged need to be developed and consistently operated for a long term. Third, the organization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have to be easily accessible. Fourth, the recipient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the methods to promote the education need to be found. The government with policies and those putting it into practice have to cooperate to develop the policies and programs of culture and art welfare appropriate for the older citizens, and substantial strategies to carry forward them for the sake of vitalized culture and art education should be planned. 본고에서는 학교 밖의 일반인들에 대한 문화예술교육으로부터 소외된 지역, 계층에게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지역민의 문화예술 복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문화예술교육을 활성화 시키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했으며, 질적 연구로써 경남의 노인들에게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문화복지 실천가적인 측면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행하여 노인들의 문화예술 복지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본 연구는 문화소외지역의 소외계층인 노인을 교육 참여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실행한 연구이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한 결과 일반인과 달리 노인들의 신체적·정서적 특성 때문에 프로그램이 수정되기도 했으며, 수업의 목표는 같을지라도 일괄적인 결과도출이 아니라 참여자 중심의 원리, 개인차 고려의 원리, 상호작용의 원리를 고려한 결과 도출을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과정과 결과 분석을 통한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분석해 낼 수 있었다. 첫째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환경조성이 필수적이다. 둘째 노인의 특성에 알맞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설계 및 프로그램의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실행이 중요하다. 셋째, 문화예술교육 기관에 대해서 접근성이 용이해야 한다. 넷째, 문화예술교육 대상자 발굴 및 교육 홍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정부의 정책과 실천가가 협력적으로 노인에게 맞는 적합한 문화예술 복지의 정책 개발과 프로그램 개발에 힘써야 하며,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 추진 전략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학년별 미술과 학업 성취도, 인식도 및 효능감의 관계분석 연구

        윤쌍웅(Yun, Ssang 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09 美術敎育論叢 Vol.23 No.1

        본고에서는 미술에 대한 학생들의 성취도와 인식도가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및 이 세 가지 항목(성취도, 인식도, 효능감)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의 도시지역 학생과 농촌지역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 연구했으나 농촌지역 학생 그룹과 도시지역 학생 그룹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두 지역 학생 모두가 학년이 올라갈수록 미술에 대한 성취도, 인식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며, 이에 따라 미술에 대한 자기 효능감도 떨어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학교에서의 미술교육이 전문가를 기르기 위한 미술이 아닌 만큼 학생들이 보다 미술에 대해서 높은 성취도와 인식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해서 미술에 대한 효능감이 높아질 수 있도록 미술지도가 되어야 하며, 이를 용이하게 되도록 하기 위해서 그에 맞는 미술 프로그램이 개발 되어져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made an analysis of the following how learners' accomplishment and recognition about art effect on self-efficacy, and connection between these three things accomplishment, recognition and self-efficacy. Also this research studied how appear in urban and suburban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urban and suburban student. However, there is a tendency to exhibit a lower accomplishment in art, and also lower recognition thereof along with their promotion to higher grades. And so it has understood that students’ self-efficacy in art has decreased accordingly. Thus, it shall be required to develop a fine arts education program that would enable teachers to apply to their art classes more easily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self-efficacy in fine arts by inducing and encouraging students to obtain higher accomplishment in art as well as recognition thereof, for the fine arts education in school is not aimed at training a professional pain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